728x90
반응형

 

 

☞(합천여행/합천가볼만한곳)가야산 홍류동천 농산정. 고운 최치원이 갓과 짚신을 걸어놓고 신선이되었다는 명경산수의 해인사 소리길  농산정을 여행하다. 농산정


빼어난 가야산 홍류동계곡 하면 얼른 떠오르는 분이 있습니다. 고운 최치원 선생(857~?)으로 시대의 풍운아이자 대문장가로 이름을 떨쳤던 분입니다. 필자는 고운 선생을 여행가라 말하고 싶습니다. 부산, 지리산, 가야산 등 영남에서 고운의 발자취를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1000년도 훨씬 넘은 지금도 전국의 명산 대천에는 해운이니 고운이니 임경이니 하면서 선생의 발자취가 남아 있으니 말입니다. 고운 선생은 말년을 가야산에서 보냈습니다. 가야산 정상에서 흘러내리는 계곡 물은 섬섬옥수가 되어 바위를 돌고 넘고 뚫고 휘몰아쳐 빼어난 절경을 연출합니다.


 



선생은 가을 단풍이 붉게 온산을 뒤덮어 흐르는 계곡 물까지 붉게 물들인다 하여 홍류동천이라 이름 짓고 이곳에서 은둔하며 수도하고 유유자적한 안빈낙도의 삶을 살았습니다. 그곳이 오늘날의 농산정입니다.


 



농산정은 고운 최치원 선생의 칠언절구 둔세시 ‘제가야산독서당(濟伽倻山讀書堂)“에서 따왔는데 그 한시를 보면

“광분첩석후중만(狂奔疊石吼重巒) 첩첩 바위 사이를 미친 듯 달려 겹겹 봉우리 울리니

인어난분지척간(人語難分咫尺間) 지척에서 하는 말소리도 분간키 어려워라

상공시비성도이(常恐是非聲到耳) 늘 시비하는 소리 귀에 들릴세라

고교류수진농산(故敎流水盡籠山) 짐짓 흐르는 물로 온산을 둘러버렸네“





지금의 농산정 건너편에 치원대 또는 제시석으로 불리는 암벽에 새겨져있습니다. 그 한시의 맨 끝부분 ‘농산(籠山)’의 한 구절을 따와 농산정이라 하였는데 맨 끝에 ‘우암’이란 각자가 남아있어 우암 송시열의 한시가 아닌지 의문을 품기도 합니다.







정자는 앞면 2칸에 옆면 2칸 크기의 정방형 목조기와 건물입니다. 농산정은 언제 지어졌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며 1936년경 후손과 이 지역 유림에 의해 중건되었고, 여러 번 수리를 거치면서 1990년에 전체적인 보수공사를 하였습니다. 지금도 단청이 입혀지지 않은 서까래 등을 보면서 최근에 다시 한 번 부분적인 수리를 한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농산정 현판에는 김영한이 쓴 농산정기와 찬양사 4수가 새겨져 있으며 고운 선생의 둔세시를 차운한 시 8수도 있습니다. 고운 최치원 선생은 12세에 홀로 당나라 유학길에 올라 그곳에서 빈공과에 급제하여 지방관의 임무를 수행합니다. 그 후 산동에서 황소가 난을 일으키자 선생은 ‘토황소격문’를 지어 최치원이란 이름을 널리 각인시켰습니다.





선생은 17년만인 29세에 고국 신라에 돌아왔으나 나라의 국운이 쇠퇴함을 알고 자천으로 변방을 전전하다 진성여왕에게 ‘시무십조’을 상소하였습니다. 신라의 국운은 난세로 세상이 혼탁해지자 894년 가솔을 거느리고 가야산으로 은거했습니다. 그때 입산하면서 남긴 시가 있습니다.





“승호막도청산호(僧乎莫道靑山好) 스님아! 푸른 산이 좋다고 말하지 말라

산호여하복출산(山好如何腹出山) 산이 좋은데 무슨 일로 다시 산을 나오는가!

시간타일오종적(試看他日吾踪跡) 시험 삼아 이다음에 나의 종적을 보아라.

일입청산갱불환(一入靑山更不還) 한 번 푸른 산에 들어가면 다시 돌아오지 않으리라“.




지금 농산정 옆 계곡에 홍류동 각자가 새겨져 있었는데 어느 해 엄청난 물난리로 ‘홍류’ 두 글자는 떨어져 나가고 지금은 ‘동’ 자만 남아 계곡에 남아 있습니다.


선생은 “다시는 시류에 얽매이어 속세로 나가지 않겠다”는 시처럼 그의 결연한 의지를 들어내었습니다. 고운은 가야산 홍류동계곡과 해인사. 매화산의 청량사 등에서 신선 같은 삶을 살다가 어느 날 홀연히 종적을 감추었는데 갓과 짚신만 지금의 농산정 자리에 남아있었습니다. 후세사람들은 이를 보고 농산정 뒤 골짜기로 신선이 되어 사라졌다며 최취밭골로 부릅니다.





농산정은 많은 선비가 이곳을 찾아들었으며 고운 최치원을 흠모하며 많은 차운시를 남겼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시 몇 편을 소개하겠습니다. 점필재 김종직의 농산정 차운시입니다.

“청시광염사창만(淸詩光焰射蒼巒) 맑은 시의 광염은 푸른 봉우리 내쏘는데

묵지여흔궐륵간(墨漬餘痕闕?間) 먹으로 쓴 흔적은 새긴 바위에 희미해라

세상단운시해거(世上但云尸解去) 세상에서는 신선 되어 떠났다고 말을 할 뿐

나지마렵재공산(那知馬?在空山) 빈산에 무덤이 있는 것은 알지 못한다네“





그리고 가야산 홍류동 계곡의 농산정에는 예은 최동식 거사의 칠언절구가 있습니다.

“何日文昌入此巒(하일문창입차만) : 최치원께서 언제 이 산에 들어왔던가?

白雲黃鶴渺然間(백운황학묘연간) : 흰 구름과 황학이 아득히 어우러진 때였도다.

已將流水紅塵洗(이장유수홍진세) : 이미 흐르는 물로서 세상의 때를 씻었으니

不必中聾萬疊山(불필중농만첩산) : 만 겹산으로 귀 막을 필요는 없으리라“




‘고운최선생둔세지’





선생은 1918년 해인사 이회광 주지스님의 부탁을 받고 홍류동 계곡에서 가야산 정상인 상왕봉에 이르기까지 19 명소를 설정하고 칠언절구의 시를 남겼는데 ‘가야십구명소제영’에서 유래한다 합니다 허목선생의 ‘가야산기’에서 “홍류동, 취적봉, 광풍뢰, 음풍뢰, 제월담, 분옥폭, 완재암, 낙화담, 첩석대, 무릉교, 칠성대, 채필암 등 무흘 12곡 모두 고운 선생이 이름을 붙였다”고 했습니다.




갓과 짚신을 벗어 놓고 최취밭골로 홀연히 종적을 감췄다는 농산정.





농산정에는 사방으로 농산정 편액이 걸려있습니다. 그 중 한 곳에 걸린 최영하의 ‘농산정’ 칠언절구입니다.

“流水聲中聳翠巒(류수성중용취만) 흐르는 물소리에 푸른 산 우뚝하니

淸風百世在斯間(청풍백세재사간) 맑은 바람 백 세 동안 여기에 있네

詩登雅譜亭名擅(시등아보정명천) 시의 족보에 등재되어 이름을 떨치니

長使人○仰若山(장사인○앙약산) 오래도록 사람이 산을 우러르게 하네“





이외에도 고운 최치원의 농산정 차운시는 여러 사람이 남겼습니다. 그중 영재 이건창(1852~1898)과 매천 황현(1855~1910)선생의 한시를 옮겨보겠습니다.

영재 이건창 선생은 당시 부친인 이강학이 안의 현감으로 재직 중에 이곳 농산정을 찾게 되었습니다.

“百丈紅流萬疊巒(맥장홍류만첩만) 백 발의 홍류동 만 겹 봉우리인데

神仙詩句墮人間(신선시귀타인간) 신선 시구가 인간 세상에 떨어졌네

白雲一片孤飛去(백운일편고비거) 흰구름 한 조각 외로이 날아가니

疑是先生尙在山(의시선생상재산) 선생이 아직 이 산에 계시는가“





그리고 매천 선생은 광양에서 태어나 구한말 나라의 주권이 일본에 빼앗기게 되자 통분하여 구례의 매천 정사가 있는 서재에서 절명시를 남기고 자결한 애국지사입니다. 매천 황현 선생은 1887년 이곳 농산정을 올라 차운시를 남겼는데

“雷?百折鎖重巒(뇌랑백절쇄중만) 구불구불 겹겹 산 잠긴 속을 울리며

玉洞春流紫翠間(옥동춘류자취간) 옥동의 봄물이 붉고 푸른 사이로 흐르네

山自孤雲詩益著(산자고운시익저) 산은 고운의 시로 더욱 드러났지만

(籠山未必善藏山(농산미필선장산) 산을 에워쌌으나 반드시 산을 잘 감춘 건 아니구나“.





옛 선인들은 홍류동 계곡의 정취와 농산정의 빼어난 절경을 흠모하며 많은 시와 차운시를 남겼습니다. 실제 농산정을 여행하면 올곧은 소나무의 자태와 함께 비류낙화하는 계곡에서 고운 최치원 선생의 체취를 느낄 수 있습니다. 역시 선인은 명경산수를 알아보는 것 같습니다. 이제 입추도 지났고 다시 처서를 지나면 곧 홍류동천은 하늘과 나무와 바위와 흐르는 계곡 물이 온통 이름처럼 붉은 단풍이 드는 장관을 연출합니다.


농산정 주소: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구원리 1

농산정: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72호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포항여행/포항가볼만한곳)동해면 호미반도 해안둘레길 선바위~하조대. 딸에게 권해주고 싶은 여름 캠핑 휴가지 호미반도 해안둘레길 선바위~하조대 정말 좋아요.,



찜통더위인 여름 휴가철에 계곡이 있는 산, 그것도 아니면 에메랄드빛이 반짝이는 바다에서 몸의 열기를 식히려고 너도나도 무더위를 피해 떠납니다. 하기야 오늘 얼마나 더웠던지 딸한테 카톡이 왔습니다. “아빠 우리 텐트 있어요”하며 물었는데 답장은 텐트가 너무 오래되어 원단이 다 삭았을 것이다 며 그 텐트가 네 나이보다도 더 오래되었다는 이야기를 해주었습니다. 참고로 딸은 올해로 24살이니까 여러 동 가지고 있는 텐트 모두 그 이상은 된 것 같습니다. 날씨가 얼마나 무더웠으면 24년 동안 캠핑 간다는 말이 없던 딸이 더위를 피해 1박 2일 캠핑이라도 가야겠다며 텐트 이야기를 하는 걸 보면 진짜 올해 엄청나게 더운가 봅니다. 그런 딸에게 이번 1박 2일 캠핑하며 휴가를 즐기기 좋은 곳 한곳을 소개해줄까 합니다.






◆포항여행/포항가볼만한곳◆


2016/02/17 - (경북여행/포항여행)포항 청하면 월포해수욕장 용산 산행. 동해 해돋이 명소로 소문난 낮지만 옹골찬 용의 전설을 간직한 포항 용산 산행. 포항 용산

2016/02/04 - (경북여행/포항여행)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200만년전 땅속의 불기둥이 굳어져 독특한 모습의 돌기둥으로 변한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여행

2014/12/21 - (포항여행/구룡포여행)구룡포항 구룡포근대문화역사거리-2. 구룡포 공원과 일본가옥인 구룡포근대문화역사거리를 여행하세요.

2014/11/03 - (경북여행/포항여행)구룡포 삼정리 주상절리. 호미곶 가는 길에 있는 구룡포해수욕장 옆에 구룡포 삼정리 주상절리가 있습니다.

2013/08/20 - (경북여행/포항여행) 내연산 12폭포. 금강산도 부럽지 않은 소금강 내연산 보경사 산행.





 


간단하게 더위도 식히며 눈이 부실 정도로 아름다운 바닷물과 해안 풍경이 있는 포항 동해면의 입암리와 마산리를 잇는 700m의 해안인 ‘호미반도 해안 둘레길’입니다. 이래서는 얼른 장소 등 이해가 퍼떡 안 간다고요. 호미곶은 다 아시죠. 왜 호랑이 꼬리라고 하면서 새해 일출 때는 장터같이 왁자지껄하며 매스컴의 집중적인 조명을 받아 동해의 정동진과 함께 유명세를 떨치 곳이며 그리고 하늘을 향해 손을 뻗쳐들고 있는 곳 말입니다. 포항 시내에서 이곳을 갈려면 오천읍과 동해면을 거쳐 가는데 입암리는 그 가운데 있으며 호미곶 가는 영일만 해안 옛길을 따라가야만 합니다.


 

 


영일만의 오밀조밀한 해안선을 따라가면 바다와 가까워졌다가 또한 멀어 졌다를 반복하는데 그속에 숨어 있어 잘 보이지 않습니다. 최근에 숨은 비경지에 데크길을 만들어 천혜의 비경 보따리를 세상에 풀어 놓았습니다. 연오랑과 세오녀, 이육사의 청포도만 생각해도 벌써 무더위의 반은 삭혀질 것 같습니다. ㅎㅎ 상큼한 포도 향이 가득한 청포도의 이육사 고향이 이곳 동해면입니다. 


이 바위는 두눈이 툭 불거진게 완전 외개인을 닮았습니다.

 

 


선바위와 하선대 코스는 약 700m이며 거의 해안가 바닷속으로 기둥을 박아 데크길을 만들었습니다. 결국은 바다를 걷는 것과 똑같습니다. 그 입구에 떡 버티고 우뚝 솟아 있는 바위가 선바위입니다. 선바위는 높이가 6m쯤 되며 한자로 바꾸다 보니 입암이 되었고 마을 지명이 되었습니다. 평택 임시가 처음 이곳에 정착했다 하니 딱 전망 좋은 곳을 단박에 알아채 뿌렸습니다.


요 바위가 불끈 힘이 솟는나는 남근바위 ㅋㅋ 자꾸 밑이 깎이면 예류지질공원의 여왕바위가 되는것은 아닌지 ㅎㅎ

얼마나 많은 세월이 흘러야 하는지 그때가 기다려집니다.



 

 

시원한 데크로드가 정말 좋습니다. 해무가 왔다리 갔다리하는게 신비감이 듭니다.



 


입구의 수문장인 선바위는 꼭 시멘트에다 큰 돌 작은 돌을 함께 섞어 버무려 어기어 놓은 모습인데 이는 화산활동으로 인한 뜨거운 화산 열로 벤토나이트 성분이 드러났기 때문입니다. 원래는 이보다 훨씬 크고 웅장했다는데 벼락을 맞아 지금은 아담한 모습이 되었습니다. 선바위를 지나면 같은 지질의 바위가 불끈불끈 솟아 독특한 지형을 보여줍니다. 꼭 기분으로 치면 지질은 다르지만 느낌이 대만의 예류지질공원과 비슷하다고 할까요? 저한테 그만큼 특별한 모습입니다.


 

 


요 바위는 남근석입니다. 제가 보기에는 울퉁불퉁한 게 꼭 도깨비방망이 같아 보입니다. 수정같이 맑은 바닷물이라 그런지 바닥까지 훤히 내려다 보입니다. 포항시에서 바다를 뚫고 길을 만든다고 엄청나게 힘들었을 것 같습니다.


 

 

 

 

 

 

 

 

 

요바위는 제가 이름을 붙혔습니다. 미륵바위 어떤가요 아니면 사람바위?????ㅎㅎ



 

 

 

 

 

 

 

여기는 폭포바위입니다. 바위가 떨어지는 물줄기로 보였는지 아니면 틈마다 물이 흘러 내리는지 ㅎㅎ

그래도 폭포바위 이름을 어울리게 잘 지었습니다. 


 

 

 

 

 

 

 

 


여기도 미끈한 여인이 왕관을 쓴 여왕바위가 있습니다. 화산활동으로 생겼지만 지질이 참 특이합니다. 

 

 

 

 

 

 

 



킹콩바위.입니다. 두팔을 길게 늘어뜨린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ㅋㅋ 킹콩을 닮았습니까. ㅎㅎ 밑의 사진을 보면 제가 보기에도 염팡 닮아 보입니다. 

 

 

 

  

 

 

 

 

 

 

힌디기


 


힌디기는 노씨 성을 가진 분이 처음 정착하여 살면서 “흥하게 되기를 바래서” 흥덕(興德)이라 했는데 그게 음이 변해 힌덕, 힌디기로 불렸다 합니다. 그러나 이곳의 암질이 다른 곳 보다 유난히 흰색인데 이는 화산 활동이 이루어지면서 화산성분이 백토로 형성되어 흰 바위가 많아 흰 언덕 또는 흰덕으로 불렸으며 흰덕에서 힌디기로 바뀐 게 아닌지 추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곳은 자갈이 많이 몰려 있어 하선대를 잇는 데크길에서 유일하게 자갈길로 이루어졌습니다.


 

 

 

 

 

 

 

 

 

 

 

 


저 멀리 한 점으로 보이는 편편한 바위가 하선대입니다. 파도가 심하게 칠 때는 하선대는 물에 잠길듯합니다. 동해면 입암리와 마산리의 경계지점을 황옥포라하는데 속칭 한미끼에 있는 암초입니다. 이곳에 하늘의 선녀가 내려와 놀고 갔다 하여 ‘하선대’또는 ‘하잇돌’이라 불렀습니다. 아주 옛날 칠석날만 되면 동해의 용왕이 하늘의 선녀를 이곳에 초청하여 춤과 노래로 신나게 놀았는데 그 선녀 중에서 유독 얼굴이 예쁘고 마음씨 착한 선녀에게 용왕은 마음이 끌려 왕비로 삼고 싶었습니다.


 

 


그러나 선녀는 옥황상제의 허락이 있어야만 결혼을 할 수 있어 용왕은 옥황상제의 환심을 사기 위해 태풍을 없애는 등 바다를 항상 고요하게 하여 인간을 이롭게하는 일을 하면서 근심걱정을 없게 해주었습니다. 황제는 용왕의 마음씨에 감복하면서 선녀와의 결혼을 허락하였고 용왕과 선녀가 자주 이곳에 내려와 밀월을 즐기고 갔다 합니다.


 

 

 

 

 

 



이 바위는 먹바위 또는 검둥바위라 부르는데 제가 보기에는 꼭 돌배처럼 보입니다. 그리고 이곳 해안에는 연오랑과 세오녀의 전설이 전해오는데 그 전설이 정말 이 돌배 모양인 먹바위와 잘 어울립니다. 이 이야기는 일연이 쓴 삼국유사의 연오랑과 세오녀 편에 있습니다. 옛날 옛적에 연오랑과 세오녀가 영일만 해안에 부부로 살았습니다. 하루는 남편인 연오랑이 바닷가로 나와 바위에 붙은 해조를 따고 있는데 갑자기 바위가 움직이더니 연오를 싣고 일본으로 가버렸습니다.


 

 


일본에서는 돌배를 타고 온 사람이 신기해 보이기도 하고 비범한 사람으로 여겨 그들의 왕으로 모셨습니다. 세오는 남편이 돌아오지 않자 바닷가로 나와 바위에 벗어 놓은 남편의 신발을 보고 바위에 올랐습니다. 바위는 기다렸다는 듯이 다시 세오를 싣고 쏜살같이 달려 대한해협을 건너갔습니다. 그 나라 사람들이 보고 왕에게 아뢰었습니다. 연오는 세오와 만나게 되었고 귀비로 삼았는데 이때부터 신라에는 해와 달이 모두 사라지는 기이한 현상이 벌어졌습니다. 일관이 말하기를 이런 기이한 현상은 해와 달의 정기가 지금 모두 일본으로 가버렸기 때문이라 하였습니다.


 

 


왕은 일본으로 사신을 보내어 두 사람을 찾았으며 연오는 하늘의 뜻이라며 신라로 돌아갈 수 없다 하였습니다. 그러면서 세오가 짠 명주 비단을 내어주면서 이 비단으로 하늘에 제사를 지내면 된다 하였습니다. 사신은 고국으로 돌아와 왕에게 고하고 비단을 놓고 제사를 지냈더니 해와 달이 그전과 같이 환하게 비추었습니다. 왕은 비단을 나라의 보물로 삼고 창고에다 보관했는데 그 창고를 귀비고라 하였으며 하늘에 제사를 지냈던 곳은 영일현, 또는 도기야라했습니다. 이 먹바우가 연오랑과 세오녀를 태우고 간 그 배가 아닐까 하며 1000년 전의 퍼즐조각을 맞추어 보는 재미도 있습니다.



2012/11/18 - (경북포항산행)비학산 산행.학이 알을 품어 하늘을 나는 형상인 '학포지란'인 천하명당 포항 비학산 산행

2008/11/22 - (경북여행/포항여행)죽장 두마리 곰바위봉~베틀봉산행. 낙엽산행 이보다 좋을 수 없다. 포항 곰바위산~베틀봉

2008/11/09 - (경북여행/포항여행)포항 죽장 베틀봉~면봉산 산행. 포항에서 제일 높은 산입니다 .죽장 베틀봉~면봉산

2008/07/18 - (경북여행/포항여행) 포항 동대산~바데산 산행. 적막강산의 청정계곡 옥계계곡과 경방골 호박소 비경-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영천여행/영천 가볼만한 곳)영천 임고면 환구 세덕사. 임고서원과 함께 갈만한 여행지 환구 세덕사

 

 

환구 세덕사는 1720년(숙종 46) 정세아의 후손들이 문중의 자제를 강학하기 위한 장소로 건립했습니다. 주요 건물을 보면 충효각, 충이당, 추원당, 환고정사 등 여러 건물로 지어졌는데 근래 서재와 사당 등을 복원하여 추모공간으로서 제 모습을 갖추었습니다.

 


 

 

 

 

◆영천여행/영천 가볼만한 곳 ◆

 

2016/06/24 - (영천여행/영천가볼만한곳)영천 선원동 철조여래좌상. 균형미가 아주 빼어난 고려시대 철불 영천 선원동 철조여래좌상을 만나다. 영천 선원동 철조여래좌상

2016/05/18 - (경북여행/영천여행)영천 보현산~보현산 시루봉 산행, 하늘바라기에 좋은 산행지 보현산 천문대가 있는 영천의 지붕 보현산 산행. 영천보현산

2016/05/11 - (경북여행/영천여행)영천 모고헌, 독특한 누각이 돋보였던 MBC드라마 화정 촬영지 영천 보현산 아래 옛 태고와 누각 모고헌 여행.

2016/05/09 - (경북여행/영천여행)영천 자천교회. 115년 역사를 가진 한국 기독교 사적 제2호인 영천시 화북면 자천교회 여행. 자천교회

2016/05/06 - (경북여행/영천여행)영천 정각리 삼층석탑. 보현보살을 상징하는 보현산의 상징인 영천 정각리 삼층석탑 여행. 정각리 삼층석탑

2008/11/17 - (경북여행/영천여행)영천 거동사. 단풍이 황홀한 영천의 거동사입니다.

 


 



먼저 환구 세덕사를 알기 위해서는 호수 정세아(1535~1612) 선생과 그의 아들 정의번(1560~1592) 선생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두 부자는 의병인 ‘창의정용군’을 조직하여 영천 전투에 참여하여 승리하였으며 경주성 전투에도 함께 참여하여 고군분투했지만, 전세가 불리해져 아버지는 겨우 포위망을 뚫고 탈출하나 정의번은 그 사실을 모르고 아버지를 찾아서 다시 적진으로 뛰어들었다가 장렬하게 전사하였습니다.





환구세덕사


최근 찾았던 신원마을 환구 세덕사는 한참 복원공사가 이루어지고 있었습니다. 추원당의 기둥 등이 모두 새롭게 조성되었는데 하루빨리 예전의 본 모습을 찾으면 합니다. 추원재는 앞면 3칸, 옆면 1.5칸 규모의 3량가 맞배지붕 기와 건물입니다.





가운데 대청을 넣고 좌우에 온돌방을 1칸씩 넣었으며 전면에는 반 칸 크기의 툇마루를 달았습니다. 건물의 기단은 높게 하였으며 자연석 초석에다 기둥을 세웠습니다.

















고직사는 환구 세덕사 입구인 출입문과 마주하고 있는데 앞면 6칸에 측면 1칸의 3량가 맞배지붕 기와집입니다. 건물의 가운데 대청을 기준으로 좌우 각각 한 칸의 온돌방을 넣었습니다. 그리고 좌측의 방 옆에는 1칸의 고방을, 우측 방 옆에는 2칸의 부엌을 달았습니다.


 













충이



그리고 환구 세덕사 출입대문을 마주하고는 충이당 건물이 있습니다. 건물은 방형의 담장을 둘렀으며 앞면 3칸에 옆면 1.5칸 규모의 5량가 팔작지붕 기와건물입니다. 가운데 마루를 넣고 좌우로 각각 1칸의 온돌방에다 전면에 계자난간을 두른 반 칸의 툇마루를 달아내었고 출입은 좌우측면으로 하게했습니다.





환고정사



그리고 환고정사는 잡초에 묻혀 고졸한 모습이었습니다. 환고정사는 조선 후기의 유학자인 학고 정일진과 그의 아들 교와 정하준을 추모하여 건립한 정자입니다. 환고정사는 1783년 이들 두 부자에 의해 처음 지어졌으며 그 뒤 1965년에 중건되었는데 그 중간의 과정은 알 수 없다 합니다.


 







환고정사는 정면 3칸, 옆면 2.5칸 규모의 5량가 팔작지붕 기와집입니다. 가운데 마루를 넣었으며 각각 좌우에 온돌방 1칸씩을, 그중 우측 방 배면으로 방 1칸을 덧붙였습니다. 건물 전면에는 계자 난간인 툇마루를. 좌우 측면과 배면에는 쪽마루를 달았는데 좌우 측면의 쪽마루에만 계자난간을 둘렀습니다.


 



이 건물의 특징은 경사진 곳에 초석을 세우고 기둥을 올렸으며 앞면 툇마루 아래에는 누하 기둥을 설치한 누각형식입니다. 지대가 높다 보니 임고면 선원리 앞 들판의 모습을 시원하게 바라보게끔 지어졌습니다. 1777년(정조원년)에 서재 뒤에 충현사를 짓고 향사와 강학공간으로 사용하다 1784년에 충효정려각인 사당 좌측에 충효각을 새로 건립하였습니다.







그러다 1868년(고종 5년)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다른 건물은 모두 훼철되며 충효각과 부속건물인 유사채와 고직사만 남았는데 근년에 와서 충이당과 추원당, 사당, 서재 등을 새롭게 복원하였습니다.



 "환산처사 오천 정공 유허비"


◆환구세덕사 정보안내◆

환구세덕사 주소: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선원리 768번지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87호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문경여행/문경 가볼만한 곳)공덕산·사불산 사불암. 그럴싸한 전설이 정말 잘 어울리는 신비의 세계 사불암 사면석불, 공덕산·사불산 사면석불 사불암을 만나다. 


문경 하면 생각나는 게 당연히 문경새재입니다. 영남 쪽에서 한양으로 가는 길이 3곳인데 추풍령을 넘는 길과 문경 새재 그리고 죽령입니다. 그러나 조선 시대 과거 길을 오르는 선비는 추풍낙엽처럼 떨어진다는 추풍령과 시험을 보면 죽을 쑨다는 죽령으로 가지 않고 오직 문경새재로만 다녔습니다.






◆문경 가볼만한 것 여행지◆


2016/06/04 - (경북여행/문경여행)문경 봉암사. 일년중 부처님오신날 딱 하루만 산문을 개방하는 천년고찰 문경 희양산 봉암사 여행을 하다. 문경 봉암사

2016/06/03 - (경북여행/문경여행)문경 희양산 봉암사. 봉암사의 꽃이라는 통일신라시대의 완벽한 예술품 문경 봉정사 삼층석탑을 만나다. 문경 봉암사

2016/05/26 - (경북여행/문경여행)문경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 탑비. 보물에서 국보 제315호로 승격된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 탑비의 웅장함에 깜짝 놀라다. 봉암사지증대사탑비

2016/05/25 - (경북여행/문경여행)문경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 통일신라 최고의 걸작품 지증대사 부도인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의 아름다움에 반하다. 봉암사지증대사탑

2016/05/23 - (경북여행/문경여행)희양산 봉암사 극락전. 잦은 화재로 봉암사 전각중 유이하게 남은 보물 제1574호 봉암사 극락전의 독특한 목탑양식 당우를 만나다. 봉암사 극락전

2016/05/20 - (경북여행/문경여행)희양산 봉암사 마애보살좌상. 무릉도원의 선경인 용추동천의 백운대에 자리한 봉암사 마애보살좌상을 만났습니다. 봉암사 마애보살좌상.

