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경주여행/경주가볼만한곳)경주 분황사 여행. 가보지 않아도 가본것 같은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분황사 석정, 화쟁국사비부, 보광전의 약사여래입상을 만나다.


경주여행에서 빼놓을 수 없다는 분황사모전석탑 여행을 하면서 이번에는 분황사 모전 석탑을 제외한 분황사 내에 있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97호인 원효대사의 비석을 받쳤던 화쟁국사비부와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9호로 신라 호국용의 전설이 있는 석정, 그리고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19호 보광전의 약사여래입상을 소개하겠습니다.





분황사 주소: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312

분황사 전화: 054-742-9922




그러나 먼저 분황사에 대해서 조금은 알고 가야겠습니다. 분황사는 신라 선덕여왕 3년인 634년에 창건하였습니다. 창건과 함께 모전 석탑이 완성되었는데 당대의 유명한 선승인 자장율사와 원효대사가 주석하면서 분황사의 사격을 더 높였습니다


분황사 석정


솔거가 그렸다는 관음보살상 벽화가 있었다 하며 755년 신라 경덕왕 14년에 강고내말이 구리 306,700근으로 약사여래상등을 주조하여 봉안했던 약사여래좌상은 현재 행방이 묘연한 상태입니다.

 


또한, 분황사는 당간과 지주, 중문, 석탑, 3금당, 강당, 회랑을 갖춘 대가람이었습니다. 그러나 고려 말인 1238년 고종 25년에 몽골군과 조선 시대에 일어난 임진왜란, 정유재란으로 분황사의 모든 전각이 소실되었습니다.


분황사 화쟁국사비부


분황사는 두 전란이 끝나고 1609년인 광해군 1년에 중창하였으며 보광전에는 약사여래입상이 현재 분황사를 지키고 있습니다. 먼저 분황사의 석정을 보겠습니다. 신라 호국용의 설화가 전해오는데 돌우물로 겉면은 8각이며 내부는 둥근 원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이 우물을 ‘호국룡변어정’이라고도 합니다.



여기에는 재미난 이야기가 전합니다. “분황사 우물과 금학산 아래 동천사의 동지와 청지로 각각 불리는 우물에는 통일신라를 지킨다는 호국용이 살고 있었습니다. 때는 원성왕 11년인 795년입니다. 중국 당나라 사신이 와서 각각의 우물에 있는 호국용을 물고기로 만들어 잡아갔습니다.



어느 날 두 여인은 이 사실을 알고 원성왕을 찾아와 남편을 찾아달라 부탁하였습니다. 이에 원성왕은 사람을 시켜 당나라 사신이 잡아간 물고기로 변한용을 다시 돌려받아 자신들의 우물에 각각 풀어주었습니다.



이 우물은 통일신라 시대에 설치한 우물로 조선 시대에 들어서면서 불교 탄압으로 고려까지 국교로 이어온 불교가 유교에 억압을 받았습니다. 급기야 사찰 내의 모든 돌부처의 목을 날라갔으며 이 석정에다 처박아 넣었던 아픔이 있습니다. 현재 통일신라의 돌우물 중에서 가장 크며 오늘날까지 우물로 사용될 만큼 상태가 깨끗하다 합니다.

 


이번에는 인근의 원효대사 받침돌로 사용된 분황사 화쟁국사비부입니다. 화쟁국사비는 1101년인 고려 숙종 6년 8월에 내린 조서에 분황사에 세워졌습니다. 숙종은 원효가 동방의 성인임에도 불구하고 원효대사를 칭송하는 비석이나 시호가 없음을 안타깝게 여겨 대상화쟁국사라는 시호를 추증하고 유사가 비를 세우게 했습니다.



현재 비신은 사라지고 없으며 비 조각만 한두 개씩 발견되어 화쟁국사비가 있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합니다. 비를 꼽았던 비대석은 추사 김정희의 친필인 ”차신라화쟁국사지비적“이 음각되어 있으며 직육면체인 비대에 비신을 꽂는 직사각형의 홈이 패여 있습니다. 이번에는 보광전의 약사여래입상입니다.


