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울산여행/울주여행)대운산 내원암. 빈대로 폐사된 절 대원암이 대운산 내원암으로 된 사연

대운산 내원암
소재지: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운화리 1312번지
연락처:052-238-5088

부산에 가까운 산행지는 여럿 있다. 그중 대운산은 부산 울산 양산의 산꾼들이 즐겨 찾는 산행코스이며 봄이면 진달래가 만발하고 여름철에는 수량이 풍부한 계곡으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산행지이다.
한때는 대운산을 불광산으로도 불리어 졌지만 지금은 대운산으로 완전히 굳어져 불리고 있다. 대운산은 여러개의 봉우리를 형성하고 있다.
그 연꽃송이 같은 봉우리의 중심이 영남제일의 명당이라 극찬하고 신라시대 고봉스님은 그 자리에 대원사를 창건하였다. 지금은 절의 흔적은 찾을 수가 없고 대원사지의 흔적도 느낄수 없지만 500년이 넘은 팽나무 한그루가 그 흔적을 대신하고 있다.
현재 그 노고의 팽나무가 신비스럽게도 코끼리의 모습을 하고 있다하여 불자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수령 500년이 넘은 팽나무로 대원사지를 지키고 있다. 나무의 모습이 코끼리 형상을 하고 있는 노거수이다>


온양읍 면사무소 홈페이지에 보면은 다음과 같이 대원사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온양읍 운화리 상대(上大)마을의 절터골에는 옛날 대원사라 하는 큰 절이 있었다. 이 절은『동국여지승람』에 남목(南牧)의 열암사(裂菴寺), 연암의 백연암(白蓮庵), 웅촌의 운흥사(雲興寺), 율리의 망해사(望海寺)와 청송사(靑松寺), 언양의 연고사(連高寺),삼남(三南)의 석수사(石水寺)와 같이 등재 되었던 이름 난 절이었다.

 

그러나 대원사는 정조(正祖) 10년(1786)에 폐사되고 지금은 그 절터만 남아 있다.

대원사의 내력은 절터에 남아있던 현하당(縣河堂)이라 음각된 부도를 통해 짐작할 뿐이다.

이 부도에 새겨진 이름을 보아 현하당이란 스님이 대원사(大原寺)에 계셨던 것만 알 뿐 아무것도 남긴 사적(寺蹟)은 없다. 그러나 이 절이 망하게 된 사연에는 사람의 구전으로 내려온 전설이 있다.

동국여지승람에 오를 정도로 크고 이름난 절이었으니 신도들이 많이 찾아들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그런데 이 절에는 괴이한 주지가 있어 사람들이 많이 찾아드는 것을 몹시 귀찮게 생각하여 왔다. 수도승의 입장에서 본다면 지금의 불국사(佛國寺)처럼 매일 많은 사람들이 찾아들어 관광 하는 것을 싫어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생각을 하고 있을 때 어느 날 한 도사가 절을 찾아와서 잠시 쉬게 되었다. 이때 주지의 입에서 사람들이 하도많이 와 귀찮으니 사람들이 적게 오게 할 수없을까 하는 말이 튀어나왔다.

이 말을 듣게된 도사는"그런 일이야 어렵지 않은 일이니 그리 근심치 않아도 될 일이 올시다"하였다. "마을로 내려가는 산모퉁이에 큰길을 내게 되면 소원대로 될 것이요" 하고 그 도사는절을 떠나 버렸다.

도사의 이야기를 듣게 된 주지는 산모퉁이를 헐어 길을 열게 되었다. 그런데 왠일인지 작업 중에 석불한 구가 솟아 나왔는데 이 부처는 그만 삽과 괭이에 찍혀 목이 떨어지고 떨어진 목에서는 피가 흘러내렸다. 이러한 일이 있은 뒤의 일이었다.

절에는 갑작스럽게 빈대가 들끓었다. 많은 빈대 속에서 사람들은 견디어 낼 수가 없어 쓰레받기에 쓸어담아 웅덩이에 버렸는데 이곳을 빈대소라고 한다.지금도 절터의 바위를 뒤져보면 빈대의 껍질이 나올 정도라고 이곳 사람들은 말을 하고 있다.“

대원사의 절터자리에 내원암의 절집이 아담하게 자리를 잡아 대원사를 대신하며 아래로 흘러내린 계곡을 절터골로 현재는 내원골이라한다.
이별바위, 소원바위, 나한바위, 금강폭포등 많은 기암들로 둘러 싸인 내원암 부근을 흔히 소금강산으로 부를 만큼 풍치 또한 뛰어나다.
대운산은 장안사를 위시하여 불국토의 산으로 박치골, 도통골 내원골이 상대계곡의 상류를 이루며 도통골을 올라 대운산 정상을 향하는 험준한 오르막에는 큰바위란 용심지가 있다.
이곳에 절터의 흔적과 샘터가 있어 원효의 전설이 내려온다. 원효대사께서 용심지 작은 암자에서 참선을 하고 있어니 경주 불국사에 화재가 난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래서 옆의 제자에게 체를 주며 물을 퍼오라하니 재자는 대나무로 만든 구멍이 숭숭 뚫인 체에다 물을 받아 오라하는지 이해를 못하며 열심히 체에다 물을 담아보니 물이 빠져 담을 수가 없었다. 수십번의 노력 끝에 겨우 체에다 물을 담아 원효에게 가지고 가니 그 체를 불국사 방향으로 날여 보내 불국사의 화재를 진화 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래서 도통골인지 모르지만 ....

현재 내원암의 대웅전으로 모습이 화려하며 팔작지붕을 이고 있다.

최근에 조성한 석탑



내원암의 부속건물



대웅전 안의 삼존불상

화려한 단청의 모습과 구조입니다.





문살아래 새겨진 문양들

대웅전에 그려진 화려한 벽화들












찾아가기: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이정표 기준으로 부산과 울산을 잇는 14번 국도를 타면 된다. 송정해수욕장 입구 지나~울산 온양~기장군청 지나~울산 울주군 온양읍 입간판 지나~장안사 입구 지나~상대 하대 대운산(입구에 '산여울' 간판)~대운산 내원암 계곡~굴다리 통과~대운산 제3주차장 순. 주차비 무료.

온양읍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onyang.ulju.ulsan.kr/introduction/legend.jsp#2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북여행/청도여행)청도 갓등산~학일산 산행. 500년 전 삼족당김대유 산책길이 갓등산~학일산 산길로 탄생하다

청도 갓등산~학일산

S라인 동창천 굽어보며 청정산길 걷다

<갓등산 정상을 내려와 동곡재를 지나 학일산으로 힘들게 오른후 만나는 전망대에서 바라본 동창천과 들머리도 확인되고. 그 뒤로 밀양의 산들이 한눈에 펼쳐진다.>

 

산꾼들로부터 가장 많이 듣는 질문이 '개척산행'에 관련된 것이다. 하긴 기사 속에 늘상 개척했다고 적혀 있으니 그렇게 물어보는 것도 당연할 듯 싶다. 엄격히 말해 산행팀의 개척산행은 사전적 의미의 '개척'과는 다르다. 무에서 유를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오래전부터 있는 그대로의 옛길을 찾아내는 작업이다. 일종의 발굴의 개념인 셈이다.

산행팀의 개척산행은 예부터 쭈욱 길이 있었다는 전제 하에 이뤄진다. 오래 전 우리네 할머니 할아버지가 산너머 장에 다녀오던 고갯길이나 마을사람들이 나무하러 다니던 그런 길이다. 그 길이 수십년 동안 방치되면서 겉으로는 산길이 사라진 것으로 보일 뿐이다.


 


<갓등산 정상 직전 전망대에서 바라본 동창천과 들머리 삼족대. 그 뒤로 밀양의 산들이 한눈에 펼쳐진다.>

 

'산행지를 어떻게 정하느냐'. 다음으로 많이 받는 질문이다. 평상시 지나다니다 봉우리를 눈여겨보고는 지형도를 관찰하며 대략적인 산세를 판단하고 코스를 결정한다. 그게 전부다. 지난해 월간 '사람과 산' 인터뷰 때 산행팀이 이같이 대답하자 당시 그 기자는 깜짝 놀라며 '그게 사실이라면 정말 대단하다'고 감탄했을 정도다.

그렇다고 산행팀이 개척산행 때 100%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사전답사를 하지 않는 산행팀은 이 때문에 산행 중 소위 '알바'를 많이 한다.

단적인 예 하나. 지형도조차도 무용지물인, 숲으로 꽉 막힌 급경사면으로 잡목과 잡풀을 헤치고 개척하며 나아가다 보니 바로 옆에서 올라오는 희미한 산길이 뒤늦게 보이지 않는가.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새로 발견한 희미한 산길을 따라 내려가며 표시기를 단 후 애초 개척하며 힘겹게 올라온 길로 재차 올라오며 전에 달았던 표시기를 회수한다.

심할 경우 10분이면 올라설 구간을 산행팀은 제대로 된 길을 찾기 위해 1시간 이상의 시간을 허비한 경우도 다반사다. 이러다 보니 때론 일몰에 걸려 예정된 산행을 마치지 못하고 그냥 돌아서기도 한다. 그럼 어쩌냐고요? 다가오는 주말에 쉬지도 못하고 다시 가야죠.

이런 과정을 거쳐 근교산 코스가 하나 완성되면 독자들은 신문을 들고 답습한다. 부·울·경 지역의 웬만한 반듯한 산길은 대부분 이렇게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번 주 소개하는 청도 갓등산~학일산 역시 이런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개척산행지이다. 학일산은 경산시와 청도군의 경계에 위치한 북쪽의 대왕산이나 학일산보다 남쪽에 위치한 통내산과 이어 산행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하지만 산행팀은 통내산의 동남쪽에 위치한 갓등산을 묶어 새 코스를 만들었다. 갓등산은 '다음' 등 인터넷 포털에 검색해봐도 결과가 전혀 없는 봉우리다. 매전면 소재지에서 보면 이름 그대로 갓등을 닮았다.

산행은 청도군 매전면 금곡리 삼족대~고성 이씨묘~주능선~월성 최씨묘~367봉~평산 신씨묘(안부)~순천 김씨묘~전망대~갓등산~동곡재~차단기~삼각점봉(553m)~학일산(693m)~삼거리~옛 청도(학일)온천. 순수하게 걷는 시간은 5시간10분. 학일산 정상까지는 이정표 하나 없는 청정 산길. 전체적으로 위엄을 줄 만큼 높지 않은 육산이며 능선에는 올망졸망한 봉우리들이 키재기를 하고 있어 이 겨울 워킹 산행지로 그저그만이다. 아쉬운 점도 있다. 날머리의 학일온천이 지난 4월 시설 노후로 인해 문을 닫았기 때문이다.

들머리는 삼족대(三足臺). 밀양강 원류인 동창천이 내려다보이는, 동시에 갓등산의 맥이 동창천으로 수그러드는 기슭의 절벽에 위치한 이 정자는 조선 중종 때 삼족당 김대유가 관직을 사임하고 후진을 양성한 곳.


<강 건너편에서 본 삼족대와 삼족대에서 본 동창천 >

 

관광객들을 위해 설치한 화장실 옆 나무계단을 오르며 산행은 시작된다. 김대유 신도비와 팔작지붕을 한 삼족대에서 내려다본 동창천의 주변 풍광이 그림같이 아름답다. 특히 아침 햇살을 받은 동창천 금빛 물결이 마치 어느 CF의 한 장면처럼 다가온다.

등산로는 키낮은 담벼락을 따라 가면 삼족대 뒤로 열려 있다. 솔가리와 낙엽이 수북이 쌓인 부드러운 산책로다. 500년전 삼족당 김대유가 책을 읽다 잠시 뒷짐을 지고 산책을 했던 옛길이 아니던가.

곧 지그재그 오름길로 변하더니 갈림길을 만난다. 우측 산허리길 대신 좌측 능선길로 오른다. 양지 바른 터를 지나면서 산길은 된비알로 변한다.

고성 이씨묘를 지난다. 자연 그대로의 우리 민초들이 나무하러 다니던 그런 산길이다. 사실상 올 처음 만나는 매서운 겨울바람. 혹 꽁꽁 언 피부에 잔 가지라도 스치면 고통스럽기까지 하다.

무명봉을 살짝 오르면 비로소 앙상한 가지들 사이 10시 방향으로 갓등산이 모습을 드러낸다. 기암절벽이 중간쯤에 속속 박혀 있다. 고성 이씨묘에서 15분. 산세로 봐서 봉우리를 하나쯤 지나 왼쪽으로 방향을 바꾸는 듯하다. 하지만 한 굽이 올라서면 향후 여정이 다르다는 것을 금세 알게 된다. 능선이 우측으로 휘어지기 때문이다. 빽빽한 송림터널도 지나고 코가 땅에 닿을 정도의 된비알도 오르면 무덤 1기를 만난다. 사실상 능선에 올라섰다. 갓등산이 보이기 시작한 지 18분 뒤. 여전히 갓등산은 10시 방향, 그 자리에 위치해 있다.

직진한다. 곧 월성 최씨묘를 만난다. 반듯한 길은 없지만 수목 사이로 걷는 데는 큰 지장이 없다. 다시 무명봉을 넘으면 묘기 2기를 지난다. 급내리막길과 오르막을 반복하다 마른 억새숲을 지나면 지형도상으로 삼각점이 있는 367봉에 올라선다. 우측 발아래 금천면 소재지인 동곡(리)이 보이고 그 뒤론 영남알프스 연봉이 시원하게 펼쳐진다. 우측에서 좌측으로 사자봉 억산 범봉 운문산 가지산 상운산 쌍두봉 문복산 옹강산이 확인되고 그 앞 정면의 봉우리가 개물방산, 그 뒤 저수지가 억산의 전설이 서려 있는 대비지다.

직진하며 내려선다. 거의 쏟아지는 수준이다. 이제 정면으로 갓등산이 보인다. 3분쯤 내려서면 주의지점으로, 산길은 능선을 따라 직진하는 길만 보인다. 갓등산은 좌측에 위치해 있는데, 해서 방향을 맞춰 산길을 만들어 내려서니 6분쯤 뒤 좌우가 지계곡인 능선길이 보인다. 결국 5분 뒤 평산 신씨묘가 있는 안부이자, 우측 금천면 동곡리와 좌측 매전면 금곡리를 오가는 일종의 고갯마루에 닿는다.

직진한다. 처음엔 낙엽과 솔가리가 수북한 반듯한 길이지만 차츰 애매모호해진다. 우측 발아래 철조망과 나란히 걷는다. 6분 뒤 순천 김씨묘와 농짝만한 바위를 지나 우측 대각선 방향으로 향한다. 쓰러진 나무를 통과하면 크고 작은 바위가 널브러진 급경사 낙엽길이 기다린다. 가뭄의 단비랄까. 좌측 저 멀리 전망대가 보인다.

순천 김씨묘에서 20여 분 뒤 전망대에 올라선다. 발아래 방금 온 능선길과 S자 굽어흐르는 동창천이 그림처럼 아름답다. 동시에 앞서 본 영남알프스 연봉 모두와 사자봉 우측으로 구만산 육화산 중산 낙화산 보두산 종암산 덕암산 오례산성 대남바위산 효양산 통내산 등 경주 청도 밀양의 산들이 죄다 확인된다.

여기서 4분이면 너른터인 지점에 올라선다. 갓등산이다. 정확한 정점은 좌측 바로 위 바위다. 정면 우측 뒤 봉우리 부분만 조금 보이는 것이 학일산이며 발아래 소나무에 가려 희미하게 보이는 도로가 매전면과 금천면을 잇는 도로, 그 정점이 동곡재다.

직진한다. 3분쯤 뒤 우측으로 꺾어 내려선다. 앙상한 가지 사이로 보이는 파란지붕 좌측이 목표지점이지만 아쉽게도 길이 없다. 그야말로 개척산행으로 '알바'는 기본이다. 30분이면 (주)나다 건물 주차장 옆에 닿는다. 가장 난코스이다. 주차장을 거쳐 도로로 내려와 길을 건너면 동곡휴게소. 하지만 산행팀은 우측 주차장으로 가지 않고 직진, 곧바로 동곡재 정점에 내려선다. 길을 건너 50m쯤 좌측으로 가면 임도급 길이 열려 있다. 길 건너편에는 '매전면'이라 적힌 입간판이 서 있다. 그러니까 금천면과 매전면의 경계인 셈이다.

차단기를 지나 10m 지점에서 우측 산길로 올라선다. 묘지 5기를 지난다. 경사는 심하고 산길은 반듯하지 않지만 오르는 데는 큰 무리가 없다. 18분쯤 뒤 좌측으로 들머리와 동창천이 다시 보이며, 여기서 20분 뒤 무명봉에 올라선다. 3분 뒤엔 우측으로 금천면 소재지인 동곡과 날머리인 학일온천이 보인다.

이어지는 산길은 크고 작은 봉우리의 연속으로 길찾기는 어렵지 않다. 무명봉에서 15분이면 삼각점봉에 올라선다. 정면으로 학일산이 보이지만 실제로는 중간에 몇 개의 크고 작은 봉우리를 오르락내리락 해야 한다.

삼각점봉에서 14분 뒤 전망대를 만난다. 우측 채석장 뒤로 운문댐과 반룡산 발백산 장육산 사룡산 단석산 등이 확인된다.

헬기장인 학일산 정상은 삼각점봉에서 43분. 마른 억새숲을 지나 마지막 피치를 올리면 만난다. 정면으로 앞서 만난 전망대서 본 반룡산 등 청도 경주의 산이, 우측으론 가지산 운문산 등 영남알프스 산군이 펼쳐진다.

하산길은 두 갈래. 두 길 모두 옛 학일온천에서 만난다. 산행팀은 직진한다. 9분 뒤 삼거리. 좌로 가면 통내산 대왕산 삼성산 백자산 방향, 산행팀은 우측으로 내려선다. 간벌 후 정리를 하지 않아 지저분하지만 길은 뚜렷하다. 학일온천까지는 42분 걸린다.

◆ 떠나기 전에

- 고기 대신 버섯 넣은 청도만의 자랑 일명 '사찰자장' 아시나요


맛집 한 곳 소개한다. 청도 금천면 소재지인 동곡리 금천새마을금고 옆에 위치한 '강남반점'(054-373-1569). 지난 1994년 유홍준 교수의 스테디셀러 '나의 문화유산답사기2'에 이 식당이 소개되면서 일약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아직까지 관광객들의 발걸음이 끊이질 않는다. 지금도 전국에서 취재요청이 들어와 거절하기 바쁘단다.

 

'강남반점은 운문사 비구니 학인스님들의 단골집으로 고기를 넣지 않은 스님용 짜장면을 시켜야 더 맛있다'는 이 한 문장이 시골 한 구석의 평범한 중국집의 운명을 바꿔놓은 것이다.

"오래전 운문사에는 매월 초하루에 수업이 없어 대부분의 학승들이 이곳에 와서 외식 겸 회식을 자주해 스님들을 위해 자장면을 만들어 본 것이 계기가 됐지요. 지금이야 청도시외버스터미널에서 바로 운문사행 버스가 있지만 예전에는 동곡으로 와서 운문사행 버스를 타야 했기 때문에 버스를 기다릴 동안 우리집에 와서 식사를 자주 했어요."

맛의 비결은 간단하다. 고기 대신 5가지 종류의 버섯과 신선한 채소를 사용하고, 파 양파 조미료는 일절 사용하지 않아 담백하다. 주인 장기철(51) 씨는 "항간에 '스님자장'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는 스님들에 대한 괜한 오해를 불러 일으켜 '사찰자장'으로 불렀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실제로 문앞에는 '원조 사찰자장'으로 적혀 있다.

재미있는 점은 장 씨 부부가 전국의 사찰로 출장을 자주 간다는 것. 특히 요즘과 같은 동안거 때는 출장이 잦다. 많을 땐 한 달에 17번도 간 적이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찾기 전에는 반드시 가게문을 열었는지 확인을 해야 한다.

독실한 불교신자인 장 씨의 머릿속에는 전국 사찰의 위치와 특징 그리고 주석하고 있는 스님들을 거의 다 꿰고 있다. 종교를 담당한 적이 있는 기자가 봐도 불교계에 종사하는 웬만한 사람보다 해박한 지식을 갖고 있다. 설악산 백담사와 해남 대흥사도 다녀왔다는 장 씨는 "앞으로도 불자들이 원한다면 전국 어디건 갈 수 있다"고 말했다. 부산의 경우 범어사 대성암이나 송광사 말사인 광안동 화엄사, 최근에는 불교계에서 운영하는 영도구노인복지관 등도 다녀갔다 한다. 사찰자장 5000원.

◆ 교통편

 

- 무궁화호에 이어 운문사행 버스 타고 삼족대서 하차

부산역에서 청도행 무궁화호 열차는 오전 6시45분, 7시55분, 9시10분, 10시30분에 출발한다. 1시간 소요. 4800원(금~일요일 5000원). 청도역 맞은편 청도시외버스터미널에서 운문사행 버스를 타고 삼족대 앞에서 내린다. 오전 7시40분, 9시20분, 10시10분, 10시50분. 3500원.

날머리 학일온천 앞에선 버스가 정차하지 않는다. 금천면 김전리 정류장까지 걸어가야 한다. 20분쯤 걸린다. 김전리에서 동곡행 버스 역시 20~30분 간격으로 있다. 동곡에서 청도행 버스는 오후 4시15분, 5시20분, 6시10분, 7시40분에 출발한다. 2900원. 청도역에서 부산행 무궁화호 열차는 오후 5시51분, 6시15분, 6시40분, 7시52분, 밤 9시40분에 있다. 학일온천에서 차를 회수하기 위해선 동곡의 개인택시(054-372-3066)를 이용해야 한다. 삼족대까지 1만 원.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이정표 기준으로 신대구부산 고속도로 청도IC~밀양 청도 25번~경주 운문 좌회전 20번~매전면~매전면사무소 지나~매전면 처진소나무 지나~경주 운문 20번~삼족대 순.

문의=국제신문 산행팀 (051)500-5168

사진= 이창우 산행대장 www.yahoe.co.kr

GPS 도움=GPS영남 (http://cafe.daum.net/gpsyn)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받아 취재했습니다

글 = 이흥곤 기자 hung@kookje.co.kr


삼족대를 지나면 만나는 솔숲으로 짙은 솔향에 발아래 갈비가 수북하여 옛 정취를 듬북 맛볼 수 있다. 삼족당 김대유도 이길을 걸어 소나무 향을 맡지 않았을까?

갓등산 정상 직전의 바위 전망대에서 본 367봉우리에서 왼쪽으로 급한 내리막을 내리서면 능선을 버리고정념으로 떨어지는 3개의 능선중에 맨 왼쪽으로 내려서면 풍산신씨가 있는 고개와 만난다.