2016/05/17 - (경북여행/문경여행)희양산 봉암사 정진대사 원오탑비. 희양산 봉암사의 전성기를 이끈 정진대사 원오탑비를 만나다. 보물 제172호

2008/11/03 - (경북여행/문경여행)문경 대야산 산행. 문경의 명산 대야산 용추폭포와 만추홍엽 단풍보기



 



문경이란 뜻은 새재를 넘어간 선비가 과거에 급제했다는 희소식을 가장 먼저 전한다는 뜻이며 그래서인지 문경은 산이 깊고 물이 좋은 심산유곡의 선비 고장입니다. 문경에는 여행할 곳이 부지기수입니다.





필자도 항상 문경 여행을 꿈꾸었지만 기회가 좀체 나지 않았는데 문경의 공덕산을 여행하며 겸사겸사 둘러보고 왔습니다. 공덕산으로 불리지만 불가에서는 사불산으로 더욱 알려져 있으며 그중에서도 가장 가고 싶었던 여행지가 사불암입니다.





사불암은 암자인가 오해를 하시는 분도 있겠지만 4각 기둥의 바위 면에 새겨진 사면석불입니다. 이곳 사불산 사불암은 양산 천성산의 유래와 맥을 같이하여 꼭 찾고 싶었던 곳이며 실제 전설과 함께 끼워 맞추어보면 더욱 실감이 납니다.



동쪽 약사여래 


천성산의 전설은 많은 분이 알고 있습니다. 하루는 원효스님이 불광산(천성산과 마주하고 있는 산) 척판암에서 참선하던 중 천안통으로 당나라 태화사의 뒤 산이 무너지기 일보 직전이라 원효는 급한 나머지 척판암 부엌 문짝을 떼어내어 “해동원효척판구중”의 글씨를 써서 날려 보냈습니다.


 



문짝은 태화사 하늘에서 빙빙 돌았고 법당에서 기도하던 많은 사부대중은 이상한 물체를 보고 궁금하여 밖을 나왔는데 때마침 뒷산 절벽이 무너져 법당을 덮쳤습니다. 가슴을 쓸어내린 사람들은 그때야 떨어진 판자의 글씨를 보고 “신라의 원효가 판자를 던져 중생을 구하다”란 글씨를 보고 원효의 도력을 쫓아 지금의 천성산으로 원효를 찾아왔습니다.



서쪽 아미타불


원효에게 제자가 되겠다 하였고 원효는 화엄경을 설법하여 이들 모두는 깨달음을 얻어 성불하게 했습니다. 그중에 8명은 대구 팔공산으로 들어갔으며 또한 4명은 문경 사불산으로 들어가 부처가 되었다 합니다.



남쪽 석가모니 불


실제로 문경에는 사불산이 있고 하여 언제 한번은 꼭 확인하려고 마음을 먹었는데 최근에 문경을 가면서 사불산 여행을 했습니다. 사불산에도 또한 그에 어울리는 전설이 있습니다.





신라 진평왕 9년인 587년 하늘에서 사면이 한길이나 되는 큰 돌기둥이 붉은 비단 보자기에 싸여 내려왔는데 면마다 사방여래불이 새겨져 있었습니다. 사면석불이 하늘에서 떨어졌다는 소식을 들은 진평왕은 석불을 찾아 예를 표하고 그 아래에다 절을 세우게 했는데 그게 오늘날 대승사입니다.





일연의 ‘삼국유사’ “권2, 탑상제4, 사불산·굴불사·만불산 조”의 기록입니다. 대승사는 문경의 사찰 가운데 가장 오래된 사찰입니다. 진평왕은 신라 제26대왕으로 태어난 해는 알 수 없지만 632년에 붕어했습니다.







재위는 579~632년이며 원효대사의 생몰은 617년~686년입니다. 천성산의 전설이야 전설일 뿐이지만 서로 생몰 연대가 겹쳐지는 것을 보면 천성산의 네 성인이 이곳 사불암의 사방 여래 불상이 된 것은 아닌지 추정해 봅니다. 이리 생각하니 더욱 사불산 사불암의 전설과 스토리가 어울립니다.


 



사불산 사불암의 사면 석불 조성 경위를 보면 이는 당시 신라·백제와의 치열했던 국경분쟁과 무관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죽령과 계립령이 가까운데 당시 신라는 부처님의 힘으로 국경을 수호하려 했던 것으로 짐작됩니다.








동서남북 네 방향의 바위에다 불상을 조각하는 것은 부처님의 눈으로 보이는 사방의 땅이 모두 불국토 임을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불상 높이는 약 295cm, 너비는 약 150cm의 커다른 돌기둥 사방 불로 대략 1400년을 비바람에 풍찬노숙하였습니다.


 



북쪽 미륵불


지금은 흔적조차 희미하며 훼손상태가 심각하여 정확하게 사면석불의 추정은 곤란하지만, 서쪽에 아미타불, 동쪽에 약사여래, 남쪽에 석가모니 불, 북쪽에는 미륵불을 각각 모셨습니다. 동과 서쪽 불상은 앉은 모습이며 남과 북은 입상의 형태입니다. 대단한 곳에 신령스러운 사면석불이 있다는 것을 보면서 힐링하며 주위 풍광을 즐겼습니다.











 


◆문경 대승사 사면석불 사불암 정보 안내


★경북유형문화재 제403호(2007년 12월 31일 지정)

소재지:경북 문경시 산북면 전두리 산 38-1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북여행/안동여행)의성김씨 학봉종택. 안동 의성김씨 학봉 김성일 종택을가다. 의성김씨 학봉종택



양반의 고장인 안동에는 여러 종택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의성김씨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1538~1593) 선생의 종택을 여행했습니다. 학봉 선생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이며 본관은 의성입니다. 자는 사순(士純), 학봉은 호이며 사후 문충의 시호를 받았습니다.








 

 ◆안동여행◆


2016/05/19 - (경북여행/안동여행)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명옥대. 퇴계 이황의 강학소 안동 명옥대에서 녹음방초를 즐기다. 명옥대

2016/05/24 - (경북여행/안동여행)안동 천등산 개목사 원통전. 천등산의 지세로 안동에 소경이 많아 비보사찰이 된 개목사, 그후로 소경이 없어졌다는 개목사 원통전 여행,

2016/05/27 - (경북여행/안동여행)천등산 봉정사 극락전, 화려하지 않은 담백한 맛이나는 우리나라에서 현존하는 최고 오래된 목조건물 안동 봉정사 극락전 여행. 봉정사 극락전

2016/05/31 - (경북여행/안동여행)안동 봉정사 만세루. 천년고찰의 풍미를 간직하며 묵직하여 봉정사의 위상을 그대로 보여주는 봉정사 만세루, 봉정사 만세루

2016/06/02 - (경북여행/안동여행)안동 봉정사 대웅전. 봉정사 극락전과 함께 고려후기의 고건축물로 평가받는 독특한 불전인 국보 제311호 봉정사 대웅전. 안동 봉정사

2016/06/13 - (경북여행/안동여행)안동 봉정사 고금당, 화엄강당. 안동 봉정사의 보물인 고금당, 화엄강당과 요사채인 무량해회를 만나다. )안동 봉정사 고금당, 화엄강당

2016/06/16 - (경북여행/안동여행)안동 봉정사 삼층석탑. 봉정사의 고 건축물 극락전과 같은 고려 중엽의 봉정사 삼층석탑을 만나다. 봉정사 삼층석탑

2016/06/17 - (경북여행/안동여행)안동 봉정사.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고건축물인 극락전, 대웅전이 있는 안동 천등산 봉정사를 만나다.

2014/04/13 - (경북맛집/안동맛집)안동하회마을 맛집 간고등어 일직식당. 한국인의 밥상 최불암도 먹고 갔다는 안동간고등어 일직식당.




학봉김성일구택 

 

'학봉선생구택'이란 현판이 걸린 입구의 솟을대문입니다. 앞면 5칸, 옆면 1칸인 대문채의 규모 또한 학봉 선생의 올곧은 마음을 보여주는 듯 정갈한 모습입니다. 가운데에다 출입문을 내었고 좌우 두칸에다 1칸짜리 2개의 방을 각각 넣었습니다. 대문이 활짝 열려있어 여행객은 누구나 구경할수 있습니다.

 

 

 

 

마당으로 들어섰습니다. 먼저 소나무 등 온갖 정원수가 사계절 푸르름이 가득하고 거북바위 등 문양석이 마당을 가득 메워 조선 시대 학봉종택의 위상을 읽을수 있었습니다. 학봉선생은 퇴계 이황의 제자로 성리학의 학통을 잇는 류성룡과 함께 영남학파의 양대산맥이라 일컫습니다.

 

 

 

 

잔디가 깔린 마당을 지나면 종택 건물인 사랑채가 길게 이어져 있습니다. 학봉종택은 처음에는 지금의 자리에 있었다합니다. 그러나 저지대라 물이 차자 1762년인 영조 38년에 이곳에서 100m 가량 떨어진 곳으로 옮겨갔습니다. 그러다 1964년에 다시 원래 자리였던 지금의 위치로 안채만 옮겨 세웠고 사랑채는 남겨두었는데 이는 소계서당으로 사용하게 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이번 안동여행에서 이웃에 있다는 사랑채 건물인 소계서당을 보지 않고 돌아온 게 매우 아쉽습니다.



 

 

뒤돌아 본 대문채입니다.



 

 

사랑채는 길게 한일자 건물로 이루어졌습니다. 안채로 들어가는 출입문은 열려 있고 왼쪽 닫힌 문은 부엌으로 통하는 문입니다. 옮겨 세워왔다는 안채는 오른쪽에 대청이 3칸이며 안방은 왼쪽 2칸입니다. 그리고 그 끝에 부엌이 달려 전형적인 경상북도 양반가옥 구조인 'ㅁ'자형입니다.

 

 

 

 

 

 

 

 

이곳도 사랑채 건물로 앞면 4칸에 옆면 3칸이며 2칸은 온돌을 넣은 방이며 2칸은 마루로 보입니다.  4칸 전면부에 길게 계자난간을 돌린 누마루가 달려 누각을 겸한 건물로 칸마다 각각의 현판이 걸렸고 1963년에 옮겨오면서 다시 지은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참 잘 지은 건물입니다.

 

 

 

 

 

 

 

 

 

 

 운장각

 

운장각(雲章閣) 건물입니다. 학봉 김성일 선생의 유물을 보관해서 그런지 문이 꽉 잠겨져 있습니다. ‘운장’이란 “탁피운한(倬彼雲漢) 위장우천(爲章于天)”에서 한자씩 취했는데 그 뜻을 보면 “저 높은 은하수처럼 하늘 가운데서 맑게 빛난다”입니다. 운장각에는 경연일기, 해사록 등 선생의 친필 유고와 사기, 고려사절요 등 조선 초기에 간행된 전적 56종 261점과 교지, 편지 부류의 고문서 17종 242점 등 총 73종 503점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또한 학봉 선생이 사용하던 안경, 벼루, 말안장 등 온갖 유품이 400여 년이 넘은 지금까지 모두 보관하고 있는 것을 보면 그 후손분들 의 선조에 대한 공경심이 실로 대단하다 하겠습니다.

 

 

 

 

 

 

 

 

운장각 안쪽으로는 학봉 김선일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 있으며 사당은 평소에는 개방을 하지 않습니다. 사당을 오르는 계단에서 바라본 학봉종택은 잘 단장되어 마치 숲 속의 정원을 이룰 정도로 매우 아름다웠습니다.

 

 

 

 

 

 

 

 

 

 

 

 

 

 

 

 


학봉선생의 시호를 딴 '문충고가' 현판입니다.

 

 

 

 

 

 

 

 

 

 

 

풍뇌헌입니다. 이 건물도 누각 형태로 보이며 앞면 4칸에 가운데 2칸은 마루를 깔고 좌우 1칸씩 온돌방을 넣었습니다. 그리고 툇마루를 길게 달아내었고 난간을 둘렀습니다. 또한 특이한 것은 처마 끝의 긴 서까래 위에 짧고 네모진 며느리서까래를 다시 잇대어 달아낸 겹처마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왕이 머무는 곳을 뜻하며 궁궐이나 별궁 이외에는 겹처마를 할 수 없다고 들었습니다. 

 

 

 


학봉 김성일은 황윤길과 조선 통신사의 일원이 되어 조선 침략의도를 정탐하기 위해 일본에 갔다 와 조정에 보고하기를 정사 황윤길은 “전쟁이 반드시 일어난다”는 보고를 하지만 김성일은 “일본은 전혀 전쟁을 일으킬 생각이 없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이에 류성룡은 왜 그런 보고를 올렸느냐고 물었습니다. 그제야 “전쟁은 반드시 일어난다”고 하며 덧붙이기를 “왜란의 가능성을 부인한 게 아니라 왜적이 쳐들어 오기 도전에 나라가 혼란에 빠지는 것을 막는 게 더 급하다”고 판단하여 그런 보고를 올렸다고 이야기를 합니다.

 

 

 

 

 

 

 

 

 

 

그 뒤 임진왜란이 터지자 조정에서는 학봉 김성일을 파직하고 참형의 형벌을 내렸습니다. 이에 류성룡의 시국이 이러한 때 학봉 김성일만이 이 난국을 타개할 수 있다며 등용을 할 것을 청해 학봉은 경상도 관찰사 초유사로 임명되어 경상도로 내려왔고 의병장 곽재우, 정인홍 등이 도와 전쟁을승리로 이끌었습니다. 

 

 

 

 

 

 

 

 

 

 

진주성 전투에서는 김시민장군이 죽자 학봉은 진주성을 지키게 되었으며 왜적이 곡창지대인 호남평야로 진격하기 위해서는 이곳 진주성을 공략할 것을 미리 알고 의병과 함께 진주성을 사수하여 임진왜란 3대첩 중 하나인 진주대첩을 진두지휘하였습니다. 그 뒤 1593년 왜적의 재공격을 대비하는 과정에서 학봉 김성일은 진주성에서 병사하였습니다.

 

 

 

 

 

 

 

학봉기념관

 

 

 

 

 

 

 

 

오른쪽 글씨는 퇴계 이황이 손수 쓴 병명을 학봉이 받았다  


 

 

 학봉집

 

 석문정사

 

 

 

학봉김성일의 유물 

 

 

 

 

 

 

 

해사록 

 

 

 

 

 

 

 

 


◆의성김씨학봉종택 정보 안내◆


의성김씨학봉종택 주소:경북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855

★의성김씨학봉종택전화:054-672-2575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남여행/통영여행)달아선착장 연대도 만지도 출항시간표 정리. 환상의 통영 섬여행인 연대도, 만지도, 출렁다리는 달아선착장에서 출발.  달아선착장 



요즘 남해에서 그것도 경남 통영에서 새롭게 떠오르는 여행지가 있습니다. 두 섬을 연결하는 출렁다리가 지난해 연결되어 환상의 여행코스가 된 연대도·만대도입니다. 원추형의 연대도에 절경의 만지도가 구름다리로 연결된 연대도·만지도를 가는 배편을 소개하겠습니다.





◆통영 여행 가볼만한 여행지


☞2015/08/13 - (경남여행/통영여행)벽방산 안정사. 한산무송 벽방 8경의 소나무를 보며 벽방산 안정사에서 힐링을 하다.


2013/10/30 - (경남여행/통영여행/비진도선유봉)탱탱한 여인의 젖가슴을 닮은 비진도와 선유도 선유봉 섬 산행





달아선착장 매표소


연대도·만지도선착장으로출항하는 달아 선착장은 경남 통영시 산양읍 미남리 702-3호인 통영 미륵도 끄트머리 있습니다. 바로 인근에 전국 3대 해넘이 명소란 달아전망대가 있어 섬 속으로 떨어지는 그림 같은 일몰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섬나들이호


달아 선착장에서 연대도로 출항하는 여객선은 정기선인 섬나들이와 부정기선인 16 진영호가 있습니다. 정기선인 섬나들이호는 달아선착장을 출항하여 학림선착장~송도선착장~저도선착장~ 연대도선착장~만지도선착장을 차례로 돌아 다시 출발했던 달아선착장으로 돌아오는 경로로 왕복 약 1시간 5분가량 소요됩니다.




섬나들이호 타는 곳


평일 날 정기선인 나들이호는 달아선착장 출항 시간입니다. 물론 목적지는 연대도·만지도선착장행입니다. 오전 7시50분, 11시10분, 오후2시10분, 동절기 4시10분·하절기 4시40분에 있습니다. 연대도·만지도선착장까지 25~30분 소요. 


정기선 섬나들이호는 연대도선착장과 만지도 선착장을 출발하여 달아선착장으로 돌아오는 시간은 연대도 선착장 출발 오전 8시15분, 11시48분, 오후 4시48분, 동절기 4시48분·하절 기 5시18분, 만지도선착장 출발 오전 8시23분, 11시43분, 오후 2시43분, 동절기 4시43분·하절기 5시13분.




섬나들이호 주말 공휴일 운항시간표


섬나들이호의 연대도만지도 주말 공휴일 출항시간표입니다. 달아선착장 출항 오전 7시50분 9시 10시 11시10분, 12시, 오후 1시, 4시10분, 3시, 3시30분, 4시40분, 5시10분. 연대도·만지도선착장 출항 오전 8시15분, 9시20분, 10시20분, 11시30분, 오후12시20분(연대승선), 1시20분(연대승선), 2시30분, 3시15분(연대승선), 3시45분(연대승선), 5시, 5시30분.





진영호 주말 공휴일 운항시간표


부정기선인 진영호는 주말 공휴일 운항시간표입니다. 달아선착장 출발 오전 8시30분, 9시30분, 10시30분, 11시30분, 오후 12시20분 1시20분, 2시30분, 연대도선착장 출항은 오후 12시, 1시, 2시, 3시, 4시, 5시, 6시. 15분 가량 소요.


 


평일 섬나들이호 운항시간표와 도선요금표



매표소 안에 부착된 진영호, 선마들이호 연대도만지도 출항 시간표













승선신고서 작성


달아 선착장에서 출발하는 연대도·만지도선착장 입도는 반드시 왕복승차권을 끊습니다. 그리고 연대도·만지도에서 상주시간은 약3시간~4시간 정도 시간이 주어집니다. 세월호 사건으로 승선권 발권시에는 반드시 승선신고서를 작성해야 하며 주민등록증 등 사진이 있는 신분증 지참은 꼭 필수입니다.




진영호 타는 곳



진영호


참고로 섬나들이호는 33톤 크기에 승객 40명 탑승이며 진영호는 90명 승객탑승 정원입니다. 필자는 지난 평일인 목요일 연대도·만지도 섬 여행과 바다 100리 길인 지겟길, 연대봉 산행, 만지도 출렁다리, 만지봉등을 산행하고 여행했는데 승객이 많아 수시 출항하여 출항시간을 도저히 알 수 없었습니다.




진영호 내부



연대도 등대



연대도 선착장 하선


연대도선착장



만지도선착장




반드시 달아 선착장에서 문의를 하고 배편을 구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정기선 이외에는 모두 달아 선착장에서 출항하여 연대도선착장으로 직항하며 연대도선착장에서 출항합니다. 참고하세요. 연대도만지도 도선 요금은 일반 4천원.







연대도 풍경



연대도만지도를 연결하는 출렁다리


◆연대도만지도 출항 달아선착장 정보◆


달아선착장 주소:경남 통영시 산양읍 미남리 702-3호


★달아선착장 전화 문의:055-643-3363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북여행/안동여행)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명옥대. 퇴계 이황의 강학소 안동 명옥대에서 녹음방초를 즐기다. 명옥대


안동 봉정사를 오르는 왼쪽 계곡 건너에 날듯이 날개를 활짝 펼친 누마루 정자가 있습니다. 이는 안동지역의 대학자이자 퇴계학파의 영수인 이황(1501~1570) 선생이 봉정사에 머물면서 '계곡의 물소리가 마치 옥이 구르는 듯 아름답다' 하여 명옥대(鳴玉臺)라 부르고 후학에게 학문을 가르쳤던 곳입니다.





◆안동 명옥대 인근 가볼만한 여행지와 맛집 ◆

2014/06/13 - (경북여행/안동여행)안동 와룡산, 천하를 호령하던 용이 몸을 뉘며 쉬었다는 와룡산에서 안동호의 한반도 지형을 만나다

2014/06/10 - (경북여행/안동여행)안동여행에서 법흥사 칠층전탑과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 동부동 오층 전탑을 보고 왔습니다.

2014/04/13 - (경북맛집/안동맛집)안동하회마을 맛집 간고등어 일직식당. 한국인의 밥상 최불암도 먹고 갔다는 안동간고등어 일직식당.

2014/02/03 - (경북맛집/안동맛집)안동하회마을맛집 남안동 휴게소. 안동에서는 꼭 먹어야 할 음식 1호 안동 간고등어 맛집 남안동휴게소




처음 명옥대를 낙수대(落水臺)라 불렀습니다. 중국 진나라 육사형의 초은시인 “솟구쳐 오르는 샘이 명옥을 씻어 내리네”라는 비천수명옥(飛泉漱鳴玉)의 시구에서 빌려 1565년 명종 20년에 이황이 직접 명옥대로 바꾸었습니다.

 

 


그러나 필자가 찾아갔을 때는 최근 잦은 비에도 명옥대 옆 계곡 수량은 보잘것없었습니다. 저로서는 작은 폭포에서 떨어지는 물줄기가 옥구슬이 구르는 그런 소리는 느끼지 못하고 그저 쫄쫄 소리 내며 바위를 타고 흘렀습니다.

 


일개 범부(凡夫)라서 그런지 퇴계 선생의 높은 덕을 따를 수야 없을 것 같습니다. 명옥대 옆 바위에는 퇴계 선생이 새겼다는 ‘명옥대’ 글씨가 남아 있습니다.

 

 

 

 


명옥대에 세워진 정자는 퇴계 선생이 이곳에서 제자에게 학문을 가르치던 곳으로 조선 현종 6년(1665)에 지역의 사림들이 퇴계 선생의 강학장소를 기념하는 뜻에서 정자를 세웠습니다. 명옥대 정자는 앞면 2칸에 옆면 2칸의 사각 정자로 자연석 초석에다 둥근 기둥을 세우고 누마루를 깔았습니다.

 

 

 

 

 

 


사방이 모두 개방된 상태이며 마루 끝을 빙 돌려 계자난간을 달아 녹음방초(綠陰芳草)와 옥구슬 같이 구르는 계곡의 물소리를 듣고 즐기게끔 했습니다. 정자 내 기둥에 남아있는 흔적을 보면 건립 초기에는 2칸은 방을 넣었던 모양입니다.

 

 


그러다 1920년경에 명옥대를 대대적으로 수리하였는데 그때 방을 헐어내고 현재 누마루형식으로 변형한 것은 아닌지 추정하고 있습니다. 1986년 12월에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74호로 지정되었으며 원형이 훼손되어 건축적 가치가 떨어져 많은 아쉬움이 남습니다.

 

 

◆안동 명옥대 주소:경북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산76번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북여행/영천여행)영천 모고헌, 독특한 누각이 돋보였던 MBC드라마 화정 촬영지 영천 보현산 아래 옛 태고와 누각 모고헌 여행


보현산의 깊은 골짜기에서 흘러내린 물은 계곡을 휘감아 보현산의 속살을 헤집으며 횡계천을 이룹니다. 이곳 횡계천에는 이름만큼 골이 깊어서 오래전부터 물 좋고 산수 좋은 곳이라 하여 많은 선비가 찾았습니다. 특히 영천 출신의 지수 정규양(1667~1732)과 그의 형인 훈수 정만양(1664~1730)형제는 부친이 숨지자 보현산의 횡계로 내려와 정자를 짓고 안빈낙도하며 세상과 담을 쌓고 학문에만 매진했습니다.





◆영천 모고헌(태고와) 주위 가볼만한 여행지◆


2016/05/09 - (경북여행/영천여행)영천 자천교회. 115년 역사를 가진 한국 기독교 사적 제2호인 영천시 화북면 자천교회 여행. 자천교회


2016/05/06 - (경북여행/영천여행)영천 정각리 삼층석탑. 보현보살을 상징하는 보현산의 상징인 영천 정각리 삼층석탑 여행. 정각리 삼층석탑


2008/11/17 - (경북여행/영천여행)영천 거동사. 단풍이 황홀한 영천의 거동사입니다.


2008/11/09 - (경북여행/포항여행)포항 죽장 베틀봉~면봉산 산행. 포항에서 제일 높은 산입니다 .죽장 베틀봉~면봉산


2008/11/22 - (경북여행/포항여행)죽장 두마리 곰바위봉~베틀봉산행. 낙엽산행 이보다 좋을 수 없다. 포항 곰바위산~베틀봉


2010/03/29 - (경북여행/포항여행)국제신문 근교산 포항 수석봉 산행. 칼을 가는 숯돌이 많은 산. 포항 수석봉 오지 산행


2011/10/28 - 얼마나 오지이면 나라의 역모죄인을 가두어 부역을 시킨 골짜기, 골뱅이골 안세이지의 포항병풍산


2012/03/25 - 보이는 것은 산과 하늘 뿐. 포항에서 가장 오지인 선바위 입암이 멋진 죽장 봉화봉




 

 두 형제는 이곳 횡계천에다 나란히 정자를 세웠는데 정규양은 태고와를 짓고 약200m 떨어진 옥간정의 형을 만나기 위해 빈번하게 왕래를 할 정도로 우애가 남달랐다 합니다. 이번 영천시 화북면 여행을 하면서 옥간정은 시간 관계로 보지 못했고 횡계서당과 그 부속건물인 정규양의 모고헌만 둘러보았습니다.

 

 

 

밖에서 보는 횡계서당은 무너졌고 더 이상의 피해를 막기 위해 파란 방수천을 뒤집어서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출입문은 꽉 닫혀 있었는데 왼쪽 담장 끝에서 내부로 들어가게끔 되어 있어 모고헌과 횡계서당을 볼 수 있었습니다. 횡계서당에 비계를 설치한 게 곧 수리하는 것으로 보였으며 모고헌인 태고와도 문짝이 떨어질 듯하였고 얼씬 서러워 폐가 같았습니다.


 

 

모고헌은 1701년 조선 숙종 27년 정규양의 나이 35세 때 대전동에서 이곳으로 거처를 옮겨 태고와(太古窩) 정자를 건립했으며 1730년에 수리를 하고 그를 따르는 문인들이 모고헌이라 바꿔 불렀습니다. 모고헌은 횡계천의 암반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세웠는데 정자의 반은 암반을 걸치고 반은 계곡으로 건물을 밀어 넣고 기둥을 세워 단애에 고정된 중층의 누각입니다.



 크기는 앞면과 옆면이 각각 2칸인(일부 앞면은 3칸 표기)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며 건물의 앞면인 계곡 쪽에는 계자 난간을 달았고 그 외 3면은 판벽을 돌렸습니다. 모고헌은 앞쪽은 트이고 3면은 판벽으로 막은 구조는 횡계천에서 들어오는 물소리와 보현산의 바람소리 새소리를 항상 가두어 두려 했던 것은 아닌지 생각되었습니다.


 

 

건물 좌우 판벽에는 쌍여닫이 문을 두었으며 뒷면에는 외여닫이문을 달아 출입하게끔 했습니다. 또한 건물의 판벽 위로는 살창문을 달아 들어온 바람이 빠져나가는 환풍구 역할을 하게 했습니다. 모고헌의 특징은 가운데에다 온돌방을 넣고 그 외 사면에는 우물 정(井)자 형태의 툇마루를 달아내었는데 툇마루에 앉아 횡계천을 보면 바람소리와 계곡의 물소리에 시구가 절로 나올 듯합니다.


 

정규양과 만양형제는 이곳에 앉아 횡계구곡의 3곡인 태고와를 주제로 한 시를 남겼는데

“삼곡심제가범선(三曲深堤可汎船)

와중태고시하년(窩中太古是何年)

진수일사수상면(進修一事須相勉)

다소영재아최련(多少英才我最憐)“으로 

‘영천문화관광해설사 카페’의 뜻풀이를 옮겨보면

“삼곡이라 깊은 제방 배를 띄울 만하고/움집 중에 태고와는 몇 년이 되었는가/진수재의 한 일은 모름지기 서로 힘씀이니/수많은 영재를 나는 가장 사랑하네”로 두 형제분이 이곳에서 후진양성을 하면서 키워낸 수많은 영재를 사랑한다며 진수재에서 한 일을 시로 이야기하였습니다.


 앞쪽 툇마루 아래 아궁이

 

두 형제는 일평생을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는데 퇴계 이황의 학풍을 이어받은 남인 때문이었습니다. 숙종 때 남인과 노론의 정쟁은 최고조로 달했으며 1694년 남인은 소론이 폐비 민씨 복위를 꾀하는 것을 저지하려다 실패하자 도리어 남인이 몰락하면서 소론과 노론이 집권한 사건을 갑술옥사 또는 갑술환국이라 합니다. 갑술환국을 거치면서 당시 송시열이 이끄는 노론에 남인은 설 자리를 잃고 모두 낙향하여 은둔하며 후학 양성에 매진했는데 이때 두형제도 당쟁에 환멸을 느꼈음을 짧은 식견으로도 짐작이 갑니다.


