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등대 시장 입구에 있다 등대시장 안쪽으로 옮긴 뒤 다시 충무대로  새로 이전해 예전의 포스팅에 장소만 추가하였습니다.



☞(부산맛집/서구맛집)남부민동 함흥냉면. 냉면은 여름음식 함흥냉면

 

 

냉면은 어떤 계절에 먹는 음식일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더운 여름철에 시원하게 얼음을 동동 띠어서
먹는 여름음식인줄 알고 있다.
그러나 냉면은 원래 겨울철에 먹는 음식으로
동절절식이라 하였다한다.
구한말에는 고종황제께서
특히 냉면을 좋아해서
야참으로 자주 드셨다는 기록도 있다.


☞(부산맛집/서구맛집)남부민동 함흥냉면. 냉면은 여름음식 함흥냉면 평양식과 함흥식으로 나누어.
냉면은 메밀가루로 면을 뽑아
그 위에 고명을 얹어 먹는 음식으로
흔히 평양식과 함흥식으로 나눈다.
쉬운말로 평양식은 물냉면이며
함흥식은 비빔냉면으로
나름대로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요즘은 고기 육수를 뽑아 많이 사용을 하지만
예전에는 겨울철 동치미에
배를 섞어 국물을 시원하게 한
냉면 국물을 사용하였다 한다.

 



☞(부산맛집/서구맛집)남부민동 함흥냉면. 냉면은 여름음식 함흥냉면

 

남쪽 지방은 메밀을 구하기가 힘이 들어서인지
메밀로 만든 음식이 귀하지만
강원도 이북에서는 손쉽게 메밀를 구할 수 있어
면을 뽑아 먹거나 아니면 메밀전으로 많이 붙혀 먹었던 재료이다.
ㅎㅎ. 그래서 6.25 한국전쟁이후
 피난민에 의해 만들어진 밀면도
메밀을 구하지 못해 그대신 밀가루로 뽑아 만들어 탄생되었던 것이다.
그만큼 중부이북에는 냉면을 많이 애용하였다 하겠다.

 

메밀로 국수 굵기보다도
얇게 뽑은 면은 뚝뚝 끊어지는 국수보다
쫀득쫀득하면서 씹는 맛 또한 좋아 별미로 대접을 받고 있다.

이번에 포스팅한 냉면집은
남부민동 등대시장에 있는 함흥냉면(051-256-1900)집으로
꽤 냉면집으로서 명성을 날리고 있다.
아직 덜 알려졌지만
이 부근의 주민이나 회사원들에게는
익히 소문난집으로 항상 손님들로 붐비는 집이다.



면위에 양념장과 함께
오이향이 코 끝을 자극하며
편육이 올라가 있고 가오리가 한층 맛을 더한다.
가위로 열십  자로 잘라 잘 버무려 한젓가락을 먹어보니
입안에서 감칠 맛이 난다.
이 맛 때문일까?.
겨울에 먹어보는 냉면이야 말로

냉면의 진수를 그대로 느낄 수 있다.. 냉면 그릇은 또 어떤가.
모두 2중으로 된 그릇으로
아마 보온 보냉 기능이 뛰어 나겠다하겠다.
얼음을 띠운 냉면은 얼음이 빨리 녹지 않으며 시원하게
먹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여기 올려진 음식점의 입맛은 제 주관적임을 밝힙니다


옛 함흥 냉면자리


서구 남부민동 등대시장 입구에 있는 함흥 냉면점이 등대시장 안으로 장소를 이전하였다. 예전에는 허름한 건물이었지만 이번에 인테리러를 새로하여 장소를 이전하여 open하였다.

여기서 다시 부산 서구 남부민동 647-17 봄여름가을겨울 아파트상가 105호로 이전 했습니다.

 

 

옛 함흥 냉면 자리에는 이리 이전 안내 현수막이 설치되어 있다.

 

 

 



새로운 장소에서 영업을 하고 있는 모습

 

 

 

 

 

 

 

 

 

상호: 등대시장 함흥냉면 

소재지: :부산 서구 남부민동 647-17 봄여름가을겨울 아파트상가 105


연락처:051-256-1900
주차장 없음
영업시간:오전 11시~오후8시
그리고 매주 월요일은 휴무입니다.

찾아가기
남포버스정류장에서
 71번, 26번, 30번 6번
서구청정류장에서 송도아랫길 방향
 97번과 97-1번이 있다.

충무쇼핑정류장에서 하차해 송도해수욕장 방향으로 보면 봄여름가을겨울아파트가 보입니다.  










 

 
 
 
 
 
 
 
 
 
 

건물 또한 허름하며 가건물 비슷한 모양세이지만
냉면 맛은 주위의 냉면집을 평정하고도 남음이 있다.
일단 메뉴판에도 함흥식과 평양식 뿐이지만
사계절을 오직 이것만으로 고수하는 것만 보아도
이집의 냉면만을 짐작하고도 남는다.





 

※등대시장 함흥냉면 주소:부산 서구 남부민동 647-17 봄여름가을겨울 아파트상가 105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