 

아래 푹 꺼진 부분이 사거리 안부로 좌측이 금천면 동곡리로 내려서는 길로 산길이 뚜렷하게 현재도 나있다. 우측은 금곡리로 하산을 할 수 있지만 사람의 흔적이 뜸한지 산길이 묵어 있다. 그 뒤로 개물방산이 연결되는 억산,범봉, 운문산,가지산등 영남알프스가 펼쳐진다.



삼족대와 등산로 입구 그리고 매전교와 동창리인 매전면 소재지가 확인되며 S라인 물결이 동창전으로 밀양강을 거쳐 낙동강으로 흘러간다. 우측의 산군은 통내산, 그뒤 왼쪽은 효양산,오례산성등 청도 밀양의 산을 볼 수 있다.

갓등산 정상에서 바라본 학일산으로 뻗은 능선, 맨 우측 삼각형으로 보이는 산이 학일산이며 좌측으로 뻗은 능선이 통내산으로 연결된다.

아래 보이는 건물이 동곡휴계소이며 금천면으로 청도와 경산의 산군을 볼 수 있다.

동곡재로 금천면과 매전면을 가르는 고개의 정점이다. 앞에서 2번째 전봇대와 3번째 전봇대 사이로 내려와 금천면 안내판 건너편의 임도길로 접어든다.

동곡재를 지나 만나는 전망대로 갓등산과 그아래 (주)나다 공장건물이 보인다.

예전에 없던 학일산 표지목으로 대구 산악인 김문암씨가 설치하였다한다.


하산시 바라본 김전리로 대왕산의 들머리이며 일반 대중 교통편을 이용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중앙의 산은 경산의 용산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부산 기장군과 울산 울주군, 양산시 웅상읍의 경계에 솟은 하나의 대운산 산군은 낙동정맥의 지맥으로 용천산에서 북으로 가지를 틀어 하나의 대운산군을 형성하였다.
삼국시대에는 불광산으로 불여져온 우리의 근교산이다.

(산정상을 나무로 도배한 대운산정상)

이런산을 보호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하나의 산군을 세 개의 지자체가 관리하여 장안사 구역은 부산시, 상대계곡은 울산시, 그리고 명곡계곡은 양산시에서 이러다보니 대운산은 이래저래 상처 투성이로 전락하고 말았다.
울주군에서 산길을 정비한다고 뜯어고치고 두 개의 지자체가 이어지는 경계능선에는 한곳에는 만보등산로고 또 한곳에는 다이어트코스 이정표가 난립하는 이런 행태는 없어져야 하겠다.
두 개의 이정표가 서 있는 현실이고 보니 이 또한 웃음이 나오고 손실이 아닐 수 없다.  대운산은 700m대의 단산으로 부산 울산 양산등 전국에서도 꽤 알려져 많은 사람들이 찾고 지금도 쉽게 오를 수 있어 사람들로 북적인다.

 



그 사람들을 수용하기에는 대운산의 정상이 사실 벅착기도 할 것이다.
지난주 찾은 대운산의 현주소는 해도 너무하다는 생각이 든다.
돈 많은 집에서 자기집에 대리석으로 도배하는 것은 할 말이 없지만 그러나 울주군에서 최근 실시한 대운산 정상의 정상석 주위에 행한 작태는 자연을 보호하고 생태계를 보호하는 수준을 넘어 환경보호에 대한 기만 행위로 밖에 볼 수가 없다.
대운산 정상 전체를 나무로 50cm정도 높혀 깔아 처음 산을 찾는 사람들을 황당하게 만들기에 충분하였다. 나무를 깔아서 깨끗하고 보기좋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이 자연보호이다고 할 수는 없으며 어디 오성급 호텔 로비를 산 정상에서 만나니 등산화를 벗고 올라가야 하는지 신고 올라가야지 황공스럽워서 앞으로는 실내화를 배낭에 넣고 다녀야 할 것 같다.
자연은 자연답게 복구를 해야하고 최소한 자연의 피해를 줄이며 복구를 해야하는데 아예 정상을 복구란 미명아래 나무판으로 덮어 버렸으니 뭘 어떻게 복구를 한다는 것인지. 그러면 자연적으로 복구가 되는지 묻고 싶다. 그러면 그 밑으로 나무도 자라고 풀도 자라고 다람쥐 토끼도 와서 뛰놀고 하는지 궁금하다.
간월산의 전망덱과 간월재 그리고 신불산 아래, 운문령에서 가지산에 이르는 등산로 곳곳에는 아 예 목재로 도배를 할 심산이 아닌지...
그리고 설치는 쉽고 관리는 어렵다.
기존적으로 계단을 만든다고 주위의 나무나 통나무를 계단으로 만들때 철근을 잘라 고정을 하였는데 나무가 썩어져 철근 심만 박혀 있는 것이 허다하다,
그때 파 해쳐 진게 산행으로 파괴를 준 것 보다 더 심하며 남아 있는 철근이 산행을 하다보면 위험하다고 생각 한게 한두번이 아니다,
이런 심산으로 하실여면 처음부터 손을 돼지 말고 더 이상의 설치보다는 이제 관리에 매진 할 것을 부탁 한다.
그리고 이참에 관리부실을 지적하면 이정표는 만들었는데 장애 이정표가 많은데. 다시 한번 보시고 이정표 보수도 해주시고 약품함만 만들면 뭘하는지 약품도 들어 있지 않은데...

 

대운산 정상의 모습

나무를 덮는 과정에서 잘려나간 나무는 없는지...




9월말에 끝난 공사의 자재들이 아직도 현장에 남아 있다.



텅빈 약품 보관함. 급한 경우에는 무용지물입니다. 들것함에도 비어있네요.

차라리 이정표정비를 하고 작은 규모의 복구가 더 바람직 할 것 같습니다.

나무판을 깐 뒤의 정상석.

나무를 깔기 이전의 정상석과 주변 모습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부산여행/동래여행)동래 복천동고분군. 도심한복판의 U.F.O가 가야시대 고분인 복천동고분군

 

복천동 고분군

사적 제273호

소재지: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50일원

<반구 돔형태의 건물로 안으로 들어서면 발굴현장의 모습과 출토된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덧널무덤과 구덩식돌덧널무덤을 출토당시의 모습으로 보여 주고 있다.>

 복천동 고분군은 현재 동래마안산의 중심부에서 서남쪽으로 길게 뻗은 구릉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부산에서는 대표적인 고분이다.

 

1969년 주택공사를 하면서 고분군 일부가

 


 

 

 파괴되며 이세상에 존재를 알리게 되었는데 1995년 까지 부산대학교와 시립박물관이 중심으로 발굴 조사가 실시되었다.

현재까지 출토된 유구는 130여 기에 달하고 출토유물은 9천점에 이른다 한다. 출토된 유물의 분포를 보면 토기류, 철기류, 장신구류, 인골, 말 이빨 같은 동물의 몸체 일부도 같이 출토되었다.

동래구청이 있는 동래시장을 통과하여  우성베스토피아 아파트 앞을 지나면 복천동 고분군으로 갈 수 있다.

고분공원으로 무덤자리는 회양목을 심어 돌여 놓았으며  까만 빗돌로 고분임을 표시 하였다. 



도심한 복판에서 가야 신비를 경험할 수 있다. 1969년 주택공사 과정에서 고분군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동서남은 시내와 접하고 북으로는 동래읍성이 둘러 쳐져 있어 시민공원으로 많은 주민들이 고분군을 산책하며 야와고분군은 무료로 관람을 할 수 있다. 




복천고분군의 53호인 구덩식돌넛무덤(수혈식석곽묘)의 내부로 출토된 당시의 모습으로 전시를 하고 있다.




복천동 고분군 54호 무덤인 덧널무덤(목곽묘) 내부로 출토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전시하고 있다.


 




밤이 아름다울 것 같은 복천동 고분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부산여행/기장여행)불광산 척판암. 판자를 던져  당나라 천명대중을 구한 원효의 척판암 가보기

 

부산시 기장군의 불광산에가면 장안사가 있다 그러나 장안사 보다도 더 유명한 사찰이 있다. 바위 절벽 밑에 붙어 있는 아주 작은 척판암은 절의 규모는 보잘 것 없지만 원효대사에 얽힌 전설이 있다. 모든 사찰치고 원효대사와 의상대사가 안 엮어진 사찰은 사실 보기 힘들다. 그 만큼 두분을 엮어야만 사찰의 대열에 끼는 것일까. 그러나 불광산 척판암은 자뭇 진지한 설화을 가지고 있다.


 

<척판암은 절의 규모가 장안사에 비해 초라하지만 원효와의 설화와 함께 전국적으로 알려진 작은 암자이다>

척판암은 신라 문무왕 13년에 원효대사가 창건을 하였다 한다. 그러던 어느날 스님이 참선중에 혜안으로 살펴보니 당나라 종남산 태화사의 천명대중이 장마로 인한 산사태로 매몰될 위기에 처한 것을 보시고 문짝을 떼어 해동원효척판구중(海東元曉擲板救衆) 즉 "바다 건너 신라의 원효가 판자를 던져 대중을 구한다"고 적힌 판자를 태화사로 던져 보냈다. 태화사의 대중들은 그 사실을 모른고 법당에 머물러 있는데 밖을 보니 판자가 하늘에 둥둥 떠 있는 것을 보고 이상히 여겨 모두 그것을 쫒아 밖을 나오니 기다렸다는 듯이 산사태가 법당을 덥치니 큰 법당이 매몰되고 말았다. 이에 천명의 대중은 원효의 신통력으로 던진 판자로 인해 목숨을 구하게 된 것을 알고 신라의 불광산 척판암으로 찾아와 원효대사의 제자가 되니 원효스님은 그들을 기거할 곳을 찾아서 원적산의 내원사로 들어서니 산신이 나와 인도를 하였다 한다. 현 산신각 자리에 도착을 하니 산신은 사라지고 스님은 대둔사를 창건하고 상,중,하내원암과 천성산 골짜기에 89암자를 지어 그곳에 대중들을 머물게 하였다 한다. 흔히 천성산 공룡능선을 산행하면 집북재란 고개와 만나는데 원효스님은 1,000명의 중국스님을 통솔하기 위해 중내원암에 북을 메달아 치며 통솔 하였다 하여 집북재라하며 그옆 봉우리를 집북봉이라 한다. 그리고 1천명의 대중을 모아 화엄경을 설법한 곳이 현재 천성산의 더 넓은 화엄벌로 봄에는 철쭉이 만개하고 가을은 억새로 산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현재에도 화엄경을 놓은 자리에는 풀이 자라지 않는다고 한다. 그리하여 1천명의 스님들이 모두 성인이 되었다 하여 원적산으로 부르던 이름이 천성산으로 부르게 되었다 한다. 그만큼 척판암은 불광산에서 대단한 조망권을 자랑한다. 앞으로는 대운산과 동해바다가 시원하게 펼처져 누구나 올라보면 넓은 혜안을 가질 수가 있을 것 같다.


부산시 기장군 장안사 옆 주차장에서 백연사 방향의 포장길을 따라가면 왼편으로 척판암으로 오르는 옛길을 볼 수 있다. 표지석과 안내판을 만나니 쉽게 찾을 수 있다.

척판암의로 계단을 밟고 올라서면 일주문으로 들어선다. 대웅전의 건물이 한일(一)자로 달랑 한채뿐인 절집이다.

일주문에 붙은 현판으로 불광산 척판암으로 적혀 있다.

이문을 들어서면 먼저 척판암의 유래가 적힌 안내판과 만난다.

척판암의 현판이 걸린 법당건물로 여기서 원효는 판자를 던져 천명의 대중을 구한 것이다.





문살의 무늬가 화려하며 연꽃무늬를 하고 있다.

문살 밑에 다른 절과 달리 보통 사천왕상의 험상궂은 얼굴을 새겨 놓은 곳은 여럿 봤지만 용을 세겨 놓은 곳은 쉽게 보지 못한 것 같다.

2007년 12월 겨울에 찾은 척판암입니다. 그때는 일주문에 단청이 입혀지지 않았는데 최근 방문시 곱은 색으로 칠한 모습이었습니다.



 

찾아가기;대중교통편은 기장군 동부리 기장시장으로 가서 마을버스로 갈아타야 한다. 기장시장으로 가려면 해운대 쪽에선 39, 180, 181, 1003번, 동래 쪽에서는 183, 반송에선 188번을 타야 한다. 기장시장 앞에선 일해교통 9번 마을버스를 타고 장안사 입구 상장 안마을 슈퍼 앞에서 내린다. 오전 6시45분, 7시10분, 8시20분, 9시15분, 10시5분 11시. 20분 걸리며 1000원. 장안사에서는 오후 2시30분, 3시40분, 4시30분, 5시30분, 6시15분, 7시10분, 8시10분에 있다.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이정표 기준으로 송정해수욕장 입구~기장체육관~울산 온양~월내 장안사~장안사 순.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명대사 기념관)

(사명대사 생가터인 유적지는 4만9146㎡의 부지에 사당인 숙청사,어린 유년기를 보낸곳을 육영당, 그리고 거처를 하던 사랑채를 사명당으로 각각 복원하였다 합니다)

(경남여행/밀양여행)사명대사 생가와 기념관. 사명대사의 고향 마을인 밀양시 무안면 고라리에 댕겨 왔습니다.


1992년에 경상남도 기념물 제116호로 지정됨
소재지: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고라리 399번지
연락처:055-359-5647
사명대사는 조선 중종 39년인 1544년에 밀양시 무안면 고라리 풍천임씨 집안의 둘째아들로 태어 납니다.
사명당이 태어난 고라리는 풍수지리설에 의 한 명당으로 주변에 하서산에서 이어진 능선이 영취산 종암산으로 흘러내린 그 중심에 서 있습니다.
고라리에서 그의 조부 때 부터 터를 잡아 살았는데 사명당은 커면서부터 매우 독특하였던 어린이 인 것 같습니다.




“번뇌를 하지 않고 쓴 글은 아무 소용이 없다” 하며. 부모님이 세상을 떠 자 그는 명종14년인 1559년에 김천의 황학산 직지사로 찾아가 신묵대사에 의해 출가를 하게 됩니다.

그후 그는 또다시 금강산의 보현사에 찾아가 서산대사의 제자가 됩니다. 1592년 사명당은 금강산 유점사에서 수도를 하던 중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그는 승문을 나와 승려들과 규합하여 평안도 순안으로 가 스승 서산대사가 이끄는 승병과 합세를 합니다. 그는“의승도 대장”이 됩니다.
여러번의 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우고 또한 1593년 명나라의 구원군과 함께 합세하여 평양성을 탈환하는 전투에서도 공을 세우게 됩니다.
그뿐만 아니라 여러번 왜구의 적진으로 찾아가 왜군의 상황을 염탐하기도 하고 휴전협정의 담판을 벌이기도 합니다.
사명당은 임진왜란이 끝난 뒤인 선조37년인 1604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적장과 담판을 하여 전쟁 중에 잡혀간 백성 3000여명을 본국으로 송환하는 쾌거도 올립니다.
8개월간 일본에서 머문뒤 돌아와 그는 모든 공직을 버리고 묘향산으로 들어가 수도에 전념하였다 합니다.
그후 그는 해인사에서 입적하게 되는데 광해군이 “자통홍제존자”라는 시호를 내렸다 합니다.

지금도 해인사에 가면 홍제암이란 암자가 있습니다. 여기서 입적한 사명당의 시호에서 따 왔다 합니다. 사명대사의 부도탑도 현재 홍제암에 있다합니다

사명대사 유적지인 기념관과 생가지에서는 최근까지 입장료 2000원을 징수하였는데 지난 10월24일 입장료를 폐지하고 무료관람을 실시하고 있다합니다. 우리 부산의 충렬사와 대조가 됩니다.

*생가터 둘러보기









*기념관 둘러보기






 찾아가는 길: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이정표 기준으로 신대구부산 고속도로 밀양IC~밀양 청도 방향~창녕 밀양 24번~마산 창원 시청 법원 검찰청 방향~창녕 부북 24번 우회전~창녕 청도면 24번~합천 창녕~무안면~무안 부곡 30번 좌회전~창녕 부곡온천~사명대사 유적지(5㎞) 크게 우회전(영산정사)~갈림길에서 왼쪽(영농법인 농정, 갈탄보일러)~영취산 하서산 등산안내도 지나~영산정사 방향~다례 서가정 사명대사 유적지 영산정사 우회전~다례 서가정~사명대사 유적지순입니다.

*사명대사 기념관과 유적지는 밀양시청 문화관광 홈페이지를 클릭하시면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http://tour.miryang.go.kr/01/04_01.php?pT_idx=15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배내봉에서 오두산으로 향해 가는 능선상에서 본 가지산, 그 우측으로 쌀굴에서 쌀이 나왔다는 언양 쌀바위의 모습도 보인다. 

*지금부터 간월산에서 배내봉 오두산으로 산행하는 모습을 보여 드리겠습니다.





간월산 정상에서 배내봉으로 가기 위해서는 내려서야합니다. 정면 맨 뒤 최고봉이 영남알프스 맹주 가지산입니다. 그 앞으로 능동산이고 그 우측으로 배내봉이  함지박처럼 등근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중앙의 도로가 배내고개에서 배내골로 내려 가는 도로이며 그 뒤 바위 봉우리가 효자 심종태의 전설이 서린 심종태바위입니다. 그 우측으로 주암계곡의 깊은 골짜기가 천황산에서 내려 옵니다.우측 사선으로 길게 뻗은 능선을 다라가면 여름철 한낮에도 어름이 언다는 얼음골과 가지산으로 갈 수 있습니다. 우측  맨 뒤의 운문산도 모습을 보여 줍니다.

간월산의 동쪽 계곡 모습입니다. 험준한 산세를 갖추고 있습니다. 맨뒤 톱날 같은 능선이 신불공룡, 그 앞의 간월능선을 동시에 볼 수 있습니다.

사진 왼쪽으로 등억온천으로 간월산 신불산의 들머리 입니다. 정면의 시커먼 계곡은 간월산의 또 다른 들머리로 천상골입니다. 

깡마른 억새 입니다. 억새는 영남알프스의 대표적인 트레이드 마크입니다. 그 뒤로 천황산과 재약산의 모습입니다.

배내봉으로 능선을 타고 가다 뒤돌아 본 간월산 모습입니다. 검은 귀신 같은 모습입니다. 그 왼쪽으로 신불산도 모습을 보입니다.

영남알프스의 능선을 오르고 있는 사람들입니다.


우측으로 조금 보이는 바위가 천길바위 윗면입니다. 여러사람이 앉아 쉴수 있는 꽤 넓은 바위로 대단한 공포감을 자아내는 곳입니다.


가까이 당겨본 천길바위입니다. 위에 보이는 소나무들도 암반위에 뿌리를 내려서인지 대단한 풍치를 자랑합니다.

겨울의 영남알프스는 엄청 추운 곳입니다. 바람 또한 심하게 부는 곳으로 악명 높은 곳입니다.
 

간월산만 내려서면 배내봉 까지 부드러운 능선길입니다. 그러나 방심은 금물입니다. 우측은 급경사  아니 절벽 같은 낭떨어지로 배내봉까지 이어지는 골짜기가 무시무시한 이름의 저승골로 불립니다. 


우측의 단면입니다. 낭떨어지로 그 아래 계곡이 저승골로 불리는 골짜기입니다. 왼쪽으로 울주군 언양읍과 그 뒤로 울산시내도 모습을 보여 줍니다.

아지자기한 능선은 걷는 재미를 확실하게 보여 줍니다.

두사람의 산꾼이 배내봉으로 향해 가고 있습니다.


배내봉이 이제 코 앞인 것 같습니다.걸어오는 사람들 뒤로 간월산에서 영남 알프스 능선을 걸어 온길을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신불산과 영축산에서 영축지맥으로 이어지는 능선상의 죽밧등과 시살등도 모습을 보여 줍니다.

드디어 두번째 봉우리 배내봉입니다. 여기서 도갈림길입니다. 우측은 밝을산으로 이어지고 순정마을과 안간월로 간월산 원점회귀를 할 수도 있습니다. 뒷 배경은 간월산과 신불산입니다.

이제는 오두산으로 향해 갑니다. 산행 내내 가지산을 볼 수 있습니다. 가면 갈 수록 가지산 정상이 가까워 지게 됩니다. 가지산의 웅장한 모습입니다. 독수리가 날개를 펼친 모습일까요, 낙동정맥상의 상운산아래 사태골의 흔적도 보입니다.

우측의 골짜기는 거리마을에서 올라오는 계곡 산길이 있는 곳입니다. 들판을 가로 지르는 24번 국도도 볼 수 있습니다.



 

갈림길이 있는 곳으로 이정표가 서 있습니다. 장군치로 왼쪽은 배내고개로 내려가는 길로 배내고개에서 배내봉까지는 30여분이면 충분이 오를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이곳으로 해서 영남알프스 종주를 합니다. 오두산은 직진입니다.


이길은 낙엽천지입니다. 허벅지까지 빠지는 곳도 있습니다. 낙엽으로 인해 뽀삽이 처리가 필요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가지산을 더욱 가까이서 볼 수 있는 전망대입니다. 가지산의 억센 근육들의 모습을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산허리를 감아 올라가는 도로는 20번 옛 도로로 석남타널을 거쳐 밀양으로 가는 도로입니다. 현재는 많은 차랑들이 능동터널로 다니고 있어 더욱 한적한 곳으로 변했습니다.

가지산 우측으로 상운산의 모습과 중앙의 말잔등 같은 능선에 청도로 넘어가는 운문령이 있습니다.그리고 890봉의 낙동정맥 분기점과맨 우측 최저점이 대현고개로 산내 불고기 단지로 유명 했던 곳입니다. 한때는 부산 울산 부근의 이름난 먹거리로 명성을 날렸는데...그 뒤가 경주 산내면입니다.

오두산 정상입니다. 저희 국제신문 근교산이 답사를 하여 개척을 한 코스로 지금은 어엿하게 하나의 봉우리로 인정을 받습니다. 그리고 상북면에서 산길을 정비하고 안전을 위하여 굵은 로프를 메어 놓은 곳입니다. 여기서도 갈림길 우측은 거리마을 또는 밀봉암으로도 갈 수 있는데 좌측으로 내려가면 됩니다. 처음은 막 쏟아지는 급경사에 낙엽까지 조심을 해야하는 곳입니다. 그러나 로프를 잡고 내려 서면 됩니다.

중간의 전망대에서 마지막으로 가지산을 눈에 담습니다. 그리고 아래쪽 도로가 능동터널로 최근에 새로 개통을 하였습니다. 이 터널이 아마 국내 지방도상에서 가장 길다고 합니다.