 

 

 

 

모고헌의 북쪽에는 횡계서당인 강당이 있습니다. 앞면 5칸, 옆면 3칸의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가운데 3칸은 마루를 넣고 좌우 1칸은 온돌방을 달았습니다. 그리고 오른쪽 동재는 앞면 3칸, 옆면 1칸의 홑처마 맞배지붕입니다. 1737년 훈수지수 두 형제를 배양하여 횡계서원을 세웠으나 당시 서원의 급격한 증설현상으로 나라에서 ‘서원남설’을 규제하여 뜻을 이루지 못하고 사교당에다 향사하였습니다.

 

 

 

 

1871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이마저도 훼철되었고 1923년에 와서야 지역 유림과 후손에 횡계서당으로 다시 복향하여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현재 지붕이 무너져 수리를 기다리고 있는 형편입니다. 모고헌 옆에는 300년 된 향나무가 모고헌의 운치를 더하며 장관입니다. 이는 당시 정각사 스님이 향나무 두 그루를 주었는데 그중 한그루이며 남은 한그루는 대전동의 호수 종택에 심었다 합니다.


 

모고헌(태고와)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71호.

모고헌(태고와) 주소: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별빛로 106(횡계리 457-3)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북여행/영천여행)영천 자천교회. 115년 역사를 가진 한국 기독교 사적 제2호인 영천시 화북면 자천교회 여행. 자천교회

 




◆영천 자천교회 인근 가볼만한 여행지◆


2016/05/06 - (경북여행/영천여행)영천 정각리 삼층석탑. 보현보살을 상징하는 보현산의 상징인 영천 정각리 삼층석탑 여행. 정각리 삼층석탑


2008/11/17 - (경북여행/영천여행)영천 거동사. 단풍이 황홀한 영천의 거동사입니다.



 

익산의 두동교회를 여행하기 전에는 우리나라 개신교인 기독교 문화재는 사실 거의 없는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두동교회를 보고 난 뒤 100년 넘은 교회가 남아 있는 것을 알았고 남녀 유별한 당시의 유교적 관점에서 남자와 여자 신도를 분리하여 예배를 봤다는 공간을 실제로 보면서 놀랐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런데 경상북도 영천에도 100년 넘은 개신교 교회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꼭 찾고 싶었는데 우연히 영천시 화북면을 찾게 되면서 자천교회를 가장 먼저 방문했습니다.


 

자천교회는 1903년에 처음 지어졌는데 이곳에 자천교회가 생기게 된 유래를 먼저 알아야 하겠습니다. 경북을 위시한 영천 지방의 초기 개신교는 대부분 선교사가 지역민에게 일일이 전도하여 교회가 형성되었습니다. 대구도 아니고 아주 소규모인 시골 마을인 이곳에 왜 100년이 훨씬 넘은 교회가 들어서게 된 것인지 궁금하였습니다.


 

 

자천교회의 설립자인 권 헌중(1865~1925) 장로는 경주에서 서당 훈장님을 하면서 의병활동에 관여하다 쫓기게 되었습니다. 일본인의 눈을 피해 청송에 숨어 지냈고 다시 거처를 대구로 옮기기 위해 청송과 영천의 경계인 고갯마루 노귀재를 넘게 되었습니다. 때마침 청송지역에 선교 활동을 떠나던 미국 북장로 출신의 아담스 선교사와 운명적인 만남이 이루어졌습니다.


 

 

아담스의 전도로 권헌중은 대구행을 그만두고 노귀재 아래 동네인 화북면의 자천리에다 교회를 짓고 정착한 게 오늘날의 100년 전통 자천교회입니다. 당시에는 서양종교라며 개신교를 ‘야소교’라 불렀고 특히 유교적 색채가 강했던 경북에서는 더욱 개신교의 반대가 심했습니다. 저 어릴 때까지도 부모님은 개신교를 ‘야소교’라 불렀습니다.


 

 

 

우여곡절 끝에 권헌중은 서당을 겸한 교회를 세웠고 각고의 노력에 신도가 점차 늘어나면서 작은 교회의 규모로는 감당할 수 없게 되자 1904년에 현재의 모습인 16칸 규모 예배당을 신축하였습니다. 건물의 형태는 우진각 지붕을 한 단층 목조 한옥 건축 양식을 따랐는데 내부 공간은 그리스도교 양식인 바실라카식 교회 양식을 일부 반영하여 한옥과 서양 건축을 절충한 구조입니다.


 

 

우진각지붕의 장점은 예배당 안의 넓은 공간 활용은 물론이고 바깥의 지붕 또한, 넓고 평평한 구조입니다. 그만큼 공간을 확보하는데 좋은 구조라 한옥에 많이 이용합니다. 넓은 지붕 덕택에 일어난 실화입니다. 6.25가 일어나자 이곳에도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미군 비행기의 공중 폭격으로 자천리의 많은 건물이 붕괴하고 마을은 잿더미가 되었는데 자천교회만은 말짱하게 살아남았습니다. 그 이유는 넓은 지붕 위에다 횟가루로 ‘교회(CHURCH)' 건물이라고 영어로 표시했고 이를 알아본 비행기 조종사는 교회 건물을 피해 폭격했다는 이야기입니다.



 자천교회는 장방형으로 앞면 2칸, 옆면 4칸의 구조이며 실내 구조는 2칸 통간인 강단과 4칸 통 칸인 예배실로 꾸며졌습니다. 특이한 것은 예배실 뒤로 2칸의 온돌방이 있습니다. 그리고 예배당 중앙의 네 기둥은 우진각지붕을 떠 바치는 역할도 하지만 자천교회는 당시 우리 풍습인 ‘남녀칠세부동석’의 유교적 관습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 네 기둥은 남자와 여자가 서로 얼굴을 대하지 않도록 분리하는 칸막이를 지르는 역할을 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내부뿐만 아니고 건립 초창기에는 남녀가 예배당 출입을 따로 하게끔 문도 분리하여 있었습니다. 그러다 1948년에 건물 뒤편에 남녀 함께 사용하는 하나의 출입문을 새로 만들면서 남녀를 구분했던 두 문은 폐쇄했습니다. 지금 현재 낮은 굴뚝 쪽에 두 개의 방문이 옛날 남녀 구분했던 출입문의 흔적 같으며 2005년 복원하여 지금의 모습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자천교회와 함께한 신성학당 건물도 사연이 있습니다. 100년이 넘은 고가는 처음 자천교회 설립자인 권헌중 장로 소유였으나 일제 강점기에 가세가 기울면서 빛을 대신하여 집을 넘겨주었습니다. 그러다 2007년 집주인은 다시 교회에 기증하였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사연이 한몫하였습니다. 미군의 비행기 폭격 때 자천교회 덕분에 자천리에서 이 가옥도 온전하게 보전할 수 있었다며 집주인은 숨을 거두면서 교회에 기증할 것을 유언으로 남겼다 합니다.


 

 

아쉬운 점은 평일 방문이라 그랬는지 자천교회는 문이 꼭꼭 닫혀 있었고 예배실 내부와 남녀를 구분하여 예배를 보았다는 그 공간을 보지 못한 아쉬움이 내내 남습니다. 자천교회는 일(一)자형 건물로서도, 1900년 초 한옥교회당으로서도 영천 지역에 남아 있는 유일한 교회건물입니다. 경북문화재자료 제452호.


영천 자천교회 주소: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자천리 773(자천8길)

영천 자천교회 전화:054-337-2775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북여행/경주여행)경주 사마소. 출입문을 닫아 까치발로 목을 쭉빼고 눈도장만 찍었던 젊은 선비들의 강학소 경주 사마소 여행. 


경주 최씨고가 앞에는 경주 사마소(司馬所) 건물이 이건 되어 있습니다. 사마소 많이 들어봤던 이야기로 ‘사마소 유생들이 궁궐밖에 모여 상소 어쩌고 저쩌고~~’조선시대 사극드라마에서 꼭 빠지지 않는 대사입니다. 그럼 사마소는 도대체 어떤 곳인지 궁금합니다.







 

사마소는 조선시대에 과거에 합격한 그 지방의 생원과 진사들이 유학을 가르치거나 토론하던 장소였습니다. 고려말과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지방수령에 자문을 하던 유향소를 당시 훈구파들이 장악했는데 그에 맞서서 사마시 출신의 젊은 유생들이 만들었습니다.


 

처음 만들어졌을 때는 아주 좋은 의미로 친목 도모와 학문연구 정치토론 등 향리의 교화와 지방관청의 행정 보조를 자임하며 아주 큰 역할을 했습니다. 그러나 차차 세력화가 되면서 폐단이 생기게 되었고 유향소처럼 지방관청의 업무 간섭은 물론이고 심지어 수령을 능멸하는 일을 서슴지 않았습니다.


 

또한, 권력을 이용해서 사리사욕을 취하고 백성을 마구 잡아들여 벌을 주는 등 행패도 서슴지 않아 이를 보다 못한 류성룡이 선조에 사마소 폐지 상소를 올렸을 정도였습니다. 경주 사마소는 처음 세워진 정확한 연도는 알 수 없지만, 임진왜란으로 불타버린 것을 1741년인 영조 17년에 다시 세워 풍영정이라 불렀습니다.


병촉헌.


그런데 사마소 현판과 풍영정 현판이 나란히 붙어 있었다는데 필자가 찾았을 당시 아마 사마소 수리가 있었는지 두 현판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사마소 현판은 1762년 부윤이었던 홍양한의 글씨이며 병촉헌은 1832년에 생원 최기영이 지었습니다.


 

사마소는 경주향교와 옛 월정교 터 인근에 세워져 있었는데 1984년 이곳으로 옮겨왔습니다. 경주최씨 고가를 둘러보기 전에 이곳을 찾았는데 출입문이 꼭! 잠겨 있어 까치발로 눈도장만 찍어 정말 많은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경주 최씨 고가와 같이 경주를 찾는 많은 관광객에게 개방하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1985년 8월에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호 지정


 

그리고 사마소 담벼락에 영광대란 안내판이 있습니다. 영광대는 그 옆에 놓인 돌기둥을 말하며 처음에는 사마소에 세워져 있었습니다. 1860년 경주 선비들이 하천에 나뒹굴던 월정교 석재를 모아 대를 쌓아 영광대라 불렀으며 이는 송나라 주희의 시인 “하늘빛과 구름 그림자가 함께 배회한다”는 ‘천광운영공배회(天光雲影共徘徊)’에서 따왔습니다. 뜻을 풀이하면 “책을 읽으면 그 속에 성현의 아름다운 말과 잘못하지 않게 타일러 주의를 시키는 글귀가 담겨 있음”을 의미한다 합니다.


◆경주 남산 여행지 찾아보기 ◆


2009/05/25 - (경북여행/경주여행) 경주남산 약수계곡 마애입불상. 불두는 달아나고 없지만 경주남산에서 섬세하고 가장 큰 경주 약수계곡 마애 입불상


2011/01/12 - (경주여행/남산 신선암 마애불)신선암 마애불에서 기도하는 보살님


2012/09/30 - (경주여행)경주남산서출지. 추석날 고향 같은 분위기가 좋은 서출지와 이요당


2012/11/05 - (경주남산여행)각기 다른 동,서탑의 모양이 특이한 경주 남산리 삼층 석탑


2013/01/27 - (경북여행/경주여행/남산여행)경주 남산은 돌맹이도 문화재. 이대로라면 천년의 역사가 사라질 판 삼릉계곡 선각육존불


2013/01/29 - (경북여행/경주여행/남산여행)성형수술로 다시 태어난 삼릉계마애석불좌상. 경주남산삼릉계석불좌상


2013/02/01 - (경북여행/경주여행/남산여행)경주 남산을 대표하는 불상은 이것 삼릉계곡마애석가여래좌상


2013/02/03 - (경북여행/경주여행/남산여행)고통 받는 중생을 구제 해준다는 삼릉계곡 마애관음보살상.


2013/02/04 - (경북여행/경주여행/남산여행)신발견 마애불을 보면 신이 있다고 믿을 수 밖에... 열암곡 신발견 마애대불


2013/02/11 - (경북여행/경주여행)경주남산여행 상서장.시대의 풍운아 최치원과 상서장


2013/02/14 - (경북여행/경주여행)옛 남항사 절터가 경주 버스 주차장으로 둔갑. 경주 노서동 석불입상


2013/02/17 - (경북여행/경주여행/남산여행)특이하게 새겨진 경주 남산의 불상 삼릉계곡 선각여래좌상


2013/02/21 - ☞(경북여행/경주여행/남산여행)신선암 마애보살 반가상. 신선이 빚었을 것 같은 우아한 모습


2013/03/08 - (경북여행/경주여행/경주남산)보일듯 말듯한 섬세한 조각기법이 예술.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


2013/03/10 - (경북여행/경주여행/남산여행)세계에서 가장 높은 석탑이 이것.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


2013/03/16 - (경북여행/경주여행/남산여행)힐링의 기쁨을 느낄 수 있는 용장사곡석가여래좌상


2013/03/26 - (경북여행/경주남산여행)남산 최고의 자리에 있던 삼화령의 연꽃대좌 미륵불은 어디로 사라졌나


2016/04/29 - (경북여행/경주여행)능지탑지. 문무대왕 화장터로 알려진 경주 능지탑지 여행. 능지탑지


2016/04/28 - (경주여행/경주남산여행)동남산 서출지와 이요당, 연과 베롱나무가 꽃이 필때 최고 이름값을 한다는 1500년된 서출지와 조선시대 정자 이요당 여행.


2016/04/26 - (경주여행/남산여행)염불사지 삼층석탑. 은은한 스님의 독경소리가 들린다는 경주 남산리 염불사지 삼층석탑 여행하기.


2014/11/23 - (경북여행/경주여행) 경주 최부자 충의당. 정무공 최진립장군 고택 충의당 찾아가기


2014/09/04 - (경북여행/경주여행)경주용산서원. 정무공 최진립장군 용산서원, 한옥 고택 숙박도 할 수 있습니다.


2013/09/07 - (경북여행/경주여행/남산여행)입을 닫고 살기 위함인지 마스크를 한 열암곡석불좌상.열암곡석불좌상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경북여행/경주여행)능지탑지. 문무대왕 화장터로 알려진 경주 능지탑지 여행.


경주 능지탑지는 낭산 기슭에 있으며 통일신라 시대에 쌓은 건축물로 능지탑, 능시탑, 연화탑이라 부릅니다. 그리고 능지탑지는 삼국을 통일한 문무왕이 죽어 감포 앞바다 대왕암에 모시기 위해 시신을 화장했던 곳으로 추정하는 장소입니다. 그 이유를 보면 발굴조사를 하면서 소조불상 조각이 출토되어 탑묘로 보는 이도 있지만, 내부의 그을린 흔적과 주위에 사천왕사 선덕여왕과 신문왕릉 등 당시 유적을 함께 보면 문무왕의 화장터로 더 신빙성이 있어 보인다 합니다.





◆통일신라 문무대왕과 관계된 여행지를 모았습니다.


2014/05/27 - (경북여행/경주여행)동해의 신비 경주주상절리 파도소리길 걷기, 읍천항벽화마을, 이견대, 문무대왕수중릉, 감은사지 해파랑길 걷기


2014/05/25 - (경북여행/경주여행)동해의 꽃으로 부르는 경주 양남 부채꼴 주상절리.독특한 경주주상절리를 보면서 누구나 감탄하게 됩니다.주상절리


2014/05/21 - (경주여행/감은사지 이견대 문무대왕수중릉 여행) 호국용 문무대왕의 혼이 깃든 경주 감은사지 이견대 대왕암 이른 봄여행


2014/05/21 - (경주여행/감은사지 이견대 문무대왕수중릉 여행) 호국용 문무대왕의 혼이 깃든 경주 감은사지 이견대 대왕암 이른 봄여행


2014/12/20 - (경북여행/경주여행)왕의길-신문왕 호국행차길. 신문왕이 되어 왕의 길인 추원마을~기림사 둘레길을 걸어보세요.


2015/01/06 - (경북여행/경주여행) 양북면 함월산 기림사 여행. 경주의 천년사찰 왕의 길 기림사를 만나다.


2015/06/06 - (경북여행/경주여행)선무도 본산 골굴사. 아름다운 석불인 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골굴사에서 힘자랑하지 말라" 선문도 골굴사 여행하기


2011/11/06 - 호국용 문무왕의 전설인 용문바위와 공양왕릉의 슬픈이야기


 


 

백제·고구려·신라의 삼국은 신라 태종무열왕인 김춘추의 뒤를 이은 문무대왕에 의해 삼국통일을 이루게 됩니다. 그러면 먼저 문무대왕을 알기 위해 신라의 삼국통일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신라는 김춘추를 고구려에 파견하여 백제를 치기 위한 원병을 청하지만 고구려는 신라 진흥왕이 차지한 고구려의 옛 땅인 한강유역 반환을 조건으로 내걸어 동맹은 파기되었고 어쩔 수 없이 당나라와 동맹을 맺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나·당 연합군입니다. 일부는 나당과 연합하여 통일을 이루었다 하여 진정한 삼국 통일로 볼 수 없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그러나 신라는 당나라의 힘을 빌려 먼저 백제를 치고 나면 고구려까지 칠 계획을 세웠습니다. 당나라 고종은 소정방에게 13만의 병력을 출병시켜 지금의 백마강 기벌포에 상륙하여 사비성을 공격하였고 태종무열왕의 명을 받고 출병한 김유신이 이끈 5만의 신라군은 황산벌에서 백제의 계백 장군이 이끈 5천의 결사대와 싸웠지만 죽기를 각오로 싸우는 백제에 4번이나 패했습니다.


 

 

그러나 화랑 출신인 관창에 의해 신라군은 전열을 제정비하여 백제군과 일전을 벌여 계백과 백제군은 전멸했습니다. 김유신이 이끄는 신라군도 사비성으로 진격하자 의자왕은 더는 버티지 못하고 나·당 연합군에 항복 하고 멸망하였습니다. 이게 660년입니다.


 

 

그리고 667년 나·당 연합군은 고구려 공격에 나서게 되는데 그 당시 고구려는 중원을 호령하던 호랑이었지만 수나라와 당나라를 거치면서 숱한 전쟁을 치러 그 후유증으로 종이호랑이로 전락했습니다. 그때까지만 해도 강력한 통치권력을 가진 연개소문이 죽자 그의 세 아들과 동생은 서로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힘겨루기를 하였는데 입지가 좁아진 장남 연남생은 당나라에 백기 투항하고 연개소문의 아우인 연정토도 신라에 12개의 고구려성을 받치고 항복해버렸습니다. 나당연합군은 이런 기회를 그냥 두지 않았습니다.


 

 

당나라는 연남생을 길잡이로 하여 50만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 공격을 시작하였습니다. 신라도 대군을 이끌고 당나라와 합세하여 평양성을 공격했지만 1여 년 동안 끈질기게 버티는 고구려군의 저항에 고전하다 668년 9월 마침내 평양성을 탈환하고 보장왕은 항복하였습니다.


 

 

 

신라와 당나라는 동맹을 맺고 백제와 고구려를 탈환했지만, 이들의 동맹은 깨지고 말았습니다. 삼국이 통일되면 당나라는 대동강 이남의 땅을 신라에 주기로 하였는데 그 약속을 먼저 파기하면서 신라를 공격하여 속국으로 만들려 했습니다. 신라는 백제와 고구려의 부흥군을 지원하며 당나라의 힘을 서로 분산시키게 만들었고 마침내 백제땅에서 웅진도독부를 없애고 완전히 당나라군을 몰아내었습니다. 그다음 675년 신라는 매소성 전투에서 당나라 20만 대군을 맞아 승리하였고 승기의 주도권을 잡은 신라는 평양의 안동도호부까지 요동성으로 몰아내고 667년 마침내 삼국통일의 대업을 이루었습니다.


 

 

당나라까지 물리친 문무왕은 668년 56세로 죽으면서 시신을 화장해 동해에 장사지내게 유언을 남깁니다. 문무왕은 삼국을 통일하고 당나라까지 몰아냈지만 정작 마음 한구석에는 노략질을 일삼는 바다 건너 왜구가 걱정이었습니다. 문무왕은 불력으로 서라벌을 왜구로부터 막고자 왜구의 주 침입통로인 동해구에 감은사를 짓게 했습니다. 그러나 완공을 보지 못하고 죽자 신문왕은 그의 유조대로 낭산의 능지탑에서 화장하여 감은사 앞 바위에다 해중릉을 만들었습니다.


 

그에 관한 <삼국사기 권7 문무왕 21년조>에는 “내가 죽거든 열흘 후 창고 문 밖 뜰에서 인도 불교의식에 따라 검소하게 화장하라”하였는데 ‘창고 문 밖’이 지금의 낭산 능지탑지 일대라 합니다. 이전에는 문무왕의 화장터를 원성왕릉인 괘릉이라 생각했던 적도 있었지만, 조사과정에서 지금은 능지탑지로 완전히 인정하는 상태입니다.


 

 

문무왕의 세자 신문왕은 부왕 문무왕을 동해에 장사지내고 감은사를 완공하였습니다. 감은사는 용으로 변한 문무왕이 동해구로 따라 올라와 감은사 금당지 아래 석굴에서 휴식을 하였다 하며 신문왕이 이견대에서 하늘로 승천하는 용에게 받은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었는데 이게 우리가 알고 있는 ‘만파식적’입니다. 문무왕은 죽어서까지도 신라를 시키고자 했나 봅니다.


 

 

그러나 현재 허물어져 있던 탑의 부재를 짜 맞추어 2층의 능지탑으로 복원했지만, 원래는 5층으로 된 능지탑으로 보고 있습니다. 아직도 주변에 많이 남아 있는 탑의 부재를 보고 문화재에 문외한인 저도 복원이 잘못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하루빨리 원래 모습을 되찾았으면 합니다.


 

 남아 있는 능지탑지 부재들...

연화탑으로 부르는 능지탑은 연화문이 새겨진 석재가 기단과 탑신을 감싸고 있습니다. 그리고 기단의 사방에는 12지신상을 배치했는데 현재 뱀상 호랑이상 용상은 사라지고 없는 상태입니다. 경주 동남산을 보고 나오면서 들렀던 능지탑지, 삼국통일의 대업을 이루었던 문무대왕의 호국용에 관한 전설이 이곳에서 시작되었다 하니 옛 문화재를 여행하는 저로서도 능지탑지는 더욱 의미 있는 여행이었습니다. 경상북도 기념물 제34호에 지정되었습니다. 이제 또 다른 경주 여행지를 돌아보기 위해 출발합니다.



경주능지탑지 주소:경상북도 경주시 배반동 621-1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주여행/경주남산여행)동남산 서출지와 이요당, 연과 베롱나무가 꽃이 필때 최고 이름값을 한다는 1500년된 서출지와 조선시대 정자 이요당 여행. 


봄이 시작될 무렵인 4월에 다녀왔던 양산 경주여행 이번 포스팅은 동남산의 서출지와 이요당입니다. 서출지와 이요당은 오래전에 가을이 시작될 때 한번 여행을 했으며 이번의 봄 여행은 또 다른 재미를 주었습니다.





◆서출지와 이요당 주위 가볼만한 여행지◆


2016/04/26 - (경주여행/남산여행)염불사지 삼층석탑. 은은한 스님의 독경소리가 들린다는 경주 남산리 염불사지 삼층석탑 여행하기.


2011/01/12 - (경주여행/남산 신선암 마애불)신선암 마애불에서 기도하는 보살님


2012/09/24 - (경주남산여행)보리사 마애석불. 잔잔하며 엷은 미소가 아름다운 보리사 마애석불


2012/11/01 - (경주남산여행)살인미소 짓는 부처님의 모습이 경주남산 보리사 석불좌상으로 태어나다. 미륵곡석조여래좌상


2013/02/21 - ☞(경북여행/경주여행/남산여행)신선암 마애보살 반가상. 신선이 빚었을 것 같은 우아한 모습




 

처음 서출지를 찾았을 때는 여름 뒤라 그런지 연잎이 서출지를 완전히 뒤덮고 있어 여름철 신록의 맛을 완전히 느꼈다면 이번 여행은 두꺼운 이불 같은 묵은 낙엽을 완전히 털어내고 서출지에 새봄에 맞는 새 이불을 덮을 준비를 하는 듯 연못이 말끔히 정돈된 상태였습니다.


 

서출지는 까마귀 전설이 있습니다. 왜 서출지에 까마귀 전설인지 궁금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신라 21대인 소지왕 때입니다. 어느 날 소지왕이 궁 밖을 나왔다가 어쩌다 보니 남산 아래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그때 어디선가 까마귀와 쥐가 나타났는데 쥐가 소지왕에게 하는 말이 “까마귀가 날아가는 쪽을 따라가라.” 하였습니다.


 

 

 

소지왕의 명을 받은 신하는 까마귀를 따라가는데 서출지 인근에서 멧돼지 두 마리가 싸우는 것을 보고 그에 정신이 팔려 까마귀를 놓치고 말았습니다. 그때 연못에서 노인이 나타나 봉투를 주면서 소지왕에게 꼭 전해 달라고 당부하였습니다.


 

 

소지왕은 “봉투를 보면 두 명이 죽을 것이요 만약에 보지 않으면 한 명이 죽는다”는 글을 보고 소지왕은 생각하기를 편지를 보고 두 명이 죽는 것보다 차라리 보지 않고 한 명이 죽는 게 나은 생각이라며 봉투를 뜯어보지 않을까 했습니다.


 

 

 

신하가 봉투를 보고 말하기를 “두 명은 백성을 말하며 한 명은 임금을 뜻한다”며 소지왕에게 봉투를 뜯어 볼 것을 고하였습니다. 소지왕은 봉투 안의 편지에 화살로 거문고 통을 쏘라는 뜻인 ‘사금갑(射琴匣)’을 보고 궁궐로 돌아와 화살로 거문고 통을 쏘았습니다.


 

 

그런데 그곳에서 ‘악’하며 외마디 비명이 나 통 안을 보니 궁녀와 승려가 몸을 숨기고 있었습니다. 소지왕은 그들을 잡아 참형시켰고 서찰을 받아 임금의 목숨을 구한 연못이라며 서출지(書出池)라 불렀습니다.


 

 

그리고 서출지에는 까마귀가 임금의 목숨을 구했다며 정월 보름에 감나무 밑에 찰밥을 묻어 까마귀에게 고마움을 표시하는 제삿밥을 주는 풍습이 생겼는데 이는 ‘오기일(烏忌日)’로 지금도 경주에는 그 풍습이 남아 있다 합니다.


 

 

서출지는 임씨 집성촌인 경주시 남산동에 있습니다. 연못의 둘레는 약 200m이며 조선 현종 5년(1664년)에 임적이라는 분이 서출지 연못에다 ‘ㄱ'자 모양을 한 정자를 짓고 이요당 현판을 걸었는데 남산과 연못의 운치가 너무나 좋아 그래서 이요당(二樂堂)이라 했던 것 같습니다.


 

 

 

 

서출지와 이요당은 연꽃과 꽃이 피면 백일 동안 간다는 백일홍이 필 때면 최고의 이름값을 할 정도로 볼만합니다. 그 시기에는 서출지가 전국 사진동호인의 출사 일 번지로 몸값이 제일 비싸집니다. 그때쯤 저도 삼각대를 들고 다시 한 번 서출지와 이요당 여행을 와야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남여행/양산여행)웅산면 남강서원. 천성산 아래 죽재 이겸수를 배향한 남강서원을 여행하다.


양산시 웅산면 주남동 주남공단에는 공장 건물이 꽉 들어차 있는 가운데 새롭게 복원된 남강 서원이 있습니다. 이곳은 죽재 이겸수(1554~1598) 공이 태어나고 성장하였던 곳입니다. 공은 38세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많은 전공을 세웠으며 사명대사를 도와 일본장수인 가토 기요마사 등과 만나 약탈과 횡포를 일삼는 왜군과 외교 교섭을 벌였습니다.








◆양산 웅산면 남강서원 주위 가볼만한 여행지◆




 

기록을 보면 가토 기요마사가 이끄는 왜적이 울산 서생포에 진을 치고 조선조정에 화친하자며 문서를 보내자 조정은 장희춘과 함께 그 진위를 알아보게 하였습니다. 명을 받은 죽재공은 적진에 들어가 가토 기요마사의 부관을 만났으며 적진의 동태를 자세히 살피며 화친의 진의가 무엇인지 탐색하여 조정에 보고했습니다.


 

 


 그 후 죽재공은 1596년 7월에 기장 현감으로 부임했고 44세에는 정주 판관으로 부임했지만 안타깝게도 그해 월성부에서 병으로 돌아가셨습니다. 남강 서원은 정조 7년인 1783년 처음 죽재 이겸수 선생을 기리는 남강사로 창건했으며 1868년 고종은 남강서원으로 승호하였고 사림 유생들의 강학장소와 후학양성을 위한 장소로 활용하였습니다.


 

 

1871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로 훼철되었으며, 훼철과 함께 130년이 지난 2004년 학성 문중은 죽재 선생의 남강 서원 복원을 의결하고 성균관에서 남강 서원 복원의 승인과 고증을 받았습니다. 이어 2008년 1월에 복원공사를 시작하여 2009년 5월에 완료하는 낙성식을 거행했습니다.