분황사 보광전 약사여래불


보광전은 1998년 3월에 수리하면서 건물을 해체하였습니다. 그때 벽화를 볼 수 있었으며 임진왜란에 소실되었다는 기록과 1680년 5월에 중건하였으며 약사여래상은 만력 기유년인 1609년에 구리 5,360근으로 주조하여 봉안했다고 상량문에 나와 있다 합니다.

 


약사여래입상의 높이는 3.45m로 1800년대에 만들어진 청동제 불상입니다.  왼손에 들은 건칠제 약함 뚜껑 안쪽에 “건륭 39년 을미 4월 25일 조성야 “란 붉은 글씨가 남아 있으며 이는 1774년인 영조 50년에 만들어졌습니다.

 


그리고 이 입상은 처음에는 755년 강고내미가 만들었다고 알려졌지만 원형은 거의 파괴되어 조선시대에 들어와 새롭게 보수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분황사 약사여래입상은 얼굴이 둥글고 넓으며 낮은 상투 모양이 표현된 머리에는 석회를 뭉쳐 만든 나선형 머리카락을 부착하였습니다. 





양 어깨에 걸친 법의는 두껍게 처리했는데 이는 장대한 신체와 조화를 잘 이루고 있습니다. 대의 사이에 화형으로 접고 띠를 두른 군의가 ‘U '자형으로 층단을 이루며 흘러내리다가 무릎 밑에 이르러 3단으로 접혀 있습니다.



대좌는 아무런 조식이 없는 판석으로 대신하고 불상 앞에 놓인 석제 불단은 사천왕상이 새겨진 통일신라 시대의 탑몸돌의 받침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 불상의 양식을 보면 조선 후기로 제작연대가 확실하여 불상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문화재 안내판 참고)


 

분황사 관람안내

분황사 입장료: 어른 1,300원, 청소년및 군인 1,000원, 어린이 800원

 분황사 입장시간:08:00~17:30분 

728x90

728x90


(경주여행/경주가볼만한곳)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신라 최초의 석탑이자 유일한 경주 분황사 9층석탑을 여행하다


초등학교 때 수학여행은 무조건 경주였습니다. 국사 시간에 많이 접했던 신라 시대의 역사와 문화를 본다는 즐거움으로 가슴 설레었던 경주 여행은 그중에서도 필수 코스가 있었습니다. 지금이야 자동차로 쌩쌩 달려 도착하지만, 당시에는 고사리 같은 손을 맞잡고 걸어서 석굴암을 올랐습니다.





분황사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분황로 94-11(구황동)분황사



또한, 불국사도 여행하였고 마지막으로 찾는 곳이 분황사였습니다. 이를 두고 흔히 경주 3대 여행지라 했습니다. 경주여행에서 꼭 빠지지 않고 본다는 분황사 9층 석탑은 불국사와 석굴암과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어린 시절 저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줬습니다.



초등학생의 어린 마음에 아무리 봐도 3층뿐인데 왜 9층 석탑이라 하는지 이해하지 못했으며 불국사의 다보탑과 석가탑과 같은 석탑이라 하는데도 전혀 모양이 달라 이상하다는 생각을 가졌지만, 그저 아주 특별하구나 하며 뇌리에 강하게만 남아 있었습니다. 이게 벌써 40년도 훨씬 전 일입니다.



경주는 제가 태어난 고향입니다. 그 때문에 매년 한두 번씩 여행 삼아 찾아갑니다. 그때마다 분황사는 강한 뇌리감 때문인지 가보지 않아도 그 모습이 눈에 선해 항상 빼놓고 여행을 했습니다. 이제 성인이 되어 우리 문화재 찾는 것을 좋아해서 여러 곳의 탑도 찾아가 보았습니다.

 


그리고 탑의 특성도 알게 되었고 덩달아 분황사 9층 석탑을 모전 석탑이라 부르는 것과 그 재질과 왜 9층 석탑이라 하는지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다시 한 번 경주 분황사 여행을 다녀왔습니다. 쑥스러운 이야기지만 가보지 않아도 가본 곳 같은 분황사라 초등학교 수학여행 이후 처음 가봤습니다.



나의 기억 속에 남아있는 모습과 분황사는 그대로 똑같았습니다. 그만큼 나에게 강하게 남아 있었던 것 같습니다. 분황사는 신라 시대 634년인 선덕여왕 3년에 창건하였고 분황사 9층 석탑도 세워졌습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기록을 보드라도 이웃한 황룡사와 함께 쌍벽을 이루는 큰 규모로 보이지만 지금 분황사는 9층 석탑을 빼면 너무나 초라한 모습입니다.