이제 안부에 내려서면 십자길인 고개입니다. 한때는 이 고개도 수 많은 사람들로 붐비던 시절이 있었을 것입니다. 이 고개가 언양장에서 이어지는수많은 고개중 배내골로 들어서는 가장 편한길입니다. 이길로 해서 배내고개를 거쳐 배내골로 들어가는 우리의 옛길인데 지금은 좀 별난 산꾼만 찾는 잊혀진 길이 되었습니다.

낙엽이 덮혀 있어 발아래의 흉기(돌맹이)에 조심을 해야합니다

날머리인 밀봉암입니다. 여기서 일반 버스를 이용하실여면 양등 마을을 지나 입구 주유소 까지 또 걸음품을 팔아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하늘의 봉황이 알을 품고 있는 봉소형국(鳳巢形局)의 보성대원사에 가면은...에서 이어 받습니다.

앞에 연못에 걸린 작은 다리가 있군요?. 이다리를 건너 계단을 올라서면  됩니다.




연지문이란 이문을 들어서면 대원사 극락전 앞 마당으로 들어 설 수 있습니다

먼저 만나는것이 둥근 화강암위에 발문양이 새겨진 부처님의 발이라 합니다. 이 밑으로 발 예배법관한 글귀가 적혀 있습니다.





*대원사 극락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87호

전라남도 보성군 문덕면 죽산리 831

극락전입니다. 한국전쟁에도 화마를 비껴간  대원사에서 남아 있는 유일한 건축물입니다

극락전안에는 아미타 불을 모시고 있습니다.

극락전은 불교의 이상향인 서방극락정토를 상징하는 건물이다.지금 현재 남아 있는 극락전은 1757년인 영조 33년에 대화재로 소실된후 4년에 걸쳐 새로 지어진 건축물로 한국전쟁(6.25)때에는 모든 건물이 화재로 인해 불탔지만 극락전만 온전한 상태로 남아 있어 1982년에 다시 해체를 한후 복원을 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아미타불을 모신 대원사 극락전은 앞면3칸 옆면3칸의 규모로 사람인(人)자 형태의 맞배지붕으로 지어졌다. 지붕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는 기둥위 와 기둥사이에도 있는 다포식 건축양식이다. 공포는 비교적 복잡한 형태로 이루고 있으며 연꽃 봉우리등이 조각되어 있서 화려한 조선후기의 작품임을 나타내고 있다.

다포식 건물은 보통 팔작지붕인데 반해 대원사는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이하다하겠다.

*대원사 자진국사 부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5호








자진국사 부도는 한국 전쟁때 극락전과 함게 소실되지 않고 원형 그대로 모습을 갖추고 있는 부도탑입니다. 부도는 승려의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 둔 탑을 의미합니다. 자진국사는 조계산 송광사의 5대 국사로 여기 대원사에 주석하며 대원사를 고려 원종 1260년에 중건을 하였다 합니다. 자진원오국사청조탑(慈眞圓悟國師浮照塔)이라 새겨져 있으며 대원사 극락전 옆 계단위 평평한 넓은 터에 조성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붉은 기운이 돌며 보기에는 바위로 조각한 것이 아닌 느낌이 들었다. 꼭 시멘트로 버물러 그 위에다 뭘 다른 분말이라 해야 할까 그런 것을 뿌려 놓은 느낌을 받았다. 그러나 자진국사부도는 팔각원당형의 부도로 군더더기가 없는 늘씬하고 갈끔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바닥을 11개의 판석을 깔고 그위에다 2단의 지대석은 하단은 4매의 판석을, 상단은 한판의 넓은 판석을 그대로 깔고 위에다 기단석을 만들었다. 기단도 2단으로 만들었는데 아랫단은 8각형으로 한면마다 안상을 2개 새겨 넣었서며 윗단은 16판의 복련을 위아래로 균형을 주었다. 팔각형의 탑신에는 자진원오국사정조탑(慈眞圓悟國師浮照之塔)이라 음각이 되어 있고 각면에는 사천왕상의 신장상이 조각되어 있다. 탑신위의 옥개석은 기왓골로 처리를 하여 무게감과 예술성을 주었다 상륜부는 평범한 3개의 둥근돌을 올려 소박한 모습을 하고 있다.

더욱 자세한 자진국사부도탑에 대해서는 여기로http://cafe.daum.net/ygtour/7tlL/16?docid=18Qwj|7tlL|16|20080528211110&q=%C0%DA%C1%F8%BF%F8%BF%C0%B1%B9%BB%E7%BA%CE%B5%B5&srchid=CCB18Qwj|7tlL|16|20080528211110

*대원사 성모각



대원사에 가면 특이한 산신을 모셔두고 있다, 다른 사찰에 가면 산신각안에는 수염이 있는 할아버지가 옆에다 호랑이를 두고 있는 산신을 모시고 있지만 여기 대원사에는 어머니인 성모를 신으로 모시고 있다. 한국전쟁때 소실 된것을 1969년 5월 불자들의 힘으로 복원을 하여 성모각을 모셨다 한다. 어머니는 보통 자식들이 아버지에게 하기 힘든 말은 어머니에게는 서슴없이 모든 이야기를 하듯이. 여기 성모각의 어머니산신에게도 대중들의 사소한 고민도 털어 놓을 수 있는 우리네 어머니입니다.

*신라왕자 김지장 기념관



중국 안휘성 구화산에 가면 김교각스님의 동상건립을 위해 1999년9월9일 기공식을 갖고 현재 공사중이라 합니다. 696년 신라 성덕왕의 왕자로 태어난 김교각 스님은 24세에 출가를 하여 지장이란 법명을 받았다 합니다. 스님은 신라에서 선청이란 삽살개와 오차송이란 소나무종자, 황립도라는 볍씨와 조, 금지차란 신라차를 가지고 중국 구화산으로 건너가 그곳에서 각고의 수행을 정진하고 법력으로 그곳 사람을 교화하다가 99세를 일기로 열반에 들었다 합니다. 794년 음력7월30일 “내가 열반한 뒤 내몸을 화장하지 말고 돌함에 넣어 두었다가 세해가 지난 뒤 열어보아라, 만일 그때까지 썩지 않으면 그대로 개금하여라”는 말씀에 따라 세해뒤 열어보니 육신이 그대로 살아 있는 모습이라 구화산 남대에 등신불을 모시고 그위에 법당을 지어니 오늘날 구화산의 육신보전이라 한다합니다. 대원사에서는 2002년 5월 김지장스님의 탄상 1306주년과 열반1208년에 맞이하여 김지장전을 건립하고 삼존상을 모섰다합니다.

*대원사 태안지장보살

태안지장보살 아래 붉은 모자를 쓴 동자는 이세상에 태어나 세상 빛을 보지 못하고 죽은 태아 영가들입니다. 슬픈일입니다.


지장보살은 지옥의 중생을 모두 구제하지 않고 자신은 성불하지 않겠다고 서원한 저승의 어머니를 말합니다. 그중에서도 태안지장보살은 부모와의 인연을 맺어젔지만 이세상의 햇빛을 보지 못하고 사라져간 태아의 영혼을 고통과 원한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자비의 어머니를 말합니다.

태안지장보살에게는 슬픈전설이 있다합니다.

지금의 태안지장보살상을 보면은 오른손에는 아미타불을 모신 석장을 짚고 왼손으로는 동자을 안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는데 불교설화에서 유래하였다합니다.

“이승과 저승 사이에는 삼도의 강이 흐른다합니다. 이승과 저승을 가르는 삼도의 강가 모래 밭에서 태어나보지도 못한 어린 영가들이 탑을 쌓아 올린다합니다. 부처님께 공덕을 쌓아 삼도의 강을 건너 저승으로 가기위해서 말입니다. 돌을 하나 올리며 어머니 또하나의 돌을 올리면 아버지를 부르며 갖은 고생을 하며 하나의 탑을 다 세워가면 저승에서 도깨비들이 나타나 영가들이 쌓아 올린 탑을 부숴버리고 갖은 행패를 부린다합니다. 그러면 어린영가는 삼도를 건너가지 못하는 서러움과 지쳐서 모래밭에서 눈물을 흘리며 잠든다 합니다. 그때 지장보살님 눈물을 흘리며 나타나 나를 어머니라 불러라하며 삼도의강을 건너게 해준다합니다.” 이 이야기를 읽어보니 참 슬프네요. 흔히 영혼이 구천을 떠돈다는 이야기 처럼 어린 영혼이 저승으로 가지 못하고 삼도의 강을 가기위해서 갖은고생을 한다는 이야기가...

어딜가도 나쁜놈이 있는가 봅니다.

미륵전 우측에서 본 모습입니다, 정면에 금종각을 볼 수가 있습니다.

금종루의 모습입니다. 온 절이 환한 것 같습니다

일행에게서 전화가 옵니다. 빨리 안내려 온다고... 저 사람들 뒤를 따라 지도 내려가봐야 겠네예
아침 그리고 죽음에 관하는 정자인 수관정이 이절입니다.



이외에도 볼것과 생각하게 하는 것이 많은 절인 것 같습니다.
현장주지스님의 정성이 곳곳에 묻어납니다.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이정표 기준으로 남해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 주암(송광사)IC~순천 벌교 송광사 22번 좌회전~고흥 벌교 송광사 보성 우회전~송광면~보성 벌교 27번~광주 보성 우회전 15번~보성군 문덕면~광주 화순 우회전 15번~대원사 백민미술관 좌회전~대원사 주차장 순.

*보성 천봉산 대원사의 궁금증은 홈페이지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http://www.daewonsa.or.kr/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대원사 수미광명탑의 안내문입니다.

보성 대원사에 가면은 2001년 7월에 개관을 한 티벳박물관이 있습니다. 이 박물관은 개관을 할때 달라이라마는 축하메세지를, 티벳 신탁승 툽덴 린포체는 가습불사리 1과를 그리고 네팔의 불안불탑으로 유명한 슈얌부사원의 주지스님은 카일라스(수미산)사리 33과를 보내 왔다합니다. 이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높이 15m의 티벳식 불탑 수미 광명탑을 발원하였다 합니다. 108분을 모아 2002년 3월 기공식을 갖고2003년 5월에 수미광명탑을 완공하였다 합니다.
 



<백옥으로 만들었다는 수미광명탑입니다.티벳양식으로 조성을 하였다 합니다>

수미광명탑은 상륜부 첨탑을 황동으로 제작을 하였고 11면천수관음상을 모신 감실등이 티벳 망명정주의 협조로 인도에서 제작되어 순금으로 옷을 입혔다합니다. 불탑의 바닥과 탑신은 백옥으로 장엄하였으며. 불탑 내부에는 사람들의 질병을 치료해주기 위해 약초와 약함을 들고 있는 약사여래삼존불을 모섰습니다. 삼존불은 네팔의 석가족의 장인들이 직접 조성을 하였다하며. 법당내부에는 티벳 왕궁화가인 락쌈과 체링부부가 1년간 공들어 그린약사여래, 석가여래,아미타여래,미륵존여래의 사방불국토와 칼라챠크라 만드라가 그려져 있다합니다.


 <수미광명탑안의  약사여래 삼존불입니다. 약초와 약함을 들었으며 석가족의 장인들이 직접제작을 하였다 합니다. 삼존불 뒤 배경의 그림은 티벳 왕궁화가 부부가 1년 동안 공들여 그린 그림이라 합니다. >



대원사 주차장에 서면 흰색의 탑을 볼 수가 있다. 백옥으로 만들었다는 수미광명탑이다. 그 탑앞으로 박물관이 마주 위치하고 있다. 티벳박물관은 현장스님이 티벳을 여행하시면서 모은 티벳미술품 1000여점을 상설 전시한 건물로 국비가 4억5천만원, 도비와 군에서 각각5천만원을 지원, 자체조달 2억5천만원 총 8억원의 기금으로 건립되었다 한다.


1층 전시실에는 달라이라마 기념실과 제1전시장으로 달라이라마 기념실에서는 가섭불사리탑에 봉안할 사리를 친견할 수 있으며 티벳 신탁승 쿠덴이 보내온 4과의 사리가 증식되어 현재는 48과가 되었으며 계속 자라는 신비한 모습을 볼 수 있다 합니다.

2층 전시실에는 석가모니의 직계후손인 석가족의 장인들이 만든 불상을 모신 법당과천수관음상, 6년고행상, 시청각실이 갖추어져 있다. 지하전시장에는 김지장스님 기념관과 저승체험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관람은 하절기:오전10시~오후6시.
동절기:오전10시~오후5시
년중관람이 가능하며
입장료는 2000원
티멧박물관 061-852-3038

*자세한 정보는 티벳박물관 홈페이지를 클릭하시면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http://www.tibetan-museum.org/*

*필자는 산행후 촉박한 시간으로 인해 안을 둘러 보지 못한 아쉬움이 내내 남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천봉산 대원사

소재지 전라남도 보성군 문덕면 죽산리 831번지

<대원사 경내입니다. 그리고 극락전으로 유형문화재제87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대원사는 1500년경 전인 백제 무령왕 3년(503)에 아도화상에 의해 천봉산 골짜기에 창건되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5교9산중 열반종의 대 가람으로 위세를 떨쳤으며 고려시대에는 조계산 송광사의 16국사중 제5대인 자진원오국사가 극락전을 중심으로 하여 선원 승방을 크게 중창을 하여 대가람의 위세를 갖추었다. 그후 조선 영조 7년때(1731)에 탁오대사가 중창을 하였다. 그러나 26년뒤인 1757년에 발생한 대화재로 대가람은 잿더미가 되고 만다.




영조35년에 와 현정선사가 다시 불사를 일으켜 중창을 하여 주위에 12암자를 거느린 대가람의 면모를 갖추었지만 민족 최대의 비극인 6.25 한국전쟁때 또다시 극락전만 남기고 모든 전각들이 전소되는 불운을 맞는다. 그후 1990부터 불사를 일으켜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을 하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원사는 자진원오국사 부도탑과 극락전 그리고 극락전 안의 관세음보살과 달마대사의 벽화가 사찰벽화의 진수로 꼽을 만하다합니다.

대원사 경내로 가기위해서 두 갈래의 길이 있습니다 우리는 한꽃이란 이 문 앞에서 넓은 길을 그냥 따라가도 되구요, 또 하나는 이문을 통과하여 천봉산 대원사 일주문을 지나시면은 대원사로 갈 수 있습니다. 필자가 최근에 댕겨 왔을 때에 마지막 단풍이 대원사를 감싸며 절정이였습니다. 그 단풍을 먼저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직진을 하면 좌우 쌍돌탑과 만나고 넓은 길을 따라가면 바로 대원사로 갈 수가 있습니다.

돌탑을 지나 뒤돌아 본 모습입니다. 일주문으로 향하는 길과 단풍나무가 장관입니다.


우리는 한꽃이란 문을 들어서니 이런 단풍나무가 반겼습니다. 황홀한 단풍이 일주문 주위를 뒤 덮고 있었습니다.

단풍나무 아래 연못에 둘러 싸인 정자가 더욱 운치 있는 모습으로 주차장에서 저 정자를 지나서 바로 일주문으로 올 수도 있습니다.

천봉산 대원사의 일주문입니다. 이문안으로 들어서기 전에 다시한번 단풍과 함께 잡은 일주문을 보게되겠습니다.


이제는 경내로 들어갈여고 하는데 단풍나무가 자꾸 나를 잡습니다.
한번만 더 둘러 보고 대원사 경내로 가도록 하겠습니다.

눈여겨 보시면 이 단풍나무 뒤쪽으로 건너온 우리는 한꽃이란 작은 문이 보입니다.

그리고 일주문 앞에서 봤습니다 걸어오는 사람 뒤로 연못에 둘러 쌓인 정자도 보입니다.

이제 미련없이 일주문 안으로 들어서니 우측으로 나무아미타불이란 각자가 보입니다.
발아래 깔린 낙엽들 함 보세요. 이쁘게도 깔려 있습니다. 

이 지점이 천봉산 산행과 대원사로 갈 수 있는 갈림길입니다. 산행은 우측길, 대원사 절집구경은 직진을 하면 됩니다. 그럼 직진을 합니다.  

여기가  두길이 서로 만나는 곳입니다. 왼쪽에 화장실입니다. 그 뒤로 단풍이 옛집모양인 화장실과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영의정 황희정승 영당



조선 세종때 명재상으로 24년 동안 재위에 있으면서 청렴결백으로 청백리의 표상인 익성공, 방촌, 황희정승의 영정이 1460년에 대원사 경내에 봉안되었다한다. 그러나 그후 화재로 인해 소실되어 유허지만 남아 있었는데 최근에 역사유물복원차원에서 다시 영당을 복원하고 존영은 광주 전남 황씨 종친회에서 표준영정을 묘사하여 복원을 하였다 한다.

대원사 귀자모신

부처님 당시 아기를 잡아 먹는 “하리티”라는 야차귀신이 있었다. 그는 아기를 유괴해서 잡아먹어므로 사람들이 부처님을 찾아 뵈어 호소를 합니다. 부처님은 하리티에게는 500명의 자식이 있었는데 그중 막내인 “빈가라”를 신통력으로 발우속에 7일동안 감추버립니다. 이에 하리티는 막내 자식인 빈가라를 잊어버려 가슴이 찢어지는 아픔을 겪어며 부처님께 찾아와 아이를 찾아 달라고 도움을 청합니다. 이에 부처님은 아리티를 꾸짖어며 500명의 자식을 두고도 내마음이 그리 아픈데 1명의 자식을 두고 그를 잃어 버린 부모의 마음을 헤아려 봤느냐며 크게 호통을 치니 야차귀신은 크게 깨닫고 삼보에 귀의하고 오계를 받아 부처님의 제자가 되었다 한다. 그후 하리티는 어린 유아들을 보호하고 산모들의 출산을 돕는 사랑의 신이 되었다합니다. 대원사에 가면 유아양육과 해산의 신인 귀자모신을 모시고 있다.

태아들의 영가입니다.

대원사 부모공덕불

전면의 아버지불입니다.

뒷면은 어머니불로 한을 가슴에 안은 어머니의 모습입니다.

<울고 있는 아버지 모습입니다. 가까이 가 봤습니다. 눈물을 삭이시며 묵묵히 바라보시는 우리네 아버지의 모습입니다.>

성철 큰스님은 “집안에 부처님이 계시니 바로 부모님이다"라고 말씀을 하셨습니다.

아버지와 어머님은 안계시면 우리는 이 세상에 존재를 할 수가 없습니다. 그리하여 대원사에 봉안된 부모공덕불은 부모님에 대한 불효와 원망심을 참외하고 부모님의 깊은 은혜를 감사를 드리게 하는 지혜와 자비의 부처님입니다.

여기 부모공덕불의 앞면에는 우리들의 아버님을 모시고 있습니다. 언제나 묵묵히 괴로움을 속에 삼키시고 속으로 눈물을 흘리시는 아버지 그 눈믈 흘리는 아버지 불상이 모서져 있고 뒷면에는 모든 아픔을 가슴에 안고 그 아픔을 삮여 가슴에 한으로 남아 맺힌 것이 많은 어머니 불을 모시고 있습니다. 대원사 주지 현장스님은 공덕불에 부처님 진신사리1과와 부모은중경, 오곡, 오약, 오보등을 넣어 봉안하였다 합니다.

*대원사의 머리를 맑게하는 왕목탁*



대원사에 가면 머리로 치는 왕 목탁이 나무에 걸려 있습니다,

목탁을 머리로 치는게 아니라 머리로 박아 봐야 겠지요,

그러면 남이 나에게 나쁜말이나 행위들을 간직하고 있으면 병이 되고 나쁜 업이 되고 그것이 나의 삶을 고통으로 만들고 불행을 만들게 됩니다. 그 모든 것을 소멸하게 하고 항상 맑은 생각과 맑은 기운을 받아라는 왕목탁에 머리한번 세게 박아봅시다.

지도 머리가 복잡해 대원사에 관해서는 나누어 올리도록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머리가 복잡하여 왕목탁에다 냅다 머리를 꽉 박아 내머리 부터 맑게 하고 오겠습니다. 

연못과 담장 그 뒤로 금종각입니다. 종이 전부 누런 황금을 입혀 놓았습니다. 요기까지입니다. 극락전 부터는 2부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청광도예원(061-851-4157).
전남 보성군 문덕면 죽산리 449번지

대원사 진입로는 모두 벚꽃 터널이다. 그 중간에 위치를 해 있어 봄철인 4월에는 예약을 하지 않으면 안될 정도로 사람들로 붐빈다. 그리고 주암호와 벛꽃이 한국100경의 아름다운 길에 소개가 되었다 한다. 대원사로 차를 타고 가다 보면 간판은 도예원 간판이고 그 밑으로 음식 이름이 적혀 있어 의아해 할 것이지만 닭도리탕을 전문으로 하는 식당이 틀림없다. 먼저 도예가 김기찬님이 도예공방을 하다 보니 자연히 이름이 굳어졌다 하겠다.




김기찬씨는 조선대학교 대학원에서 전공을 도예로 하여 작업장을 손수 찾아 다니다 이곳 대원사 입구에 작업장을 손수 지었다 한다. 황토와 통나무로 지은 집이라 들어서면 투박하지만 운치가 있다.

음식맛은 어떨까요. 따봉입니다. 토종닭을 이용하여 맛을 내고 갖은 양념을 안주인이 직접 만들어서 사용을 합니다. 마치 수라상을 받는 기분이라고 할까요.그리고 분위기 또한 좋아 맛이 담백하며 깔금합니다.
닭도리탕은 4인기준에 40,000원, 녹차수제비는 1인분 7,000원 

작지만 깔끔한 자연식 밑 반찬입니다.



그의 작업실은 식당 뒤편에 따로 마련이 되어 있으며 여기는 작품을 진열해 놓아 감상도 하며 구경을 할 수 있다. 모든음식에 담겨저 나오는 그릇은 주인 김기찬님의 작품으로 여기서 도자기를 구입도 할 수 있으며 민박도 가능하다한다



물이 담겨져 나오는 주전자입니다. 녹차에다 솔잎을 넣어 자꾸 손이 가게 하는 그런 물이였습니다.

손수 지었다는 황토방으로 된 내부 식당 모습입니다


통유리를 넣어 외부를 바라 볼 수 있도록 해 놓아 주인장의 센스를 옅볼 수 있습니다

주방쪽 입니다.