 

 

남강 서원은 대지가 517평에 사당인 충렬사와 내삼문, 강당, 동재, 서재, 외삼문 등 전학후묘의 서원 양식을 그대로 따랐습니다. 필자는 지난 주말 웅산을 거쳐 웅촌을 한 바퀴 둘러보면서 장재터에 복원된 남강서원을 찾았지만, 서원은 문을 닫았고 고졸한 분위기 속에 주위 공장의 기계음만 요란했습니다.


 

 

 

어쩔 수 없이 당장 바깥에서 목을 빼고 까치발로 둘러 볼 수밖에 없었습니다. 강당인 선인당에는 선비생활 체험을 한다는 빛바랜 현수막만 걸려있었습니다.

양산 남강서원 주소:경남 양산시 용주로 300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남여행/밀양여행)부북면 김종직 생가 추원재. 성리학의 종조인 점필재 김종직 생가인 밀양 추원재를 여행하다. 


세조가 그의 조카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 찬탈로 정권을 잡았습니다. 이를 무오년에 일어났다하여 무오사화라 합니다. 당시 점필재 김종직이 이끄는 사림파와 한명회의 훈구파가 정치권을 양분하며 정권을 자신들이 유리한 방향으로 잡기위해 물밑노력을 기울이는데 사람파는 정도가 아니라며 세조의 왕위찬탈에 반대합니다.






◆강호산인 김숙자 김종직 다른 여행지


2008/07/13 - (경남여행/밀양여행)부북면 예림서원.점필재김종직과 예림서원


2014/09/03 - (경남여행/거창여행)김숙자사당. 영남사림파의 발흥이 된 거창 남상면 강호 김숙자 사당을 보고오다.


2014/08/26 - (경남여행/거창여행)점필재 김종직의 부친 김숙자의 일원정을 만나고 왔습니다. 거창 남상 일원정


2016/04/16 - (경남여행/밀양여행)밀양 우령산~종남산 산행. 부산 근교산 진달래 산행지 밀양 우령산~종남산 산행. 흐트러지게 핀 진분홍색 진달래가 온산을 태우다.


2014/11/14 - (경북여행/구미여행)채미정. 구미 금오산에 있는 채미정.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는 야은 길재를 추모 하는 정자.



 

훈구파는 세조가 정권을 잡은 것을 찬성하며 세조 또한 이들 한명회와 신숙주 등 훈구파를 중심으로 정치를 이끌어 갑니다. 자연적으로 사림파는 정치권에서 멀찍이 물러나 성리학인 유학에 몰두하였고 성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사람파들도 다시 벼슬길에 진출하여 사람파와 훈구파는 또다시 당쟁에 몰두하였습니다.


 

그러나 김일손이 스승인 김종직이 ‘단종에게 사약을 내리고 왕위를 찬탈한 세조를 비꼬는 내용‘인 ‘조의제문’을 사초인 성종실록에 올린 것을 두고 훈구파의 이극돈과 유자광이 연산군에게 고하자 연산군은 김일손 외 수많은 사림파를 처형하였으며 죽은 김종직은 관을 파헤쳐 목을 자르는 부관참시형을 당한 사건입니다. 이 사건으로 그의 많은 문집은 소각되었습니다.


 

밀양시 부북면 제대리 한골마을에는 점필재 김종직 생가인 추원재가 있으며 그의 묘소인 봉분은 최근에 새롭게 단장하였습니다. 이곳은 그의 부친인 강호산인 김숙자가 결혼과 함께 처가 입향하여 처음 거처를 잡았던 곳입니다. 점필재 김종직이 이곳에서 태어났고 성장했으며 낙향하여 돌아가신 곳입니다. 현재 추원재 뒤편에는 그의 무덤이 있습니다.


 

 

 

김종직은 고려 말 삼은 중 한분인 야은 길재의 학통을 이어받았으며 성리학의 종조로서 조선시대 사림파의 유학자는 정신적인 지주이자 뿌리 같은 곳으로 여겨 김종직 생가를 많이 찾았다합니다. 김종직 생가는 전란과 세월 속에 파괴와 허물어져 훼손이 심했는데 이를 안타깝게 여긴 사림과 후손들에 의해 1810년에 중건하여 지금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건물은 6칸의 맞배지붕 목조기와집이며 가운데 추원재(追遠齋) 현판이, 대청에는 전심당(傳心堂) 당호가 걸려 있습니다. 전심(傳心)이 가진 뜻은 ‘도학의 의리정신을 전하였음“을 기리는 뜻이라 합니다. 점필재 김종직은 절의와 의리를 중요하게 여기며 실천하는 도학사상으로 그를 따르는 제자가 많았습니다.


 

 

김굉필, 정여창, 김일손, 유호인, 남효은, 조위, 이맹전, 이종준 등과 그의 정신을 계승한 조광조등 걸출한 제자를 많이 배출하였습니다. 또한 현재 남아 있는 그의 저서로는 ’점필재집‘ ’유두류록‘ ’청구풍아‘ 당후일기’ 등이며 ‘일선지’ ‘이준록’ ‘동국여지승람’ 등을 편저하였습니다.


 

 

 

 

 

김종직은 1506년 중종반정으로 신원이 회복되어 밀양의 예림서원, 선산 금오서원, 이외 여러 곳에 제향되었고 시호는 ‘문충’공입니다. 밀양여행길에 꼭 들러보세요. 빠듯한 시간과 다른 일정으로 김종직 묘와 김종직이 부관참시로 밀양으로 묘를 이장하자 호랑이가 나타나 슬퍼하며 무덤을 지키다 죽었다합니다. 그 호랑이 무덤을 둘러보지 못한 아쉬움으로 다음기회에 다시 한 번 찾고 싶습니다.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59호


 

 김종직 신도비


 김종직 신도비각

 

 

☞(경남여행/밀양여행)부북면 김종직 생가 추원재 대중교통편.


부산에서 밀양 가는 방법은 열차와 시외버스가 있습니다. 먼저 부산역에서 밀양역으로 출발하는 무궁화 열차는 오전5시13분, 5시40분, 6시35분, 7시05분, 7시50분,9시20분,10시18분, 10시50분 등. 밀양역 앞 시내버스정류장에서 버스로 밀양버스터미널로 이동합니다. 부산서부터미널에서 밀양터미널행 버스는 오전 7시, 8시, 9시, 10시, 11시 등에 출발하며 밀양터미널에서 김종직생가인 추원재로 가는 버스는 구기행 버스를 갈아타고 한골정류장에 내립니다. 오전6시40분, 6시50분, 7시50분, 8시20분, 9시20분, 10시10분, 11시30분 등내비게이션에는 추원재, 또는 김종직 생가 입력.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김종직 생가 추원재


☞(경남여행/밀양여행)밀양 우령산~종남산 산행. 부산 근교산 진달래 산행지 밀양 우령산~종남산 산행. 흐트러지게 핀 진분홍색 진달래가 온산을 태우다. 


4월에 들어서면서 산과 들에는 상춘객을 유혹하는 봄꽃들이 화려하게 꽃망울을 터트리기 시작했습니다. 남녘에는 벚꽃이 서서히 사그라지고 그때부터 기다렸다는 듯이 온 동네 뒷산에는 진분홍색 진달래가 지천으로 피기 시작했습니다. 김소월의 약산 진달래가 아니라도 우리 민족의 끈질긴 저항성을 진달래꽃은 담고 있습니다.






 



 

자꾸만 꺾어도 진달래꽃은 없어지지 않고 더욱더 무성하게 자라 온산을 붉게 물들어버려 조선시대와 일제강점기에는 여린 듯 여리지 않은 강인한 생명력을 가진 민초들의 꽃이라 했습니다. 가장 먼저 우리에게 환한 미소를 전해주는 진달래꽃은 모든 산에서 만나지만 무리지은 진달래로 봄이면 유명세를 치르는 곳이 여러 곳 있습니다.


 김종직 신도비각

 농협 밀양물류센터 끝 우령산 들머리

여수의 영취산과 거제도의 대금산이 그러하고 창원의 천주산과 창녕의 화왕산, 현풍의 비슬산 등이 피고지고 반복하며 5월까지 진달래꽃 물결을 이룹니다. 특히 부산과 가까운 진달래군락지로는 밀양시의 남쪽에 튀어 오르듯 불끈 솟은 종남산이 유명합니다.


 

종남산 정상부의 진달래군락지는 남해의 진달래 군락지에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광범위하게 펼쳐져 산행도 즐기고 진달래꽃도 보며 일거양득의 봄 산행을 즐기기에 최적입니다. 특히 밀양 종남산 산행은 보통 상남면소재지인 고노실마을에서 대부분 시작합니다.


 

건각들은 덕신사나 덕은암을 산행기점으로 잡아 덕대산을 거쳐 종남산을 오르며, 또는 무안면 마흘리 신생마을에서 시작하여 우령산을 거쳐 종남산으로 산행하는 종주 코스등 다양하게 이용합니다. 이번에 필자는 부북면의 제대리 김종직 생가에서 산행을 시작하여 우령산을 거쳐 종남산을 오른 뒤 예림서원을 거쳐 원점회귀 산행을 했습니다.


 오우선생사적비

종남산 산행은 진달래 산행과 함께 역사적인 인물인 점필재 김종직선생을 찾아 떠나는 역사기행이라 더욱 의미있는 산행이라 하겠습니다. 밀양 우령산~종남산 산행경로를 보겠습니다.


 철탑안부 갈림길

밀양 우령산~종남산 산행경로를 보겠습니다. 김종직 생가(추원재) 주차장~농협밀양물류센터~산행들머리~오우선생사적비앞 갈림길~철탑갈림길~265m 능선 갈림길~도원사·백안지갈림길~우령산 정상~전망덱~복호암~방동고개~종남산 밑 능선 삼거리~종남산정상~안부 삼거리~헬기장 삼거리~봉화재(임도 갈림길)~예림서원~은행나무 삼거리~박양춘 여포비각~내곡~송악~박차정묘소갈림길~못골교차로~농협밀양물류센터~추원재 주차장순입니다.


 

예림서원까지 산행거리는 11km 쯤 되고 예림서원에서 추원재 주차장까지 거리는 약 3km 인 점을 고려하면 전체산행거리는 약 14km에 산행시간은 5시간~5시간 30분가량 걸립니다. 그러나 종남산 정상에서 진달래꽃구경과 추원재, 김종직 묘, 예림서원 관람 등을 포함하면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참고하세요.


 백안지·도원사 갈림길 

 

밀양시 부북면 제대리 한골마을의 김종직 생가인 추원재 주차장에서 산행을 시작합니다. 추원재는 점필재 김종직선생이 성장하며 후예 별세한 곳으로 점필재는 야은 길재선생의 학통을 이어받아 성리학의 뿌리를 내리게 하셨던 분입니다. 그와 함께 조선시대 사림파의 유학자는 이곳이 그들의 정신적 지주이자 고향과 같은 곳으로 소중하게 여겨왔습니다.


 

추원재 뒤편에는 현재 점필재 김종직선생의 묘소도 함께 있어 둘러보길 권합니다. 추원재 주차장에서 마을로 들어왔던 도로를 되돌아 나갑니다. 입구에 연두색 잎이 돋은 수령 230년생 느티나무가 마을의 분위기를 더욱 고색창연하게 만듭니다. 선생의 신도 비각을 지나면 농협밀양물류센터 끝에 철망 담벼락 옆길이 우령산으로 오르는 등산로 입구입니다.


 

독립가옥을 지나면 곧바로 등산길입구인데 사람의 흔적이 뜸해서인지 괴괴한 분위기입니다. 오우선생사적비 앞 갈림길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여 만나는 안부의 철탑 갈림길에서 또 오른쪽 능선길입니다. 산길은 줄딸기, 가시나무가 발길을 잡으며 40여분을 꾸준히 오르면 265봉 능선 갈림길입니다.


 

오른쪽 마흘리 고개에서 오르는 산길과 만나며 산길은 왼쪽으로 우령산정상까지 뚜렷하게 이어집니다. 10분이면 백안지(1.7km)·도원사 갈림길에 이정표가 있습니다. 왼쪽 우령산(1.3km) 방향입니다. 우령산 정상에 오를수록 산길은 더욱 가팔라지고 외길의 산길은 진달래꽃이 흐트러져 오늘의 목적지인 종남산 정상의 진달래꽃에 더욱 기대를 하게 하였습니다. 50분이면 우령산 정상이며 삼거리입니다.


 우령산 전망덱

오른쪽은 마흘리 신생마을(4.6km) 방향이며 종남산(2.3km) 정상은 왼쪽입니다. 100m쯤 진행하면 종남산 전망덱이 있습니다. 가야할 종남산 정상부에는 진달래가 만개하여 선분홍색을 띤 모습에 탄성이 절로 나왔습니다. 또한, 왼쪽에는 밀양 시내를 관통하는 밀양강의 물돌이를 보는 최고의 조망처로 손색이 없었습니다.


 종남산 정상 진달래군락지

 

 복호암

다시 나무 계단을 만나고 오른쪽에 툭 불거진 바위가 복호암입니다. 수직절벽에 가깝도록 고추선 복호암은 일제강점기 때 전설이 내려옵니다. 복호암은 호랑이가 쪼그려 앉아 밀양시를 째려보고 있는 형상인데 당시 밀양경시청에서 복호암이 째려보고 있어 기분 나쁘기도 하여 석공을 불러 복호암을 깨버리라고 합니다. 석공이 올라가 복호암을 깨는데 하늘에서 벼락이 떨어져 석공은 죽었고 나머지 인부들은 놀라서 모두 도망쳤다는 이야기입니다.

 

 

 

 

 

 

방동고개

 원래 복호암은 더 큰 규모의 바위였는데 그때 깨져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합니다. 복호암에서 종남산을 더욱 가까이서 보며 주위의 조망도 우령산 정상에서 본 모습과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다시 덱 계단으로 돌아와 계단을 내려갑니다. 우령산 정상에서 30분이면 방동고개에 내려섭니다. 지금은 오른쪽 봉황리 방동 꽃새미 마을(2.0km) 쪽으로만 하산길이 뚫려 있습니다.


 

 

예전에는 무안등지에서 밀양장을 가기위해서 모두 이 고개를 넘었으며 방울을 단 소가 딸랑딸랑 소리를 내며 넘었다하여 방울재 또는 방동고개라 불립니다. 종남산(0.93km)은 직진하고 이제 지척입니다. 최근에 돌풍이 불었는지 소나무 등 큰 나무가 많이 꺾여 넘어져 있으며 그 사이로 선분홍색 진달래가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합니다.


 

 

샘터를 알리는 안내판에서 왼쪽으로 200m 진달래 터널을 통과합니다. 김소월의 진달래 시인 "나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영변의 약산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중략~ 나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 우리다“ 갑자기 콧노래가 나오면서 2003년 인기를 끌었던 마야의 노래를 부르며 오르다 보니 어느새 정상아래 삼거리였습니다.


 

 

 

선분홍색 진달래꽃이 절정을 맞은 모습에 그저 숨이 턱 막힐 지경이었습니다. 오른쪽으로 정상을 향하는 길에도 진달래꽃이 사태를 이루었습니다. 진달래 꽃길에 헤엄칠 정도로 230m를 허우적거리며 올라가니 어느새 종남산 봉수대가 있는 정상입니다. 종남산 정상에서 보는 진달래꽃은 대박이었습니다.




 

 

멀리 휘돌아가는 물돌이 밀양강의 모습과 종남산의 진달래꽃을 보고 사진을 담으면서 지난밤 내린 봄비를 원망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필자는 봄 산행으로 종남산을 수십 번도 더 찾았지만 올해처럼 진달래꽃이 만발한 산행은 처음이었습니다. 그러나 날씨가 흐려 생각만큼 담지 못해 아쉬움이 많이 남는 산행이었습니다.


 

 

 


 정상에서의 조망 또한, 압권입니다. 비슬산 화악산 남산 화왕산 구만산 억산 운문산 가지산 천황산 재약산 만어산 등 영남알프스와 대구·창녕의 산새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 예림서원으로 하산하는 길만 남았습니다. 왔던 길을 다시 내려가면서 진달래와 작별인사를 합니다.


 

 

 

 

 

 

 

 

조금 전 정상 밑 삼거리에서 헬기장(0.325km) 팔봉산(5.9km) 관음사(2.81km) 방향으로 직진하며 내려갑니다. 진달래 꽃길은 이어지고 오른쪽 전망 덱에서 바라본 진달래꽃에 산비탈 전체가 온통 진달래 불꽃이 터졌습니다. 진달래로 눈을 호강하며 안부 삼거리에서 마지막으로 진달래와 작별합니다.


 삼거리 안부

 

직진하는 산길과 오른쪽 모두 상남보건지소와 고노실 방향입니다. 그러나 나중에 두 길은 서로 만나며 오른쪽은 편안한 임도 길이지만 필자는 직진하여 헬기장으로 향했습니다. 헬기장에 올라 마지막으로 손에 잡힐 듯한 종남산 진달래와 다시 내년에 만날 것을 눈인사하고 헤어졌습니다. 오른쪽은 팔봉산(5.45km) 가는 길이며 하산은 왼쪽 상남보건지소(2.7km)방향입니다.


 

 헬기장 갈림길 

 임도 갈림길

 

 

외길의 하산 길은 쑥쑥 고도를 낮추며 25분이면 임도에 내려서고 삼남보건지소와 고노실마을의 직진길 대신 예림서원은 왼쪽 임도로 향합니다. 다시 만나는 임도삼거리에서 직진하여 사포농공단지 갈림길에서 왼쪽 계곡 옆 둑길을 따라가다 만나는 콘크리트 다리를 건너면 바로 예림서원 주차장에 닿습니다.


 

 예림서원

임도 갈림길에서 30분 소요되었습니다. 예림서원은 점필재 김종직선생을 배향하는 서원입니다. 다시 출발하여 250m쯤 내려오면 은행나무가 있는 갈림길입니다. 왼쪽 은행나무가 있는 ‘송포로’를 따라가면 추원재로 갑니다.


 은행나무 삼거리

박양춘 여포비각

 ‘후사포리여성경로당’을 지나고 임진왜란 때 북상하던 왜군의 장수도 박양춘의 효행에 감복하여 부하에게 함부로 마을에 침범하지 못하도록 표식인 비석을 세웠다합니다. 그 비석이 ‘박양춘 여포비각’입니다.


 

 


 여포비각을 지나면 내곡 마을이고 다시 송악마을의 송악 못을 끼고 오른쪽 도로를 따라갑니다. 약산 김원봉의 부인이자 독립운동에 투신한 박차정 묘소 안내판을 지나 못골교차로에서 왼쪽 농협밀양물류센터 앞을 지나면 예림서원에서 출발한지 약40분만에 산행출발지 김종직 생가 주차장에 도착하여 산행을 마무리했습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김종직 생가 주차장


☞(경남여행/밀양여행)밀양 우령산~종남산 산행 교통편


부산에서 밀양 가는 방법은 열차와 시외버스가 있습니다. 먼저 부산역에서 밀양역으로 출발하는 무궁화 열차는 오전5시13분, 5시40분, 6시35분, 7시05분, 7시50분,9시20분,10시18분, 10시50분 등. 밀양역 앞 시내버스정류장에서 버스로 밀양버스터미널로 이동합니다. 

부산서부터미널에서 밀양터미널행 버스는 오전 7시, 8시, 9시, 10시, 11시 등에 출발하며 밀양터미널에서 김종직생가인 추원재로 가는 버스는 구기행 버스를 갈아타고 한골정류장에 내립니다. 오전6시40분, 6시50분, 7시50분, 8시20분, 9시20분, 10시10분, 11시30분 등

밀양버스터미널에서 김종직생가인 추원재 주차장까지 거리는 약 3.3km 택시 이용도 편리합니다.

내비게이션에는 추원재, 또는 김종직 생가 입력. 



우령산~종남산 고도표

우령산~종남산 지형도


◆밀양 가고 싶은 여행지◆


2016/01/30 - (경남여행/밀양여행)산내면 하양마을~운문산 산행. 신기루 같았던 겨울왕국 운문산 겨울 눈산행.


2015/07/24 - (경남여행/밀양여행)영남알프스 능동산~쇠점골~호박소 산행. 얼음골케이블카를 타고 떠난 여름 최고 산행지 영남알프스 능동산~쇠점골~호박소 등산


2015/07/21 - (경남여행/밀양여행)얼음골 호박소와 쇠점골. 밀양 영남알프스 여름피서지로 아주 좋은 얼음골 호박소와 쇠점골를 추천합니다.


2015/07/16 - (경남여행/밀양여행)영남알프스 얼음골 케이블카. 영남알프스 얼음골 케이블카를 이용 영남알프스 최고 전망대에 올랐습니다.


2014/04/09 - (경남여행/밀양여행)근대문화유산 등록문화재 204호 밀양상동터널. 1905년 경부선 개통때 뚫은 밀양 상동터널 벛꽃이 한창


2014/04/06 - (경남여행/밀양여행)부북면 가산저수지 위양못 둘레길, 밀양8경인 위양못 5월 이팝나무 꽃이 필때가 최고의 둘레길, 밀양연극촌 고가 탐방로


2014/04/03 - (경남여행/밀양여행)밀양 퇴로리 여주이씨 고가. 봄 여행지로 좋은 밀양 부북면 퇴로리 '오구' 촬영지 여주이씨 고가를 보고 왔습니다.


2014/04/01 - (경남여행/밀양여행)밀양 위양못(위량지). 5월이면 사진작가의 단골 출사지인 위양못에 댕겨 왔습니다. 이팝꽃은 없지만 역시 밀양8경의 풍경입니다.


2011/06/28 - (경남여행/밀양여행)밀양칠산정. 세월 앞에 장사 없다. 문화재 관리의 현주소 밀양 칠산정


2011/06/26 - (경남여행/밀양여행)말양 아리랑길 금시당 산책로. 숲길이 아주 인상적인 옛날 학교 등굣길 밀양 금시당 산책로


2011/06/25 - (경남여행/밀양여행)밀양 단장면 칠탄서원. 문화재라며 밀양관광책자에 나오는 칠탄서원이 흉가수준이라니...


2011/06/24 - (경남여행/밀양여행)산외면 죽원재사. 밀양시 옛고을 다원리 오한 손기양의 죽원재사를 찾아서...


2011/06/23 - (경남여행/밀양여행)활성동 영원사지. 밀양 용두산의 잠자는 용을 깨우기 위해 세운 사찰 영원사지


2011/06/22 - (경남여행/밀양여행)밀양 아리랑길 추화산 둘레길. 밀양의 옛이름 추화군의 추화산 둘레길을 걸어보니


2011/06/20 - (경남여행/밀양여행)영천암 백운사 범종. 일제 전쟁물자로 징발되었다는 영천암 백운사범종


2011/06/18 - (경남여행/밀양여행)밀양 영남루,. 무더운 날에 밀양 영남루에 올라 시원한 대청마루를 생각한다. 영남루


2011/05/21 - (경남여행/밀양여행)밀양 남기리 정려각과 가곡리 민씨 정려각. 정절과 정려각, 옛길을 가다 만난 슬픈 이야기


2011/05/16 - (경남여행/밀양여행)상동 박연정. 강물에 노니는 물고기 수를 헤아렸다는 수어대가 있는 밀양의 박연정


2011/03/02 - (경남여행/밀양여행)밀양 무안면 홍제사. 땀흘리는 일이 없어면 좋을 것 같은 땀흘리는 표충비와 홍제사


2008/07/13 - (경남여행/밀양여행)부북면 예림서원.점필재김종직과 예림서원


2008/07/18 - (경남여행/밀양여행)밀양 종남산~팔봉산 산행. 밀양에도 육지속의 섬마을이 있어요 -밀양 종남산~팔봉산


2008/12/09 - (경남여행/밀양여행)사명대사 생가와 기념관. 사명대사의 고향 마을인 밀양시 무안면 고라리에 댕겨 왔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남여행/하동여행)범왕리 푸조나무. 고운 최치원이 지리산에 입산하면서 꼿았던  지팡이가 살아나 범왕리 푸조나무가 되었다는 전설의 나무. 범왕리 푸조나무


지리산 가는 길에 높은 키와 우람한 덩치를 한 푸조나무가 있습니다. 필자가 찾았을 때는 겨울의 끝자락을 잡고 있었는데 어영부영하는 사이에 이제 겨울 티를 완전히 벗고 지금쯤은 초록색 새싹이 움트며 새로운 옷으로 갈아입을 것 같습니다.




◆하동군 범왕리 푸조나무 인근 여행지◆


☞2011/06/30 - (경남여행/하동여행)쌍계사.한 겨울 칡꽃이 핀 자리에 쌍계사를 짓고 꽃이핀 마을이라 화개마을


2016/03/28 - (경남여행/하동여행)칠불사 아자방. 한번 불을 지피면 석달 열흘간 따뜻하다는 칠불사 아자방을 욕심내어 찾아갔지만 보수공사로 보지도 못하고 왔네요. 칠불사 아자방



2009/05/29 - (경남여행/하동여행)화개 지리산 쌍계사 진감선사대공탑비. 지리산 쌍계사 중앙에 자리잡은 진감선사 대공탑비의 화려한 예술성입니다.




 

경남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 신흥마을 화개초교 왕성 분교 입구에 자리하여 지리산 입구를 지키는 관문인 듯 500년의 풍상을 견뎠습니다.


 

우리나라 푸조나무 중에서 가장 큰 나무로 알려졌는데 전설에 의하면 통일신라말 학자이자 문장가인 고운 최치원이 지리산에 입산하면서 화개천에 앉아 세상에서 혼탁한 모든 것을 들었던 더러워진 귀를 깨끗이 씻고 집고 온 지팡이를 여기에 꽂아두고 가면서 이지팡이가 살아있으면 자신도 살아있을 것이라 하였습니다.



 세월이 흘러 죽었다 생각했던 지팡이에 잎이 돋고 살아나 지금의 푸조나무가 되었습니다. 그분의 행적이 워낙 신출귀몰하고 특이하여 최치원 선생을 두고 아마 지리산의 신선이 되었을 거라 모두 생각합니다.


 

그리고 전설이 맞는다면 최치원 선생의 생몰이 857년에 태어나 돌아가신 해는 알 수 없습니다. 이를 보면 우리나라 최고령나무로 1,000살이 훨씬 뛰어 넘었을 것 같습니다.


 

푸조나무의 나이는 약 500살을 보고 있으며 그래도 푸조나무는 서산대사가 출가를 위해 이 길을 따라 지리산 원통암을 향할 때도 말없이 묵묵히 지켜보았으며 근대에는 한국동란 전후로 지리산에 들어온 빨치산과 토벌대간의 쫓고 쫓기는 토벌작전도 지켜보았을 것입니다.



 범왕리 푸조나무는 높이가 25m에 동서 25.9m, 남북 29.2m로 수관은 우산모양처럼 넓게 퍼져 느티나무와 함께 마을의 정자나무로 많이 이용합니다. 또한, 따뜻한 지방에서 자라는 난대성수종이라 우리나라에서는 경남과 전남지역에 주로 분포하여 산기슭과 계곡 주변에 잘자라고 특히 바닷바람에 잘 견뎌 방풍림으로도 많이 활용합니다. 범왕리 푸조나무는 경상남도 기념물 제123호로 지정되었습니다.

 


◆하동군 가볼만한 여행지◆



2014/11/25 - (경남여행/하동여행/구례여행)평사리~화개장터 섬진강 둘레길. 박경리의 토지길과 섬진강 100리 길을 따라 걷는 둘레길,


2014/10/29 - (하동여행/악양여행)박경리 토지 최참판댁, 대하소설 '토지' 무대 평사리 최참판댁을 여행하고 왔습니다. 최참판댁


2014/10/24 - (경남여행/하동여행)화개장터. “있어야 할건 다 있구요 없을 건 없답니다 화개장터“.


2014/10/21 - (경남여행/하동여행)악양 평사리공원.오토 캠핑장과 함께 섬진강을 즐길 수 있는 조망처 평사리공원에서 힐링을 하다. 평사리공원


2014/10/20 - (경남여행/하동여행)하동8경의 백사청송 하동송림 찾아가기. 하동송림


2014/10/16 - (경남맛집/하동맛집)섬진강과 토지 최참판댁도 보고 하동읍내시장 간판없는 팥칼국수 먹고 왔습니다.


2014/10/14 - (광양여행/하동여행)광양 하동 걷기 좋은 섬진강 둘레길. 광양 망덕포구~하동 하동송림 섬진강 둘레길을 걷다.1


2014/10/11 - (경남여행/하동여행)하동 걷기 좋은 코스 하동포구~평사리 최참판댁 섬진강 둘레길을 걷다. 2


2014/09/24 - (경남여행/하동여행)하동숙박 테마모텔. 현지인이 추천한 하동에서 가장 깨끗하다는 숙박지 테마모텔.


2014/09/22 - (경남맛집/하동맛집)동흥식당. 하동여행에서 재첩국이 맛있는 동흥식당 "재첩국 한그릇하이소".


2013/08/29 - (경남여행/하동여행)하동향교. 6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교육기관 하동향교.


