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남 순천시 승주읍과 송광면, 주암면에 걸쳐 있는 조계산(曹溪山·887.1m)은 두 말할 필요도 없는 남도의 명산이다. 맑은 물이 흐르는 산중 계곡과 넉넉한 품을 자랑하는 육산으로 1979년 전남 도립공원으로 지정됐을 만큼 익히 그 명성이 자자하다.
'근교산&그 너머' 취재팀이 순천 조계산 배바위에 올라 주변 풍광을 살피고 있다. 청명하고 짙푸른 가을 하늘을 이고 있는 뒷쪽 봉우리가 조계산 정상인 장군봉이다. |
송광사 기점 원점회귀 18㎞코스… 7시간은 잡아야 넉넉
보조국사와 그의 제자 담당국사의 전설이 어린 천자암 쌍향수. |
'근교산&그 너머' 취재팀은 이번 주 다시 이곳을 찾았다. 한겨울에도 최저기온이 영상 2도에 머물 정도로 따뜻한 해양성기후를 갖고 있어 11월 말까지 늦은 단풍이 있을 뿐 아니라 초겨울 산행지로도 적당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새로운 코스를 답사, 소개하기 위해서다. 이른바 '송광사 원점회귀 코스'. 특히 송광사 3대 명물 중 하나로 통하고, 천연기념물 제88호로 지정돼 있기도 한 천자암 쌍향수(雙香樹)를 코스에 포함시켜 늦가을의 정취를 즐기며 볼 거리도 만끽할 수 있도록 했다.
송광사 매표소 앞을 기점으로 삼은 이번 코스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매표소~송광사~수석정삼거리~운구재~천자암~송광굴목삼거리~배도사대피소~보리밥집~장박골~작은굴목재~배바위~장군봉 정상~장박골 정상~연산봉사거리~피아골~토다리삼거리~수석정삼거리~송광사~매표소 순이다. 총 거리는 18㎞로 꽤 긴 편이다. 하지만 코스 전체적으로 된비알이 별로 없어 산행시간은 생각보다 많이 걸리지는 않는다. 순수하게 걷는 시간은 5시간30분, 휴식과 식사 유물관람 등을 포함하면 7시간30분쯤 잡아야 한다.
■산중 계곡 늦가을 단풍·배바위 조망 매력적인 육산
송광사 출입문 역할을 하는 우화각 주변의 단풍이 곱다. |
40분쯤 오르면 운구재다. 이곳에서 왼쪽으로 꺾어 천자암을 향해 간다. 역시 약간의 완만한 오르막. 이어서 봉우리를 휘돌아가는 편평한 산길이 이어진다. 스님들이 본절과 천자암을 오르내리기 가장 편하게 길이 만들어져 있다. 30분만에 도착한 천자암 입구 종각 앞에서 바라보니 남도의 나즈막한 산들이 수없이 겹치며 이어지는 모습이 그야말로 장관이다. 가을 꽃으로 뒤덮힌 천자암에는 그 유명한 쌍향수(별도 기사 '떠나기 전에' 참조)가 있다. 기묘하게 뒤틀린 향나무 두 그루는 서로 의지한 채 하늘을 향해 뻗었는데, 1000년 가까이 살았다는 이 나무들의 모습이 하도 신기해서 한참을 바라본다.
운구재에서 천자암으로 향하는 고즈넉한 산길. |
화장실 앞에 '장군봉 2.1㎞' 이정표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2분 후 굴목교삼거리에서 작은굴목재 방향인 왼쪽 길을 따른다. 곧바로 벌통바위를 지나면서 산중 계곡인 장박골의 가을 풍광을 만끽한다. 장박1교와 장박2, 3교를 잇따라 지나면 20분 만에 삼거리에 닿는다. 이곳에서 우측 계단을 따라 100m만 오르면 작은굴목재다. 장군봉 방향인 왼쪽의 약간 가파른 오르막 능선길을 따라 15분쯤 오르면 배바위다. 잠시 배낭을 벗어 내려 놓고 배바위 위로 올라본다. 로프가 설치돼 있다. 배바위에서는 머리 위에 장군봉, 그 아래로 선암사와 멀리 순천 앞바다까지 거칠 것 없는 조망을 즐길 수 있다. 다시 바위 아래로 내려와 10분만 오르면 정상인 장군봉이다. 삼각점과 돌탑, 정상석 등이 어지럽다. 서쪽의 장박골 건너편에 연산봉(832m)도 우뚝하다. '송광사 6㎞' 이정표가 가리키는대로 진행 방향으로 직진, 한바퀴 빙 돌아 서쪽에 보이는 연산봉 아래까지 일단 가야한다.
■연산봉사거리서 피아골 방향 하산로 험해 주의 필요
조계산 배바위에서 바라보면 바다와 산, 하늘의 경계가 모호해진다. |
◆ 떠나기 전에
- 천자암 쌍향수는 보조국사 담당국사 지팡이 였다고…
천자암의 쌍향수는 천연기념물 제88호로 지정된 두 그루의 향나무다. 아마도 대한민국의 수많은 나무가 있고 천연기념물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이 쌍향수는 그 외모의 신비로움과 그 내력에 얽힌 전설까지 합쳐져 최고의 나무라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전설에 따르면 이 두 그루의 향나무는 12세기말 정혜결사 운동을 펼친 보조국사 지눌 스님과 그의 제자인 담당국사와 관련이 있다. 지눌 스님이 중국 유학에서 돌아올 당시 중국 왕자 출신으로 자신의 제자가 된 담당국사와 함께 귀국, 천자암에서 수도하면서 두 스님이 귀국길에 사용했던 향나무 지팡이를 꽂은 것이라는 것. 그 때문인지 비슷한 둥치의 두 그루 중 한 그루가 마치 스승 앞에서 고개를 숙이는 제자의 모습처럼 약간 숙이고 있는 모양을 하고 있다. 아무리 보고 또 봐도 신기하다 못해 신령스런 느낌을 주는 쌍향수다.
◆ 교통편
- 자가용 이용, 남해고속도로 주암IC에서 빠져나가야
코스가 꽤 길고 빠른 걸음의 산꾼도 7시간 안팎은 잡아야 하기 때문에 대중교통 보다는 자가용 이용을 권한다. 남해고속도로 주암(송광사)IC에서 내려 좌회전 한 후 곧바로 송광사 방향으로 우회전(국도 18호선)한다. 파인힐스CC를 지나 주암호를 끼고 가다보면 송광사 입구 삼거리에서 좌회전, 3분만 가면 송광사 식당가 주차장에 닿는다. 부산에서 약 2시간50분 소요. 동절기의 경우 밝을 때 하산하기 위해서는 늦어도 오전 10시 이전에 산행을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부산에서 오전 7시 이전에 출발해야 한다.
문의=생활레저부 (051)500-516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