실내의 천장입니다. 특이하게 처리를 하여 운치를 더해주는 분위기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간월산 정상에서 본 영남알프스 천황산과 재약산 그리고 사자평의 그림같은 능선이 펼쳐진다.>

울산과 청도 경주 밀양 양산에 걸쳐져 있는 산군을 우리들은 영남 알프스라 부르고 있습니다. 영남알프스는 1000m가 넘는 이름 있는 봉우리를 아우르는 명칭으로 9개의 산을 끼고 있습니다. 혹자는 낙동정맥을 자꾸 언급하면서 문복산을 제외시키곤 합니다. 아니면 고헌산을 제외한다던지요. 이 영남알프스 명칭은 산경표인 백두대간과 정맥을 이야기하기 전에 사용을 하였습니다. 그래서 영남알프스 산군은 총 9개의 산을 잇는 능선을 의미합니다. 그 산 안에 두 개의 공룡능선이 있습니다. 영남알프스를 산행하시는 분은 모두 다 알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신불산을 잇는 신불공룡능선과 간월산을 잇는 간월공룡능선입니다. 두 능선 다 너무나도 잘 알려져 이제는 따로 언급이 필요가 없을 정도입니다. 그 중 간월공룡능선은 필자가 산행루터를 정리하여 국제신문 다시찾는 근교산에 간월공룡능선이란 이름으로 소개를 하였습니다. 그래서 현재 전국의 산 관련 잡지나 언론매체에서 간월공룡으로 통용을 하고 있더군요. 처음 간월 공룡능선을 오를때에는 그야말로 사람의 족적을 찾기가 힘들었습니다. 오르는 바위마다. 수십년을 살아 왔을 이끼가 두껍게 덮혀 푸름을 잊지 않은 원시성을 그대로 간직하였는데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산행을 하므로 바위에 붙어 있던 이끼는 온데간데 없이 사라지고 빤질빤질한 바위면이 노출되어 있어 그때의 산행이 그립습니다. 곳곳마다 설치된 안전로프로 인해 산행은 안전하겠지만 더 많은 산행객을 불러 드리는 형국이 되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보니 자연적으로 우회길도 생기고예....




영남알프스를 걸어보신 분들은 알 것입니다. 뛰어난 조망이 얼마나 좋은지를요. 산행내내 막힘없는 조망권을 보장해 주는 영남알프스의 능선들을요.

간월공룡은 간월산장에서 출발을 합니다. 간월산장 앞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가면 됩니다. 간월 산장 담장이 끝나는 곳에서 계곡을 건너 넓은 산길을 따라가면 갈림길이 나옵니다. 우측으로 능선을 향해 오르면 간월공룡입구는 잘 찾은 것입니다.


처음에는 운치있는 소나무길입니다. 건너편 신불산 아래 홍류폭포의 물줄기가 흔적만 보입니다.

뒤돌아보니 등억온천과 남암산 문수산이 소 뿔과 같이 솟아 있습니다.

임도에서 좌측으로 바라보니 천길바위의 위용이 대단합니다.

잠시후 임도를 만나면 마음을 다잡아야 합니다.

절개지의 로프를 잡고 오르면 한동안 편한 산길입니다.

그러다 갑자기 산이 우뚝 서서 있습니다. 공룡의 능선을 타고 오르는 길입니다. 그러나 생각보다도 큰 어미공룡이 아닙니다.


작은 아기공룡의 수준으로 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항상 발놀림에 주의를 하셔야 합니다. 그래도 공룡능선이니까예...

지금부터 공룡능선의 바의길을 함 보세요.



좌측은 천길의 절벽입니다. 우측 또한 급경사입니다. 앞으로는 산넘어 산입니다.

바위 위 전망좋은 곳에 산악인의 추모비도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이런 곳을 보니 우리나라 전부를 금수강산이란 말이 실감을 할 수 있습니다. 

앞을 보니 아기자기 한 바위 능선을 오르고 있는 산사람들입니다.

이부근이 공룡능선에서 제일 멋진 조망터입니다.

이제 들머리와 등억온천이 완전히 모습을 보여줍니다.

우측 배내봉으로 달려가는 능선 뒤로 영남알프스 최고봉 가지산이 모습을 보여 줍니다.

발아래 임도를 따라 걸어오는 사람이 성냥갑 처럼 작게 보이고 속리산 입구의 구절양장인 말티고개처럼 간월재로 오르는 임도길이 장관입니다.

위에서 보면 장관으로 보이지만 임도를 걸어 내려가면 개발로 인한 자연파괴로 마음이 아파옵니다. 얼마나 산을 파헤쳤는지 말입니다.

이제는 간월산 어께죽지가 가깝게 와 있습니다.

더욱 가깝게 다가와 있습니다.

간월공룡도 이제 다 올랐다는 이야기겠지요,

간월공룡을 다 올라 와 전망데크에서 본 모습입니다. 돌무덤옆 경고판 뒤가 간월공룡 을 끝내고 올라오는  길입니다.

전망데크에서 뒤돌아 보면 헬기장입니다. 헬기장에서 좌측은 간월재 우측 오름길입니다.

오름길이 사람의 행렬입니다. 간월재 까지는 일반 차량도 올라 올 수 있어 손 쉽게 간월산을 오를 수 있어 많은 사람들로 붐비게 되었습니다.

간월공룡 정점에 오르면 돌무덤과 전망데크가 설치 되어 있습니다.

등산로 길을 따라 좌측으로 내려서면 간월재를 거쳐 신불산으로 향하고

우측 능선으로 오르면 쉽게 간월산 맷부리에 설 수 있습니다.

간월산 오르는 능선상에서 보니 운문산과 가지산 상운산 문복산이 모드다 볼 수 있는 전망대 능선입니다.

파래소 폭포로 내려서는 골짜기와 배내골의 깊이를 알 수 없을 정도로 깊은 영남알프스입니다.



간월산 정상이 다 왔습니다. 천왕산과 재약산이 코앞까지 가까이 와 있습니다.

겹겹이 싸인 영남알프스 능선이 장관입니다.

더 이상 오를길이 없는 간월산 정상입니다. 등산객이 카메라폰으로 추억담기에 여념이 없습니다.

간월산을 이래 한바퀴 돌면 원점 회귀 산행을 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오늘 아침 방금 베란다 창문을 보니 어제 없던 산이 갑자기 생겼습니다.

산세가 예사롭지 않은 암릉길입니다. 설악산 용아장성과 버금가는 옹골찬 산세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자세히 보니 벌써 누군가 산행을 하고 있습니다. 힘들어 하며 오르는 릿지산행을 해 보면 남다른 희열을 느낌니다. 개구멍에서 주춤하고 있는 모습이 보이고. 갑자기 나타난 절벽 앞에서 난감해 하는 모습도 보입니다. 나도 얼른 배낭을 꾸려 봅니다. 구름의 용아장성이 사라지기 전에 산행을 떠나 볼 까 합니다. 바다와 함께 하는 이런 산행은 좀 처럼 만나기 힘들 것입니다. 아님 평생에도 못 오를 산.남항대교와 함께 잘 어울리는 구름산은 아쉽게도 아침의 해가 떠오르며 사라지는 일장춘몽과 같은 구름산이기 때문입니다. 





집 앞 남해 바다에 어제 없던 산이 생겼습니다. 보기에도 고약한 설악산 용아장성 처럼 고약하게 생겼습니다.

영도 태종산 뒤로 펼쳐진 큰 산맥입니다. 그러나 저 산은 곧 사라지는 구름산입니다.

내일 아침에도 또 산이 생길런지요. 아님 다른 산이 또 생기겠지요.
그때는 사라지기전에 산행을 함 떠나 볼까 합니다. 구름산 산행을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울산시 울주군 상북면 양등마을 안 골짜기에는 작은 암자가 있다. 영남알프스의 외진 오두산 자락의 치마폭 같은 넓은 골짜기에 터를 잡은 밀봉암은 어느 산길 처럼 번들나게 찾는 그런 절집이 아니다. 골 수 산꾼 들만 하산시나 등산시 가끔 찾아 올 뿐 그만큼 외진곳에 위치를 하고 있다.
오두산과 송곳산 사이에서 흘러 내리는 골짜기에 숨어 있는 밀봉암은 정확한 창건연대를 알 수 가 없지만 조선후기로 추정을 할 뿐이다. 




상북 읍지인 1919년 불우조에 밀봉암은 "고을 서쪽 15리되는 양등리 금산 아래에 있다(在縣西十五里楊等里錦山下)"고 되어 있다.
전해오기는 신라 고찰이라고 하지만 남아 있는 자료가 없어 아쉬움이 남는다.
현재 대웅전 좌측으로 바위에 음각 글씨가 있는 옆에 천태각이 있는데 1883년 고종20년 창건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 조선후기로 추정을 하고 있을 뿐이다.
 1939년에 새로 중수를 하였고 1959년 사라호 태풍때 대웅전이 산사태로 매몰되고 사찰 또한 풍지박산이 되었다.
그 후 1964년에 현 대웅전 우측에 작은 규모의 대웅전을 건립하였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말사로 '밀봉암(蜜蜂庵)'은 최근에 중창을 하여 대웅전과 칠성각을 새로 건립하였다.

최근에 불사를 일으켜 중창한 대웅전으로 옛 대웅전의 좌측에 터를 닦고 새로운 대웅전을 건립하였다

옛 대웅전의 모습이다.

반듯한 칠성각의 모습으로 화려한 단청을 칠하였다.

대웅전 좌측으로 가지산에서 흘러온 능선이 배내고개를 거쳐 능선은 갈라지는데 좌측의로 흘러 내리는 오두산 능선에 터를 잡고 있다. 앉은 폼새가 예사롭지 않다.

최근에 중창을 하여서 그런지 단청의 색깔 또한 화려하고 곱게 치장을 하였다.

문살아래 사천왕상의 문양을 험상궂게 표현을 한 것으로 보아 잡귀신은 얼씬도 못할 것 같다.



외벽의 벽화들...

1883년 고종 20년인 조선후기에 천태각을 건립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조선 후기의 사찰로 보고 있지만 신라시대때 에 창건을 하였다는 이야기도 전해온다.

천태각 옆 큰 암벽에 새겨진 글씨로  예사롭지 않은 글씨체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밀양 영취산

사명대사가 어릴 적 꿈을 키운 어머니품 같은 푸근한 산

'영축산 영취산 취서산'.

일반 산꾼들 사이에서 아직도 혼용되고 있는 산 이름이다.

우선 떠오르는 곳이 통도사를 품은 영축산(靈鷲山). 한자 '鷲' 자를 두고 나온 옥편에선 '독수리 취'라고 표기돼 있지만 불교에선 '축'으로 발음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심지어 '길들일 서(棲)' 자를 곁들여 '취서산'으로도 부른다.





<산행 중 만나는 무덤 앞 전망대에 서면 들머리 서가정마을과 저 멀리 운문산 가지산 등 영남알프스 연봉이 시원하게 펼쳐진다.> 
양산시는 지난 2001년 지명위원회를 열어 통도사를 품은 뒷산을 영축산으로 통일했다. 하지만 홍보 부족 탓인지 여전히 산꾼들 사이에서 혼용되고 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다음' 등 주요 온라인 포털사이트에서 얼마나 혼용되고 있는지는 검색창에서 한번만 확인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반면 창녕에는 '영취산'이라는 이름이 둘 있다.

하나는 송이집산지로 유명한 창녕읍 옥천 쪽을 들머리로 하는 '고개 영(령)' 자를 쓰는 영취산(嶺鷲山·736m)이고, 또 하나는 영산읍에 위치한 암봉인 영취산이다.

창녕군 창녕읍과 밀양시 무안면의 경계에 위치한, 전자인 영취산은 큰고개(절재)를 넘지 않으면 접근이 안돼 붙여진 이름이며 후자인 영취산(靈鷲山·682m)은 '신령 영(령)' 자를 써 통도사 뒷산 영축산과 동일한 한자를 쓴다. 산꾼들의 입장에선 지금처럼 본의 아니게 교통정리된 상황이 오히려 헷갈리지 않고 더 낫다며 창녕군이 괜시리 지명위원회를 열어 개악을 하지 말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렇듯 '고개 영(령)' 자를 쓰는 영취산은 흔히 창녕의 산으로 인식돼 왔다. 흔히 산행을 창녕에서 시작하기 때문이다. 물론 산너머 밀양 하서산이나 사명대사 생가터에서 산행을 시작, 영취산을 찍고 창녕으로 하산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는 산행팀이 지향하는 원점회귀가 되질 않는다.

해서, 늘 새로운 산길을 추구하는 산행팀은 밀양 쪽에서 그 누구도 가지 않은 산길을 개척, 이름하여 '영취산 원점회귀' 코스를 만들었다.

<들머리 서가정마을 주차장에서 본 영취산 전경.>

산행기점은 무안면 가례리 서가정(西嘉亭)마을 주차장. 박재기 서가정마을 이장은 독특한 서가정 이름과 관련해 "밀양의 가장 서쪽에 위치한 아름다운 정자가 많은 마을"이라며 "어렸을 때 마을 어른들은 이 영취산을 산 봉우리가 뚜렷해 '산봉산'이라고 불렀다"고 말했다.

산행은 무안면 가례리 서가정마을 주차장~영산정사 일주문~철탑(경주 김씨묘)~철탑~주능선(옛 헬기장)~전망대~정상 직전 삼거리~영취산~정상 직전 삼거리~서가정·심명고개 갈림길~심명고개~임도~철탑~임도~삼각점봉~하서산·사명대사 생가지 갈림길~사명대사 생가지 순. 순수하게 걷는 시간은 4시간40분 정도 걸린다. 들머리만 잘 찾으면 산행은 의외로 쉽다. 일부 구간은 길이 묵어 다소 당황스럽겠지만 그때마다 산행팀이 노란 안내리본을 촘촘하게 묶어놓아 큰 어려움은 없을 듯하다.

서가정마을 주차장에서 영산정사 방향, 즉 좌측으로 발걸음을 옮기면 서가정 복지회관과 영산정사 일주문을 잇따라 지난다. 곧 우측으론 영산정사, 좌측으로 공사가 중단된 와불 좌대가 보인다.

'영취산 영산정사'라 적힌 커다란 이정석 앞에서 왼쪽으로 발걸음을 옮겨 전봇대를 따라 흙길로 올라간다. 세 번째 전봇대 직전 왼쪽으로 산길이 열려 있다. 본격 들머리다.

<밀양 영취산 낙엽융단길.>

낙엽과 솔가리가 어우러진 푹신푹신한 산길이다. 4분 뒤 첫 갈림길. 나무를 눕혀 놓은 우측 대신 좌측으로 올라서면 철탑과 묘지를 만난다. 맨 좌측 경주 김씨묘 뒤로 올라서 봉분이 이장된 묘지 2기를 지나면 반듯한 산길과 만난다. 이 길은 첫 갈림길서 우측으로 올라오는 길인 듯 싶다.

오름길이지만 단풍이 널브러져 있는 천연카펫을 걷는 기분이다. 두 번째 철탑에 닿는다. 지능선에 올라선 셈이다. 이때부터 주능선까진 청정 오르막 낙엽산길. 좌측으론 덕암산이, 우측으론 영산정사와 들머리 서가정이 한눈에 펼쳐진다. 산 전체도 겉보기엔 노랑과 초록으로 어우러진 근육질의 봉우리처럼 보이지만 막상 품안에 들면 전형적인 육산이다. 곳곳 쓰러진 나무들과 잡목 일부만 정비하면 어딜 내놓아도 부끄럽지 않은 등산로가 될 듯하다.

일순간 계속되던 산길이 수북이 쌓인 낙엽으로 인해 사라진다. 두 번째 철탑에서 36분. 길찾기 유의할 지점이다. 우측으로 올라선다. 리본을 촘촘히 묶어놓았다. 이어지는 개척산행. 이끼 낀 집채만한 바위를 지나면 석축이 보인다. 옛 헬기장이자 동시에 주능선에 올라서는 지점이다. 억새를 헤치면 마침내 주능선길을 만난다. 왼쪽은 종암산~부곡온천~덕암산 또는 함박산 방향, 오른쪽은 영취산~관룡산~화왕산 가는 길이다.

산행팀은 영취산 방향으로 향한다. 송림길이다. 도중 '열왕지맥'이란 조그만 팻말이 보인다. 열왕지맥은 비슬지맥의 분맥으로, 분기점인 천왕봉에서 열왕산 종암산 덕암산을 거쳐 비룡산에 이르는 30㎞ 되는 산줄기.

이후 '부곡온천 가는 길'이란 팻말이 걸려 있다. 이 팻말은 이후 줄곧 만난다. 팻말 뒤 우측으로 가면 조그만 무덤이 있는 전망대가 숨어 있다. 발아래 영산정사와 공사가 중단된 와불 좌대, 좌측으로 향후 오를 영취산과 영취산에서 무안면 소재지로 '한 일(一)' 자로 뻗어내리는 능선 끝자락의 봉우리가 하서산이다. 산행팀은 이 능선으로 돌지 않고 영취산에서 뒤로 넘어가 뒷능선에서 지금 보이는 능선으로 내려갈 예정이다. 또 1시 방향으론 종남산과 덕대산이, 그 사이 뒤로 토곡산과 무척산이 보인다. 맨 뒤 높은 산줄기는 영남알프스. 왼쪽에서부터 운문산 가지산 천황산 재약산 등이 보인다. 발아래 비닐하우스는 무안면의 대표 브랜드로 청양고추에 버금가는 일명 땡초로 불리는 맛나향 고추 재배장이다. 이번 코스에서 가장 멋진 전망대다.

이 길은 창녕과 밀양의 시군경계선. 산길을 기점으로 '좌 창녕, 우 밀양'이다. 도중 왼쪽으로 관룡산과 화왕산이 보이고, 차츰 정면으로 영취산이 손에 잡힐 듯하다.

멋진 전망대에서 18분 뒤 능선이 우측으로 휜다. 그 곡각지점이 갈림길이다. 왼쪽 내리막은 임도와 만나 창녕읍 옥천 방향으로 이어지고, 산행팀은 오름길로 직진한다. 이후 산길은 고만고만한 무명봉의 반복되는 오르내림이 이어지지만 그다지 힘들지는 않다.

<산행 도중 등 뒤로 본 밀양 창녕지역의 봉우리들.>

영취산으로 오르는 마지막 오름길은 가시덤불을 헤쳐야 한다. 잠시 뒤돌아보면 방금 지나온 능선이 한눈에 펼쳐지며, 철탑 뒤로 보이는 봉우리가 종암산이며 그 우측이 병봉이다.

마침내 영취산(736m) 정상. 창녕군에서 이정표를 세워놓았다. 하지만 진짜 영취산 정상은 북쪽(좌측)으로 5분 거리에 위치한 삼각점이 있는 지점이다. 해서, 산행팀은 이 지점을 삼거리봉이라 명명한다. 여기서 길은 두 갈래. 좌측은 절재~창녕 극락암 방향, 우측은 심명고개~관룡산~화왕산 방향이다.

산행팀은 진짜 영취산을 다녀와서 이곳에서 우측 심명고개 쪽으로 내려선다. 삼각점이 위치한 진짜 정상에는 '열왕지맥 영취산 739.7m'라 적힌 팻말이 걸려 있어 이곳이 정상임을 확인시켜준다. 참고로 삼거리봉이 창녕과 밀양의 경계이며, 진짜 영취산 정상은 약간 창녕 쪽에 치우쳐 있다.

심명고개로 침목계단을 통해 내려서면 한동안 환상적인 낙엽융단길이 이어진다. 삼거리봉에서 15분 걸었을까, 길찾기에 유의해야 하는 갈림길을 만난다. 우측은 서가정마을 또는 인근 다례마을 하산길, 산행팀은 좌측 심명고개 쪽으로 향한다. 우측은 짧게 도는 코스, 좌측은 크게 한 바퀴 도는 코스로 보면 된다.


<날머리 사명대사 기념관과 생가지.>

길 주변은 온통 노랑 단풍이 숫제 터널을 이루고 있으며 그간 안 보이던 바위까지 조화를 이루고 있다. 산길은 어느새 좌측으로 크게 돌면서 오름길로 변한다. 그 정점에는 이정표가 서 있다. 이정표 우측에는 향후 여정을 가늠해볼 수 있는 전망대가 기다린다. 정면으로 청도 남산과 화악산, 그 우측으로 운문산 가지산 천황산 재약산 영축산이 확인된다. 산행팀은 정면으로 보이는 철탑 중 가장 선명한 철탑이 서 있는 능선을 따라 우측으로 운행할 예정이다.

내리막길은 한적하고 여유롭다. 내리막의 끝은 13분 뒤. 이정표가 서 있는 심명고개다. 여기서 7분 뒤면 임도로 올라선다. 왼쪽 산길로 이어지는 이정표가 보이지만 무시하고 임도를 따라 직진한다. 5분 뒤 앞서 본 선명한 철탑이 서 있는 숲으로 들어선다. 임도로 끊어졌지만 이어지는 능선길이다. 거친 입구만 지나면 멋진 송림길이 기다린다.

3분 뒤 다시 임도와 만난다.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질러 산으로 진입한다. 입구엔 이정표가 서 있다. 그냥 임도 따라 내려가면 사명대사 생가지(2.3㎞).

14분 뒤 삼각점 봉우리를 지나면 능선이 우측으로 휘면서 침목계단을 만난다. 삼각점에서 11분 뒤 갈림길. 직진하면 무안면 소재지로 내려서는 하서산(5.1㎞), 우측은 사명대사 생가지(1㎞) 방향. 23분이면 사명대사 유적지 도로와 만난다. 우측으로 보이는 건물이 사명대사 기념전시관, 사명대사 생가지는 좌측으로 내려서면 만난다.

◆ 떠나기 전에

- 원조 밀양돼지국밥도 먹고, 표충비도 보고

돼지국밥의 원조 동부식육식당의 수육

대형버스 20대도 주차 가능한 너른 주차장에 서면 노랑과 초록빛이 어우러진 영취산이 마을을 병풍처럼 살포시 감싸고 있다. 서가정교회 철탑 뒤로 보이는 봉우리가 정상인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정상 직전 삼거리봉이다.

산행 들머리 인근에는 부산 중구 대각사의 말사인 영산정사가 터를 잡고 있다. 목탑의 형태로 지어진 7층 성보박물관에는 부처님 진신사리 100만과와 10만 패엽경, 2000여 점의 각국 불상이 전시돼 있다.

또 27t 규모의 청동 대범종은 참배객들이 칠 수 있도록 나무망치를 준비해 두고 있어 각자의 소원을 빌면서 종을 쳐볼 수 있다.

영산정사 맞은편 구릉지에 조성 중인 와불 공사는 3년 전 중단됐다. 사찰 측은 몸길이 130m의 세계 최대 와불을 안치하려고 공사를 시작했지만 현재 좌대만 거의 완성된 상태이다.

.