2012/12/20 - (경남여행/하동여행)정감록의 피난처로 알려진 오지속의 산행지 지리산 칠성봉


2009/05/29 - (경남여행/하동여행)화개 지리산 쌍계사 진감선사대공탑비. 지리산 쌍계사 중앙에 자리잡은 진감선사 대공탑비의 화려한 예술성입니다.


2011/06/30 - (경남여행/하동여행)쌍계사.한 겨울 칡꽃이 핀 자리에 쌍계사를 짓고 꽃이핀 마을이라 화개마을


2012/09/18 - (하동여행)수험생이 보고 가면 대박 날 소나무, 소나무를 보면 공부를 잘 할 것 같은 하동축지리문암송


2012/09/20 - (경남하동여행)경천묘 금남사 목은 이색 영정등 문화재를 볼 수 있는 지리산 둘레길 10코스-청암면 평촌리


2012/12/20 - (경남여행/하동여행)정감록의 피난처로 알려진 오지속의 산행지 지리산 칠성봉


2008/07/23 - 토벌대와 파르티잔간의 격전지 -지리산 대성골


2008/06/05 - 하동 촛대봉(728m)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 와인터널. 옛 경부선 남성현터널이 감와인 숙성고가 되면서 청도 와인터널이라 부르고 필수 코스인 청도여행 1번지가 되었습니다. 청도와인터널  


청도 와인터널에서 숙성되는 감와인은 화이트 와인으로 포도인 레드와인에 있는 타닌이 더욱 풍부하여 심장병이나 노화방지에 효과가 더욱 많다합니다. 타닌(tannin)이란 일반 감에 들어 있는 떫은맛을 말합니다.




 그리고 술 먹은 다음날 감 홍시를 먹으면 확연히 느낄 정도로 감은 숙취해소에 좋습니다. 또한, 감을 발효하면 감의 독특한 성분이 와인과 조화를 잘 이루어 향이 좋으며 황금색을 띤 화이트와인이 생산됩니다.

 특히 청도 감와인은 서리 맞은 청도 반시를 사용하는데 감 와인을 먹은 뒤끝이 깨끗하고 숙취 또한 전혀 없어서 그런지 요즘 청도 감 와인을 찾는 고객이 많다합니다. 우리나라에도 많은 와인을 생산하지만 청도 반시로 만든 와인인 감그린’은 정말 독특한 향과 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맛있는 청도 감와인을 숙성하는 곳이 청도 와인터널입니다. 청도 와인터널은 1905년에 개통된 옛 경부선 열차의 남성현 터널을 정비하여 2006년 3월에 청도와인(주)에서 와인 숙성고로 이용하면서 와인터널로 부르게 되었습니다.

 

 옛 남성현터널인 청도 와인터널은 연중 15℃와 습도는 60~70%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다량의 음이온까지 나와 와인숙성의 최적 조건을 갖추었습니다. 청도 와인터널은 감와인 숙성고, 시음장, 전시 판매장 등과 다양한 문화 예술 이벤트 행사장으로 활용하여 청도 제1의 관광지로 인기몰이하고 있습니다.

 원래 청도 와인터널은 경부선 개통과 함께 부산~서울 구간을 당시 증기기관차가 운행했는데 초창기 설계 잘못으로 터널이 산중턱에 건설되어 이 구간을 지날 때는 2량의 기관차가 밀고 당기고 해야만 겨우 통과하는 마의 구간이었습니다.

 그 때문에 1937년에 옆에다 새로운 터널인 남성현 터널을 뚫으면서 폐쇄되었다가 6·25 한국동란이 발발하면서 각종 전쟁물자의 수송도로로 이용하였고 산업화 시기인 1960년대 말까지는 차량이 다니는 국도로 활용하였습니다.

 

 

 

 그리고 현재에도 당시 급경사를 오르기 위한 스위치 백(Switch-back) 선로 등이 남아있다 하니 강원도 고한역의 분위기가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지금 와인터널 내부를 들어가면 천정은 물이 떨어져서 비닐 등으로 둘리어 있는데 그 안에는 증기기관차의 시커먼 그을음이 벽면에 그대로 남아 있어 100년 전의 흔적을 그대로 느낄 수 있습니다.

 

 터널의 특성상 바깥온도와 차이가 커 사진 찍기가 정말 힘들었습니다. 렌즈에는 습기가 차고 하여 사진 찍기도 힘들었는데 아쉽지만 나의 찍사 실력을 탓해야겠지요 ㅎㅎ 그래도 담아온 사진을 몇 장 올려 청도 와인터널 포스트를 합니다.

 

 입구를 들어서면 옛 터널의 모습을 그대로 봅니다. 안으로 들어서면 와인 시음과 저장고로 이용하다가 터널 내에다 역사기행 박물관, 빛이 없는 어둠의 공간, 와인 및 감별 공간 등으로 활용하며 터널 벽 한쪽에는 개인용 와인 진열장을 마련해 방문객들이 자신의 와인을 전시 보관하게 시설을 갖추었습니다.

 

 더 안으로 들어갔는데 감옥처럼 쇠창살로 막혔습니다. 이곳부터는 유료입장이라 합니다. 잔에 와인을 따르는 모습이 어둠속에 강렬하게 다가와 안쪽의 유료관람실이 궁금했지만 함께한 일행들이 있어 돌아 나올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리고 청도 여행 1번지 청도 와인터널은 꼭 가야할 여행지입니다.

 

 

 

 

 

 

 

 

 

 

 청도와인터널 정보안내

상호:청도와인터널

청도와인터널 주소:경상북도 청도군 황양읍 송금길 100(송금리 252-2)

청도와인터널 문의전화:054-371-1904

청도와인터널 홈페이지:http://www.gamwine.com/

청도와인터널 영업시간

평일공휴일 9시30분~20시

주말시30분~21시


 


2016/03/09 -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 대적사 극락전. 극락정토의 주재자 아미타불을 모신 대적사 극락전 내부 단청과 특이한 기단석의 불교 조각 예술을 만나보세요.


2016/03/08 -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읍성. 청도여행의 백미 청도읍성과 고마청, 일제강점기 읍성 철거 정책 때 교실로 사용되어 남게된 청도읍성 동헌 둘러보기.


2016/03/03 - (경북여행/청도여행)보물로 지정된 청도석빙고. 현존하는 석빙고중에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되었고 규모가 큰 조선시대 얼음저장고 청도석빙고.


2015/09/04 - (경북여행/청도여행)매전면 구동창 보호수. 교통사고를 당해 피해 보상 청구 재판에서 승소한 구동창마을 느티나무 보호수가 완전 회복되었네요.


2015/08/26 - (경북여행/청도여행)불령사 전탑. 정교한 예술품, 문양을 새긴 전탑으로는 국내에서 유일하다는 청도 불령사 전탑입니다.


2008/07/09 - (경북여행/청도여행) 청도 선의산 ~용각산 산행. 황홀한 조망에 후지산도 울고간다-청도 선의산~ 용각산


2008/07/15 - (경북여행/청도여행)영남알프스 가지산 학심이골 산행. 이번 여름 학이 머무른 계곡으로 함 가보세요.-영남알프스 학심이골


2008/12/12 -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 갓등산~학일산 산행. 500년 전 삼족당김대유 산책길이 갓등산~학일산 산길로 탄생하다


2009/02/26 - (경북여행/청도여행)영남알프스 변방의 호랑이 날등 청도 해들게봉~도롱굴산 종주산행


2009/02/28 - (경북여행/청도여행)금천면 미륵당 박곡동석가석조여래좌상. 부처님의 얼굴일까?. 함몰된 얼굴이지만 예술성이 뛰어난 박곡동석조석가여래좌상입니다.


2009/02/28 - (경북여행/청도여행)운문면 정상 약수터. 탄산수가 나오는 정상약수터를 아세요?. 구룡산 산행


2010/03/20 -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 대남바위산 산행. 영남알프스 전망대 청도 대남바위산 산행기


2011/05/08 - (경북여행/청도여행)금천면 만화정, 한국동란때 이승만대통령이 머물렀다는 만화정과 그뒤 세심정


2011/05/10 - (경북여행/청도여행)금천면 운강고택, 조선시대 양반가의 대 저택 청도 운강고택


2011/05/11 - (경북여행/청도여행)금천면 선암서원. 청도 선암서원에서 전통 고택 숙박 체험을 할 수 있다네요


2011/05/12 - (경북여행/청도여행)금천면 입암정. 청도군 신지리 입암정 찾아가기


2011/05/15 - (경북여행/청도여행)영남알프스둘레길 11코스. 감꽃대궐을 이루는 동창 천변 영남알프스 둘레길 11코스


2013/01/08 - (경북여행/청도여행)어!. 멀리서 본 능선이 부처가 누워 있는 모습인데 마을에서 신기하게도 부처산이라 부르네-청도 부처산~구들삐산


2013/07/16 - (경북여행/청도여행)시원하게 더위를 날려 버릴 운문사 학심이골 학소대 폭포 비경


2013/07/21 -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 함박등 산행, 오지의 산 개척산행 함박등


2013/07/25 - (울산울주여행/경북청도여행)상운산~학심이골 산행. 영남알프스 최고의 계곡 학소대가 있는 학심이골 산행.


2014/07/07 - (경북여행/청도여행)영화세트장이 아니예요.청도군 유천에는 세월을 돌려놓은 6~70년대 풍경이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2014/07/08 - (경북여행/청도여행)유천마을 오누이시인 이호우, 이영도 생가를 찾아 갔습니다. 시조시인 이호우 이영도 생가


2014/07/29 -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 철마산 산행. 청도 남산, 화악산의 막내 철마산 유천에서 산행하기....철마산


2014/10/31 - (경북여행/청도여행)매전면 처진소나무. 수양버들 처럼 가지가 땅으로 처져내린 매전면 동산리 처진소나무.


2014/12/19 -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 꼬깔산~육화산 산행. 여섯가지 보물을 간직한 숨은 산 청도 육화산 산행.


2015/02/03 -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 오지산행 토한산~통내산. 청도 토한산~통내산에서 겨울 산행을 하다.


2009/03/04 - (경북맛집/청도맛집)금천면 맛집 운문사맛집 강남반점. 스님들이 즐겨 먹는다하여 스님자장과 고기를 안 넣은 탕수이를 먹어보세요. 청도 강남반점


2013/07/11 - (경북맛집/청도맛집)청도에서 꼭 먹어야 할 음식 청도 추어탕. 경상도식 추어탕 향미식당


2014/12/06 - (경북맛집/청도맛집)스님자장 강남반점. 강남반점에서 버섯으로 만든다는 스님자장, 스님짬봉 먹고 왔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읍성. 청도여행의 백미 청도읍성과 고마청, 일제강점기 읍성 철거 정책 때 교실로 사용되어 남게된 청도읍성 동헌 둘러보기.


경상북도청도군 화양읍에 남아 있는 청도 읍성은 1995년 1월 경상북도기념물 제103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청도군 화양읍 교촌리, 동상리, 동천리에 축성된 청도 읍성은 남산에서 흘러온 구릉지에 석성과 토성을 혼합해 쌓았습니다.




 청도읍성과 선정비군

읍성의 형태는 남쪽은 높고 북쪽은 낮은 형태로 고려시대 때부터 있었다합니다. 청도읍성은 산성과 평지성의 중간 형태로 평산성이며 읍성의 평면 형태는 방형이고 성벽은 자연석 협축벽입니다. 남쪽을 제외한 북쪽과 서쪽 동쪽의 성벽 중앙에다 성문을 내었으며 길이는 약 1,800m에 높이는 1.65m, 그리고 성벽위에 덧쌓은 여첩은 600측이라 합니다.

 청도 읍성은 1590년인 선조25년에 석축형으로 고치면서 성벽을 더 높여 1592년 축성하였으나 때마침 일어난 임진왜란으로 동·서·북문은 소실과 함께 성벽 또한 허물어졌습니다. 그리고 다시 성벽과 문루를 재건하였으나 일제강점기 때 읍성 철거정책에 성벽과 문루는 모두 헐리고 제거하여 완전히 파괴되었습니다.

 청도읍성 고마청

청도읍성내에는 장관청, 아전청, 회계소, 동헌, 객사, 군기고 외에도 3개의 누각 등이 있었다하지만 아쉽게도 그때 철거되어 지금은 흔적도 찾을 수 없어 아쉬움이 크다 하겠습니다. 그럼 기본적인 청도 읍성에 대해 알았다면 청도 읍성을 둘러보겠습니다. 먼저 청도 읍성 아래에는 많은 비석이 줄지어 있습니다. 청도 선정비 군으로 선정을 베푼 관리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입니다.

 원래는 읍성 바깥인 서상리, 동천리, 남성현 등 주요 도로변에 흩어져 있었는데 도로를 확장하면서 도주 관(객사)에 옮겨 보관했습니다. 그러다 2008년 청도 읍성 동문지 주변에다 모두 옮겨 현재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청도 선정비군은 조선시대인 1675년부터 1904년까지 건립된 비석으로 관찰사 2기와 군수 25기, 찰방 3기이며 모두 30기의 비석이 세워져 있습니다.

 청도 읍성 동문지에는 새롭게 복원된 고마청이 있습니다. 고마청은 민간의 말을 삯을 주고 징발하는 일을 맡아보는 관아로 조선 숙종 때 고마법이 시행되면서 사신이나 수령 등 지방 관리의 이·취임식에 따른 제반 경비 마련 등을 위해 설치했습니다. 청도군 관련 고문헌에는 영조 때인 『여지도서』 ‘창고조’에 고마청의 기록이 최초로 나옵니다. 그리고 1895년 ‘청도군 읍지’에 고마청의 위치를 동문 안에 있었다는 문헌을 바탕으로 2013년 청도 읍성 복원사업을 하면서 고마청 복원이 이루어졌습니다.

 

 

 

 

 

 

 청도읍성내의 청도석빙고

 

 

 그리고 화양초등학교 인근에 있는 청도 읍성의 동헌을 찾았습니다. 청도 동헌은 문화재자료 제403호로 2001년 4월 지정되었습니다. 조선시대 지방관아의 중심건물인 동헌은 관찰사 또는 수령 등이 제반업무를 보던 곳입니다. 청도 동헌은 1917년인 일제강점기 때 현 청도읍 고수동에 군청사를 신축하여 이전하면서 관아인 동헌건물만 도주학원 초등학교 학생들의 교실로 사용하여 남게 되었습니다.

 처음 동헌건물은 1737년인 영조 13년에 지금의 화양초등학교 운동장에 세워졌는데 1955년 관사가 있었던 자리로 옮겨 세웠습니다. 창건 당시 동헌은 자연석을 쌓은 기단에다 다듬은 원형 주초를 두었다고 하나 현재 동헌은 자연석 덤벙 주초에 두리기둥을 세운 초익공계 건물입니다. 앞면은 7칸에 옆면은 3칸 규모로 앞칸은 퇴칸 형식으로 구성하고 양쪽 측면 벽은 중방을 지르고 회벽을 쳤습니다.

 그리고 어칸에는 미서기 출입문을, 양쪽 퇴칸에는 각각 외짝 미닫이문을 넣었으며 여타 칸에는 미서기 유리창을 달았습니다. 좌측 3칸, 우측 4칸의 벽을 크게 2칸으로 나누어 교실로 이용하였는데 기둥과 목재부등 대부분이 원래 동헌의 형태를 보이고 있어 조선시대 관아 건축의 중요한 자료가 된다합니다. (참고:청도군청 홈피와 문화재 안내판)

 청도읍성 동헌

 학생들의 교실로 이용했던 동헌의 모습과 지금 복원된 동헌의 모습은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청도군청홈피발췌)

 

 

 

 




2016/03/03 - (경북여행/청도여행)보물로 지정된 청도석빙고. 현존하는 석빙고중에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되었고 규모가 큰 조선시대 얼음저장고 청도석빙고.


2015/09/04 - (경북여행/청도여행)매전면 구동창 보호수. 교통사고를 당해 피해 보상 청구 재판에서 승소한 구동창마을 느티나무 보호수가 완전 회복되었네요.


2015/08/26 - (경북여행/청도여행)불령사 전탑. 정교한 예술품, 문양을 새긴 전탑으로는 국내에서 유일하다는 청도 불령사 전탑입니다.


2015/02/03 -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 오지산행 토한산~통내산. 청도 토한산~통내산에서 겨울 산행을 하다.


2014/12/19 -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 꼬깔산~육화산 산행. 여섯가지 보물을 간직한 숨은 산 청도 육화산 산행.


2014/10/31 - (경북여행/청도여행)매전면 처진소나무. 수양버들 처럼 가지가 땅으로 처져내린 매전면 동산리 처진소나무.


2014/07/29 -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 철마산 산행. 청도 남산, 화악산의 막내 철마산 유천에서 산행하기....철마산


2014/07/08 - (경북여행/청도여행)유천마을 오누이시인 이호우, 이영도 생가를 찾아 갔습니다. 시조시인 이호우 이영도 생가


2014/07/07 - (경북여행/청도여행)영화세트장이 아니예요.청도군 유천에는 세월을 돌려놓은 6~70년대 풍경이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2013/07/25 - (울산울주여행/경북청도여행)상운산~학심이골 산행. 영남알프스 최고의 계곡 학소대가 있는 학심이골 산행.


2013/07/21 -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 함박등 산행, 오지의 산 개척산행 함박등


2013/07/16 - (경북여행/청도여행)시원하게 더위를 날려 버릴 운문사 학심이골 학소대 폭포 비경


2013/01/08 - (경북여행/청도여행)어!. 멀리서 본 능선이 부처가 누워 있는 모습인데 마을에서 신기하게도 부처산이라 부르네-청도 부처산~구들삐산


2011/05/15 - (경북여행/청도여행)영남알프스둘레길 11코스. 감꽃대궐을 이루는 동창 천변 영남알프스 둘레길 11코스


2011/05/12 - (경북여행/청도여행)금천면 입암정. 청도군 신지리 입암정 찾아가기


2011/05/11 - (경북여행/청도여행)금천면 선암서원. 청도 선암서원에서 전통 고택 숙박 체험을 할 수 있다네요


2011/05/10 - (경북여행/청도여행)금천면 운강고택, 조선시대 양반가의 대 저택 청도 운강고택


2011/05/08 - (경북여행/청도여행)금천면 만화정, 한국동란때 이승만대통령이 머물렀다는 만화정과 그뒤 세심정


2010/03/20 -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 대남바위산 산행. 영남알프스 전망대 청도 대남바위산 산행기


2009/02/28 - (경북여행/청도여행)운문면 정상 약수터. 탄산수가 나오는 정상약수터를 아세요?. 구룡산 산행


2009/02/28 - (경북여행/청도여행)금천면 미륵당 박곡동석가석조여래좌상. 부처님의 얼굴일까?. 함몰된 얼굴이지만 예술성이 뛰어난 박곡동석조석가여래좌상입니다.


2009/02/26 - (경북여행/청도여행)영남알프스 변방의 호랑이 날등 청도 해들게봉~도롱굴산 종주산행


2008/12/12 -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 갓등산~학일산 산행. 500년 전 삼족당김대유 산책길이 갓등산~학일산 산길로 탄생하다


2008/07/15 - (경북여행/청도여행)영남알프스 가지산 학심이골 산행. 이번 여름 학이 머무른 계곡으로 함 가보세요.-영남알프스 학심이골


2008/07/09 - (경북여행/청도여행) 청도 선의산 ~용각산 산행. 황홀한 조망에 후지산도 울고간다-청도 선의산~ 용각산


2014/12/06 - (경북맛집/청도맛집)스님자장 강남반점. 강남반점에서 버섯으로 만든다는 스님자장, 스님짬봉 먹고 왔습니다.


2013/07/11 - (경북맛집/청도맛집)청도에서 꼭 먹어야 할 음식 청도 추어탕. 경상도식 추어탕 향미식당


2009/03/04 - (경북맛집/청도맛집)금천면 맛집 운문사맛집 강남반점. 스님들이 즐겨 먹는다하여 스님자장과 고기를 안 넣은 탕수이를 먹어보세요. 청도 강남반점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북·대구여행/청도·대구달성여행)청도읍성, 석빙고, 청도와인터널, 대적사, 남지장사, 녹동서원·한일우호관, 대구국립박물관, 사문진나루터, 육신사·달성태고정·달성도곡재, 달성 하목정여행 당일여행. 

부산에서 활동하는 문화유적답사 모임인 ‘박물관을 찾는 사람들’과 경북 청도와 대구 달성 일원을 여행하고 왔습니다. 당일치기 여행이지만 아주 잘 짜인 여행코스로 청도와 달성군의 여러 곳을 볼 수 있었는데 특히 청도 석빙고와 와인터널, 국립대구박물관과 육신사는 꼭 가보고 싶었던 여행지였습니다. 먼저 여행경로를 보면 청도 읍성~!청도석빙고~청도 와인터널~ 대적사~남지장사~녹동서원~국립대구박물관~사문진 나루~육신사~태고정~도곡재~하목정 순으로 여행했는데 우리 전통고가와 문화유적지 그리고 임진왜란 때 나라를 구한 김충선장군, 조선 세조 때의 사육신을 만나는 알찬여행이었습니다. 먼저 청도읍성을 찾았습니다.




청도읍성

부산과 가까워 일찍 도착했던 청도읍성은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교촌리, 동상리, 동천리 일대에 석성과 토성을 혼합하여 쌓았습니다. 처음 고려시대부터 있었던 청도읍성은 조선 선조 23년인 1590년 청도군수 이은휘에 의해 대대적인 공사를 진행하여 2년만인 1592년 완공하였으며 그해 임진왜란이 일어났습니다. 성의 규모는 둘레가 1.88km, 높이 1.7km, 성위에 덧쌓은 낮은 담장인 성가퀴는 600첩이었습니다. 경상북도 기념물 제103호 그리고 읍성과 함께 청도 석빙고를 보았습니다.



 청도석빙고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석빙고로 겨울에 얼었던 얼음을 봄·여름·가을에 사용하기위한 저장고로 만들었습니다. 빙고의 크기는 길이 14.75m, 너비 5m 홍예 높이는 4.4m로 화강석을 이용하였습니다. 청도석빙고는 신축당시를 기록한 비석이 석빙고 좌측에 남아 있습니다. 비석의 내용을 보면 조선시대 숙종 39년인 1713년에 축조하는데 3개월이 소요되었으며 소요인력과 물자 등을 알 수 있는 석빙고로 국내에서 축조 연대가 가장 오래되었습니다. 청도석빙고는 1963년 1월21일 보물 제323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청도와인터널

이제 청도 남성현 터널을 이용해 만든 청도 와인터널을 찾았습니다. 경상북도청도군 화양읍 송금리에 있는 청도 와인터널은 감와인 체험장입니다. 청도에서 유명한 특산물이 반시와 복숭아인데 청도 반시는 임금님께 진상될 정도로 유명했습니다. 와인터널은 원래 부산~서울을 운행하는 철도인 경부선 선로로서 경북 청도군과 대구를 잇는 옛 남성현 터널입니다.

 1896년 일제에 의해 착공하여 1904년 완공된 옛 남성현 터널은 잘못된 설계로 인해 1937년 새로운 남성현 터널이 개통하면서 폐쇄되었습니다. 옛 남성현 터널은 길이가 1,015m 폭은 4.5m, 높이는 5.3m 직육면체의 화강암과 적벽돌로 3겹의 아치형으로 건설하여 110년이 넘은 지금도 내부는 보존상태가 잘되었습니다. 터널의 연중 연중온도는 15, 16도이며 습도는 60~70%로 와인 숙성하는데 최적의 조건을 갖추어 2006년 2월에 청도와인(주)에서 감와인 숙성고와 시음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입소문이나 지금은 청도에서 빼놓을 수 없는 관광지가 되었습니다.



 청도대적사

청도 와인터널을 나오면 왼쪽 골짜기에 신라 헌강왕 때 체징이 창건한 사찰 대적사가 있습니다. 1592년 임진왜란으로 모든 당우는 불탔으며 1635년과 1689년 중건과 중수를 거쳤지만, 현재는 극락전을 제외하면 초라한 모습입니다. 대적사 극락전은 앞면 3칸, 옆면 2칸의 다포계 맞배지붕이며 볼거리는 극락전을 받치고 있는 기단과 소맷돌입니다. 기단에 연꽃과 거북무늬의 양각과 소맷돌의 용비어천도 등 창건 당시의 화려했던 대적사의 규모를 알 수 있습니다. 이제 발길은 청도 남성현 터널을 지나면 대구 달성군 가창 땅입니다.

 


 대구 남지장사

이곳 최정산 아래 우록리 골짜기에 684년 신라 신문왕 때 양한이 창건했다는 남지장사를 찾았습니다. 신라시대에는 사세가 대단했는데 8개의 암자를 거느리고 3천여명의 승려가 운집했을 정도로 대찰이었습니다. 그러나 궁예가 일으킨 전쟁으로 폐사되었다가 1263년인 고려 원종 때 일연이 중창하여 제법 사찰의 규모를 갖추었습니다.

 1592년 조선 선조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사명당 유정이 이곳에서 승병 훈련을 한다는 정보를 입수한 왜적은 한양 공격 길에 이곳을 불 질러 초토화했습니다. 1653년과 1767년 중건과 중창을 하였으며 모계에 의해 팔공산의 북지장사와 대칭된다며 남지장사라 하였습니다. 부속암자로는 청연암과 백연암이 있으며 사명당이 승병을 훈련하면서 머물렀던 청연암은 1990년에 보수하여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92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남지장사·청련암·백련암 포스트:http://yahoe.tistory.com/2321


 대구녹동서원, 한일우호관

남지장사를 보고 나오면서 우록리 입구에 녹동서원을 찾았습니다. 녹동서원은 삼란공신을 평정한 일본인 사야가 김충선장군의 위패를 모신 사당입니다. 왜 일본 장수가 조선의 장군이 되었는지 녹동서원과 녹동서원 옆 한일우호관을 방문하면 상세하게 알 수 있습니다. 김충선장군은 임진왜란 때 가토 기요마사(가등청정)의 좌선봉장으로 참전했다가 경상좌수사 박진에게 휘하 병사 3천명과 귀순합니다. 조선군에 조총 제작 기술을 전수하며 많은 전투에 참여하여 전공을 세웠으며 선조는 그에게 사성 김해김씨의 성과 충선의 이름을 하사합니다. 임진왜란, 병자호란, 이괄의 난을 평정한 삼란 공신입니다.

 


 국립대구박물관

이제 대구에서 꼭 보고 싶었던 국립대구박물관을 찾아갑니다. 그러나 대구 박물관에 가기 전에 금강산도 식후경인데 점심을 맛있게 먹고 힘을 내어 대구박물관 여행을 시작합니다. 국립대구박물관은 대구시 수성구 청호로 321. 1994년 12월 개장했는데 대구와 경북일원에서 출토된 유물 1.700여점이 전시중입니다. 이곳에서 눈여겨 볼만한 유물은 국보로 지정된 금동여래입상(국보182호)과 금동보살입상(국보 183호, 184호) 두 점입니다. 또한 송림사 5층 전탑에서 나온 사리장엄구(보물 제325호)와 국보 제282호인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불 복장유물, 보물 제202호 의성관덕동석사자, 보물 제357호 칠곡정도사지5층석탑 등을 만났습니다. 정교한 신라예술품의 극치를 만나는 뜻 깊은 여행이었습니다.

 


 대구사문진나루터

다시 낙동강의 화원 유원지 사문진나루를 찾았습니다. 이곳은 두 해전쯤 찾았는데 그때보다는 많은 조형물 등 시설물이 설치되었고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여행객이 정말 많았습니다. 사문진은 “모래사장이 끝없이 펼쳐진다”는 뜻이며 선교사에 의해 우리나라에 피아노가 처음 들어왔던 곳입니다. 당시 배를 타고 낙동강을 거슬러 이곳 사문진 나루에 내려진 귀신통 피아노는 지금의 동산 외국인 선교사 집으로 옮겨갔습니다.

 


 대구육신사

이제 대구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 육신사를 찾았습니다. 이곳은 한옥 집성촌으로 육신사는 조선 세조 때의 사육신인 박팽년, 성삼문, 하위지, 이개, 유성원, 유응부의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함께 봉안한 박팽년의 부친 중림의 위패는 현재 따로 봉안하였습니다. 처음에는 박팽년만 후손에 의해 배향하였는데 기일에 사당 앞에 여섯분이 서성거리는 꿈을 후손이 꾸면서 박팽년 이외 다섯 분도 함께 모시게 되었다합니다.



 대구 달성태고정

신사 옆 달성 태고정은 1479년 박팽년의 손자인 일산이 세웠습니다. 조선 중기의 정자로 일시루라 하며 앞면 4칸, 옆면 2칸으로 구성되었는데 오른쪽에 2칸의 대청을 넣었습니다. 창건과 함께 박팽년의 절의 묘와 종택에 딸린 건물로 1592년 일어난 임진왜란으로 일부 소실되었다가 1614년 다시 중건하였습니다. 1971년 12월에 보물 제554호로 지정되었습니다. 태고정의 현판글씨는 한석봉이 섰다하며 일시루는 안평대군의 글씨라는 해설사의 설명입니다.