분황사는 분황사 9층 석탑인 모전석탑이 분황사의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선덕여왕 시절인 창건 당시의 분황사는 당대의 선승인 자장율사와 원효대사가 주석했던 곳으로 유명합니다. 643년 당나라 유학 중 왕명을 받고 자장율사는 대장경 일부와 불전에 필요한 번당, 화개 등을 들고 귀국길에 오릅니다.



이에 선덕여왕은 분황사에 머물게 하면서 대국통의 벼슬을 내렸습니다. 또한. 삼국유사의 기록을 보면 원효는 분황사에서 활발한 저술활동을 펼치면서 많은 저술을 남겼습니다. 원효가 죽자 그의 아들인 설총은 원효의 뼈로 소상을 만들어 이곳 분황사에 모셨으며 소상은 고려 시대까지 남아 있었다 합니다.

 


당시 선덕여왕의 신라는 백제와 고구려와의 전쟁으로 조용한날이 없었습니다. 먹느냐 먹히느냐의 치열함 속에 선덕여왕은 국교인 불교에 의지하며 부처님의 힘으로 나라를 지켜야 한다는 마음에 9층 석탑의 거대한 탑을 세웠으며 이로써 신라왕실의 권위를 더욱 굳건히 하고 백제와 고구려에 국력을 과시하는 포석으로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지금의 분황사 9층 석탑은 3층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이게 9층 모습 그대로 남아 있었다면 정말 웅장하였을 것 같습니다. 아쉽게도 고려 말 몽골의 침입과 조선 시대 임진왜란으로 분황사 9층 석탑은 파괴되었고 남아있던 전각 대부분도 소실하였다는 기록이 동경잡기에 있습니다. 이번 분황사 포스트는 분황사 모전 석탑입니다.



그 외 분황사에 남아 있는 원효대사 비석 받침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97호 화쟁국사비부와 신라 호국용의 설화가 있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92호 석정, 그리고 보광전의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19호 약사여래입상은 따로 소개하겠습니다.







분황사 9층 석탑은 화강암 재질인 기존 석탑과는 형태가 다르게 돌을 벽돌 모양으로 깎아 쌓아 만들었다 하여 이를 모전 석탑이라 합니다. 모전 석탑은 중국에서 유행했던 양식이 신라의 석탑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 후 통일신라로 들어서면서 우리나라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양식인 화강암의 석탑으로 바뀌었습니다.





분황사 모전 석탑을 보면 자연석을 다듬은 막돌을 1.06m의 높이로 쌓아 그 기단 위에 넓은 화강암을 바닥 돌로 삼았습니다. 바닥은 정사각형의 형태로 한 변의 길이가 대략 13m이며 그 위에 벽돌 모양의 돌을 차곡차곡 쌓아 올린 전탑입니다. 1915년 일제는 허물어진 분황사 9층 석탑을 수리한다고 해체하여 지금의 상태로 만들어 현재 3층 석탑이 된 연유입니다.

 




당시 2층과 3층 사이에는 돌로 만든 함속에 사리장엄구가 들은 은제 사리함 등이 나왔다 합니다. 1층 탑신의 네 곳에는 불상이 들었던 것으로 보이는 감실을 두었으며 출입구가 있습니다. 출입구 좌·우에는 사천왕인 인왕상을 두었는데 근육의 볼륨감등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아주 인상적이었습니다.

 




현재 남아 있는 인왕상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출입구에는 여닫는 석문을 달았습니다. 그리고 기단의 네 귀퉁이에는 동물상을 배치했으며 왼쪽은 사자와 흡사하고 오른쪽은 암사자를 뜻하는지 모르겠지만, 아마추어 눈에는 물개와 흡사한 모습입니다.









이는 불국사의 다보탑에 배치한 사자 석상과 같은 이치로 불교에서 불탑을 수호하는 동물은 사자입니다. 분황사 모전석탑의 사자상도 그와 같은 의미로 보입니다. 분황사 모전석탑은 신라 석탑에서 가장 오래된 탑이자 신라 시대에 남아 있는 유일한 석탑이며 현재 국보 제30호입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