<돼지국밥과 수육>

무안면 소재지에선 표충비를 빠뜨리지 말자. 흔히 국가에 큰 어려움이나 전쟁 등의 불안한 징조가 보일 때마다 비에서 땀이 흐른다 하여 '땀 흘리는 표충비'로 불린다. 산내면 남명리 얼음골과 함께 밀양의 불가사의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 표충비는 사명대사의 나라사랑이 죽어서까지 신통함으로 표현되고 있다고 전해온다.

맛집 한 곳 소개한다.

돼지국밥의 원조인 밀양에서도 '원조'로 통하는 곳이 이번 산행지 영취산이 위치한 무안면의 동부식육식당(055-352-0023)이다. 3대째 내려오는 원조 중 원조집인 셈이다.

일제강점기 때 최수곤 사장의 할아버지가 무안면 시장터에서 운영하던 '양산식당'이 바로 이 동부식육식당이다. 한편 최 사장의 부친은 인근에 '시장옥'이란 상호로 분가해 이후 최 사장의 형이 지금의 무안식육식당으로 이름을 바꿔 영업하고 있다. 최 씨의 또 다른 형은 제일식육식당이란 상호로 돼지국밥집을 열어 영업하고 있다.

결국 혈통으로 따지자면 형이 운영하는 무안식육식당이 정통성이 있지만, 동부식육식당은 할아버지가 문을 연 바로 그 터라는 점에서 흔히 밀양 돼지국밥의 원조로 통하고 있다.

소뼈를 3일간 고아 나온 육수, 누린내가 나지 않는 암퇘지만 사용하는 점 그리고 고기를 씻을 때도 소금과 밀가루를 섞는 점이 맛의 비결이라고 한다. 국밥 5000원, 수육 1만5000원~2만 원.

◆ 교통편

- 신대구부산 고속도로 밀양IC 나와 밀양 방향

부산 서부터미널에서 밀양행 시외버스는 오전 7시부터 매시 정각에 출발한다. 주말(토, 일요일)에는 오전 9시40분과 오전 10시20분에도 있다. 1시간 소요. 4000원. 밀양터미널에서 들머리인 서가정마을행 농어촌 버스는 오전 7시20분, 10시30분에 있다. 1600원. 날머리인 사명대사 생가터에서 밀양터미널행 농어촌 버스는 오후 3시15분, 5시30분, 7시35분에 출발한다. 밀양에서 부산행 시외버스는 매시 정각 출발하며 막차는 오후 8시.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이정표 기준으로 신대구부산 고속도로 밀양IC~밀양 청도 방향~창녕 밀양 24번~마산 창원 시청 법원 검찰청 방향~창녕 부북 24번 우회전~창녕 청도면 24번~합천 창녕~무안면~무안 부곡 30번 좌회전~창녕 부곡온천~사명대사 유적지(5㎞) 크게 우회전(영산정사)~갈림길에서 왼쪽(영농법인 농정, 갈탄보일러)~영취산 하서산 등산안내도 지나~영산정사 방향~다례 서가정 사명대사 유적지 영산정사 우회전~다례 서가정~가례리 서가정마을 이정석(서가정 버스정류장).

사명대사 생가지에서 들머리 서가정까지는 택시(055-352-0330, 353-8259)를 이용하면 된다. 9000원 안팎.

문의=국제신문 산행팀 (051)500-5168

사진=이창우 산행대장 www.yahoe.co.kr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받아 취재했습니다

글 = 이흥곤 기자 hung@kookje.co.kr






<하서산 입구에 있는 안내판으로 영취산의 산행안내도이다.>

<영산정사 일주문과 영산정사 표지석, 산길은 표지석 좌측으로 따라간다.>

<산행의 실제적인 들머리 입구>


<영산정사모습>

<영취산 산행의 출발지인 서가정마을>


<들머리 서가정 마을과 우측 하서산 종남산 덕대산도 확인된다.>








<심명고개로 왼쪽은 창녕 오른쪽은 밀양을 가르는 고개안부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극락전 뒤 맨 위에 있는 수관정으로 죽음을 관하는 정자입니다. 그 옆 호수와 정자도 보이네요. 수관정의 문을 열면 관이 있습니다.







전라남도 보성군 대원사의 사찰에 가면 특이한 이력을 가진 정자가 있다.

사람은 한번 태어나면 언제가는 가야 할 죽음을 맡는다.

죽음을 거부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 죽음을 연습하는 곳이다.

유서도 써 보고

마음의 정리도 해보고 하는 곳으로 ....

그리고 이참에 나도 마음의 정리 겸 유서를 함 쓰 보기로 했다.

“사랑하는 애들아

사람은 한번 태어나면 그 것이 인연이었고

그 인연이 언젠가는 이별이 되는게 순리겠지

애들아 벌써 너희들이 커 고등학생이 되고 중학생이 되었구나.

그러나 이 아빠는 너희들을 더 책임을 져 주지 못하고 기나긴 이별의 준비를 해야 하는구나.

그 이별이 좀 빨리 오게 되었구나. 너희들 학창시절 까지만 이라도 이 아빠가 책임을 져 주어야하는데 말이다.

애들아 만남이 있으면 언젠가는 다시 헤어짐이 있는 법

그것이 우리에게는 좀 빨리 온 것 이란다.

왜 우리에게만 헤어짐의 시간이 빨리 오는 것일까?

그러나 이제 그 이별의 시간도 얼마남지 않았구나.

이제 너희 남은 남매와 일찍 돌아가신 형님의 애들인 조카들이 마음에 걸리는 구나. 너희들에게 부탁하고 싶은 것은 사촌지간에 서로 의지를 하고 하면 좋을 것 같다. 이 아빠는 내 어렵다고 조카들에게 너무 무관심을 하였구나. 마음은 그러하지 않은데 말이다. 아들아 너는 우리집의 장남으로 너 어께가 무겁다. 엄마와 동생에게 아버지의 몫까지 잘 해주길 바란다. 사랑하는 딸아 항상 토라지지 말고 엄마 오빠야 말 잘 듣고 커 주길 바란다.
영미야 잘살아 볼여고 했는데 항상 힘들게 하고 떠나니 가는 내마음이 무겁소.
다음 세상에는 나 같은 사람 만나지 말고 더 좋은 사람을 만나 편한 삶을 살기 바라는게 내마음이오.

그리고 이아버진 너희들에게 물려 줄 게 없구나. 달랑 있는 집 한 체 뿐이라. 사랑을 듬뿍 물려 주지도 못한 이아버지가 항상 미안하게 생각하며 내 죽거든 할아버지가 계시는 선산에 묻지 말고 화장을 해 내가 좋아하는 산에다 뿌려 주길 바란다. 어디던지 갈 수 있게“

막상 수관정 죽음에 관하는 정자를 생각하며

쓸게 많은 것 같았는데 내 인생사를 정리 해 볼여고 하니 정리 할게 떠오르지 않네요.

내 인생을 너무 잘 못 살았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래도 막상 미리 유언장을 장난같은 기분으로 쓰 보았지만 어떤 내용으로 채울까 생각을 하니 기분이 묘합니다. 울컥하는 기분이 드네요. 요즘 텔레비전에도 이런 프로가 있던데 출연자의 기분을 알 것 같습니다. 진짜 유언장을 쓸때에는 뭘 쓰야할지 꼴똘이 생각을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돼지수육 암퇘지만을 사용함으로 누린네가 나지 않아 여성들의 입맛에도 맞을 것 같다.>





<소뼈를 3일간 푹 고아 국물을 우려 낸다는 밀양 무안의 돼지국밥은 입맛에 맛도록 간을 맞추어 먹어야 한다>

흔히 서민의 음식으로 국밥을 이야기한다. 배가 출출할 때 따뜻한 육수에 고기를 숭숭 설어 넣은 국밥이 서민들에게 배고픔을 달래 주는 음식으로 자리잡은지가 오래이다.

소고기 국밥하면 원조가 현풍으로 벌써 입소문이 난지 오래라 전국적으로 유명세를 타고 있지만 돼지국밥의 원조는 어디일까 궁금해 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혹 돼지 국밥 앞에 밀양이란 수식어가 많이 붙어 있어 밀양 쯤으로 생각을 할 것이다. 밀양하고도 무안면에 가면 3대째 가업을 이어 내려오는 돼지국밥집이 있다.
지금은 손자들까지 대를 이어 내려와서는 3개의 점포로 나누어져 국밥집을 하고 있다. 이들 형제들도 무안을 떠나지 않고 서로 경쟁 아닌 경쟁을 하고 있는 것이다.

원조는 역시 최수곤 사장의 조부이신 최성달옹이 일제 강점기때 무안면 시장통에 “양산식당”이란 상호로 처음 문을 열었다한다.
그 뒤 최사장의 부모님이 양산식당에서 분가를 하여 “시장옥”이란 상호로 돼지국밥집을 인근에 열게 되었고. 그래서 자연히 시장옥의 국밥집은 형이 이어받아 무안식육식당055-352-0017)이란 상호로 영업을 하고 있고 제일식육식당(055-353-2252)이란 이름으로 작은형도 인근에 영업을 하게 되었다.
자연히 할아버지가 운영하시던 양산식당은 막내인 최수곤 사장이 할아버지 최성달옹의 유지를 받아 동부식육식당으로 영업을 하게 되어 삼형제 모두 돼지국밥집을 하게 되었다..
그러니 그 삼형제 중에서도 원조집을 꼽아라하면 양산식당을 이어받은 최수곤사장이 운영하는 동부식육식당(055-352-0023)이 원조인 것이다.
할아버지가 운영하시던 그 자리에 그대로 영업을 하고 있어 밀양돼지국밥의 마니아들이 원조집으로 인정을 해주기 때문이다.

과연 맛은 어떨까?
돼지국밥이라 해서 돼지로만 국밥이 될 수 가 없다. 맑은 국물을 낼려면 소뼈가 들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소뼈를 3일간 푹 고아 육수를 만들어 사용을 하며 암퇘지를 사용함으로 해서 돼지 특유의 누린내가 나지 않는게 특징이다.
그래서 돼지국밥은 냄새가 난다하여 싫어하는 분들도 별어려움 없이 먹을 수 있으며 다른집과 특이한 점은 돼지고기를 씻을 대 밀가루와 소금으로 씻어 내는 것이 이집만의 비결이면 비결이란다.
 그비결을 이야기하면 됩니까 반문하니까. “괜찮습니다. 아는 사람은 이제 다아는데요”하며 이야기를 한다. 무안의 국밥은 간이 안된 상태로 나온다. 멀건 국물 상태로 나오기 때문에 본인 입맛에 맞게 새우와 정구지 그리고 양념장으로 간을 보고 맞추어 먹어야 한다. 국밥 5000원, 수육 1만5000원~2만 원 .


<수육과 국밥입니다. 무안 돼지 국밥은 돼지국밥의 원조로 통합니다. 소뼈를 고아 국물이 맑은게 특징입니다.>





 
찾아가는 길은 1080도로의 무안면 소재지내에 있어 찾기가 수월합니다.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이정표 기준으로 신대구부산 고속도로 밀양IC~밀양 청도 방향~창녕 밀양 24번~마산 창원 시청 법원 검찰청 방향~창녕 부북 24번 우회전~창녕 청도면 24번~합천 창녕~무안면~무안 부곡 30번 좌회전~창녕 부곡온천~무안면소재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군위 인각사지

사적제374호

소재지: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612






들어 오는 입구의 부도탑으로 조선시대 부도로 추정하고 있다 . 건너편의 바위가 학소대


석조여래좌상

황량한 절 맞은편으로 옥녀봉이 다가와 있고


인각사는 신라시대 선덕여왕 11년인 642년에 의상대사가 창건을 하였다. 절의 입구에 깎아지른 듯한 바위가 있는데 기린의 뿔을 이 바위 위에 얹었다하여 절 이름을 인각사라 한다. 현재 인각사는 그때의 당우는 사라지고 그 명맥만 이어져 내려오는 작은 절집에 불과 하지만 당대의 보각국사 일연스님이 주석을 하며 삼국사기를 여기서 집필하였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흥미를 끈다.

1284년 고려충렬왕 10년때 중수를 하였고 조선 숙종 25년에 증축하였다 한다. 충렬왕때 일연(1206~1289)스님이 고령의 노모를 모시기위해 인각사에 거쳐를 하면서 구산문도회를 두 번이나 개최하였다 한다. 경내인 극락전 뒤로 중극의 명필인 왕희지의 글씨를 집자한 보각국사의 탑이 있고 조선시대 새롭게 지어진 극락전 명부전 강서루 요사등의 건물과 석조불상, 부도등이 남아 있다.

*인각사 보조 국사 탑 및 비

보물제428호



고려시대 보각국사 일연의 부도와 비다. 부도는 높이가 2.42m로 자연석으로 된 지대석위에 희미하게 복련이 새겨진8각의 하대석을 설치한 형태이다. 중대석에는 동물상이 조각되어 있고 상대석도 8각의 옅은 굄을 이루고 있으며 그주위에 작은 연꽃을 조각하였다. 몸돌도 8각인데 정면에는 탑명이 새겨져 있으며 후면에는 문비가 본떠 새겨져 있고 나머지 여섯면에는 사천왕상과 보살입상이 돋을 새김되어 있다. 보각국사비는 점판안의 석재로 훼손이 심한 상태이다. 비신의 높이가 1.8m 너비는 1.06m이다. 자체는 중국의 왕희지의 글씨를 집자하여 새겼다하며 비문에 고려 충렬왕 21년(1295)에 건립되었다고 나와 있어 건립연대를 알 수 있으며 그것으로 볼때 부도탑도 입적후인 1289~1295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을 할 수 있다.

*관점이 있는 뉴스에 인각사에 관한 자료를 링크하였습니다.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40071231113153&Section=

*문화재청의 보각국사 탑및 비입니다.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VdkVgwKey=12,04280000,37&queryText=V_KDCD=12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부산 옛 시청앞 광복동 일방통행로 입구에 가면 옛 생각이 나게 됩니다.

어릴적 동무들과 뛰어 놀던 추억이 살며시 생각나게 하는 무언가가 있습니다.



갑돌이도 갑순이도 그리고 짱구와 칠덕이도 만날 수 있습니다.

새침떼기 갑순이는 나의 첫사랑입니다....
옛날이 그리운 것은 나만의 생각일까요.

여기가면 토피어리로 인형을 만들어 놓았습니다.

때때 옺을 입은 아이들이 뛰어 놀고 풍물패들이 괭가리를 치며 어께를 들썩이든 생각이 나는 곳입니다.

나는 그 인형들이 궁금하였습니다.

마침 인형장식을 하던 날 바쁜 일손을 방해하는 것 같아.
다음날 그 자리에 다시 찾아 가봤습니다.
그리고 궁금해서 손으로 살며시 만져 봤습니다.
안에다 철사를 넣어 새끼로 감아 다른 치장을 한줄 알았는데
전문용어로는 토피어리라 한다합니다.
]자연그대로의 식물을 인공적으로 다듬어 자연상태 그대로 연출을 하는 것이라 합니다.
여러 가지 동물 모형 사람모형등 다향하게 연출을 하여 보기 좋게 만든 작품을 말한다합니다.





그리고 토피어리 제작은 각 파이프와 와이어나 철사로 조형물의 골격을 만들어 수태(물이끼)로 표면을 덮은 후 염료로 색을 입혀 원하는 작품을 완성하게 된다합니다.

그 토피어리로 어릴적 옛 생각의 향수에 젖어 봅니다.





맹수의 왕 사자
이빨이 시원찮은 것 같네요.
이놈에게 임플란트 잘하는델 소개시켜줘야겠네요.

어흥! 하고 짓어 보지만 옆의 사슴은 눈도 깜짝하지 않습니다. 

말은 뭐가 그리 신이 나 앞발을 들고 뛰는지....

도심속의 소공원

사방으로 둘러 쌓인 빌딩 숲이지만 여기는 옛친구들이 우리를 기다려 줍니다.

바쁜 일상에서도 쉬어가라며 신나게 놀아도 줍니다.


이 모습은  누구의 모습일까?.
내친구 갑돌이가 이런 모습이었을까.

옛 부산의 중심인 부산시청앞
지금은 굴지의 대기업에서 시청자리에 어마어마한 백화점과 호텔을 짓고 있지만 그
 밑 작은 공간에서는  토피어리 인형으로 작품을 만들어
공원 같은 분위기로 발걸음을 붙잡는 곳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유금사는 신라 선덕여왕 20년인 537년에 자장율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그 후 뚜렷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으며 다만 조선 철종 함풍 7년 무오(1858)에 이우인이 중수하였다하며 고종 융희 2년 무시(1908)에 원인 모르는 불이나 대웅전을 전소시키는 화재가 일어나 유금사는 쇄락의 길을 걷다가 주지 김화한 스님이 다시 중수하여 사세를 키워왔다. 그뒤 이현호 스님이 다시 중수하면서 현재의 사세를 갖추었다. 유금사는 관내에서는 아주 오래된 사찰로 많은 문화재급 유물이 있었으나 잦은 화재와 도난으로 유실 또는 도난 당하는 수난을 겪었다. 현재는 대웅전 좌측으로 향로전과 우측으로는 서운루와 요사체를, 대웅전 우측으로 산왕각을 두고 있다. 대웅전 뒤에는 원래 대웅전 앞에 있던 삼층석탑이 자리를 하고 있다.





칠보산 유금사는 일곱보물을 간직한 산으로 두가지 이야기가 전한다한다.

첫 번째가 선덕여왕시절 일곱 공주가 이곳 유금사에 와서 보살이 되어 살다가 모두 선화한 선녀가 되었다는 이야기와 중국의 두사충이 이곳을 지나다가 물맛을 보고는 이산에 일곱가지의 보물이 있다하여 칠보산으로 부르게 되었다 한다. 원래는 바닷가의 영향으로 항상 칠보산이 구름을 이고 있어 등운산으로 불였는데 칠보산으로 부르게 되었고 지형도를 보면 등운산은 그 아래 767m로 따로 독립되어 있슴을 알 수 있다.

조선 중기 이전까지는 대웅전과 종각, 장화부인 신령각 등을 갖추고 제법 큰 규모를 자랑했던 사찰로. 그러던 어느날 주지스님이 불국사에서 법회를 마치고 돌아오는 도중에 절 앞 용소에서 두 마리 용이 교미하는 것을 보고 고약하게 여겼는데 스님이 절에 도착하기도 전에 폭우가 쏟아져 산사태로 절이 무너졌다고 한다. 그 뒤 여러 차례의 중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그리고 유금사는 장화부인을 모신 신령각을 두고 있었는데 애뜻한 이야기가 내려오고 있다.신라 말엽에 마의태자에게 연정을 품은 장화부인이 뜻을 이루지 못하고 이곳 유금사 금선암에 찾아와서는 마의태자가 왕에 오르기를 축원하고 기도하였다. 신라가 망하자 마의태자는 경주를 떠나 금강산으로 가게 되면서, 마의태자가 종적을 감춘것을 보고 아마 마의태자가 죽었다는 전갈은 받은 장화부인은 그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다 그 자리에서 죽어 마을 사람들이 크게 장사를 지내주고 유금사에 장화부인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신령각을 지었지만 현재는 유실되어 폐허가 되었다 한다. 유금사 동남쪽 약 500m 지점에 석축으로 조성된 거대한 고분이 남아 있는데 신라 경순왕의 후비 장화부인능이라고 마을 사람들의 입으로 전해내려오고 있다. 삼국시대때 부터 손으로 금을 주울 정도로 많이 생산되어 유금마을이라부르며 유금사는 대한불교조계종 11교구 불국사 말사이다
찾아가는 길은 경부고속도로 건천IC~경주 영천 20번 좌회전~포항 영천 경주 좌회전~포항 20번~건천터널~경주 포항~경주터널~포항~말구불터널~포항천북20번~포항경주7번(북경주)~포항7번~울진포항7번~울진영덕7번28번~울진영덕28번~울진영덕7번~흥해읍~울진영덕28번(성곡ic)~울진영덕7번~영덕군~강구~울진평해7번~칠보산8km자연휴양림. 유금사6km좌회전~금곡리유금사2km~유금마을순

<자료 : 칠보산유금사 주지 玄煜 스님> 글을 정리함

 


칠보산 유금사의 일주문



대웅전 좌측으로 있는 향로전으로 하필 역광이네요.

향로전 안에 모서져 있는 불상입니다.


대웅전 안의 삼존불입니다











유금사에 들런 그날 겨울 준비가 한창인 김장을 담그고 있었습니다.



*유금사 삼층석탑
보물제674호
소재지: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금곡리 815

통일신라시대 전형적인 석탑양식으로 2중기단위에 3층의 탑신을 얹었고 높이는 3.2m이다.

모연문. 유금사 삼층석탑에거 나온 금동불상인 피리부는 동자 악천상이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 가는 바람에 화강암으로 조성을 하여 모신다고 한다

원래는 대웅전 앞에 있었으나 법당이 무너지면서 뒷뜰로 옮겼는데 그때 탑안에서 금동보살을 찾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현재 보관을 하고 있다 한다.

현재 탑은 지대석과 아래층 중앙부가 약간 꺼져있고 상층기단 면적이 일부는 시멘트로 보안을 하였다.


상륜부는 없어 졌지만 현재 보관 상태가 아주 양호하다.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1개의 돌로 이루어져 있고 각층 몸돌마다 모서리 기둥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처마밑은 수평으로 받침수는 각층4단으로 되어 있다.

지대석과 아래층 중앙주가 꺼진곳을 볼 수 있다.


기단부는 여러개의 장대석으로 지대석을 놓고 그위에 하대석과 중석을 하나의 돌로 놓아 얹었으며 중석 각면 모서리 기둥과 안기둥1주가 새겨져 있다.


전체적으로 기단부의 크기와 각층의 체감 비율이 안정감을 주는 우수한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이다.

자세한 정보는 문화제청 홈페이지입니다.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VdkVgwKey=12,06740000,37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나무와 문화는 밀집한 관계를 지닌다. 자작나무는 눈덮인 시베리아를 떠올리게 한다. 스칸디나비아 반도를 비롯한 북유럽의 전형적인 통나무집은 상당수가 전나무로 만들어졌다. 적도 열대 바닷가는 야자나무를 빼고는 말할 수 없다.





그렇다면 우리를 상징하는 나무는.

소나무의 푸름은 예로부터 선비의 절개와 군주에 대한 변치 않는 충성을 칭송하는 문학의 소재가 됐다. 구황이 들면 소나무 껍질을 벗겨 먹으며 끈질긴 생명을 이었다. 겨울에는 장작으로, 마른 잎 솔가리는 불쏘시개로 사용됐다.

우리는 소나무를 흔히 모든 나무의 어른이라 칭한다. 한자 ‘松’을 풀어보면 오른쪽 ‘公’은 소나무가 모든 나무의 윗자리에 있음을 뜻한다.