 대구 달성도곡재

태고정 아래 도곡재는 1995년 5월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2호로 지정되었습니다. 1778년 정조 때 대사성 서정공 박문현이 살림집으로 지었다가 1800년대에 도곡 박종우의 재실로 사용하면서 그의 호를 따와 도곡재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앞면 4칸, 옆면 1칸의 기와 건물인데 후대로 내려오면서 헛간과 대청을 달아 누각형태로 꾸몄습니다.

 

 대구 달성하목정

이제 낙동강을 끼고 들어선 달성 하목정을 찾았습니다. 낙동강에 저녁노을이 붉게 비치면서 하목정의 분위기는 정말 남달랐습니다.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던 낙포 이종문이 1604년 세운 정자입니다. 하목정의 현판은 인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 이곳에 잠시 머물렀던 인연으로 인조가 이종문의 아들 이지영에게 써주었습니다. 앞면 4칸, 옆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기와집은 특이한 점은 처마가 부채모양 곡선으로 되었으며 일반 가옥에는 서까래에 부연을 달수 없지만 인조의 명으로 부연을 달았습니다.

 이번 청도와 대구 달성군을 여행하면서 빼어난 우리 문화재의 아름다운 한옥의 곡선, 그리고 자신의 조국을 배반하고 귀화하여 조선을 전쟁에서 구한 일본 장수 등 한편의 역사 드라마를 보았습니다. 부산과 가까운 곳에도 이런 알찬 여행을 꾸밀 수 있었습니다. 당일로 가볍게 여행을 하는 청도와 대구 여행 이제부터 한곳한곳 포스트 하겠습니다.






2015/10/31 - (대구여행/달성여행)가창면 우록리 청산~우미산 산행. 일본인 사야가 김충선 장군의 흔적을 찾아나선 우록리 청산~우미산 가을 산행.


2015/10/21 - (대구여행/달성군여행)녹동서원과 달성한일우호관. 일본인으로 귀화한 사야가 김충선장군을 모신 녹동서원과 달성한일우호관을 여행하다.


2015/04/05 - (대구여행/가창여행) 최정산 운흥사. 보물 제1814호 ‘운흥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최정산 운흥사 여행.


2015/02/18 - (대구여행/달성가창여행)대구 주암산~최정산 산행. 올해 처음 눈꽃 산행을 즐긴 달성군 가창면 주암산~최정산 산행.


2014/06/24 - (대구여행/수성구여행)수성못 용지봉~병풍산 산행. 대구의 근교산 용지봉~병풍산 산행.


2014/03/15 - (대구여행/달성군여행)대구 근교산 삼필봉~황룡산 산행.천리마의 전설과 함께하는이색산행 마비정 벽화마을.


2014/01/27 - (대구여행/스파밸리 포레스트12)대구여행에서 숙박 걱정마세요 스파밸리 포레스트12 끝내줘요.


2013/11/11 - (대구여행/달성여행)화원유원지와 사문나루터, 한국에 처음 피아노가 들어온 곳은 어디, 사문진나루터와 화원동산 .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북여행/청도여행)보물로 지정된 청도석빙고. 현존하는 석빙고중에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되었고 규모가 큰 조선시대 얼음저장고 청도석빙고.  


석빙고하면 항상 생각나는 게 있습니다. 지금이야 사시사철 얼음도 구경하고 아이스크림이나 다양한 빙수를 먹고 싶으면 바로바로 먹는 세상입니다. 그러나 필자의 유년 시절에는 장날 장터에 가야만 사각 통을 메고 ‘아이스케끼 아이스케끼 하고 얼음과자를 팔러 다니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사각 아이스케끼 통을 열면 하얀 김이 나오고 아이스케끼를 보고 한여름에도 얼음과자를 먹는 게 정말 신기했습니다. 그때는 엄마 치맛자락을 붙잡고 늘어지며 “아이스케끼, 아이스케끼” 하고 “저거 사줘, 잉~잉~ 저거 사줘!”하며 생떼를 쓰며 졸랐습니다. 그러면 엄마는 마지못해 달랑 한 개만 사서 내손에 쥐여 주었는데 아껴먹는다고 들고 다니다 나중에는 나무 막대만 남은걸 보고 얼마나 서글피 울었는지 지금 생각하면 웃음이 납니다.

 이제 내가 중년이 되어 그때를 생각하면 엄마도 얼마나 먹고 싶었을까 생각하고 엄마의 자식 사랑에 눈시울이 붉어집니다. 그리고 세월이 흘러 석빙고란 아이스케끼가 등장했습니다. 석빙고는 팥도 엄청나게 들었으며 맛은 또 얼마나 좋았던지 아이스케끼와 비교할 수 없는 맛이었습니다.

 

 한동안 석빙고의 맛에 빠졌는데 언제부턴가 안보이든 아이스케끼 석빙고가 다시 나오는 것을 보고 옛 맛에 이끌려 가끔 사먹습니다. 그러나 어릴 적 맛있게 먹던 그 맛은 이제 아니었습니다. 뜬금없는 왠 아이스케끼와 석빙고 타령이냐고요. 이번 포스트가 추억의 맛 석빙고는 아니지만 오래전에 얼음을 보관했던 청도 석빙고 답사를 했기 때문입니다.

 

 석빙고의 역할은 겨울철 얼었던 얼음을 저장했다가 봄·여름·가을에 사용하기 위한 얼음 저장고입니다. 청도석빙고는 화양읍 동천리 읍성 동문 인근에 있으며 우리나라에 여러 개가 남아 있습니다. 그중 청도 석빙고는 현존하는 석빙고 가운데 축조연대가 가장 오래되었으며 축조와 함께 세운 비석이 현재 있습니다.

 

 

 그 비석에는 석빙고를 짓는데 3개월가량 소요되었으며 건립날짜와 석빙고 건립에 관계된 이름까지 나와 있습니다. 청도석빙고는 "조선 숙종 39년인 1713년 2월11일에 진사 박상고에 의해 공사를 시작하여 5월5일에 공사가 마무리 되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럼 청도 석빙고의 세부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얼음을 보관했던 빙고의 크기는 길이가 14.75m, 넓이 5m, 홍예 높이가 4.4m로 재료는 화강암을 사용했습니다. 석빙고는 서쪽에다 출입구를 내었고 방향은 동·서이며 건물의 뼈대만 남은 4개의 홍예가 남아 있습니다.

 

 직사각형이며 입구를 내려서면 바닥은 안쪽으로 기울어지게끔 만들었고 흙을 편편하게 다지고 그 위에다 돌을 깔았습니다. 바닥 가운데는 물이 빠지는 배수구를 만들었으며 잘 다듬은 화강암을 무지개 모양으로 들어 올려 쌓았습니다. 10개의 돌을 짜 맞추어 4개의 보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너른 돌을 홍예 위에 올려 천정을 덮었습니다. 

 

 

너른 돌 위에 다시 흙을 덮었으며 환기구도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천정을 덮은 판석은 모두 깨어지고 하여 현재 몇 개만 남아 있습니다. 청도석빙고는 신라시대 때부터 있었다하며 처음에는 청도 읍성북문밖에 있었는데 지금의 장소에 다시 축조했으며 전국에 보존되는 6개의 석빙고 중 규모가 가장 크다 합니다. 경상북도 청도에서 화양읍에 있는 청도석빙고를 먼저 만나보고 재미있고 볼거리가 많은 청도 여행을 떠나보세요. 청도석빙고는 1963년 1월21일 보물 제323호로 지정되었습니다.

 




2015/09/04 - (경북여행/청도여행)매전면 구동창 보호수. 교통사고를 당해 피해 보상 청구 재판에서 승소한 구동창마을 느티나무 보호수가 완전 회복되었네요.


2015/08/26 - (경북여행/청도여행)불령사 전탑. 정교한 예술품, 문양을 새긴 전탑으로는 국내에서 유일하다는 청도 불령사 전탑입니다.


2015/02/03 -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 오지산행 토한산~통내산. 청도 토한산~통내산에서 겨울 산행을 하다.


2014/12/19 -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 꼬깔산~육화산 산행. 여섯가지 보물을 간직한 숨은 산 청도 육화산 산행.


2014/10/31 - (경북여행/청도여행)매전면 처진소나무. 수양버들 처럼 가지가 땅으로 처져내린 매전면 동산리 처진소나무.


2014/07/29 -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 철마산 산행. 청도 남산, 화악산의 막내 철마산 유천에서 산행하기....철마산


2014/07/08 - (경북여행/청도여행)유천마을 오누이시인 이호우, 이영도 생가를 찾아 갔습니다. 시조시인 이호우 이영도 생가


2014/07/07 - (경북여행/청도여행)영화세트장이 아니예요.청도군 유천에는 세월을 돌려놓은 6~70년대 풍경이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2013/07/25 - (울산울주여행/경북청도여행)상운산~학심이골 산행. 영남알프스 최고의 계곡 학소대가 있는 학심이골 산행.


2013/07/21 -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 함박등 산행, 오지의 산 개척산행 함박등


2013/07/16 - (경북여행/청도여행)시원하게 더위를 날려 버릴 운문사 학심이골 학소대 폭포 비경


2013/01/08 - (경북여행/청도여행)어!. 멀리서 본 능선이 부처가 누워 있는 모습인데 마을에서 신기하게도 부처산이라 부르네-청도 부처산~구들삐산


2011/05/15 - (경북여행/청도여행)영남알프스둘레길 11코스. 감꽃대궐을 이루는 동창 천변 영남알프스 둘레길 11코스


2011/05/12 - (경북여행/청도여행)금천면 입암정. 청도군 신지리 입암정 찾아가기


2011/05/11 - (경북여행/청도여행)금천면 선암서원. 청도 선암서원에서 전통 고택 숙박 체험을 할 수 있다네요


2011/05/10 - (경북여행/청도여행)금천면 운강고택, 조선시대 양반가의 대 저택 청도 운강고택


2011/05/08 - (경북여행/청도여행)금천면 만화정, 한국동란때 이승만대통령이 머물렀다는 만화정과 그뒤 세심정


2010/03/20 -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 대남바위산 산행. 영남알프스 전망대 청도 대남바위산 산행기


2009/02/28 - (경북여행/청도여행)운문면 정상 약수터. 탄산수가 나오는 정상약수터를 아세요?. 구룡산 산행


2009/02/28 - (경북여행/청도여행)금천면 미륵당 박곡동석가석조여래좌상. 부처님의 얼굴일까?. 함몰된 얼굴이지만 예술성이 뛰어난 박곡동석조석가여래좌상입니다.


2009/02/26 - (경북여행/청도여행)영남알프스 변방의 호랑이 날등 청도 해들게봉~도롱굴산 종주산행


2008/12/12 -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 갓등산~학일산 산행. 500년 전 삼족당김대유 산책길이 갓등산~학일산 산길로 탄생하다


2008/07/15 - (경북여행/청도여행)영남알프스 가지산 학심이골 산행. 이번 여름 학이 머무른 계곡으로 함 가보세요.-영남알프스 학심이골


2008/07/09 - (경북여행/청도여행) 청도 선의산 ~용각산 산행. 황홀한 조망에 후지산도 울고간다-청도 선의산~ 용각산


2014/12/06 - (경북맛집/청도맛집)스님자장 강남반점. 강남반점에서 버섯으로 만든다는 스님자장, 스님짬봉 먹고 왔습니다.


2013/07/11 - (경북맛집/청도맛집)청도에서 꼭 먹어야 할 음식 청도 추어탕. 경상도식 추어탕 향미식당


2009/03/04 - (경북맛집/청도맛집)금천면 맛집 운문사맛집 강남반점. 스님들이 즐겨 먹는다하여 스님자장과 고기를 안 넣은 탕수이를 먹어보세요. 청도 강남반점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남여행/양산여행)박제상 생가 효충사, 효충역사공원. 치술령 망부석 신라 만고충신 박제상 생가 효충사가 새롭게 효충역사공원이 되었습니다. 


 지난 설에도 양산 공원묘원에 모신 형님 산소를 찾았습니다. 항상 성묘 길에 박제상유적지를 염두에 두고 있었는데 마음만 갈뿐 방문을 하지 못하다가 이번에는 형님 산소에서 성묘하고 돌아오면서 효충사에 들렀습니다.



 



 박제상 유적지로 효충사인데 2014년 10월 새 단장을 하고 효충역사공원으로 이름과 모습이 확 바뀌었습니다. 효충사 이외에도 새롭게 징심헌과 고직사 등 부속건물이 갖추어져 이제는 번듯한 모습이었는데 명절이라 그런지 모든 시설물이 문이 ‘꽉’ 잠겨 있어 내부관람을 하지 못한 아쉬움이 정말 큽니다.

 한편, 신라 때 만고충신 박제상을 추모하는 사당이 이제 제대로 된 위상을 갖추게 되어 정말 다행이란 생각을 했습니다. 박제상은 학창시절 수업시간에 다들 배웠던 역사적 인물입니다. 그래도 기억이 떠오르지 않는다면 망부석하면 생각이 날까요. 망부석 하니 가수 김태곤이 먼저 생각난다고요. 맞습니다. 김태곤이 부른 망부석도 지아비를 기다리다 돌이 되었다는 뜻은 같으니까요. 그러나 전국에 많은 망부석 전설 중에 박제상의 치술령 망부석은 가장 유명하다하겠습니다.

 그리고 박제상에 관해 알면 자연스럽게 치술령 망부석의 전설도 알게 됩니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박제상은 신라의 시조인 박혁거세 후손입니다. 때는 신라 눌지왕 시절로 눌지왕은 두 동생인 복호와 미사흔을 고구려와 일본에 볼모로 보냈습니다. 그리고 항상 두 동생을 매우 보고 싶어 했습니다.

 이에 박제상은 고구려로 건너가 몰래 복호를 빼내어 신라로 돌아왔으며 내친김에 일본으로 건너가 미사흔까지 신라로 탈출시켰습니다. 그러나 박제상은 탈출을 감행하다 대마도에서 왜군에게 붙잡혀 온갖 고문을 당하고도 뜻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왜왕은 박제상의 충성심에 감복하여 자신의 신하가 되면 목숨을 살려주고 금은보화까지 주겠다고 회유하지만 박제상은 죽을지언정 자신은 영원한 신라의 신하라며 그 뜻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그러자 왜왕은 나의 신하를 할 수 없다면 신라의 신하도 될 수 없다며 잔인하게 사지를 불태워 죽였습니다.

 한편 박제상의 아내 김씨 부인은 일본으로 건너간 남편이 이제나저제나 오기만을 기다리며 매일 남편이 건너간 바다가 잘 보이는 치술령에 올랐습니다. 치술령 정상아래 바위에서 남편이 오기만을 하염없이 기다렸는데 끝끝내 박제상은 돌아오지 않자 지쳐 김씨부인과 두 딸은 죽어 돌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몸은 돌이 되었지만, 영혼은 파랑새가 되어 맞은편 석굴에 날아들었는데 후세에서는 김씨 부인과 두 딸이 죽어 변한 바위를 망부석이라 부르고 영혼이 되어 새가 날아든 석굴을 은을암이라 하였습니다. 그리고 망부석과 은을암이 삼각점을 이루는 곳인 울산시 울주군 만화리에 언제부터인지 모르지만 박제상의 충절과 김씨 부인의 정절을 기리는 사당이 세워졌다합니다.

 그러나 세월 속에 이야기로만 전해오다 1982년 그 자리에 다시 치산서원을 세웠으며 2008년 9월에는 박제상 기념관을 조성하였습니다. 이곳 양산의 효충사는 신라의 충신 박제상이 태어났던 자리에 세워진 사당입니다. 도로 안내판에도 ‘박제상생가’로 안내되어 있었는데 이곳 효충사에는 박제상과 그의 아들 백결 선생을 기리는 위패와 초상화가 함께 모셔져 있다합니다.

 명절이라 그런지 모든 곳이 꼭꼭 닫혀 있어 확인 할 수 없어 참말로 아쉬움이 많이 남았습니다. 효충사는 1칸 규모의 대문을 들어서면 앞면 3칸, 옆면 1칸의 맞배지붕이며 1946년 처음 세워졌습니다. 그리고 왼쪽에는 박제상의 업적을 담은 효충사 비석이 있습니다.

 참고로 백결 선생은 박제상의 아들이자 거문고의 명인입니다. 워낙 가난하여 찢어진 옷을 백군데도 넘게 기워서 입었다하여 백결선생이라 불리게 되었으며 집안에는 먹을 양식이 남아있지 않아 부인에게 거문고로 방아 찍는 소리를 들려주어 위로했다합니다.

 현재 양산시 상북면 소토리에 새롭게 조성된 박제상 유적지 효충역사공원은 경부고속도로 양산나들목에서 어곡공단 방향으로 가다 어곡터널 진입 전에 오른쪽 효충마을에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경상남도 기념물 제90호

 ◆양산 박제상 생가 효충사 효충역사공원◆

★효충사, 효충역사공원

효충사 주소: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박제상길 11-1


 

 

2013/01/03 - (울산여행/울주여행)만고충신 박제상과 그의 가족 영혼이 잠들어 있는 울산 치술령 산행


2013/09/12 - (울산여행/울주여행)신라 충신 충렬공 박제상을 모신 치산서원 울산광역시 기념물 1호. 박제상 기념관 치산서원


2015/11/25 - (경남여행/양산여행)큰골산~군지산(운봉산)~가모산 근교산행. 요산 김정한 소설 사밧재 무대였던 가모산 산행. 큰골산~군지산(운봉산)~가모산


2015/09/22 - (경남여행/양산여행)양산 동면 산지마을. 부산과 가까운 양산 오지마을 남락리 산지마을에서 가을을 느끼다.


2015/08/29 - (경남여행/양산여행)영남알프스 시살등 산행. 임진왜란의 전란속에 의병들의 처절한 함성이 전설이 된 산 영남알프스 시살등을 오르다.


2015/08/12 - (울산여행/영남알프스산행)신불산 파래소폭포~왕봉골~간월재 산행. 신불산자연휴양림을 통해 영남알프스 최고 억새군락지 간월재 등산을 하다.


2015/06/12 - (울산여행/영남알프스 신불산산행)영남알프스 신불산 산행. 실록의 6월 울퉁불퉁 칼바위 암릉 신불산 공룡능선을 넘다.


2014/12/27 - (경남여행/양산여행)원동, 삼랑진 금오산 산행. 양산 최고의 오지 어영마을에서 금오산을 오르다.


2014/12/25 - (양산여행/원동여행)원동 신흥사. 배내골 여행과 함께 화려한 건물 대광전이 돋보이는 양산 원동 신흥사 구경하기.


2014/12/15 - (경남여행/양산여행) 양산8경 임경대, 최치원의 임경대에 올라 낙동강을 바라보다.


2014/01/25 - (경남여행/양산원동여행)천태산천태정사. 웅장한 아미타여래좌상과 협시보살이 세계최대규모인 천태산 천태사


2014/01/20 - (경남여행/양산여행)천태산 산행. 낙동강 바라보기에 좋은 양산의 3대 악산 비석봉~천태산.


2014/01/08 - (부산여행/낙동강 뱃길)낙동강뱃길. 을숙도에서 물금까지 낙동강에 배를 타고 새로운 부산을 보다.


2013/12/24 - (경남여행/양산여행)낙동강 자전거길이 영남대로길, 물금역~삼랑진역(황산잔도~작원잔도)를 걷다.


2013/12/19 - (경남여행/양산여행)김정한의 소설속 수라도의 배경인 미륵당이 지금의 용화사. 용화사 석조여래좌상


2013/06/21 - (경남여행/양산여행/영남알프스둘레길)'이것 좀 잡사보소" 영남알프스둘레길 18코스 배내골 옛길인 시살등을 넘다.


2013/06/21 - (경남여행/양산여행/영남알프스둘레길)발길 닿는 골마다 숨은 비경과 호비등길 영남알프스 둘레길 19코스


2013/06/21 - (경남여행/양산여행/영남알프스둘레길)양산시 유래를 알게 된 영남알프스 둘레길 제20코스


2013/05/29 - (부산여행/양산여행)닭울음이 부산의 새벽을 깨우는 금정산 계명봉~장군봉~은동굴 산행


2013/05/14 - (경남여행/양산여행)부산 근교 이번주가 절정이라는 정족산 철쭉산행


2013/03/01 - (경남여행/양산여행)부산 근교의 작은 용아릉 원동 용골산~토곡산 산행.


2012/12/18 - (경남여행/양산여행)산림청100명산. 천명의 대중을 성불시킨 원효의 산 양산 천성산


2012/09/21 - (경남양산여행)천성산원효암. 원효의 전설이 가득한 천성산 원효암이 암자중 으뜸


2009/06/16 - (경남여행/양산여행)천성산 내원사, 여승들이 수행하는 비구니 사찰인 천성산 내원사


2008/10/01 - (경남여행/양산여행)통도사 자장암 여행.금와보살이 산다는 통도사 자장암 찾아가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북여행/경산여행)삼성현역사문화공원 삼성현역사문화관. 경산시 남산면 삼성현 역사문화공원의 삼성현역사문화관에서 원효, 설총, 일연을 만나다. 2편


경산시 남산면 삼성현역사문화공원내 삼성현역사문화관에 원효와 설총, 일연 세 성현의 자료를 전시중입니다. 또한 이분들을 배출했다하여 삼성현의 고장 경산이라 하며 전편에 원효대사에 대해 포스트를 했다면 후편에는 남은 두 성인인 설총과 일연선사을 포스트 하겠습니다. 설총은 원효대사와 요석공주 사이에 태어났습니다.




 그리고 보면 외조부는 태종무열왕인 김춘추이며 친할아버지는 나마 담날입니다. 정확한 출생은 알 수 없으며 654~661년 사이로 보고 있습니다. 설총은 신라 10현의 한사람이며 강수와 최치원이 함께 신라 3문장으로 꼽으며 경주설씨와 순창설씨 중시조로 알려졌습니다.

 설총은 경전과 역사에 고루 뛰어나 후대의 학자들은 유학의 종주로 받들고 또한, 이두를 집대성하였습니다. 현재 전하는 저서는 ‘화왕계’와 ‘감산사석조미륵보살입상조상기’가 있습니다. 요석공주가 설총을 임신한 사연이 있는데 ‘몰가부’ 설화라 합니다.

 요석공주는 김춘추의 둘째 딸로 과부가 되어 요석궁에 머물렀습니다. 그럼 원효와 요석공주는 과연 어떤 사이일까요. 원효는 의상과 함께 당나라 유학길에 올랐다가 해골바가지에 담긴 물을 마시고 “모든 게 마음먹기에 달렸다”며 ‘일체유심조’의 진리를 깨닫고 유학을 포기하고 노래로서 민중 속을 파고들어 불법을 전파합니다.

 

 

 

 

 “누가 자루 빠진 도끼를 허락하려느냐, 내가 하늘을 받치는 기둥을 다듬고자 하는데”하며 노래하고 다녔지만 아무도 원효의 노랫말을 이해 못했습니다. 그러나 현인은 현인을 알아본다고 태종무열왕이 원효의 노래를 듣고는 “자기한테 여자를 주면 뛰어난 현자를 낳게 하겠다”라는 말이구나 생각하고 요석공주와 맺어줄 요령으로 원효를 궁으로 불렀습니다.

 

 

 

 원효는 그 소식을 듣고 궁궐로 향했으며 문천교를 건너다 그만 발을 헛디뎌 물에 빠지면서 온몸이 젖었습니다. 태종무열왕은 원효를 요석궁에 머물게 하고 옷을 말리게 했는데 그날 밤 요석공주와 하룻밤을 보내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요석공주는 원효의 고향인 경산에서 설총을 낳고 구룡산 아래 반룡사에서 설총과 함께 머물렀으며 김춘추는 공주와 외손자인 설총이 보고 싶어 자주 구룡산 고개를 넘어 반룡사를 찾았습니다. 지금도 그 고개를 태종무열왕이 넘었던 고개라는 뜻인 왕재라 부르고 있습니다.

 

 

 설총은 아버지 원효가 입적하자 아버지 유해로 소상을 만들어 분황사에 모시고 매우 슬퍼하였더니 원효의 소상이 설총을 돌아보았다는 기록이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신라에서는 불교를 국교로 채택했다면 통일신라로 들면서 전제왕권을 강화하는 유교 이념을 더 강하게 받아들여 유학의 기풍이 조성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한자로 우리말을 표현하려고 하였습니다. 이두는 한자의 음과 훈인 소리와 뜻을 새겨 우리말로 적은 것을 말합니다. 이때에 설총은 유교경전을 우리말로 풀이하여 가르쳤고 고려 중기까지 사용하였습니다. 설총의 이두는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전까지 사용되었을 정도로 우리 생활에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설총이 남긴 이두의 흔적은 감산사아미타여래상과 석조미륵보살입상 광배에 조상기가 쓰여 있습니다. 이는 1916년 일본인 학자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는데 그 명문을 설총이 쓰고 승려였던 경융과 김취원이 새겼습니다.

 

 

 

 명문의 내용을 보면 “719년 성덕왕 18년에 6두품 출신 김지성이 국왕과 정치실력자였던 개원 부모 와 가족의 명복을 빌며 감산사를 창건했다는 유래와 김지성의 행적 등이 담겨 있다“는 내용입니다.

 

 

 

 

 

 남악서원은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12호로 680년경에 세워졌다 합니다. 신라의 김유신이 꿈속에서 신령이 나타나 삼국통일 위업의 가르침을 받았던 곳이라 전하는 곳으로 1919년 지역 유림에 의해 중건하였습니다. 경주의 서악서원을 보고 남악서원이라 하였으며 설총, 김유신, 최치원의 위패가 함께 모셔져 있습니다.

 

 

 

 설총이 남겼다는 화왕계는 우화적 단편 산문으로 제목도 없이 ‘삼국사기’에 실려있습니다. ‘풍왕서’라는 이름으로 ‘동문선’에도 수록되었는데 후대에 와서 ‘화왕계’라 불렀습니다. 한문으로 쓰였으며 내용을 보면 신라 신문왕이 울적한 심사를 풀 수 있는 이야기를 해달라고 하자 설총이 들려주었는데 향락을 멀리하고 도덕을 엄격히 할 것을 우화를 통해 당부한 것으로 신문왕은 글로 남겨 후세의 임금에게 경계토록 했습니다.

 

 

 

 

 

 

 

 일연(1206~1289)은 회연과 함께 자이며 호는 목암입니다. 1283년 국존으로 추대되고 원경충조의호를 받았으며 시호는 보각으로 고려 후기의 고승이자 국사입니다. 일연의 어머니는 자신의 배에 밝은 해가 비추는 꿈을 꾸고 일연을 낳았습니다.

 

 

 

 일연이 출가하여 호를 목암이라 지은 것은 어머니를 봉양한 중국의 승려 목주 진존숙의 효심에 감명받아지었습니다 훗날 일연도 국존에서 물러나 어머니를 봉양하였으며 삼국유사에는 ‘효선’편을 따라 묶어 소개하고 효행을 중시하였습니다.

 

 일연이 삼국유사를 집필했다는 사실은 모두 알고 있습니다. 그럼 일연의 행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연은 1214년에 9살 때 광주광역시 무량사에서 수학하다 1219년 설악산 진전사에서 출가하여 승려가 됩니다. 대구, 청도, 남해, 군위 등의 사찰에서 승려생활을 했습니다.

 

 

 

 

 

 화도의 선월사, 대구 용천사 인흥사, 포항 오어사, 청도운문사, 군위 인각사에서 주석하며 100여 권의 저서를 남겼지만 ‘삼국유사’와 ‘중편조동오위’ 등이 전합니다. 일연은 인흥사에 주석하면서 삼국유사 집필를 시작하였고 운문사를 거친 뒤 인각사에서 완성했습니다.

 

 

 

 

 

 

 

 

 군위 인각사에는 현재 일연선사의 많은 행적과 부도 등이 남아 있습니다. 삼국유사는 고려 충렬왕 때 신라. 고구려, 백제 3국의 중요한 사건을 모아 지은 역사서로 5권2책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현재 고려시대 목판 인쇄본은 남아 있지 않으며 조선 초기 인쇄한 듯 한 탁본만 전하는데 1512년 경주에서 간행된 임신본의 발문에는 책판이 남아 있었으나 마모가 심해서 완본을 구해 다시 간행했습니다.

 

 

 

 

 경상북도 경산시 남산면의 삼성현역사문화공원의 삼성현역사문화관에는 원효대사의 일대기는 물론이며 설총과 일연스님의 행적을 알 수 있으며 그분들의 삶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누구나 설총, 일연을 알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경산여행에서 삼성현 원효, 설총, 일연을 만나보세요.

 

 

 

 

 

 

 

 

 

 

 

 

 

 

 

 

 

 

 

 

 

 

 

#삼성현역사문화공원 이용안내

★삼성현역사문화공원 관람시간:09:00~18:00

★삼성현역사문화공원 휴관일:매주 월요일, 1월1일, 설, 추석, 시설점검 및 수리기간 등

★삼성현역사문화공원 관람료:일반 2,000원, 청소년 및 군인 1,500원, 어린이 1,000원

경산시민 신분증 지참시 무료관람.