영덕 칠보산에 가면 잘 생긴 소나무들을 원 없이 감상할 수 있다. 다시찾는 근교산 취재팀의 일행은 산행 내내 그 놈 한 그루 뽑아 집으로 가져 가고 싶다며 탐을 냈다. 덧붙이자면 칠보산은 경북에서 동해를 바라보기에 가장 빼어난 전망을 가진 것으로도 유명하다.

산행코스는 금곡리 유금사~자연휴양림 갈림길~헬기장~칠보산(810.2곒)~광산~아치곡~유금마을. 약 5시간 걸린다.

고래불과 백석해수욕장을 지나 칠보산수련원 간판이 보이고 곧바로 왼쪽으로 들어서는 길이 있다. 지금은 완전히 포장을 해 놓았지만 산길은 굴곡이 심해 조심스레 달린다. 중간에 왼쪽으로 자연휴양림 진입로가 있다. 유금사까지는 약 10분. 유금사 주차장으로 가기전 작은 다리를 건너기전에 좌측 산으로 오르는 길이 나 있다. 옆으로 작은 개울이 흐른다.

100m쯤 가면 갈림길. 임도를 따라 오른쪽에 소나무 숲 사이로 난 넓은 길로 들어선다. 얼마 안 가 작은 계곡이다. 물 색깔이 본래 무색 투명하다는 걸 보여주기라도 하듯 한없이 그리고 더없이 맑다.

소나무들이 쭉쭉 뻗어 울울창창 푸르름을 더하고 태풍때 넘어진 긴 소나무들이 통행세라도 요구하는 듯 자리를 차지하고 길을 막고 있다. 어른 키 보다 큰 수풀이 길을 막는다. 뚜렷하고 큰길만 따라간다.

울창한 계곡에 햇볕이 안 들어와 눅눅하다. 금방이라도 비가 쏟아질 듯한 날씨. 높은 습도 때문에 땀은 비오듯 한다. 온 몸은 벌써 흥건하게 젖었다.

유금사 주차장에서 20분이면 임도길은 좁은 오솔길의 산길로 변한다. 왼쪽으로 오른다. 다시 갈지(之)자로 이어지는 오르막 산길로 힘든 줄 모르고 오른다.

이때부터 아름드리 소나무 감상을 시작한다. 덩치 큰 어른이 팔을 쭉 펴고 안아도 다 품을 수 없다. 하늘로 쭉 뻗은 당당한 소나무의 자태는 ‘대장군’, 그 나머지 나무는 한낱 ‘졸개’에 불과하다. 적어도 칠보산에서는 그렇다.


20여분동안 아흔아홉 굽이를 넘듯 구불구불한 길을 오른다.

잔뜩 찌푸렸던 날씨가 아연 밝아진다. 해가 고개를 내밀 듯 하다. 주위가 훤해진다. 나뭇잎에 맺힌 물방울이 반짝 빛난다.

폭풍에 뽑히고 넘어진 소나무가 길을 막는다. 능선에 올라서면 이정표. 칠보산 정상을 가리키는 부분은 누군가 지웠고 ‘칠보산 자연휴양림 3.㎞’만 남았다. 아마 엉뚱하게 표시해 놓았을 것이다. 50m 가면 헬기장이다. 이곳에서 정상은 한 달음. 능선길 10분이다.

칠보산 정상에는 영해 산사랑산악회가 세운 정상석과 돌탑이 있다. 맑은 날은 동해 푸른 바다를 볼 수 있다지만 취재팀이 찾은 날은 날이 흐려 아무 것도 보이지 않았다.

하산은 올라온 방향에서 오른쪽으로 내려서면서 시작한다. 물론 아까 지나온 이정표까지 되짚어 내려가 자연휴양림으로 내려가도 좋다. 약 1시간20분 걸린다.

몇 걸음 가다 왼쪽으로 붙는다. 완전히 묵은 길이다. 인적이 끊긴 지 최소 10년은 지났을 성 싶다. 산허리를 타면서 걷는다. 고산지대에서나 볼만한 잡목 숲이다.

길과 술래잡기라도 하는 것 같다. 희미하던 길이 또렷해지다 어느 순간 사라지기를 반복한다.

1시간 여 걷다 왼쪽으로 에도는 지점을 만난다. 5분쯤 가면 오른쪽으로 쏟아지는 내리막길.

“아이고 인자 길 이자삘 염려는 엄것다.” 하산길이 선명해지자 짙은 안개 속에서 내심 조바심을 내던 취재팀 일행중 한명이 한숨을 토해낸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길은 다시 오리무중이다. 수풀에 덮인 옛길을 복원해 내기란 쉽지 않다.

20분쯤 뒤 약간 오르막이다. 길 옆에 ‘山’이라고 적힌 삼각점이 있다. 조금 더 걸으면 유금마을이 희미하게 보인다. 능선을 돌아 넘으면 내리막이 시작된다. 5분뒤 네갈래길에선 직진한다. 곧 무덤이 나온다. 이번 산행에서 유일한 것. 100곒쯤 가 갈래길에서 오른쪽으로 길을 잡는다.

고개를 돌리자 운무가 걷히면서 동해가 모습을 드러낸다. 수평선만 있을 뿐 하늘과 바다는 푸름으로 하나가 됐다.

전망대가 하나 있다. 올라서니 바다와 칠보산 전경이 더 선명하다. 내려가는 산길은 급하게 떨어지다가 왼쪽으로 산허리를 돌아 나간다. 다시 능선에 올라서면 묵은 풀밭길이다.

여기서 길 찾기에 유의하자. 유심히 잡목 사이를 찾아 들어가 보자. 능선 반대편으로 돌아나간다. 5분이면 다시 능선을 바꾸어 탄다. 30m 전방에서 오른쪽으로 떨어진다.

산길 밑으로 울진 정씨 묘와 만나고 10분이면 아치곡에 내려선다. 산령각 밑 도로에서 우측으로 마을길을 내려서면 ‘주민과 함께 하는 협동사업’ 비석이 섰다. 여기서 유금마을의 유금사까지는 20분. /글=김용호기자

/산행문의=다시찾는 근교산 취재팀

051-500-5156.

떠나기전에

경북 영덕군 병곡면 칠보산은 동해의 명산이다. 이름의 유래는 이렇다. 고려 중기 이곳을 지나던 중국인이 샘물을 마셔보고는 “이 물 맛이 보통 샘물과는 다르니 이 샘과 이어져 있는 산에는 귀한 물건이 있다”는 말을 남기고 떠났다. 그후 이 산에서 산삼 황기 멧돼지 철 등과 같은 일곱가지 보배가 났다하여 붙여졌다.

유금사는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조선 중기 이전까지는 대웅전과 종각, 장화부인 신령각 등을 갖추고 제법 큰 규모를 자랑했다. 어느날 주지스님이 불국사에서 법회를 마치고 돌아오는 도중에 절 앞 용소에서 두 마리 용이 교미하는 것을 보고 고약하게 여겼는데 스님이 절에 도착하기도 전에 폭우가 쏟아져 산사태로 절이 무너졌다고 한다. 그 뒤 여러 차례의 중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대표적인 산행코스는 자연휴양림~헬기장~정상~헬기장~유금사로 산행 시간은 3시간 정도. 다소 짧아 아쉬운 감이 들었다. 이에 근교산 취재팀은 칠보산 유금사를 원점회귀하는 코스를 개발하여 독자들께 소개를 하였다.

당부할 점은 일단 산행을 시작하면 초입에 지나는 계곡을 제외하고는 식수를 구할만한 곳이 없다는 것이다. 특히 무더운 날에는 식수를 충분히 가지고 등산을 시작하는 게 좋겠다. 하나 더 덧붙이자면 정상에서 헬기장으로 되돌아 내려오지 않고 취재팀이 안내하는 코스로 간다면 반드시 여름철에도 긴옷을 입어야 한다. 묵은 길이라 수풀에 긁히기 쉽다. /사진= 이창우 산행대장 www.yahoe.co.kr


















칠보산 자연 휴양림 갈림길로 좌측으로 휴양림가는길이다. 정상은 직진



일곱가지 보물이 숨어 있다는 칠보산 정상

맨 중앙의 높은 산이 울진 백암산과 낙동정맥의 능선도 확인된다.



돌아나가는 능선상에서 본 동해 바닷가






능선에서 본 유금마을과 다락논. 맨 우측 유금사도 보인다.

아치곡마을 전경,해발290m의 벽촌 산골마을로 그래도 산비탈에 터 잡은 가구가 몇집보인다.

아치곡마을의 소나무로 생김새가 보통이 아니었다.

아치곡 고개만디로 이길을 다라가면 유금마을 출발지로 갈 수 있다.

아치곡을 지나 유금마을로 내려서는 임도길로 소나무가 장관이다.


찾아가는 길은 경부고속도로 건천IC~경주 영천 20번 좌회전~포항 영천 경주 좌회전~포항 20번~건천터널~경주 포항~경주터널~포항~말구불터널~포항천북20번~포항경주7번(북경주)~포항7번~울진포항7번~울진영덕7번28번~울진영덕28번~울진영덕7번~흥해읍~울진영덕28번(성곡ic)~울진영덕7번~영덕군~강구~울진평해7번~칠보산8km자연휴양림. 유금사6km좌회전~금곡리유금사2km~유금마을순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함안 방어산 마애불

보물제159호

지정연대 1963년 1월21일

소재지:경남 함안군 군북면 하림리 산131로 마애사 우측 방어산 7부인 해발 350m에 위치하고 있다.





초창기 근교산 취재산행때 마애사를 출발하여 마애불을 거쳐 괘방산으로 산행을 하였는데 그때의 마애사는 지금에 비해 한적한 절집으로 한창 불사가 진행중이었다. 절의 스님이 동행을 하였는데 마애불을 안내해 주신다. 붉은 바위벽면에 새겨진 마애불상으로 그 당시에는 그냥 대충보고 지나가게 되었다. 그때는 위치한 자리도, 화강함이 아닌 푸석바위 같은 바위면에 새겨져 있어 품새가 아주 초라하게 느껴졌다. 또한 찾는 이가 더문 한적한 사찰의 마애불에 불과하였다. 최근 어식재에서 산행을 하여 방어산으로 가는 도중 들러본 마애불상은 그 때의 모습과는 딴판이었다. 크기 또한 그때보다 웅장하며 마애불상 앞을 참배할 수 있도록 넓게 조성을 하여 누구나 쉬고 갈 수 있도록 해 두었다. 그 당시의 볼품없는 붉은바위벽의 마애불이 문화재적인 가치에 눈을 뜬 것 같았다.

통일 신라 시대 애장왕 2년인 801년에 조성된 마애불로서 조성연대가 정원17년 신사3월이라고 정확하게 새겨져 있는 작품이다. 방어산 마애불은 절벽 바위벽에 새겨진 마애약사삼존불로 입상의 형태이다. 중앙에 모서진 본존불 왼손에 약그릇을 들고 있는 것을 보아 약사여래불임을 알 수 있다. 8세기 까지 이어오든 불상의 형태에서 변화를 느껴지는 작품으로 긴장감과 작품에 활력이 넘쳐 생동감이 느껴지는 모습은 사라지고 사실적인 양식에서 현실적인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양쪽의 협시보살은 중앙의 본존불로 향해 보고 있으며 왼쪽의 일광보살은 남성적인 강렬한 인상을 풍기며 우측의 월광보살은 여성적으로 느껴지며 달을 상징한다. 그래서 눈썹사이에 달무늬를 새겨 넣었다.

중앙의 본존불인 약사여래불로 왼손에 약그릇을 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얼굴은 타원형이며 길게 표현 되었고 큰 몸집에 비해 어깨는 좁게 표현을 하였다.

협시보살인 월광보살로 여성적인 모습이며 눈썹사이에 달무늬가 새겨져 있다.
그리고 월광보살 좌측으로 조성연대등이 새겨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협시보살인 일광보살로 남성인 모습인 강렬한 인상을 가지고 있다.


마애불상 앞을 넓게 조성을 해 놓아 쉬어가며 참배하도록 배려하였다.

산에서 본 마애사. 지금 불사를 많이하여 사찰의 규모를 갖추었다.

산아래 마애사와 그 뒤로 능선 아래 마애불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문화재청 홈페이지입니다.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VdkVgwKey=12,01590000,38

*불법천지의 블로그에서 방어산 마애불에 대해 자세히 설명을 하였습니다 .
http://cafe.naver.com/xyz0707.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89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동래향교

1972년 6월26일
부산유형문화재제6호지정
부산시 동래구 명륜동 235번지 명륜초등학교옆에 위치

동래향교인 정면의 2층누각으로 반화루이다. 그 뜻이“성인을 따라 덕을 쌓고 임금을 받들어 공을 세우기를 원한다”는 교육이념을 나타낸다.


 



학생들이 수업을 하던 곳으로 명륜당이라 한다.

대성전으로 성현들을 모셔 놓은 곳이다. 

동래향교는 조선태조1년 때인 1392년에 신설된 교육기관으로 현재 동래읍성 밖의 동래고등학교 자리에 위치하였다 한다. 그후 현재의 위치에는 순조12년인 1812년에 동래부사 홍성만에 의해 지금의 명륜동 명륜초등학교 옆에 자리를 잡게 되었다. 향교의 기능은 공자를 비롯한 유교의 성현들에게 제사를 지내고 백성들의 교육을 담당하는 국립교육기관이었다. 지금의 중등교육기관에 해당을 한다. 동래향교는 교육을 담당하는 명륜당과 성현을 모신 대성전을 나누는데 그사이에 내삼문을 두고 있다. 그리고 명륜당과 일치하지 않고 명륜당 우측으로 비껴나 않게 대성전이 위치하고 있는 점도 다른 향교와 특이한 점이라 하겠다.

정문인 반화루가 있는 2층 누각은 특별한 행사 이외에 현재는 밑으로 출입을 할 수 없으며 좌측 관리사무소 옆으로 쪽문이 열려 있다. 쪽문으로 들어서면 좌측 반화루와 서로 마주보게 앉은 명륜당이 자릴 잡고 좌측으로 서재, 우측은 동재로 3동의 건물이 있다. 명륜당은 요즘 말하는 수업하는 교실이라면 동재와 서재는 학생들이 기거하는 기숙사인 것이다. 그리고 반화루 옆에는 많은 빗돌을 볼 수 있는데 동래부사로 부임한 관리들의 빗돌로 동래향교에서 부사들의 공적비를 세운 것이라 하였다. 이 공적비를 흥학비로 부른다.

명륜당과 대성전은 정면5칸이고 측면이2칸인 겹치마 맞배지붕으로 건축되었고 그 앞 부속건물인 동재와 서재는 정면3칸과 측면1칸의 홑처마 맞배지붕양식으로 지어졌다. 동래향교의 중심건물인 명륜당과 마주하고 있는 반화루는 그 뜻에 걸맞게 동래향교의 교육이념을 잘 나타내고 있다. “성인을 따라 덕을 쌓고 임금을 받들어 공을 세우기를 원한다”는 2층 누각 반화루는 정면3칸 측면2칸이며 주심포양식의 겹처마 팔작지붕을 올려 중후한 맛을 내게하였다. 대성전 아래 동무와 서무는 성현들의 위패를 모신 곳으로 동재와 서재와 비슷하지만 겹처마 맞배지붕을 올렸다. 명륜당 좌측에는 수령220년 된 은행나무가 지금 노란 물을 들이고 있고 보호수이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동래향교의 학사관리를 위해 학전7결이 지급되었고 종6품의 교수1명과 70명의 학생이 수업을 받았다 한다.

필자가 동래향교를 찾아가기 위해 자신을 하고 찾아갔는데 동래향교를 찾을 수가 없었다. 30년전 고등학교를 다닐때 그 훤하던 길들이 지금은 샛길이 되어 있고 많은 도로가 새로 생겨 30년 전의 기억을 무용지물로 만들었다. 우성베스토피아 입구의 전봇대에서 안내판을 찾았는데 그 안내판을 보고 찾을 수가 없어 부근의 여중생2명에게 동래향교를 물어보니 그런곳 모릅니다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200m 거리의 문화재도 모른다고 하니 말이다. 아님 요즘 어린이 납치범들이 많아 얼른 짜리를 피할여고 그런지... 내 기억으로도 명륜초등학교 옆에 있다고 기억을 하는데 그 예들도 그 학교를 졸업을 하였을 껀데 모른다고 하니 뭔가 교육이 잘못되어가고 있는 느낌이 들었다. 동래향교와 복천동고분군, 박물관을 한 이정표에 삐딱하게 붙이고 비슷한 방향으로 화살표를 그어 놓아서 그것을 보고는 복천동고분군과 박물관은 찾아갈 수 있는데 동래향교는 찾을 수가 없었다. 동래구청에 부탁하고 싶은 게 안내판을 나누어 동래향교의 안내판은 그 방향에 제대로 붙여주었으면 한다.

반화루 앞 입구에 넓은 주차장을 두고 있어 쉽게 찾을 수 있는 곳이다.

입구에 들어서면 정면에 명륜당 좌측에 서재 우측에 동재로 학생들의 기거할 수 있는 공간이다.

동재와 서재로 정면3칸과 측면1칸의 홑처마 맞배지붕의로 되어 있다

흥학비로 동래부의 관리로 부임한 부사들의 공적비를 적은 빗돌이다.

명륜당에서 마주 바라본 반화루로 2층 누각을 이루고 있다.




명륜당 내부 모습입니다.

명륜당 현판과 내부 천장의 모습입니다.




대성전으로 성현들을 모시고 재사를 지내던 곳

동무와 서무로 성현들의 위폐를 모신 곳이다.


명륜당과 대성전을 가르는 내삼문

안내판의 그림대로라면 같은 골목으로 이해가 되지만 실제 찾아가면 고분군과 읍성지는 같은 길이지만 동래향교는 엉뚱한 방향의 길입니다. 같은 도로가 아닌 길입니다. 그리고 작고 너무 높이 붙여 놓아 쉽게 안내를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포항 곰바위산~베틀봉

환청으로 귓가 맴도는 '바스락' 낙엽소리

장삼이사들은 포항 하면 우선 바다를 떠올린다. 바다를 낀 포항제철을 비롯해 해맞이로 유명한 호미곶이나 과메기의 구룡포, 북부해수욕장의 불꽃놀이, 포항과 울릉도를 오가는 여객선 등이 오랜 기간 반복 습득으로 인해 뇌리에 깊이 박혀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포항의 산은 어떨까. 크게 보면 백두대간에서 분기한 낙동정맥이 포항을 동서로 갈라 놓고 있다. 바다 쪽인 동쪽은 영덕의 팔각산 바데산 동대산과 이어지는 내연산 향로봉 매봉 등이 약간의 지명도를 앞세워 산꾼들을 유혹하지만 나머지 산은 딱히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낙동정맥의 서쪽인 내륙으로 눈길을 돌리면 사정은 좀 달라진다. 그 중에서도 포항의 북서쪽에 위치한 죽장면은 산의 물결이 일렁인다. 포항의 32개 읍면동 중 그 면적이 20%를 상회할 정도로 넓은 죽장면은 보현지맥과 팔공보현지맥이 수렴되는 오지 속의 오지. 산꾼들의 관점에서 보면 청정지역이나 다름없다.

산지가 대부분인 울산 울주군이나 부산 기장군과 비교되는 포항 죽장면의 외곽에는 포항 최고봉인 면봉산과 작은보현산이 각각 청송과 영천을 등지고 포진해 있고, 이 산들의 안쪽에는 이름이 다소 생소한 베틀봉과 곰바위산이 능선으로 이어져 우뚝 솟아 있다. 참고로 천문대가 위치한 보현산은 면봉산에서 능선으로 이어져 종주산행이 가능하다.

<곰바위산 하산 도중 만나는 전망대에서 본 보현산(가운데)과 그 우측 면봉산.>


그간 북적대는 단풍 산행으로 지친 산꾼들을 위해 이번 주 산행지는 한적하고 여유로운 곰바위산~베틀봉을 찾았다.

흔히 면봉산 베틀봉 곰바위산 산행은 죽장면에서도 최고 오지로 손꼽히는 '두마리'에서 오르는 것이 지금까지 관례였으나 늘 새로운 산길을 찾아 나서는 산행팀은 이웃한 '봉계리'에서 출발했다.

<베틀봉 정상에 올라오고 있는 취재팀 뒤로 포항의 면봉산과 영천의 보현산이 솟아 있다.>

 산행은 죽장면 봉계리 마을회관(새목마을)~잇단 청송 심씨묘~곰바위산(895m)~망덕고개(베틀고개)~샘터~보현지맥 갈림길~구멍바위~전망대바위~베틀봉(934m)~863봉(삼각점)~함안 조씨묘~폐헬기장~보현지맥 갈림길~폐헬기장~두문마을 갈림길~잇단 묘지~두릅나무밭(산죽)~봉계리 마을회관 순. 순수하게 걷는 시간은 5시간20분 안팎. 들머리에서 곰바위산을 지나 망덕고개까지의 2시간40분 정도는 이정표나 안내 리본 하나 없는 개척산행이며, 보현지맥 갈림길에서 원점회귀를 위한 1시간20분 정도의 하산로 또한 산행팀이 산길을 만들어 내려왔다. 사실상 개척산행임을 밝혀둔다. 해서, 산행팀은 초보 산꾼들을 위해 평소보다 많은 안내 리본을 달아 놓았다.

이번 산행은 특히 '낙엽 산행'이라 불러도 과언이 아니다. 무릎까지 쌓인 수북한 낙엽은 때론 산길을 숨겨놓아 산행팀을 혼란스럽게 했지만 청정지역에서 밟아보는 올 첫 낙엽길은 오랫동안 갈색 추억으로 뇌리에 남을 만하다. 3시간여 동안 들은 바스락거리는 낙엽 밟는 소리는 환청이 되어 산행기를 쓰는 지금까지 귀에서 맴돈다.

들머리는 봉계리 마을회관. 이번 산행은 이곳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한 바퀴 돌아오는 여정. 처음 만나는 곰바위산은 보이지 않지만 베틀봉은 마을회관 우측 저 멀리 확인된다.

봉계리 마을회관 왼쪽 포장로로 따라가며 산행은 시작된다. 봉계2교를 지나 이름없는 다리 앞에서 다리를 건너지 않고 좌측 사과밭 쪽으로 향한다. 전봇대 앞에서 좌측 길로 올라서자마자 다시 좌측으로 길이 열려 있다. 입구는 꽤 묵었지만 이 지점만 찾으면 그럭저럭 옛길의 흔적이 남아 있다. 지그재그 급경사길이다.

10여 분이면 지능선에 올라선다. 한숨 돌리고 다시 올라서면 청송 심씨묘를 시작으로 12분간 묘지 5기나 이어진다. 산행팀도 헤아리다 중도에 포기했다. 발밑에는 바스락거리는 낙엽길이 계속돼 정겹다.

청송 심씨묘에서 17분쯤 고로쇠수액을 채취한 비닐이 널브러져 있다. 경사가 더 심해지고 낙엽이 수북이 쌓여 차츰 체력소모가 심해진다.

일순간 길이 사라진다. 알고 보니 정면으로 집채만한 바위가 떡 버티고 있다. 약간 오른쪽 대각선 방향으로 오르면 그제서야 바위의 진면목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에돌아 올라온 셈이다. 무릎까지 덮는 낙엽길을 헤치고 나아가는 재미 또한 쏠쏠하다.

잠시 이탈했던 능선길, 다시 집채만한 바위 위 능선길로 복귀한다. 길 좌측으로 조그만 전망대 바위가 보인다. 좌측 앞으로 구암산과 그 뒤로 내연산 향로봉 삿갓봉 비학산 가사령 등이 확인된다.

반복되는 오르막 낙엽길. 청정 산길 위에 바스락 소리를 내며 밟히는 이 낙엽들은 마치 새 기름에 갓 구운 새우튀김처럼 탐스럽기 그지없다. 그러기에 한 걸음 한 걸음이 소중하게 다가온다.

이끼 낀 크고작은 바위들을 징검다리 삼아 폴짝 폴짝 건너다 보면 좌측으로 시야가 트이며 거대한 산의 물결이 일렁인다. GPS단말기는 이제 해발 800m가 넘었음을 알려준다.

잠시 경사가 사그러들면서 산길은 우측으로 꺾인다. 무명봉에 올라서면 처음으로 눈앞에 향후 올라설 봉우리들이 펼쳐진다. 1시 방향으로 곰바위산, 2시 보현산, 그 우측 앞으로 면봉산과 베틀봉이 확인된다.

산림청이 달아놓은 '고정표본 점' 안내판을 지난다. 아직도 나무엔 초록의 나뭇잎과 누렇게 색이 바랜 단풍 그리고 이제 생명을 다해 고공낙하를 기다리는 낙엽이 공존한다.

고정표본 점에서 급경사길을 15분쯤 오르면 또 하나의 봉우리 정점에 올라선다. 정상석 대신 '곰바위산'이라 표기된 이정표가 서 있다. 동시에 시야가 확 트이면서 정면으로 보현산, 그 우측으로 기상관측소가 위치한 면봉산과 베틀봉이, 좌측으로 작은보현산과 대태고개 수석봉이 확인된다. 작은보현산 뒤 높은 산은 영천 기룡산이다.

산행팀은 좌측 무학대(2㎞) 방향 대신 베틀봉(3㎞) 방향으로 직진하며 내려선다. 면봉산으로 연결되는 능선이 한눈에 펼쳐지고 발아랜 해발 500m에 이르는 산간분지 마을인 두마리가 보인다. 90세대 200여 명이 사는 이곳은 도로 사정도 나아진 데다 한우 축사와 특용작물 재배 등으로 더이상 오지가 아닌 듯 보인다.

<이번 여정은 '낙엽 산행'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시종일관 낙엽길을 걷는다. >

9분 뒤 산길 좌측으로 멋진 전망대가 기다린다. 앞서 본 주변 산세와 향후 오를 능선길이 손금보듯 훤히 확인된다. 월성 이씨묘를 지나면 임도급 너른 길. 좌측으로 150m쯤 가면 사거리에 닿는다. 지형도에는 베틀고개로 표기돼 있지만 주민들은 망덕고개로 부른다. 좌측은 두마리(2㎞), 우측은 이번 산행의 들머리인 봉계리, 산행팀은 베틀봉(2㎞)을 향해 직진한다. 독특한 모양을 한 인근의 망덕할매바위도 챙겨보자.

이때부터 수더분한 능선길. 안내 리본도 많이 걸려 있어 길찾기 걱정은 붙들어매고 여유를 갖고 걷는다. 5분 뒤 샘터 안내판이 보인다. 화살표 방향으로 돌아가보니 파란 뚜껑이 보인다. 갈수기라 물이 거의 없는 데다 위생상태도 좋지 못하다. 샘터 주변은 유난히 단풍나무가 눈에 띄지만 대부분 예의 붉은빛을 제대로 내지 못한 채 말라가고 있다.

곧 두마리로 내려서는 탈출로가 좌측에 보이지만 무시하고 직진한다. 일순간 길이 좌측으로 휘면서 동시에 쓰러진 나무를 잇따라 통과한다. 한 굽이 오르면 경주 최씨묘를 지나고 이어 9분 뒤 독도에 유의해야 될 보현지맥 갈림길로 올라선다. 좌측은 곰내재를 거쳐 면봉산 보현산으로 이어지며, 산행팀은 우측 베틀봉으로 향한다. 이 길은 꼭두방재를 거쳐 낙동정맥과 만난다. 산행팀은 베틀봉을 지나 꼭두방재까지 가지 않고 도중 원점회귀를 위해 우측(동쪽)으로 방향을 틀 예정이다.

6분 뒤 집채만한 바위, 일명 구멍바위 앞에 선다. 좌측으로 에돌아간다. 이창우 대장은 "예전엔 좌측으로 올라 바위 사이의 구멍을 통과해 구멍바위라 불렀지만 지금은 바로 올라갈 수 있어 그 이름이 퇴색된 것 같다"고 말했다. 구멍바위 바로 위엔 멋진 전망대가 또다시 기다린다. 좌측 곰바위산에서 방금 걸어온 능선길을 볼 수 있는 데다 앞서본 거의 모든 장면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그간 안 보이던, 작은보현산과 이어지는 갈미봉과 수석봉 뒤 운주산도 확인된다.

전망대에서 몇 걸음만 더 올라가면 베틀봉. 정상석 대신 최남준 국제신문 2대 산행대장이 걸어놓은 '보현지맥 베틀봉 934m 준·희' 안내판이 걸려 있다. 마치 누굴 기다리듯 산 전체에 노란 손수건을 묶어놓은 듯하다.

솔직히 조망은 앞선 전망대보다 좋지 못하다. 베틀바위는 정면(북쪽) 우측으로 솟은 바위로 추정된다. 그 앞쪽에 위치한 앞서 본 구멍바위는 봉계리에서 보면 보이지 않는 곳에 솟아 있기 때문이다.

급내리막길로 직진하며 하산한다. 고도가 높은지 북사면인지 하여튼 앙상한 가지에 낙엽이 온통 발목 이상을 덮을 정도다. 20여 분 뒤 삼각점이 있는 862봉, 다시 5분 뒤 함안 조씨묘를 지난다. 좌측 뒤 숲사이로 면봉산, 우측 뒤로 곰바위산이 보인다.

유순한 이 길로 계속 직진하면 꼭두방재를 지나 낙동정맥과 만나지만 산행팀은 이제 원점회귀를 위해 우측으로 방향을 꺾어야 한다. 보도블록이 보이는 폐헬기장을 지나 자연스럽게 직진길을 버리고 30도 우측 무명봉으로 살짝 올라야 한다. 정상에서 48분. 무명봉에서 우측으로 능선을 타고 내려선다. 우측으로 곰바위산과 베틀봉이 동시에 보인다.

봉분이 파헤쳐진 묘지를 지나면 7분 뒤 폐헬기장 앞 갈림길. 우측은 들머리 봉계리 새목마을 위 두문마을로 가는 길, 산행팀은 폐헬기장을 지나 좌측으로 간다. 청송 심씨묘를 지나면 급내리막. 이후 두 개의 낮은 봉우리를-이곳엔 안동 권씨묘가 각각 있다-를 살짝 넘고 두릅나무밭을 통과하면 도로에 내려선다. 도로에서 봉계리 마을회관까진 50m 떨어져 있다. 무명봉에서 55분 걸린다.

# 교통편


- 100% 원점회귀 코스여서 승용차 이용하면 편리

100% 원점회귀 코스라 승용차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대중교통편은 있지만 상당히 불편하다.

부산 노포동종합터미널에서 경주행 시외버스는 오전 5시30분부터 10분 간격으로 출발한다. 4000원. 경주터미널에서 안동행 시외버스를 타고 죽장에서 내린다. 오전 8시30분, 8시45분, 11시40분. 6700원. 70분 걸린다. 죽장에서 들머리 봉계리까지는 개인택시(054-243-2655, 011-9730-2655)를 이용하면 된다. 7000원. 죽장에서 경주행 버스는 오후에는 6시 단 한 차례뿐이다. 경주에서 부산행 시외버스는 10분마다 있으며 막차는 밤 9시50분.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이정표 기준으로 경부고속도로 건천IC~경주 영천 20번 좌회전~포항 영천 경주 좌회전~포항 20번~건천터널~경주 포항~경주터널~포항~말구불터널~안강읍~안강 925번 우회전~안강 68번 좌회전(선리치골프클럽)~경주 안강 우회전~포항 안강~갑산리 우회전~포항 영덕 68번~기계 68번~기계 서포항IC~신광 청하 서포항IC~강동면~청송 기계 서포항IC 좌회전 31번~포항시 기계면~청송 기계~청송 죽장~한티터널~죽장면~청송 죽장~청송 현동 좌회전~현내 봉계 두마 면봉산 베틀봉 무학사 좌회전~봉계리 베틀봉 우회전~봉계리 마을회관 앞 주차장 순.

# 떠나기 전에

<포항죽장면에는 사과로도 유명하다. 기후 변화가 심하여 사과의 당도가 뛰어나다.>

- 수목 웃자라 들머리 봉계리에선 베틀바위 선명하게 안 보여

여담 하나. 예부터 경북 내륙에선 세상 물정에 어두운 사람을 두고 "이 사람, 청송 두마에서 왔나?"라고 했다 한다. '두마'는 지금의 포항시 죽장면 두마리를 이르는 말. 그만큼 두마리가 오지 속의 오지였다는 사실을 방증하는 좋은 예다.

지금은 어떨까. 산행팀은 두마리와 이웃한 봉계리에서 산행을 시작했고, 산행 중엔 발아래 두마리를 직접 눈으로 확인했고, 산행 후엔 죽장면사무소 공무원 한 분과 통화했다.

산행 중 내려다본 해발 500m의 산간 분지마을인 두마리는 '옛말 틀린 것 하나 없다'는 속설을 깡그리 뒤엎었다. 파란 지붕의 대형 한우축사와 퇴비사가 즐비했고, 특용작용을 위한 비닐하우스도 눈에 띄었다. 산위에서 보면 소규모 공단이 들어선 것으로 착각할 정도다.

죽장면사무소에 따르면 두마리에는 현재 90세대, 200여 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도로 사정도 좋아 깊은 두메 산골이란 말은 이제 옛말이 돼 버렸다고 전했다. 오히려 이웃한 봉계리가 더 열악하다고 말했다. 주민은 두마리의 절반도 안 되는 38세대에 80여 명에 불과한 데다 젊은층이 거의 없다. 죽장면 23개 리 중에 하옥리 침곡리와 함께 이제는 오지 속의 오지로 전락하고 있다고 전했다. 앞으론 "이 사람, 청송 봉계에서 왔나?"로 바뀌어야 될 판이다. 그만큼 아직도 청정지역으로 남아 있다는 방증이다.

밤마다 선녀가 내려와 베를 짰다는 전설이 내려오는 베틀바위. 이와 관련 봉계리 심성대 이장은 "마을에선 베틀봉을 '베틀 기(機)' '바위 암(岩)' 자를 써 '기암봉이라 부른다"고 말했다. 심 이장은 "어렸을 땐 베틀봉이란 이름을 있게 한 베틀바위가 보였지만 지금은 나무들이 웃자라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봉계리 마을회관에서 보면 곰바위산은 보이지 않지만 베틀봉은 마을회관 우측 저 멀리 우뚝 솟은 봉우리다. 마을회관 우측 바로 옆 둥그스름한 봉우리가 하산로이다.

문의=국제신문 산행팀 (051)500-5168

사진=이창우 산행대장 www.yahoe.co.kr

글= 이흥곤 기자 hung@kookje.co.kr


봉계리 새목마을 주차장에서 출발하는 취재팀. 마을 회관 좌측으로 시멘트 포장길을 따라간다.

새목마을의 풍경으로 전형적인 산골마을이다.

산행 들머리로 두번째 다리를 건너 공사중인 세번째 다리를 건너지 직전 좌측 사과밭을 돌아간다. 감나무에 감이 주렁주렁 메달려 있다.

뒤돌아보면 세목마을의 전경이 펼쳐진다. 파란색은 사과를 하는 과수원이 마을을 감싸고 있다.

초입을 올라서면 인적이 끊어 진지 오렌 됐는지 낙엽이 수북이 쌓여 있다.

무덤가에도 수북이 낙엽이 덮혀 가을의 정취를 자아 낸다.

취재팀이 낙동정맥의 능선과 향로봉 동대산등 해안쪽의 산들을 바라보고 있다.

발아래 낙엽이 수북이 쌓여 있다.

이번산길은 낙엽 산행길이다. 하루산행 내내 낙엽을 밟는 낙엽산행이다.

곰바위봉 상봉으로 갈림길이다. 좌측은 무학대로 내려서는 하산길. 베틀봉은 직진형 우측길로 내려간다.

포항시 죽장면 두마리 마을로 오지의 두메마을이다. 세상물정 모르는 사람에게 희자되는 말이 "청송 두마에서 왔나"하는 말이다.

곰바위봉을 내려서면 전망대가 여럿 나온다. 전망대에서 바라본 면봉산 보현산 그리고 두마리마을

망덕고개로 내려서는 오솔길로 가을의 정취를 물신 풍긴다.

 지형도상의 베틀고개로 주민들은 망덕고개로 불리고 있는 것 같다. 십자길의 안부로 우측은 원점회귀로 봉계리 새목마을로 내려가고 좌측은 두마리로 내려간다. 베틀봉은 직진능선길...

망덕고개에서 20m근방에 있는 독특한 모양의 망덕 할매바위

베틀봉 오름길의 단풍나무


개구멍바위. 베틀봉으로 오르는 산길은 개구멍을 통과해야 올랐지만 현재는 좌우로 우회로가 나 있다.


보현지맥의 베틀봉정상과 삼각점

베틀바위로 봉계리 새목마을에서는 볼 수 있었다지만 웃자란 마무 때문에 지금은 보기가 힘들다 한다.

이번 베틀봉 곰바위산행은 상수리나무로 발아래 수북한 낙엽을 원 없이 걸어 보는 산행이다.

하산길에 접어 들면 우측으로 베틀봉을 볼 수 있다.

봉계리 마을회관. 출발지점에 있다.

들머리 좌측으로 사과 과수원을 하시는 할아버지로 사과를 몇개 구입할여고 갔더니 낙과한 사과를 먹으라고 흔쾌히 주신다. 사과 값을 드릴여고 해도 한사코 받기를 거부하시는 할아버지. 산행 내내 맛있는 사과 잘 먹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국보 제199호

소재지: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송선리 산89



많운 등산객들이 찾는 신선사의 마애불상군으로 누군가 카메라 폰으로 사진을 찍고 있다.

입구 좌측 상단에 모셔진 독립여래 한분과 미륵보살, 석가모니불,제화갈라보살을 모신 삼존불 




 버선 같은 모자를 쓰고 손에 나뭇가지를 든 공양상 2구


미륵 장육 여래 입상


경주 단석산은 신라 오악중 중악으로 단석산은 김유신과 뗄수 없는 인연을 가지고 있다. 삼국통일의 염원을 안고 단석산 석굴인 상인암에서 수행을 하던중 괴승으로부터 비보를 받아 보검으로 바위를 잘랐다는 이야기는 일찍이 들어 왔다. 그 단석산은 항상 경애의 대상으로 여러번 찾아 왔지만 하나의 지나가는 경유지에 불과하였다. 오늘 또 산행 중 일부로 신선사를 경유지로 정해 신선사 마애불을 찾아보았다. 그래도 바쁜 산행으로 그냥 보지 못하고 지나간 불상이 여러 개 있어 그저 아쉬울 뿐이다.

“신선사 우측 산사면에 큰 바위들이 여러개 겹쳐져 서 있는 바위 군을 볼 수 있다. 신선사 마애불상군으로 반대편에서 보면 ㄷ 자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그 안쪽으로 하나의 석실형태를 하고 있으며 인공으로 지붕을 만들어 덮은 신라최초의 석굴사원으로 기록을 하고 있다. 남쪽 바위 보살상 안쪽에 새겨진 명문에 의해 선석사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한다. 본존불인 미륵 장육상이며 안쪽 바위 면에는 여래상과 미륵보살 반가사유상이 있고 그 밑으로는 버선 같은 모자를 쓰고 손에 나뭇가지를 든 공양상 2구등 불,보살 10구가 돋을 새김되어 있다. 신라 7세기 불상군의 중요한 자료로 가치가 인정되며 신라 최초의 석굴사원으로 고 신라 불교미술이나 신앙연구에 중요한 가치를 평가 받고 있다한다.“

그러나 일부로라도 다시 들러 보길 잘 했다는 생각이 든다. 그때 마지막 단풍과 함께 어울려 장관을 연출하는 신선사 일원은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것 같다.

ㄷ 자의 석실형태로 신라시대 최초의 석굴사원으로 좌우 벽면과 전면으로 석불상이 돋을 새김되어 있다.



좌협시보살 입상

우협시 보살입상으로 현재 마모 상태가 심하여 아쉬움이 남는다.










대웅전과 마애불상군 사이에 붉은 단풍잎으로 치장을 하였다.







대웅전 법당 앞에 걸려 있는 범종



대웅전 우측으로 올라서면 만나는 산령각

최근에 새로 불사를 한 대웅전 앞으로 등산객들과 참배객으로 분주하다.

선석사 대웅전에서 우측으로 울긋불긋한 단풍길을 따라가면 국보 제199호 마애불상군이 기다리고 있다. 

현재 ㄷ 자의 석실위에 인공구조물을 설치하여 비로인한 마모를 방지하고 있다.






단석산 신선사 마애입상군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 되어 있습니다. 
http://www.silla.or.kr/gyeongju/ntltrs-p28.html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성주 선석산 선석사

대웅전: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113호

위치:성주군 월항면 인촌리 217번

성주군에 유난히 명당자리가 많은 곳이다. 옛 임금과 왕자의 태실을 보관한 태봉이 3곳이나 있다하니 말이다 그 3곡중 유일하게 조선 세종의 왕자 태실이 이곳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 선석마을 바로 옆 작은 봉우리에 위치하고 있다.
수양대군을 비롯한17왕자의 원손인 단종의 태가 안장 되어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다한다. 이태실의 수호사찰이 선석사이다. 서진산으로도 불리는 선석산은 아래의 선석사로 인해 산 이름이 자연히 선석산으로 불리게 된 경우이다. 




신라 효소왕1년 692년에 의상대사가 창건을 하였다. 그때는 선석사 서편에 신광사란 이름으로 창건 되었으며 고려 공민왕 10년 1361년에 나옹선사가 지금의 자리에 옮겨 지었다 한다.
그때 절터를 닦다가 절 터 자리에 큰 바위가 나와 선석사란 이름을 갖게 되었다 한다. 지금도 대웅전 앞 왼쪽에 배의 돛대처럼 땅에 솟아 오른 바위를 볼 수 있다.
조선영조 원년인 1725년에 다시 옛 신광사 터로 절을 다시 옮겼다가 순조4년인 1804년에 서윤대사께서 현재 자리로 다시 옮겨와 대웅전 명부전 정법료 산신각 칠성각등을 건립하였다.
대웅전은 돌로 쌓아서 길게 다듬은 2층 기단위에 작은 규모의 대웅전을 올렸는데 1800년대 초기의 건축양식을 잘 보여 주는 다포식 건물이다.
선석사는 대웅전과 함께 괘불탱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200m옆 세종대왕자 태실 수호 사찰답게 아기의 탄생을 축하하며 아기의 건강을 기원하는 태실 법당 건립을 현재 추진중이라 한다.

선석사  안으로 들어서면 대웅전이 정면에 위치하고 그 앞 작은 바위가 빗돌처럼 올라온 것을 볼 수 있다.
그 바위가 1361년 나옹선사가 현재의 절터를 닦기 위해 바닥을 고르는 중 아래에 엄청 큰 바위가 나와 할 수 없이 그 위에 절을 짓고 선석사로 부르게 되었다한다.

대웅전으로 1800년 조선시대의 건축물 양식을 보여주며  다포식 건물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제113로 지정되었다.

대웅전의 단청이 아직도 화려한 모습으로 남아 있고 색이 퇘색 되었지만 기품이 있는 모습이다. 



선석의 이름을 간직한 비밀의 바윗돌.
배의 돛대 처럼 솟아 있다.  

세종대왕자태실지로 수호사찰인 선석사와 200m 의 거리에 위치해 있다. 아기의 탄생을 축하하며 건강을 기원하는 태실법당을 추진하고 있다. 

교통편은 자가이용시 남해고속도로~중부내륙고속도로 서울 김천 방향~성주IC~왜관 성주 33번~무주 성주 30번~경산교 건너자마자 무주 김천 왜관 30분 좌회전~김천 구미 왜관~김천 초전 905번 지방도 좌회전~선석사 13.1㎞~세종대왕 자태실 선석사 직진~김천 남김천IC(선석사)~김천 구미 남김천IC 905번~어산 세종대왕 자태실 선석사~선석사 갈림길~선석사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광자대사탑과 탑비

보물 제274호와 제275호

동리산 태안사에는 두 개의 부도탑과 탑비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적인선사조륜청정탑과 광자대사탑과 탑비로 모두 정교하고 우아하며 세련된 조각 솜씨를 뽐내고 있는 수작이다.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곳을 흔히 부도라 하는데 불교에서는 신성시하며 예배의 대상으로 여긴다. 사찰의 큰 스님이 열반에 들어 다비식을 한후 사리를 보관하기 위해 부도탑을 세워 보관을 하는데 보통 부도탑을 사찰의 입구에 만들어 둔 것을 볼 수 있다. 태안사도 일주문 옆에 광자대사부도탑과 함께 부도 밭을 조성하였는데 적인선사 혜철부도탑은 대웅전 뒤에 안치를 하였다. 태안사의 창건주이자 동리산파를 개창한 혜철선사의 부도탑을 보지 못하고 온것이 내내 아쉬움으로 남는다.




고려초 태안사를 중창한 광자대사 윤다스님의 탑과 비로 고려 제4대 광종원년인 950년에 세워졌다. 이부도는 팔각원당형으로 신라 석조부도의 전형을 잘 따르고 있으며 탑의 기단부 부터 옥개석, 지붕돌과 상륜부에 이르기까지 팔각을 고수하고 있다.있다.