★삼성현역사문화공원 주소:경상북도 경산시 남산면 상대로 883-30

★삼성현역사문화공원 전화:053-804-7319




2016/02/03 - (경북여행/경산여행)삼성현역사문화공원과 삼성현역사문화관. 삼성현 역사문화공원 문화관에서 원효, 설총, 일연을 만나다. 1편


2016/01/23 - (경북여행/경산여행)경산 삼성산 산행. 원효, 설총, 일연선사의 고장 삼성현. 경산 삼성산 최고의 수질을 자랑하는 상대온천에서 온천산행 추천.


2015/11/11 - (경북여행/경산와촌여행)불굴사와 홍주암. 팔공산 갓바위와 부부라는 불굴사 약사불괴 원효와 김유신의 수도처 홍주암을 여행하다.


2015/11/07 - (경북여행/경산여행)팔공산 관봉 용주암. 불교예술품의 전시장 같은 팔공산 관봉 용주암.


2015/11/04 - (경북여행/경산여행)팔공산 끝자락 명마산 장군바위. 자연이 만들었다하기에는 정말 신기한 토르현상 3층 석탑 명마산 장군바위에 깜짝 놀라다.


2015/09/24 - (경북여행/칠곡여행)칠곡 가산 가산산성, 가을 산행 최적의 코스, 가산산성 성곽 길을 걸어보세요.


2015/04/05 - (대구여행/가창여행) 최정산 운흥사. 보물 제1814호 ‘운흥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최정산 운흥사 여행.


2015/02/20 - (대구여행/팔공산 케이블카)대구 팔공산 케이블카. 팔공산 산행이 아닌 여행으로 케이블카를 타 보았습니다.


2015/01/10 - (대구여행/대구중구근대골목투어) 이상화·서상돈 고택 찾아가기. 대구 중구 근대 골목 이상화 서상돈 고택을 만나고 왔습니다.


2014/07/04 - (대구여행/경산여행)팔공산 갓바위 관봉석조여래좌상. 한가지 소원은 꼭 들어준다는 갓바위 부처님을 만나다.갓바위


2014/05/31 - (대구맛집/팔공산 동화사맛집)자연산 송이로 맛을 내는 6천원 순두부백반 너무 맛있어요. 팔공산 동화사, 갓바위 맛집 산골기사식당


2013/11/06 - (경북여행/경산여행)팔공산 갓바위(관봉). 한가지 소원은 꼭 이루어 준다는 팔공산 관봉 산행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북여행/포항여행)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200만년전 땅속의 불기둥이 굳어져 독특한 모습의 돌기둥으로 변한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여행


동해 7번 국도를 따라가면서 달전리 주상절리를 여러 번 찾겠다고 시도했지만, 지금까지는 실패했습니다. 그러다 최근에 청하면 월포해수욕장 쪽에 출장이 있어 돌아오면서 달전리 주상절리를 꼭 가봐야겠다며 찾아갔습니다. 출장 또 생각보다 일찍 끝났고 하여 조금 거리가 멀어도 별 무리가 없다고 생각했는데 웬걸, 포항 외곽도로인 7번국도 바로 옆 볼때기에 붙은 것을 알고 정말 허탈했습니다.




 출장 갔다 부산으로 돌아가는 시간이 항상 빠듯하여 달전리 주상절리가 7번 국도에서 멀리 떨어졌다고만 생각하고 미리 포기하곤 했습니다. 이리 바로 도로 옆에 붙었다는 것을 진즉에 알았다면 벌써 구경했을 것을 생각하니 조금은 억울했습니다. 그래도 지금이라도 달전리 주상절리를 찾아와서 다행이라 생각하고 감사하게 생각하며 달전리 주상절리 구경을 했습니다.

 주상절리하면 필자도 여러 곳을 다녔습니다. 고성 상족암, 경주 양남면 주상절리, 포항 구룡포 주상절리, 제주도 등 모두 하나같이 바다를 끼고 있는 해안가였습니다. 그런데 달전리 주상절리는 바닷가가 아닌 깊숙한 내륙의 산악지대라 더욱 신기했습니다. 과연 이곳에서 주상절리를 볼까 기대 반 우려 반 했는데 좁은 길을 따라 7번 국도 굴다리를 지났더니 주상절리 안내판이 진짜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작은 다리를 건넜더니 주상절리 이정표와 함께 눈앞 산비탈에 움푹 팬 곳이 보였습니다. 무엇인지 모르겠지만 기다란 모양의 쫄 때 같은 게 흙 위에 놓여 있었습니다. 그리고 보니까 꼭 큰 기와집의 지붕을 보는 듯했습니다. 궁금해서 가까이 가보기로 하고 오른쪽 농로를 따라 대나무 숲을 지났더니 바로 달전리 주상절리 아래였습니다.

 

 달전리 주상절리는 천연기념물 제415호라는 이름이 무색할 정도로 관리 상태가 엉망이었습니다. 아니 안내판만 덜그렁 세워져 있고 관리 부재를 여실히 보여주는 듯 굴러떨어진 돌이 여기저기서 나뒹굴었습니다. 곧 무너질 듯 위태로운 모습인데 하루빨리 땅 주인과 보상문제가 마무리되어 더 이상의 파손은 없어야겠습니다.

 

 참 우연히 달전리 주상절리가 발견되었는데 포스코건설이 채석장 허가를 받아 돌을 캐다 발견했다 합니다. 그러니까 땅속에 묻혀 있던 것을 우연히 찾아내게 된 것입니다. 이런 걸 두고 흙속에 진주를 찾았다하는가 봅니다.

 저는 뭐 지질학자도 아니고 해서 잘은 모르지만, 안내판을 보면 주상절리는 “암석이 규칙적으로 갈라져 기둥 모양을 이룬 것으로 지각변동·습곡작용·풍화작용·지표침식에 의해 압력의 변화가 생길 때 마그마가 지표 암석의 갈라진 틈을 뚫고 들어오면서 형성된 것이다.”라 합니다.

 

 

 

 달전리 주상절리를 보면 5각형 또는 6각형의 감람석 현무암 돌기둥이 여러 개 이어져 있으며 신생대 제3기인 약 200만 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국내 다른 지역의 주상절리는 제4기인 30만 년 전에 형성된 것을 생각하면 아둔한 필자지만 국내에서는 엄청나게 귀한 지질구조라 여겨집니다.

 그리고 달전리 주상절리는 발달한 상태도 양호하고 절리의 방향이 특이해 지형·지질학적으로 매우 가치가 높다하겠습니다. 달전리 주상절리의 규모를 보면 높이가 20m이며 폭은 약 100m로 멀리서 보면 꼭 병풍을 펼쳐놓은 모습입니다. 포항 외곽 7번 국도를 따라 흥해 방향으로 올라갈 때 잠시 차를 세우고 특이한 모습의 달전리 주상절리를 만나보세요.

 

 #포항달전리주상절리 정보안내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문화재 지정:천연기념물 제415호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형성 연대:신생대 제3기말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면적:32,651㎡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문화재 지정일:2000년 4월24일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주소:경북 포항시 남구 연일읍 달전리 산 19-3번지 일원




2015/04/13 - (경북여행/영덕여행) 해맞이 공원 창포말 등대. 독특하게 대게모양인 영덕 해맞이 공원 창포말 등대


2015/04/09 - (경북여행/포항여행)포항시외버스터미널 버스 시간표. 포항 시외버스터미널 버스 시간표와 버스 요금입니다.


2015/01/06 - (경북여행/경주여행) 양북면 함월산 기림사 여행. 경주의 천년사찰 왕의 길 기림사를 만나다.


2014/12/21 - (포항여행/구룡포여행)구룡포항 구룡포근대문화역사거리-2. 구룡포 공원과 일본가옥인 구룡포근대문화역사거리를 여행하세요.


2014/12/10 - (경북여행/포항구룡포여행)호미지맥 응암산 박바위~명월산 산행. 호랑이 꼬리 호미곶 응암산 박바위~명월산 산행.


2014/12/08 - (경북여행/포항구룡포여행)구룡포 근대문화역사거리. 완벽한 일본 거리로 바뀐 구룡포 근대문화역사거리 탐방-1


2014/11/03 - (경북여행/포항여행)구룡포 삼정리 주상절리. 호미곶 가는 길에 있는 구룡포해수욕장 옆에 구룡포 삼정리 주상절리가 있습니다.


2013/08/20 - (경북여행/포항여행) 내연산 12폭포. 금강산도 부럽지 않은 소금강 내연산 보경사 산행.


2012/11/25 - (포항여행)요즘 문화재는포크레인으로 발굴 작업. 온전하게 유물이 남아 있을지 의문-비학산 법광사지


2012/11/18 - (경북포항산행)비학산 산행.학이 알을 품어 하늘을 나는 형상인 '학포지란'인 천하명당 포항 비학산 산행


2008/11/22 - (경북여행/포항여행)죽장 두마리 곰바위봉~베틀봉산행. 낙엽산행 이보다 좋을 수 없다. 포항 곰바위산~베틀봉


2008/11/09 - (경북여행/포항여행)포항 죽장 베틀봉~면봉산 산행. 포항에서 제일 높은 산입니다 .죽장 베틀봉~면봉산


2008/07/18 - (경북여행/포항여행) 포항 동대산~바데산 산행. 적막강산의 청정계곡 옥계계곡과 경방골 호박소 비경-


2014/11/01 - (포항맛집/구룡포맛집)호미곶맛집 창우물회대게. 한번 빠지면 헤어나지 못하는 포항물회를 마약물회라 하는 이유는??? 창우물회대게.


2012/11/12 - (경북맛집/포항맛집)한우로 만들어 국물이 끝내준다는 추억의 쇠고기 국밥 포항시외버스터미널 궁물촌


2013/08/10 - (경북맛집/포항맛집/흥해맛집)흥해 다원회센타.포항에서 꼭 먹고 와야 한다는 포항 물회 다원회센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북여행/경산여행)삼성현역사문화공원과 삼성현역사문화관. 삼성현 역사문화공원 문화관에서 원효, 설총, 일연을 만나다. 1편


경상북도 경산시 남산면에는 3명의 성인이 나왔다는 삼성산이 있습니다. 산이 어마어마 하게 높은가요. 아니면 국립공원같이 빼어난 진경산수를 자랑하느냐고요. 모두 다 아닌 그저 고향 동네 뒷산 같은 500m대의 아담하고 고향 누이 같은 수더분한 그저 평범한 산입니다.



 


 그런데 이런 평범한 산에 성인으로 일컫는 분이 그것도 한 명도 아닌 3명이 나왔다하니 도대체 어떤 분인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 궁금증을 풀려고 삼성산 산행과 상대 온천을 함께하면서 들렀던 ‘삼성현역사문화원’. 일명 ‘삼성현역사문화공원’으로 부릅니다.

 그럼 세 명의 성인은 어떤 분인지 정말 궁금합니다. 그럼 한분 한분 만나보겠습니다. 신라시대 고승으로 의상과 쌍벽을 이루었던 원효대사, 그리고 원효와 요석공주와의 사이에 태어난 설총, 삼국유사를 저술한 고려 말 승려 일연스님입니다. 경산시는 이 세 분이 태어난 고장이라 하여 삼성현으로 부릅니다. 그래서 ‘삼성현의 고장 경산’입니다.

 

 삼성현역사문화공원은 2011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2015년 4월에 삼성현역사문화공원과 원효, 설총, 일연의 자료와 역사물을 수집하고 전시한 삼성현역사문화관을 완공했습니다. 삼성현역사문화공원을 “한국정신사의 뿌리이자 민족문화의 첫 새벽 원효, 유교를 우리화한 민족문화의 기둥 설총, 민족의 역사관을 정립한 민족문화의 스토리텔러 일연의 정신을 일깨우고, 민족문화를 꽃피운 삼성현의 가치와 의미를 체험하는 곳”이라 삼성현역사문화공원 김해경 관장은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삼성현역사문화공원은 공원이란 이름답게 가족과 함께 뛰어놀고 휴식하게끔 여러 가지 놀이 시설인 미로원, 산책로, 공연장, 바닥분수, 국궁장, 인라인스케이트장, 이야기정원등 힐링하고 즐기는 여러 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삼성역사문화관 관람은 공원은 입장료가 없지만, 문화관은 관람료가 있습니다. 단 경산시민은 신분증 지참시에 무료입장입니다.

 

 

 

 최근에 완공되어 그런지 조금은 황량한 느낌이지만 식재한 나무 등 모든 시설물이 제자리를 찾는다면 경산에서 가장 멋진 역사문화공원이 탄생할 것 같습니다. 그럼 원효, 설총, 일연 세 성인을 만나보기 위해 삼성현역사문화관으로 들어갑니다. 입구에는 자동매표기도 설치되어 편리하게 이용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1층에는 온가족실, 기획전시실, 영상실이 있으며 때마침 ‘2015 라이벌 시리즈’ 1탄 일연과 김부식의 특별 기획 전시인가 진행중이었습니다. 그리고 2층에는 원효, 설총, 일연의 상설 전시실로 꾸며져 있으며 이번 포스트는 원효 전시실입니다. 원효(617~686)의 속성은 설(薛)씨며 법명은 원효이며 아명은 설서당, 설신당입니다.

 

 

 

 

 

 

 

 전시실을 들어서면 먼저 원효의 탄생과 출가 “첫 새벽을 열다.”로 원효의 삶을 소개합니다. 원효는 경상북도 압량인 지금의 경산시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머니 조씨는 유성이 품속에 드는 꿈을 꾸고 원효를 임신하고 만삭이 된 몸으로 집 옆 밤나무가 많은 골짜기인 율곡을 지나다가 갑자기 산통을 느껴 큰 밤나무 밑에서 원효를 낳았습니다.

 

 



 

 

 

 

 그리고 이 나무를 사리수라 불렀으며, 사리수의 밤은 다른 밤나무보다 훨씬 커서 사리밤이라고 불렀습니다. 원효의 밤나무밭 출생을 만화로 그려 티브이로 보여주는데 아이가 엄청나게 좋아할 것 같습니다. 머리에 속속 들어오게끔 그려져 있습니다. 원효는 화랑으로 활동하다 15세에 어머니의 죽음에 충격받아 출가합니다.

 

 

 

 

 

 

 

 그리고 “깨달음을 얻다” 편에서는 661년 문무왕 1년에 의상과 유학길에 당항성(남양)을 지나다 해골바가지에 든 물을 맛있게 마신 뒤 “마음이 생기면 온갖 법이 생기고 마음이 사라지면 동굴과 무덤이 다르지 않다.”는 ‘일체유심조’의 진리를 깨달아 유학길을 포기하였습니다. 그리고 경주 분황사에 주석하며 통불교를 제창하고 백성을 찾아다니며 불교 포교에 진력하면서 대승불교를 꽃피우게 됩니다.

 

 

 

 

 

 

 

 

 원효는 태종무열왕의 딸인 요석공주와의 사이에서 설총이 태어납니다. 원효는 파계하여 자신을 소성거사라 칭하며 거리에서 ‘무애가’를 부르고 춤을 추었던 원효의 이야기를 소개하고 불교학자로서의 원효를 소개합니다. 지금 전하고 있는 원효대사의 저술은 20부 22권이며 그 외 전하지 않는 것까지 포함하면 80부에 150여권임을 삼성현역사문화관에서 알 수 있습니다.

 

 

 

 원효의 저서로는 ‘십문화쟁론’ ‘열반종요’ ‘대승기신론소’ ‘금강삼매경’ 등이 있습니다. 원효대사는 지금의 경주시 양북면 골굴사에서 입적하였으며 고려 숙종은 그에게 대성화정국사의 시호를 내렸습니다. 그리고 “대승을 기리다”에서 원효는 우리나라뿐만 아닌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의 여러 인물이 원효의 회고와 대승을 기리는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원효스님의 큰 뜻과 업적을 어찌 미려한 중생이 짧은 글로 모두 알리겠습니까. 삼성현역사문화관의 원효실은 1300년의 시공을 뛰어넘은 당시 원효대사를 그린 전시실입니다. 많은 역사적 서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원효대사의 행적을 그려 많은 공부를 필자는 하였습니다. 경산여행에서 볼만한 여행지 삼성현역사문화공원 꼭 추천합니다. 다음 포스트는 설총과 일연편입니다.

 ◆삼성현역사문화공관의 원효실 사진으로 만나기

 

 

 

 

 

 

 

 

 

 

 

 

 

 

 

 

 

 

 

 

 

 

 

 

 

 

 

 

 

 

 

 

 

 

 #삼성현역사문화공원 이용안내

★삼성현역사문화공원 관람시간:09:00~18:00

삼성현역사문화공원 휴관일:매주 월요일, 1월1일, 설, 추석, 시설점검 및 수리기간 등

삼성현역사문화공원 관람료:일반 2,000원, 청소년 및 군인 1,500원, 어린이 1,000원

경산시민 신분증 지참시 무료관람.

삼성현역사문화공원 주소:경상북도 경산시 남산면 상대로 883-30

삼성현역사문화공원 전화:053-804-7319





2016/01/23 - (경북여행/경산여행)경산 삼성산 산행. 원효, 설총, 일연선사의 고장 삼성현. 경산 삼성산 최고의 수질을 자랑하는 상대온천에서 온천산행 추천.


2015/11/11 - (경북여행/경산와촌여행)불굴사와 홍주암. 팔공산 갓바위와 부부라는 불굴사 약사불괴 원효와 김유신의 수도처 홍주암을 여행하다.


2015/11/07 - (경북여행/경산여행)팔공산 관봉 용주암. 불교예술품의 전시장 같은 팔공산 관봉 용주암.


2015/11/04 - (경북여행/경산여행)팔공산 끝자락 명마산 장군바위. 자연이 만들었다하기에는 정말 신기한 토르현상 3층 석탑 명마산 장군바위에 깜짝 놀라다.


2014/07/04 - (대구여행/경산여행)팔공산 갓바위 관봉석조여래좌상. 한가지 소원은 꼭 들어준다는 갓바위 부처님을 만나다.갓바위


2013/11/06 - (경북여행/경산여행)팔공산 갓바위(관봉). 한가지 소원은 꼭 이루어 준다는 팔공산 관봉 산행


2014/02/01 - (경북맛집/경산맛집)갓바위 맛집 곤드레 돌솥약손밥. 곤드레 만드레 약초에 취해 버렸서 곤드레돌솥약손밥.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남여행/고성여행)영화 '히말라야'로 인기인 거류산 엄홍길 전시관. 히말라야 16좌 완등, 고성 거류산의 '히말라야의 탱크' 엄홍길 전시관 여행. 


2015년 말과 2016년을 맞이하면서 인기를 끌고 있는 산악 영화가 있습니다. ‘히말라야’로 후배의 죽음을 찾아가는 산사나이의 끈끈한 우정을 그린 영화로 실제 대구 산악인 박무택의 시신을 수습하기 위해 꾸려진 휴먼원정대였습니다. 




 히말라야 14좌 완등으로 아시아권에서는 처음이자 세계 8번째 등정자인 엄홍길 대장과 휴먼원정대 대원의 험난했던 ‘2005 한국 초모랑마 원정대’는 정상이 아닌 박무택의 죽음이 있는 해발 약 8,700m가 목표였습니다.

 세계 등반사상 유래가 없는 시신 수습원정대는 박무택 대장의 죽음을 수습하여 초모랑마 능선에 안장함으로써 휴먼원정대의 대장정은 마무리되었으며 다시 히말라야란 영화로 재탄생하여 산악인뿐만 아닌 일반 시민에게도 큰 감동을 준 산악영화였습니다.

 영화 히말라야와 함께 더욱 주목을 받는 곳이 경상남도 고성군 거류면의 엄홍길 전시관입니다. 저 또한 히말라야 영화와 산악인이자 작가인 심산의 ‘히말라야의 눈물’을 읽고 다시금 고성의 진산이자 한국의 마터호른으로 불리는 거류산 산행을 하면서 엄홍길 기념관도 다녀왔습니다.

 

 히말라야 영화와 함께 더욱 많은 방문객이 엄홍길 전시관을 찾는다는 뉴스도 접하였는데 엄홍길 하면, 산악인이 아니라도 아마 모르시는 분이 없습니다. 원래 엄홍길은 경남 고성군 영현면에서 태어나 세 살 때 부모님 손에 이끌려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속칭 원도봉산 골짜기에서 자랐습니다.

 

 

 부모님이 이곳에서 등산객을 상대로 매점을 운영한 덕택에 어린 엄홍길은 도봉산이 놀이터가 되었습니다. 이때부터 엄홍길의 인생항로는 ‘세계적인 산악인’으로 정해진 것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코흘리개 꼬마가 50대 후반을 훨씬 넘긴 장년이 되어도 어릴 적부터 살았던 도봉산을 떠나지 못하고 있는 것을 보면 역시 타고난 산 꾼임이 틀림없습니다.

 

 저는 16좌를 막 완등하고 귀국한 엄홍길 대장과 2007년 8월에 원도봉산 포대 능선을 함께 산행했던 적이 있습니다. 그 당시 엄홍길 대장은 도봉산이 자신을 키운 스승이라며 그래서 도봉산을 떠나지 못한다 하였습니다.

 

 현재 고성의 엄홍길 전시관은 산악인 엄홍길의 일생과 1985년부터 23년 동안 히말라야 16좌를 완등하기까지 그 힘들었던 과정을 하나하나 전시하고 있습니다. 오늘을 살아가는 젊은이에게 꿈과 희망, 용기와 “할 수 있다”는 도전 정신을 일깨워 주는 공간이자 진취적인 기상을 꿈꾸는 요즘 세대에게 산사나이 엄홍길 대장의 기운이 꼭 필요합니다. 그때문인지 가족 관람객도 많이 보였습니다.

 

 엄홍길 전시관은 약 337평에 2007년 10월27일 개관했습니다. 1층 건물인 전시공간에는 먼저 프롤로그, 산사나이 엄홍길, 신의 영역 히말라야, 16좌 완등의 신화, 함께 가는 히말라야, 에필로그로 꾸며져 있습니다.

 

 

 엄홍길 전시관의 전시품은 히말라야 등반에서 실제 사용했던 텐트와 등산복 그리고 산소마스크 등이 실감나게 전시중입니다. 산신의 허락이 있어야만 정상에 오를 수 있다는 “죽음의 지대”, 8000m 16좌 등정 과정을 하나하나 만나보세요.

 

 

 또한, 뉴질랜드 출신인 에드먼드 힐러리의 “산이 거기 있어 산에 오른다”는 명언은 누구나 산악인 사이에서 한 번씩 내뱉는 이야기입니다. “왜 산에 가나”하는 물음에 “산이 거기 있어 산에 오른다“는 명쾌한 답변처럼 단지 산이 거기 있어 산에 오른다는 히말라야 탱크 엄홍길, 경남 고성 엄홍길 전시관에서 거류산 산행과 함께 만나보세요.

 

 

 

 ☞엄홍길대장의 히말라야 16좌 등정 기록

1988년 에베레스트(8,848m), 1993년 초오유(8,201m), 1993년 시샤팡마(8,027m), 1995년 마칼루(8,463m), 1995년 브로드피크(8,047m), 1995년 로체(8,516m), 1996년 다울라기리(8,167m), 1996년 마나슬루(8,163m), 1997년 가셔브롬Ⅰ(8,068m) 1997년 가셔브롬Ⅱ(8,035m), 1999년 안나푸르나(8,091m), 1999년 낭가파르바트(8,125m), 2000년 칸첸중가(8,586m), 2000년 K2(8,611m), 2004년 얄룽캉(8,505m) 2007년 로체사르(8,383m) 

 

 

 

 

 #엄홍길전시관 #고성여행 #거류산 #히말라야16좌 #영화히말라야 

#엄홍길대장 #여행 

 

 

 

 

 

엄홍길 전시관 개관 정보

엄홍길 전시관

엄홍길 전시관 주소: 경남 고성군 거류면 거류로 336

엄홍길 전시관 문의전화:055-673-2296

엄홍길 전시관 관람시간:하절기오전9시~오후 6시, 동절기 오전9시~오후5시

엄홍길 전시관 휴관일:매주 월요일

엄홍길 전시관 관람료:무료

엄홍길 전시관 홈페이지:http://umhonggil.goseong.go.kr/index.goseong


 

 '2005 한국 초모랑마 원정대'의 기록 심산작가의 '히말라야 눈물"(사진은 책일부를 캡쳐했습니다.)

 

 

 

2007년 8월 취재당시 필자가 찍었던 엄홍길 대장, 원본 파일을 찾을수 없었습니다.  




2016/01/16 - (경남여행/고성여행)거류산 거류산성. 한국의 마터호른 거류산에 쌓은 포곡식 산성인 거류산성을 산행과 함께 여행했습니다.


2015/10/20 - (경남여행/고성여행)영오면 선유산 산행. 선녀와 나무꾼 전설을 쫓아간 고성 선유산 산행.


2015/08/24 - (경남여행/고성여행)동해면 구절산 폭포암. 고성에 유일한 폭포 구절폭포와 함께 구절암 흔들바위도 만나보세요.


2015/02/15 - (경남여행/고성여행)고성 천왕산 산행. 고성만 전망대 천왕산을 오르다.


2014/05/26 - (경남여행/고성여행)남해안 3대 기도도량 고성 무이산 문수암을 찾아가다. 고성 문수암


2014/04/29 - (경남여행/고성여행)고성 상족암. 인디아나 존스의 한장면이 연상되는 고성 상족암과 공룡발자국 화석. 뭐하고 닮았나?


2013/12/26 - (경남여행/고성여행)고성의 산 좌이산. 공룡의 나라에 딱 맞는 와룡산 왼쪽귀 좌이산 산행 조망이 끝내줘요.


2008/10/24 - (경남여행/고성여행)고성 적삭산 산행. 기암괴석 바위전망대로 편편한 바위를 쌓아 올렸다는 積石山


2014/01/07 - (경남맛집/고성맛집)고성시장맛집 서울복집. 식초대신 레몬으로 복어 독을 해독한다는 특별난 맛집 서울복집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남여행/고성여행)거류산 거류산성. 한국의 마터호른 거류산에 쌓은 포곡식 산성인 거류산성을 산행과 함께 여행했습니다. 


경남 고성군 고성읍에서 동쪽을 보면 유독 뾰쪽한 봉우리를 한 산이 있습니다. 거류산으로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불렸는데 소가야 때는 태조산으로 불렸으며 조선 초기에는 거리산, 조선말에는 거류산으로 불렸습니다.




 또한, 거류산에는 산 이름과 산세에 맞게 그에 걸맞은 전설이 있습니다. 아주 오랜 옛날 부엌에서 밥을 짓던 아낙이 정지문 밖을 보니 산이 움직이는 것을 보고 깜짝 놀라 “산이 걸어간다”하며 고함을 쳤더니 그 자리에 걸음을 멈추었고 걸어가던 산이 멈추었다하여 ‘걸이산’이라 불렸습니다.

 그러다 거리산으로 다시 거류산으로 바뀌게 되었다는 이야기. 거류산의 험한 산세를 설명해주는 단적인 예가 있습니다. 스위스 알프스 3대 북벽 중 한 곳인 마터호른과 흡사하여 고성의 마터호른으로 불리고 있을 정도로 고성평야에서 불끈 솟아 있습니다.

 거류산 정상부에는 천혜의 자연환경을 이용하여 만든 산성이 남아 있습니다. 산 이름을 따 거류 산성으로 부르는데 산성의 정확한 축성 연대는 알 수 없지만, 거류산이 소가야의 시조가 탄생했다는 설화와 함께 태조산이라 불렀다는 사실과 고성읍의 진산임을 고려한다면 가야시대 때 쌓은 산성으로 추정합니다.

 일부 복원된 #거류산성

 또한, 신라의 침공을 막기 위해 쌓은 산성으로 신라가 쳐들어오자 소가야 마지막 왕이 거류산성으로 피난했다는 이야기가 전하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습니다. 거류산성은 고려 말과 조선 초에 창궐했던 왜구와 삼별초를 막는 산성으로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었으며 남해의 전략적 요충지로 이순신장군의 당항포대첩에서도 제 역할을 했습니다.

 

 최근에 거류산성을 찾게 되었는데 정상 일부 구간은 당시의 모습으로 복원되어 있었습니다. 정상아래 서쪽 급사면에 쌓은 석성으로 주위의 바위 절벽과 계곡 등 자연지형을 그대로 이용하여 만든 포곡식산성입니다.

 

 현재 정확한 산성의 규모는 알 수 없지만 600m 정도 남아 있는 산성으로 추정을 해보면 둘레는 약 1.4km쯤 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높이 약 3m, 폭은 4m이며 성안에 우물과 남쪽과 서쪽에 두 개의 성문의 흔적이 있습니다.

거류산성은 경상남도고성군 거류면 거산리 거류산 정상부에 위치하며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90호 입니다. 

 

 




 

2015/10/20 - (경남여행/고성여행)영오면 선유산 산행. 선녀와 나무꾼 전설을 쫓아간 고성 선유산 산행.


2015/08/24 - (경남여행/고성여행)동해면 구절산 폭포암. 고성에 유일한 폭포 구절폭포와 함께 구절암 흔들바위도 만나보세요.