팔각 하대석 각면에는 당초문이 있고 그 위의 상단에는 각면에 안상 2좌씩 배치 되었다.

그 위에 16엽의 이중 연꽃잎이 아래로 향하고 있고 그위 중대석에 안상 1좌씩 있다. 상대석 또한 팔각으로 16엽 연꽃앞을 두텁게 새겼다. 이 상면에는 2단의 팔각형 받침이 있다. 탑신의 각면에는 탁상에 놓인 향로 문양을 새기고 그 좌우로 사천왕 입상이 양각되었다. 옥개석은 목조건축의 양식을 따와 기와골, 암막새,숫막새까지 잘 나타내고 있다. 상륜부는 꽃부리가 위로 향한 모양의 앙화와 반구형 탑의 꼭대기층 위에 바리때를 엎은 것처럼 만든 복발과 바퀴모양의 보륜, 구슬모양의 보주등이 완전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 부도는 상하 비례가 우아하고 정교하며 완전한 상륜부 조각 또한 매우 우수하다.

팔각원당형으로 신라 석조부도의 전형을 잘 따르고 있으며 탑의 기단부 부터 옥개석, 지붕돌과 상륜부에 이르기까지 팔각을 따르고 있다.

앞의 광자대사탑과 좌측 뒤 파괴된 비문과 탑비만 남은 이수와 귀부가 보인다.



탑신의 각면에는 탁상에 놓인 향로 문양을 새기고 그 좌우로 사천왕 입상이 양각되었다.





옥개석은 목조건축의 양식을 따와 기와골, 암막새,숫막새까지 잘 나타내고 있다. 상륜부는 꽃부리가 위로 향한 모양의 앙화와 반구형 탑의 꼭대기층 위에 바리때를 엎은 것처럼 만든 복발과 바퀴모양의 보륜, 구슬모양의 보주등이 완전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수작이다.



팔각 하대석 각면에는 당초문이 있고 그 위의 상단에는 각면에 안상 2좌씩 배치 되었다.

광자대사탑비

태안사에 있는 탑비로, 고려시대 승려 광자대사 윤다(允多)의 탑비이다. 
광자대사는 태안사를 두 번째로 크게 번성케 한 스님으로, 경문왕 4년(864)에 태어나, 8세에 출가하였다. 사방을 다니다가 동리산에서 수도를 하였고, 그 뒤 가야갑사(迦耶岬寺)에서 계(戒)를 받아, 다시 동리산으로 돌아와서 승려가 되었다. 혜종 2년(945)에 82세로 입적하니, 왕은 시호를  광자 라 내리었다. 

비는 비문이 새겨진 몸돌이 파괴되어 일부 조각만이 남아 있으며, 거북받침 위에 머릿돌만 얹혀져 있는 상태이다. 거북은 목이 짧아보이기는 하지만, 머리의 표현이나 몸 앞쪽의 조각이 사실적이고 화려하게 표현되어 있다. 등 위로는 비를 얹기 위한 받침대가 새겨져 있는데, 옆면에 보이는 무늬가 어떤 것을 표현한 것인지 확인하기가 어렵다. 머릿돌에는 네 귀퉁이마다 이무기의 머리조각이 돌출되어 있고, 앞면에는 극락조로 보이는 새가 돋을새김되어 있다. 이러한 새 종류의 조각은 연곡사 동부도(국보 제53호)나, 북부도(국보 제54호)에서 잘 나타나 있다. 

비문은 거의 판독하기가 힘든 상태이지만 다행히 『조선금석총람』에 일부 글자가 빠진 채로 그 전문이 실려있어, 광자대사가 출가하여 법을 받고 전하는 과정, 공양왕의 옆에서 불심에 대한 문답을 한 일, 고려 태조 이성계로부터 극진한 대우를 받았던 일 등을 기록하고 있다.<곡성군청 홈페이지http://www.simcheong.com/kor2002/tourist/tr_index.htm>

이수와 귀부만 남아 있는 광자대사 탑비



 거북은 목이 짧아보이기는 하지만, 머리의 표현이나 몸 앞쪽의 조각이 사실적이고 화려하게 표현되어 있는 수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귀부로 비문은 파괴되어 판독이 불가하며 일부만 남아 있다 한다. 머릿돌에는 네 귀퉁이마다 이무기의 머리조각이 돌출되어 있으며

극락조로 보이는 새가 돋을 새김 되어 있다.
 


교통편: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이정표 기준으로 남해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 석곡(구례)IC~구례 석곡 태안사(19㎞) 좌회전~구례 순창 옥과 좌회전~구례 압록~태안사 압록유원지 직진~죽곡면~구례 압록 18번~(태평삼거리에서)구례 압록 우회전~태안사 840번 지방도 우회전~순천 태안사 방향 좌회전~태안사 순.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동리산 태안사 대웅전으로 화려한 단청을 하고 있으며 6.25때 불탄 것을 그후 다시 복원을 하였다.













태안사로 들어오면 만나는 매표소 우측으로 태안사 표지석과 아름다운 숲길이 조성되어 있다

<동리산 태안사>
동리산 태안사는 통일 신라 말기 구산선문의 하나인 동리산파를 이루며 신라 경덕왕 742년에 세 스님에 의해 태안사가 창건되었다. 적인선사 혜철, 광자대사에 의해 대사찰로 변모를 하였다.
풍수지리사상의 대가인 도선국사도 혜철선사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한다. 신라시대때는 대안사. 조선후기때부터 태안사로 불렸다 하며. 태안사를 품고 있는 동리산은 봉황이 먹고 산다는 오동나무가 열리는 숲속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고려 중기에 태안사의 말사였던 송광사가 독립을 하고 조선시대 억불정책으로 다른 절과 마찬가지로 쇠락의 길을 걷게 된다.
태종의 둘째 왕자인 효령대군도 머물렀으며 정유재란때 모든 건물이 소실되었다가 다시 복원되고 6.25동란으로 대웅전이 불타는 등 큰 피해를 입는다.
경내에는 적인선사조륜청정탑(보물제273호), 광자대사탑과 탑비(보물제274호~275호), 대바라(보물제956호), 천순명동종, 능파각등 일주문과 고려후기 3층석탑등의 지정문화재가 있다.
일주문과 능파각만 남고 모두 불타버린 것을 다시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6.25전쟁의 소실을 피한 능파각은 계곡의 물과 경치가 넘 아름다워 능파라한다.



능파각은 세속의 모든 번뇌를 벗어버리는 금강문의 역활을 가지고 있어  능파각의 다리를 건너면 불교의 셰계로 들어 온다는 뜻이 있다한다.


<태안사 능파각>

전라남도 유형문화재제82호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20

능파각은 문성왕 12년인 850년에 태안사가 창건될 때 혜철선사가 함께 지었고 그후 고려 태조24년에 광자선사가 고쳐 지었다 한다.

그 뒤 다시 파손되었던 것을 영조43년(1767)에 다시 복원을 하여 현재의 모습을 하고 있다.

능파각은 정면3칸 측면1칸으로 옆에서 보면 사람인자 인(人) 모양으로 맞배지붕이다. 계곡 좌우로 석축을 쌓아 석축위에 통나무를 걸치고 나무위에 판자를 깔았다. 그위에 주초를 대신한 하인방을 걸치고 기둥을 세워5량의 맞배지붕을 올였어며 처마는 겹치마이다.

계곡의 물과 주변의 경치가 아름다워 능파라 하는데 능파각의 특징은 다리와 금강문 누각을 함께 구성하여 이다리를 건넘으로 해서 세속의 모든 번뇌를 벗어 던 저 버리고 불교의 세계로 들어 온다는 뜻을 함축하고 있다 한다. 능파각은 태안사에서는 가장 아름다운 곳이다.

태안사 일주문은 태안사에서 6.25전쟁때에 소실이 되지 않은 건물로 화려한 모습을 가지고 있다.


능파각을 지나 태안사 일주문까지 이어지는 오솔길이 주변의 풍치와 함께 오래 남을 아름다운 구간이다. 일주문을 향해 걸어 가는 관광객.

봉두산인 태안사는 일주문 현판에 동리산 태안사로 더 많이 불리고 있다. 봉두산과 동리산은 서로 관계가 있는 산명으로 봉황이 먹고산다는  오동나무가 열리는 숲속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태안사 일주문>

전라남도 유형문화재제83호

태안사 일주문은 6.25전쟁에서 능파각과 함께 화를 면하였다. 고려 태조 20년(937)경에 광자선사에 의해 건립되었는데 일주문은 각현선사, 영월선사가 중수하였다 하며 1980년에 보수공사를 하였다 한다.

건축 양식은 단층 팔작집으로 전후 주칸에는 3구, 측면에는 1구의 공간포를 짜 올린 다포식 건물로 앙서로 된 살미첨차들로 내외 사출목의 공포를 짜서 아주 화려한 건출물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원래는 태안사입구 광자대사 부도탑 옆에 있었는데 복원을 하며 이곳으로 옮겼다 한다.

삼층 석탑 주위로 연못을 조성하여 웅장하며 신비감이 감돌며  태안사와 함께 잘어울려 관광객들의 인기를 끌고 있다.









<태안사 삼층석탑>

전라남도 유형문화재제170호

원래 사찰입구 부도탑이 있는 광자대사 부도 바로 옆에 있었는데 기단부와 탑신부 일부의 부재가 유실 된 것을 현재의 위치로 옮기면서 복원을 하여 완전한 모습을 갖추었다 한다.

탑의 구조는 원래 2층 기단인 3층 석탑으로 연못으로 옮기면서 기단의 지대석을 높게하여 전체적으로 높게 보이며 웅장하게 보인다. 그리고 360도를 호수로 조성하여 더욱 웅장하며 신비감이 도는 석탑으로 구성미가 태안사와 함께 조화를 이룬다.

탑신부의 각 옥개석 층급받침은 4단이며 옥개석 상면에는 2단 괴임을 조출하여 고식을 보여 주고 있다. 상륜부는 모두 새부재를 보충 사용하였고 고려초기 작품으로 보고있다.

교통편은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이정표 기준으로 남해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 석곡(구례)IC~구례 석곡 태안사(19㎞) 좌회전~구례 순창 옥과 좌회전~구례 압록~태안사 압록유원지 직진~죽곡면~구례 압록 18번~(태평삼거리에서)구례 압록 우회전~태안사 840번 지방도 우회전~순천 태안사 방향 좌회전~태안사 순.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거동사 대웅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7호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보현리 1683번지

신라시대 의상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거동사는 조선시대까지도 대가람을 이어온 사찰로 보인다. 대웅전의 기단은 가구식으로 이루어 졌으며 고석이나 갑석이 모두 없어졌고 소맷돌이 있는 돌층계가 남아 있다.




대웅전의 건물은 다포계 양식에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으며 공포는 내의 3출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면 공포의 구조는 두공부터 연초각하여고 초제공, 2제공 역시 초각하였으며 살미 끝은 수두형으로 조각을 하였다.전면은 매우 화려하게 장식이 되어 있으며 후면은 장식적인 요소가 없이 간결하게 마무리 되어 있다. 전면의 분합문도 문살을 초각장식하였으며 단청을 입힌 색조는 장중함이 있다. 그리고 부도탑에는 3기의 사리탑이 있는데 그중 추월당 상휘선사(秋月堂尙輝禪師)의 부도탑이 있다. 대웅전 우측으로 산신각이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거동사는 단풍이 매우 아름다운 산으로 정평이 나있다




산신각

산신각 우측의 기도터



거동사를 지키는 멋진 순돌이지만 짐승을 잡는 덪에 걸려 다리를 잃고 말았다.





교통편은 자가 운전시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이정표 기준으로 경부고속도로 경주IC~울진 포항 7번 국도~포항 보문관광단지~포항 7번~울진 포항 위덕대학교~포항 안강 7번~영천 안강 28번 우회전, 양동마을~안강 28번~대구 영천 28번~기계 안강 31번~기계 31번~달성교 건너~청송 기계 서포항IC 31번 좌회전~포항시 기계면 안내판~청송 기계 31번~청송 죽장 31번~한티터널~죽장휴게소 지나 영천 69번 좌회전~영천시 자양면 안내판~화북 35번(보현산 천문대 거동사) 우회전~보현청소년수련원(옛 자양중학교)~천년고찰 거동사 가는 길~보현골 돌공원 순.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함양 오봉산~천령산

기암괴봉을 빚은 바위절벽. 그 등허리를 물들이는 빨간 단풍. 추색이 깃든 가을산에는 바위가 끼어야 제맛이 난다.

산맛은 산꾼들이 잘 안다. 지난 주부터 등산 가이드란에는 암릉산행을 떠나는 발걸음이 부쩍 늘었다. 설악산 용아릉과 공룡능선, 신불산 공룡능선, 사량도 옥녀봉, 가야산 공룡능선…. 물오른 바위 산행지를 산꾼들이 그냥 지나칠 리 없다.




[사진설명-"야호 ~" 세번째 암봉에 오르니 세상의 온갖 시름이 떨쳐진다 . 멧부리에 선 취재팀이 크게 손을 흔들어 보이고 있다]

근교산 취재팀도 이번 주는 바위 명산을 찾아간다. 헌걸찬 5개의 봉우리가 차례로 붉게 물드는 함양 오봉산. 이곳은 조용하지만 아름다운 바위 산행지다.

산행코스는 ‘함양 상죽림 버스정류장~오봉산 등산로 안내도~임도~모롱이 비탈길~바위전망대~바위봉~오봉산(878.5M)~안부 삼거리~헬기장~이정표 삼거리~옥녀봉~밤단지~삼거리~천령산~이정표~삼거리~삼산리 삼휴마을’이다. 산행시간은 5시간30분 가량.

버스를 타고 가다 상죽(상죽림)에서 내리면 24번 국도다. 왼쪽으로는 도로 건너 상죽 버스정류장이 보인다. 오른쪽으로는 낙타등처럼 올록볼록한 바위 봉우리가 보인다. 이곳이 오봉산 봉우리. 도로를 따라 오르막으로 20여M만 가면 오봉산 등산로 종합안내도가 서 있다. 오봉산에 대한 전체 조망을 가늠할 수 있다.

안내도 오른쪽으로 임도가 있다. 임도는 산기슭으로 올라간다. 임도를 따라 10여분 오른다. 길이 오른쪽으로 슬며시 틀다 다시 산으로 치고 오른다. 너른 임도가 보이면 주의하자. 임도가 왼쪽으로 꺾어 오르는 모롱이 지점. 이곳에서 직진해 절개지 비탈을 타고 옅은 숲길이 열려 있다. 높이 2m 가량의 급비탈이므로 조심해 오른다.

일단 숲길에 올라서면 산행은 일사천리다. 뚜렷한 산길이 굽이굽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20분 가량 오름을 재촉하면 탁 트인 바위전망대를 연이어 만난다. 좌우로 오봉산이 빚어 놓은 바위절벽이 웅자를 드러낸다. 전망대를 지나 10여분 오르면 삼거리봉이다. 왼쪽 오르막이 오봉산길. 오른쪽은 가재골로 떨어진다.

지금부터 멋진 암릉구간이 시작된다. 길은 바위로 변하더니 우뚝 솟은 바위봉 멧부리로 올라간다. 사방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속시원한 조망이 펼쳐진다. 바위봉을 비켜 내려오자 두번째 바위봉이 우뚝 서 있다. 얼떨결에 올랐던 첫 봉우리와는 달리 두번째 암봉은 바위 타는 맛이 난다. 다소 아찔하지만 홀더(바위에 난 틈새)와 키 작은 나무가 많아 오름에 어려움은 없다.

두번째 봉우리에 올라 세번째 봉우리를 바라보자. 저도 몰래 탄성이 나올 것이다. 정상부터 산허리까지 온통 바위로 치장된 거대한 암봉이 기다리고 있다. 북한산의 인수봉이나 사량도의 옥녀봉을 보는 듯하다. 두번째 바위봉우리에서 아래로 크게 떨어진 뒤 세번째 바위봉우리로 오른다. 바위 틈새로 이어진 홀더와 스탠드를 잘 찾아 올라야 한다.

이리저리 길을 찾다보면 등반하는데만 10여분 정도. 정상 아랫부분은 급경사 바위구간이라 오금이 저릴 정도다. 바위봉 중턱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비켜 오르는 길이 있다. 부녀자나 아이들을 동반했다면 우회하는 것이 좋다.

바위봉에 오르면 마침내 ‘야호’소리가 터져나온다. 바위봉 3개를 넘는데 20분 가량은 족히 걸린다. 정상을 지나 내려오면 삼거리다. 이정표가 오봉산 정상을 가리키고 있다. 오봉산 정상은 함양 일원의 우뚝솟은 봉우리를 모두 아우른다. 삼봉산 연비산 등이 남북으로, 천령산이 동쪽에 우뚝 솟아 있다.

[사진설명-마지막 암봉의 가파른 암벽을 오르고 있는 취재팀]

하산은 진행 방향에서 볼 때 오른쪽. 발걸음은 천령산으로 이어간다. 산길이 아래로 급격히 떨어진다. 20여분간 숨돌릴 틈 없이 내려오면 삼거리. 정상에서 0.6㎞지점으로 오른쪽으로 떨어지면 가재골로 떨어진다. 직진해 능선을 잇는다. 15분 뒤 헬기장이 나오며 30여M 뒤에 이정표가 있는 삼거리다.

계속해서 능선길을 간다. 홀연히 바윗길이 사라지고 솔향 가득한 흙길이 나타난다. 마사토가 폭신하게 깔린 외길이다. 50분 가량 편한 능선길을 가다 서서히 오르막길이 시작된다. 작은 봉우리에 올라선 뒤 내려닿으면 또 다른 삼거리. 왼쪽으로 꺾은 뒤 5분 정도 오르면 옥녀봉 정상이다. 정상석은 없고, 우거진 수풀에 가린 참호만 있다.

옥녀봉에서 200여M 내려오면 무덤이 있다. 다시 쉬운 능선길이 이어진다. 15분 정도 걸어가면 간벌구간이 나온다. 대규모 밤나무단지를 개간하고 있다. 산길이 끊어졌다 이어지기를 반복하므로 주의해 능선길을 찾도록 한다. 이 길을 500여M 헤쳐 나오면 다시 원래의 길을 만난다. 칡덩굴 사이로 양지바른 터에 자리잡고 있는 무덤을 가로지른다. 숲길로 스며든 뒤 5분 정도 가면 삼거리를 만난다. 이곳도 주의지점. 가야할 길은 왼쪽 오르막으로 가는 옅은 길. 이 길로 100여M 가면 천령산 정상이다.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흐르는 뚜렷한 흙길을 밟으면 천령산 정상을 비켜 하산한다.

천령산은 함양의 진산. 함양읍내가 한눈에 들어온다. 정상에는 제단이 있어 군 문화제가 열리면 이곳에서 성화를 채화하기도 한다. 허리 위로 치솟은 수풀을 헤치며 하산을 시작한다. 150여M만 내려오면 이정표가 나타난다. 왼쪽은 죽곡, 오른쪽은 삼휴로 떨어진다. 이를 무시하고 내리막을 좇아 이정표에서 20여M 내려간다.

마지막 중요지점이다. 갈래길이다. 여기서는 반드시 왼쪽 완만한 내리막길로 가야한다. 오른쪽으로 떨어지면 가슴팍까지 차오른 칡넝쿨이 가로막고 있다. 유유히 흘러내리는 능선길을 따라 1㎞가량 내려 간다. 40분이면 밤밭을 지나 시멘트 포장 임도에 내려닿을 수 있다. 오른쪽 내리막길로 10여분 내려오면 삼휴마을이다. / 글·사진=박병률기자

/ 산행정보 문의=다시찾는근교산취재팀


▶떠나기전에

오봉산은 상산(霜山) 혹은 서리산으로 불린다. 고려말 이성계가 왜구를 대파한 곳으로 과거에는 기우제를 지내던 성스러운 곳이다. 함양 시내를 내려다보고 선 천령산의 ‘천령’은 함양의 옛이름.

오봉산은 코스가 다양하다. 순한 산행을 하고 싶은 사람은 아제원을 거쳐 능선에 오르는 길을 선택할 만하다. 이번 산행의 초입에서 국도를 따라 50M 정도만 올라가면 아제원 표지판과 함께 산행 이정표가 서 있다.

오봉산의 암릉만 맛보고 내려올 수도 있다. 옥녀봉으로 가는 길에는 두어 번의 삼거리가 있다. 능선에서 나와 오른쪽 하산길로 꺾으면 가재골농원으로 떨어진다.

근교산팀이 간 등산로는 오봉산 안내판에는 ‘전문산악인용 코스’로 소개돼 있다. 그러나 곳곳에 로프가 설치돼 있어 정상 전 세번째 암봉을 제외하고는 크게 어려운 곳이 없다. 단 눈비 오는 날, 바람이 심한 날은 피하는 것이 좋다. / 이창우(www.yahoe.co.kr·) / 산행대장

맛집 하나 소개한다. 흑돼지 삼겹살로 유명한 읍민각(055-963-6262). 함양읍 함양시장 내에 위치해 있다. 함양군청에서 차로 2~3분 거리. 일제강점기땐 공회당, 극장으로 이용된 자리다.

일교차가 심한 함양서 키운 흑돼지 생고기라 육질이 단단하고 한 눈에 봐도 선홍색으로 싱싱하다. 쫄깃하면서도 부드럽다. 돼지고기와 궁합이 맞다는 초피(경상도말로 제피)장아찌와 말린 파래를 막장에 버무린 신기장아치 등 밑반찬이 독특하고, 된장찌개 대신 들깨를 특히 많이 갈아넣은 시래깃국도 일품이다. 그릇 또한 공방에서 주문한 분청이라 운치도 있다.

▶교통편
부산에서 함양가는 버스는 부산 사상 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 오전5시40분 부터 막차 오후 막차 7시41분까지 운행을 하며 배차간격은 8~20분 간격으로 운행을 한다. 요금 1,3000원. 소요시간 약3시간으로 산청 수동 생초를 경유한다. 

부산발 함양 직통도 있다. 7:00,09:00 11:00 요금12100원. 함양발 부산행은 14:00, 16:00 18:30 함양에서는 삼정·백무·등구 방향의 버스를 탄 뒤 상죽림(상죽)에서 내린다. 오전 9시, 9시10분, 9시30분, 10시20분, 10시50분 등에 있다. 소요시간 40분 가량.

산에서 내려오면 삼휴마을이다. 삼휴마을은 버스가 들어오지 않으므로 택시를 타야 한다. 지리산택시 055-963-3456, 함양 시외버스정류장으로 가면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