2015/02/15 - (경남여행/고성여행)고성 천왕산 산행. 고성만 전망대 천왕산을 오르다.


2014/05/26 - (경남여행/고성여행)남해안 3대 기도도량 고성 무이산 문수암을 찾아가다. 고성 문수암


2014/04/29 - (경남여행/고성여행)고성 상족암. 인디아나 존스의 한장면이 연상되는 고성 상족암과 공룡발자국 화석. 뭐하고 닮았나?


2013/12/26 - (경남여행/고성여행)고성의 산 좌이산. 공룡의 나라에 딱 맞는 와룡산 왼쪽귀 좌이산 산행 조망이 끝내줘요.


2008/10/24 - (경남여행/고성여행)고성 적삭산 산행. 기암괴석 바위전망대로 편편한 바위를 쌓아 올렸다는 積石山


2014/01/07 - (경남맛집/고성맛집)고성시장맛집 서울복집. 식초대신 레몬으로 복어 독을 해독한다는 특별난 맛집 서울복집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남여행/거제여행)거제 계룡산 김현령재와 일운면 망치마을 유래. 거제 현령의 선정으로 만들어낸 거제도의 독특한 여행지 계룡산 김현령재와 일운면 망치마을을 만나보세요. 


옛길을 더듬어 오르거나 오래된 마을을 찾다보면 마을입구에 오래된 선정비를 만나 곤합니다. 조정의 관리로 내려와 선정을 베풀고 마을의 인심을 얻고 타지로 떠난 분의 고마움을 후세에도 기리 남기기 위한 비석으로 오늘을 사는 우리는 그분들의 뜻을 새기며 선정비를 보고 많은 생각을 합니다.



 


 그러나 경남 거제시에는 조금은 특별한 이력이 있는 선정비가 있어 소개합니다. 선정비보다는 고마움을 표시하는 공덕비라 해야 하나요. ‘김현령 치비’로 마을 어귀에 있는 것이 아닌 거제시 고현읍 계룡산 오르는 초입에 세워져 있습니다.

 지금의 거제도는 완전 대도시의 모습에 버금갈 정도로 발전했습니다. 그러나 이런 발전된 거제시지만 조선소가 들어서기 이전에는 고기를 잡아 생활하는 한마디로 찢어지게 가난했던 섬입니다.

 1688년 조선 숙종시대로 올라가봅니다. 거제시 고현은 이름으로도 알 수 있듯이 현으로 고을의 수령을 현령이라 불렀습니다. 김대기공은 1688년 무진년에 숙종의 명을 받고 이곳의 현령으로 부임하였습니다.

 먼저 고을을 둘러보니 현의 형편은 말이 아니었고 북쪽에는 계룡산이 막혀 있어 고을 사람들의 통행이 이루 말할 수 없이 불편한 것을 알았습니다. 김대기공은 먼저 고을과 고을을 잇는 고갯길이 급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백성들이 편하게 넘어 다닐 길을 내어야 하겠다며 고을 백성과 함께 힘을 합해 계룡산을 넘는 고갯길을 뚫었습니다. 부임 6개월 만에 거제면으로 넘는 길을 닦아 완성했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뛸 듯이 기뻤지만, 그것도 잠시 때마침 고을에 전염병이 유행했는데 관찰사는 그 전염병이 길을 내는 부역으로 생겼다며 그 책임을 고을 현령에게 물어 파직을 시켰습니다.

 그런 후 고을의 백성은 오히려 현령의 고마움을 잊지 않기 위해 그 고갯길을 김현령재라 불렀습니다. 300년이 훨씬 지난 지금도 계룡산 언저리에는 김현령재란 이름의 고갯길이 남아 있습니다.

 마을을 넘는 기능은 잃었지만, 근대까지 마을을 연결하는 고갯길이었고 지금은 거제시민에게 계룡산을 오르는 등산길로 이용하고 그때 김대기공의 고마움을 잊지 않고 있습니다.



그리고 김대기공의 이야기는 거제시 일운면의 망치마을에도 있습니다. 망치하니까 못 박을 때 사용하는 쇠망치를 연상하는 데 그 뜻이 아니고 “바라보는 고개”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곳 북병산 정상에 올라보면 일운면의 전경이 그야말로 끝내줍니다. 그럼 망치마을의 유래를 보겠습니다. 고을 현령인 김대기공이 모든 임기를 마치고 고향인 충남 공주로 낙향하여 별세했으며 그의 둘째 아들인 김경원이 가족과 함께 거제도로 내려와 양지마을에 정착했습니다. 

그는 경양재를 짓고 후학 양성에 힘쓰다가 돌아가신 아버지가 보고 싶을 때 양지마을 뒷산인 북병산에 올랐습니다. 그리고 계룡산을 향해 아버지가 만든 고갯길을 보면서 아버지를 생각하였고 자신의 호 또한, 망치(望峙)라 했습니다.

그러니까 김현령재를 바라보는 고개란 뜻으로 생각되며 경원의 호인 망치를 따서 양지마을에서 망치마을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양지마을과 망치마을 모두 마을이 있습니다. 

#망치고개

#망치리




2016/01/13 - (경남여행/거제여행)계룡루와 고현성. 거제도 계룡산 언덕에 거제시청을 두른 고현읍성인 고현성을 여행하다.


2016/01/12 - (경남여행/거제시여행)계룡산에서 만나는 거제포로수용소 통신대 건물 잔해. 거제포로수용소 유적공원과 헌병대 막사 등 6.25 한국전쟁의 참상을 체험하세요.


2015/10/27 - (경남여행/거제도여행)외도 보타니아. 한국의 파라다이스, 환상속의 섬 외도 보타니아 여행.


2015/04/25 - (경남여행/거제여행)거제 명산 북병산 산행. 남해안 전망대 거제 11명산 북병산 산행기.


2015/03/26 - (경남여행/거제여행) 구조라해수욕장과 샛바람소릿길, 망치몽돌해변을 걸었습니다. 거제도 걷기여행.


2015/03/25 - (경남여행/거제여행)거제 학동 진석중가옥. 등록문화재 제277호 한식과 일식의 절충식 건물 거제학동 진석중가옥.


2015/03/24 - (경남여행/거제도여행)거제 우제봉 해금강. 해금강을 바라보는 최고의 전망대는 바로 여기 우제봉.


2015/03/23 - (거제여행/고현시외버스터미널시간표). 거제도여행에서 편리한 고현시외버스터미널 시내버스, 시외버스 시간표.


2015/03/21 - (부산 하단역~거제 연초 2000번 버스)부산 하단역~거제 연초 2000번 버스 시간표와 버스 요금표로 거제시 여행을 더욱 쉽게 할 수 있습니다.


2015/03/20 - (경남여행/거제여행)갈곶리 도장포 신선대. 해금강 바람의 언덕이 있는 거제 최고의 명소 신선대 둘러보기.


2015/03/19 - (경남여행/거제도여행)거제 해금강 바람의 언덕. 거제도 최고의 여행지로 통하는 바람의 언덕에서 바람 맞고 왔습니다.


2015/03/18 - (경남여행/거제여행)동부면 학동몽돌해수욕장. 조약돌로 불리는 몽돌이 깔려 있는 거제8경 학동몽돌해수욕장.학동몽돌해수욕장


2015/03/14 - (경남여행/거제여행)일운면 구조라진성. 왜적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한 쌓은 구조라 수정봉 구조라진성을 여행하고 왔습니다.


2013/03/18 - (경남여행/거제여행)봄을 기다리는 거제11명산중 꾀꼬리 같은 앵산 산행


2010/05/15 - (경남여행/거제여행)거제시 청마유치환 생가. 거제도 둔덕골 청마유치환님의 생가와 묘소 찾아가기


2010/05/13 - (경남여행/거제여행)거제 11명산 산방산. 청마 유치환선생이 걸어 간 산길을 따라 거제도 산방산오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남여행/거제여행)계룡루와 고현성. 거제도 계룡산 언덕에 거제시청을 두른 고현읍성인  고현성을 여행하다. 


제주도 다음으로 두 번째 큰 섬은 경상남도에 있는 거제도입니다. 부산과는 거가대교가 생겨 이제 이웃마을이 될 정도로 가깝고 또한, 하단에서 출발하는 좌석버스 2000번까지 있어 완전 부산 시내권역 같은 느낌이라 거제시 여행을 자주합니다.




 지난해 연말에 겨울 산행을 계룡산에서 보내고 우연히 알게 된 고현 성을 찾게 되었습니다. “고현에도 성이 있었네!” 하며 사실 거제도 특히 고현은 여러 번 찾았지만, 지금까지 성이 있었다는 것은 알 수 없었고 알지도 못했습니다.

 역사적으로 보면 조선시대 각 고을의 읍에는 읍성이 있었습니다. 이곳도 현령이 다스리는 고현읍으로 고현읍성이 있었던 것은 당연하겠고 특히 지리적으로 일본 대마도와 매우 가까워 왜구의 침입을 대비해 봉수대 등 전략적으로 꼭 있어야 했을 것으로 생각해봅니다.

 

 남해안의 섬은 고려시대와 조선 초기에 삼별초와 왜구의 침탈이 하도 심해 섬을 비우는 공도정책을 펼쳤습니다. 그중 거제도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그러다 1419년 조선시대 세종은 대마도정벌을 이종무에게 명하여 원래 신라에 속했던 대마도를 다시 찾게 하였습니다.

 

 왜구의 노략질이 잠잠해져 세종과 태종은 경상남도 진주와 거창군에 이주했던 옛 거제 현민을 다시 옮기게 합니다. 고현성은 세종 14년인 1432년부터 1663년 현종 4년까지 거제현의 관아로 사용되었는데 계룡산 언덕바지에 2km 길이의 돌을 평지에 쌓은 읍성입니다.

 성을 들어서는 입구인 세 개의 문에는 성문 입구를 방어하기위해 빙 둘러 쌓은 작은 성 형태인 옹성과 성벽에서 요(凹)자 모형으로 돌출시켜 쌓은 치와 성벽 주위로 연못을 파고 성을 보호하기 위한 해자가 있었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조선 전기 읍성의 구조를 보여주며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초창기 고현성은 높이가 13척에 둘레가 3,038척, 즉 높이 4m에 길이는 921m 규모입니다. 1663년 거제면에다 치소를 이전하면서 고현성은 폐허가 되었고 6·25 한국동란에는 연합군의 포로수용소가 들어서 고현성은 완전히 파괴되었습니다.

 

 

 현재 옛 고현성의 모습은 찾을 길이 없으며 거제시청의 담벼락 역할로 600m 길이의 성벽과 성문인 계룡 루만 복원되었습니다. 또한, 고현성은 2001년 12월 거제 시민공원으로 조성되어 거제시민의 휴식처가 되고 있습니다.

 

 

 

 고현성은 거제포로수용소 유적공원과 붙어 있습니다. 거제여행에서 포로수용소 유적공원을 관람하거나 계룡산 산행을 할 때 찾는다면 아주 괜찮은 여행지입니다.현재 고현성은 경상남도 기념물 제46호로 입니다. 

 

 #계룡루

 

 

 

 

 

 #고현성

★고현성 주소:경상남도 거제시 고현동 717

고현성 문의 전화:055-639-3226



2016/01/12 - (경남여행/거제시여행)계룡산에서 만나는 거제포로수용소 통신대 건물 잔해. 거제포로수용소 유적공원과 헌병대 막사 등 6.25 한국전쟁의 참상을 체험하세요.


2015/10/27 - (경남여행/거제도여행)외도 보타니아. 한국의 파라다이스, 환상속의 섬 외도 보타니아 여행.


2015/04/25 - (경남여행/거제여행)거제 명산 북병산 산행. 남해안 전망대 거제 11명산 북병산 산행기.


2015/03/26 - (경남여행/거제여행) 구조라해수욕장과 샛바람소릿길, 망치몽돌해변을 걸었습니다. 거제도 걷기여행.


2015/03/25 - (경남여행/거제여행)거제 학동 진석중가옥. 등록문화재 제277호 한식과 일식의 절충식 건물 거제학동 진석중가옥.


2015/03/24 - (경남여행/거제도여행)거제 우제봉 해금강. 해금강을 바라보는 최고의 전망대는 바로 여기 우제봉.


2015/03/20 - (경남여행/거제여행)갈곶리 도장포 신선대. 해금강 바람의 언덕이 있는 거제 최고의 명소 신선대 둘러보기.


2015/03/19 - (경남여행/거제도여행)거제 해금강 바람의 언덕. 거제도 최고의 여행지로 통하는 바람의 언덕에서 바람 맞고 왔습니다.


2015/03/18 - (경남여행/거제여행)동부면 학동몽돌해수욕장. 조약돌로 불리는 몽돌이 깔려 있는 거제8경 학동몽돌해수욕장.학동몽돌해수욕장


2015/03/14 - (경남여행/거제여행)일운면 구조라진성. 왜적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한 쌓은 구조라 수정봉 구조라진성을 여행하고 왔습니다.


2014/06/05 - (경남여행/거제도여행)거제도 최고의 숙박지 애드미럴호텔. 환상의 섬 거제도에 환상의 숙박지는 애드미럴호텔.


2013/12/03 - (경남여행/거제도여행)거제도 포로 수용소 유적공원, 끝나지 않은 분단의 역사 생생 체험 현장, 거제도포로수용소유적공원


2013/11/07 - (경남여행/거제도여행)거제해금강, 평생 한번은 꼭 가봐야 할 여행지 바다의 금강산 거제도 해금강.


2013/11/05 - (경남여행/거제도여행)거제섬꽃축제, 태양을 따른다는 꽃 해바라기가 국화과 거제섬꽃축제-2


2013/11/04 - (경남여행/거제도여행)거제섬꽃축제. 입이 벌어지는 1억 꽃송이 화려하게 가을을 불태우는 거제시 거제섬꽃축제-1


2014/02/05 - (경남맛집/거제도맛집)청마 유치환 생가 맛집 거제도굴구이. 정력에 좋아 카사노바도 매일 먹었다는 굴 거제도굴구이


2013/11/19 - (경남맛집/거제도맛집)해금강 맛집 소라횟집. 특별난 요리 방게찜과 얼큰한 우럭매운탕이 생각날때 외도 보타니아 맛집 소라횟집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남여행/거제시여행)계룡산에서 만나는 거제포로수용소 통신대 건물 잔해. 거제포로수용소 유적공원과 헌병대 막사 등 6.25 한국전쟁의 참상을 체험하세요. 

   지금 경상남도 거제시에는 독특한 건물이 남아 있습니다. 거제시는 모두 아는 것 같이 바다로 둘러싸인 섬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거가대교와 거제대교 등 육지와 연결된 다리로 교통이 사통팔달 원활하지만 65년 전 6.25한국동란 때의 거제도는 완전 고립무원이었습니다. 




 또한, 고려시대와 조선 초기에는 왜구의 잦은 출몰로 섬을 비우게 한 공도정책을 폈을 정도로 인적이 드물었던 거제도에 한국동란으로 생포된 전쟁포로 수용시설이 들어섰던 것은 어찌 보면 당연했던 것 같습니다. 육지와 가까운 섬으로 영화 바삐용을 연상시키는 거제도는 전쟁 포로를 수용하는데 최적의 장소였나 봅니다.

 6.25한국동란은 전쟁발발 3일 만에 서울을 내주고 종과부적으로 전세는 밀려 부산 사수를 위한 낙동강 전투에 우리 연합군은 모두 목숨을 걸고 겨우 버티는 중이었습니다. 그때 맥아더장군이 명운을 건 작전인 인천상륙작전을 전개하여 단숨에 전세는 역전하여 서울을 수복하고 동시에 적의 허리를 끊어버려 잔당의 보급로를 차단하며 북진을 하여 곧 통일이 눈앞에 오는 듯했습니다.

 

 거제포로수용소 통신대건물 잔해

 그것도 잠시 100만이 넘는 중공군의 인해 전술에 밀려 또다시 후퇴하게 되는데 그게 1.4 후퇴입니다. 전쟁과 함께 체포된 포로는 1950년 11월 27일 거제도의 고현, 수월, 양정지구에다 포로수용소를 세워 관리했습니다.

 

 거제도 포로수용소에는 총 17만 3천명이 수용되었으며 인민군 15만명과 중공군 2만명 그리고 여자포로도 3천명이 함께 수용되었습니다. 이 많은 포로는 1953년 휴전협정이 체결되면서 포로송환이 이루어졌고 이승만 정권은 반공포로를 일방적으로 석방하는 조치를 하였습니다. 그와 함께 거제포로수용소는 폐쇄되었습니다.

 

 필자는 2013년 12월에 거제도 포로수용소를 포스팅했는데 이번에는 그때 가보지 못했던 거제시의 명산인 계룡산 정상인근에 있는 거제포로수용소 통신대건물 잔해와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33호 거제포로수용소 헌병대 막사 건물을 보고 왔습니다.

 

 

 

 당시 수용소 시설에는 포로를 수용하고 관리하는 많은 건물이 지어졌으며 포로수용막사, 포로 심사 법무관실, 제빵공장 등 다양한 시설물이 들어섰습니다. 특히 계룡산 정상에 포로 관리를 위한 통신대 건물 잔해는 평소에는 만나기 힘들며 산행을 해야만 만날 수 있습니다.

 

 통신대 건물 잔해는 태풍 등 비바람에 그대로 노출되어서 그런지 앙상한 뼈대만 남아 흡사 고대 신전을 연상시키는듯합니다. 이제 얼마나 버틸지 걱정이며 예전에 볼 때보다 건물 잔해가 자꾸만 사라져 아쉽기만 합니다.


 거제 포로수용소 헌병대 막사

 그리고 거제포로수용소 유적공원 앞 도로 건너편에는 포로를 관리했던 헌병 막사가 세월 속에 벽체만 남아 있습니다. 지금 거제시 고현에는 옛 포로수용소를 전쟁역사의 산 교육장으로 꾸며 놓았습니다. 저도 6.25 한국전쟁을 겪어보지 못한 세대지만 그래도 전쟁의 참화를 몸으로 감내했던 부모님으로부터 전쟁의 비참함에 대해 많이 들었습니다.

 

 

 

 #거제포로수용소유적공원

 

 저의 아버님도 국군으로 전쟁에 직접 참여하셨기에 생생한 이야기를 듣고 자랐습니다. 요즘 청소년에게는 한국동란의 참상이 자꾸만 잊히는 것 같습니다. 부모님과 함께 거제포로수용소의 생활과 전쟁의 참상을 체험하고 다시 한 번 전쟁의 아픔을 되새기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2015/10/27 - (경남여행/거제도여행)외도 보타니아. 한국의 파라다이스, 환상속의 섬 외도 보타니아 여행.


2015/04/25 - (경남여행/거제여행)거제 명산 북병산 산행. 남해안 전망대 거제 11명산 북병산 산행기.


2015/03/26 - (경남여행/거제여행) 구조라해수욕장과 샛바람소릿길, 망치몽돌해변을 걸었습니다. 거제도 걷기여행.


2015/03/25 - (경남여행/거제여행)거제 학동 진석중가옥. 등록문화재 제277호 한식과 일식의 절충식 건물 거제학동 진석중가옥.


2015/03/24 - (경남여행/거제도여행)거제 우제봉 해금강. 해금강을 바라보는 최고의 전망대는 바로 여기 우제봉.


2015/03/23 - (거제여행/고현시외버스터미널시간표). 거제도여행에서 편리한 고현시외버스터미널 시내버스, 시외버스 시간표.


2015/03/21 - (부산 하단역~거제 연초 2000번 버스)부산 하단역~거제 연초 2000번 버스 시간표와 버스 요금표로 거제시 여행을 더욱 쉽게 할 수 있습니다.


2015/03/20 - (경남여행/거제여행)갈곶리 도장포 신선대. 해금강 바람의 언덕이 있는 거제 최고의 명소 신선대 둘러보기.


2015/03/19 - (경남여행/거제도여행)거제 해금강 바람의 언덕. 거제도 최고의 여행지로 통하는 바람의 언덕에서 바람 맞고 왔습니다.


2015/03/18 - (경남여행/거제여행)동부면 학동몽돌해수욕장. 조약돌로 불리는 몽돌이 깔려 있는 거제8경 학동몽돌해수욕장.학동몽돌해수욕장


2015/03/14 - (경남여행/거제여행)일운면 구조라진성. 왜적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한 쌓은 구조라 수정봉 구조라진성을 여행하고 왔습니다.


2014/06/05 - (경남여행/거제도여행)거제도 최고의 숙박지 애드미럴호텔. 환상의 섬 거제도에 환상의 숙박지는 애드미럴호텔.


2013/12/03 - (경남여행/거제도여행)거제도 포로 수용소 유적공원, 끝나지 않은 분단의 역사 생생 체험 현장, 거제도포로수용소유적공원


2013/11/07 - (경남여행/거제도여행)거제해금강, 평생 한번은 꼭 가봐야 할 여행지 바다의 금강산 거제도 해금강.


2013/11/05 - (경남여행/거제도여행)거제섬꽃축제, 태양을 따른다는 꽃 해바라기가 국화과 거제섬꽃축제-2


2013/11/04 - (경남여행/거제도여행)거제섬꽃축제. 입이 벌어지는 1억 꽃송이 화려하게 가을을 불태우는 거제시 거제섬꽃축제-1


2014/02/05 - (경남맛집/거제도맛집)청마 유치환 생가 맛집 거제도굴구이. 정력에 좋아 카사노바도 매일 먹었다는 굴 거제도굴구이


2013/11/19 - (경남맛집/거제도맛집)해금강 맛집 소라횟집. 특별난 요리 방게찜과 얼큰한 우럭매운탕이 생각날때 외도 보타니아 맛집 소라횟집


2013/03/23 - (거제맛집/고현맛집)매워도 너무 매웠던 해물짬뽕 홍굴이해물짬뽕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남여행/창녕여행)남지유채꽃 남지수변공원. 18만평에 조성된 유채꽃길, 창녕 남지수변공원을 여행하다. 


지난 늦가을에 경남 창녕군 남지읍 남지수변공원을 찾았습니다. 남지수변공원은 낙동강과 남강이 만나는 곳에 모래톱이 밀려 조성된 곳으로 그 규모만도 대략 18만평이라 합니다. 부산의 해운대해수욕장과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엄청난 규모였습니다.




 이 넓은 모래밭에 한때 남지의 유명생산품인 땅콩이 재배되었으며 지금은 남지 땅콩으로 유명했다는 이야기는 이제 전설 속에만 남아 있었습니다. 그리고 보면 모래밭에서 땅콩이 잘 크는 가 봅니다.

 

 그러나 4대강사업과 함께 남지 모래톱은 남지수변공원으로 탈바꿈하여 읍민들의 휴식처로 바뀌었습니다. 지난 늦가을 남지수변공원을 찾았다가 “웬 겨울 추가 이리 많노”하며 채소밭이 끝이 보이지 않아 깜짝 놀랐습니다.

 

 꼭 겨울 추 같아 그 참 쌈 사 먹으면 맛있겠다 생각을 하고 관리하는 분에게 물었습니다. “겨울 춥니까”하니 “옛!”하고 당황해하면서 '유채'라 하였습니다. “그런데 어찌 유채가 완전 상추하고 똑 같네요”하며 길을 떠났는데 가만히 생각하니 새순인 유채로 쌈을 싸서 먹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던 것 같았습니다.

 

 

 겨울을 코앞에 둔 터라 낙엽이고 억새고 모두 지난여름의 미련을 모두 털어내기 바쁜데 유독 유채만은 파르르 한 게 완전 골프장의 그린을 연상할 만큼 장관이었습니다. 이른 봄날 남지수변공원은 그야말로 유채꽃축제를 보기 위해 전국에서 관광객이 몰려듭니다.

 

 

 

 수십만 평이나 되는 넓은 땅에 노란 유채꽃이 만발하고 그 모습이 비친 낙동강의 반영은 어디가 유채꽃밭이고 강물인지 구별이 쉽게 되지 않는다합니다. 한반도 모형을 본뜬 튤립정원과 유채꽃밭에는 아름다운 풍차가 돌아가고 낙동강 가 언덕에는 물억새가 내년에는 더욱 아름다운 솜털을 기약하며 미련 없이 날려 보내는 모습에 공허한 가슴에 아름다운 낙동강의 모습을 꽉 채우고 왔습니다.

 

 낙동강의 남지수변은 옛 모습에 비하면 지금은 경천동지의 모습으로 탈바꿈하여 전국의 자전거 동호인도 가장 많이 찾고 있는 관광지가 되었습니다. 자전거도 타고 아니면 남지수변공원 유채꽃밭을 걸으면서 내친김에 개가 바위절벽을 타고 건넛마을의 새끼에게 젖을 먹이기 위해 다녔다는 개비리길도 둘러보면 정말 뿌듯하게 하루를 보낼 것 같습니다.

 

 

 또한, 남지수변공원에는 함안군과 연결하는 근대건축물인 남지철교가 놓여 있습니다. 근대문화유산으로 6·25 동란 때는 낙동강 전투 최후의 보루로 북한국의 남하를 막기 위해 급기야 철교를 폭파했던 아픔이 남아 있지만, 지금은 주민의 휴식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

 

 

 그 옆 용화산 벼랑에 자리한 능가사의 아름다운 모습은 내내 잊지 못할 풍경으로 남아 있습니다. 다양하게 조성된 휴식공간과 전망덱에서 만나는 낙동강의 모습은 사계절 아름다운 남지수변공원과 정말 잘 어울리며 볼거리가 많은 창녕여행이었습니다.

 

 

 여기가 금강과 낙동강이 서로 만나는 창 나루입니다. 이곳에는 음력칠월 보름 백중날에는 특별한 놀이인 월주놀이가 성행했습니다. 그때는 인근의 모든 마을사람들이 이곳 창나루에 나와 남강과 낙동강이 만나는 곳에 세운 합강정을 바라보면서 소원을 빌곤합니다. 때마침 하늘에는 둥실 떠오른 보름달의 달그림자가 강물을 비추니 그모습이 마치 달기둥과 같아 '월주'라 부르며 보름밤을 신나는 농악과 함께 마을잔치로 즐겼다합니다. 

 

 

 

 

 

 

 

#남지개비리길

#함안용화산능가사

#남지철교



2016/01/05 - (경남여행/창녕여행)낙동강 남지 개비리길. 개의 모성애가 뚫었다는 벼랑길인 남지 개비리길을 남지수변공원의 유채꽃 길과 함께 여행해보세요.


2015/12/18 - (경남여행/함안여행)용화산 능가사. 남지철교와 낙동강을 끼고 앉은 최고의 절집 용화산 능가사 여행하기.


2015/12/11 - (경남여행/창녕여행)창녕남지철교. 6.25 한국동란 최대 격전지 낙동강 전투의 상흔이 남아 있는 등록문화재 145호 남지수변공원의 창녕 남지철교를 여행하다.


2015/06/20 - (경남여행/창녕여행)우포늪 둘레길. 국내 최고의 습지로 보호 받는 우포늪 생태길과 탐방로인 우포늪 둘레길을 걸어보다. 우포늘 둘레길


2013/05/04 - (경남여행/창녕여행/밀양여행)5월의 봄에 힐링이 될 것 같은 창녕과 밀양 당일 여행 6곳 둘러보기


2013/04/13 - (경남여행/창녕여행)창녕 화왕산 진달래가 곧 만개. 이름 값 하는 창녕 화왕산


2013/01/17 - (경남여행/창녕여행)소금강이라도 믿겠어, 병풍바위는 아홉마리 용이 변했는가. 화왕산군립공원의 구룡산


2013/01/15 - (경남여행/창녕여행)용을 보았다는 관룡사. 1500년의 법통이 꺼지지 않은 창녕 화왕산 관룡사


2013/01/13 - (경남여행/창녕여행)깨닮음을 얻어 도통할 것 같은 청룡암. 관룡사 청룡암.


2013/01/13 - (경남여행/창녕여행)창녕 관룡사에서 가장 아름답다는 부도탑이 원구형의 탑신에 불안. 관룡사부도탑


2013/01/11 - (경남여행/창녕여행)관룡사 용선대. 고해의 바다를 항해하는 반야용선을 의미, 관룡사 용선대 석가여래좌상


2013/01/07 - (경남여행/창녕여행)제주도 돌하르방이 왜 여기, 관룡사의 비보역활을 한 창녕 관룡사 석장승


2012/12/11 - (경남여행/창녕여행)산행후 부곡온천에서 온천욕을 즐길 수 있는 영산 함박산~종암산 산행. 겨울 최고 산행지


2012/12/06 - (경남여행/창녕여행)얼마나 아름다워 홍예교인 무지개다리라 할까. 영산의 만년교


2012/12/02 - (경남여행/창녕여행)조선시대 냉장고는 어떤 모습일까요.영산 석빙고


2013/01/05 - (경남맛집/창녕맛집)두빰이 얼얼한 겨울철에 먹어주면 좋을 음식은 곰탕이 최고-화왕산맛집 이가네곰탕


2013/05/02 - (경남맛집/창녕맛집/우포늪맛집)역시 우리 한우가 맛있어 화왕산 맛집 우포한우프라자.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