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근교산&그너머 <724> 보성 초암산
십리능선 철쭉 화원, 유혹하는 '붉은 너울'
제암·일림산 비해 한적한 철쭉 산행지, 산길 임도 합쳐 12㎞… 4시간 원점회귀
급경사 없고 길 순해 가족나들이 적격, 5월 첫 주말 철쭉 만개해 한달간 지속
십리능선 철쭉 화원, 유혹하는 '붉은 너울'
제암·일림산 비해 한적한 철쭉 산행지, 산길 임도 합쳐 12㎞… 4시간 원점회귀
급경사 없고 길 순해 가족나들이 적격, 5월 첫 주말 철쭉 만개해 한달간 지속
해마다 5월이면 많은 산꾼이 '철쭉의 유혹'에 빠진다. 능선을 뒤덮는 그 붉은색 꽃물결 속을 헤엄치는 황홀감은 쉽게 뿌리치기 어려울 만큼 매혹적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웬만큼 알려진 철쭉 명산들은 마치 행군하는 개미들의 행렬을 방불케 할 정도로 넘쳐나는 인파로 인해 철쭉밭이 아니라 쑥대밭이 되기 일쑤다. 주말을 맞아 애써 시간을 낸 산꾼의 입장에서는 철쭉의 붉은 물결에 젖어보기도 전에 사람의 파도에 휩쓸려 지쳐버리곤 한다. 그래서 그나마 덜 알려진 철쭉 명산을 찾느라 많은 정성을 기울이기 마련이다.
산행은 보성군 겸백면 수남리 주차장에서 출발해 이곳으로 돌아오는 원점회귀 코스로 진행된다. 전체 걷는 구간은 12㎞가량 되지만, 후반부의 무남이재~수남리 주차장 4.5㎞ 구간은 내리막 임도를 따르기 때문에 실질적인 산행은 7.5㎞ 정도다. 순수하게 걷는 시간은 4시간 정도지만 철쭉꽃밭에서 여유롭게 쉴 요량이라면 넉넉하게 5시간쯤 잡으면 된다. 산행경로는 초암산 수남 주차장~진원박씨묘~수남삼거리~초암산정상~수남삼거리~원수남삼거리~철쭉전망소~밤골재~철쭉봉~광대코재~무남이재~원수남마을~수남주차장순
삼나무 편백나무 참나무 등이 자라고 있는 인공 조림지인 '윤제림'이 주변을 감싸 안아주는 까닭에 호젓한 분위기가 이어진다. 20분가량 가서 만나는 고속도로 터널 공사장이 나타나면서 분위기를 조금 망치기는 하지만 들머리인 수남주차장까지는 20분만 더 가면 된다. # 떠나기 전에 - 4~8일 열리는 보성다향제 들러볼 만 전남 보성은 녹차의 고장이다. 또한 철쭉의 고장이기도 하다. 보성과 장흥 경계에 있는 제암산과 보성 녹차밭에서 그리 멀지 않은 일림산, 그리고 이번 주에 소개한 초암산 등 해발 500~700m대 산들이 철쭉 산행지로 전국적인 명성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녹차와 철쭉. 이 두 가지 식물이 남도의 평범한 시골 지역을 국민 누구나 가고 싶어 하는 고장으로 변모시켰다. 4일부터 8일까지 제37회 보성다향제가 보성녹차밭 일원에서 개최된다. 이 기간에 초암산 철쭉제도 함께 열리기 때문에 찾아온 손님들에게 보성의 다양한 매력을 동시에 보여줄 예정이다. 한편 초암산의 옛 이름은 금화산(金華山)이다. 산 중턱에 있었던 백제 고찰 금화사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하지만 현재는 절터만 남아 있을 뿐이다. 꽃잎을 먹을 수 있는 진달래는 '참꽃'으로 불리는 반면 철쭉은 독성 때문에 먹지 못한다고 해서 '개꽃'으로 불린다. 그러나 이 개꽃의 꽃말은 의외로 낭만적이다. 바로 '사랑의 즐거움'이라는 꽃말을 갖고 있다. # 교통편 - 대중교통 불편… 순천 경유 2번 국도 이용 대중교통을 이용해 보성 초암산 산행을 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아 자가용을 이용하자. 남해고속도로 순천IC에서 내린 후 순천 시내로 진입, 순천만 방향으로 가다가 2번 국도를 만나면 보성 벌교 방향으로 우회전한다. 10분 후 삼거리에서 다시 보성 벌교 방향으로 좌회전, 계속 2번 국도를 탄다. 벌교를 지나 보성 방향으로 가다 보면 군두사거리에서 우회전, 845번 지방도를 타고 겸백 방향으로 간다. 오도재를 넘어 4㎞쯤 가면 광양~목포 간 고속도로 공사장이 있는 다리를 건너자마자 우측 수남리 방향으로 진입한다. 5분만 가면 산행 들머리인 수남리 주차장에 닿는다. 소요시간은 고속도로 휴게소 10분 휴식 포함해 2시간40분 걸린다. 문의=주말레저팀 (051)500-5169, 이창우 산행대장 010-3563-0254, | ||||||||||||||||||||||||||||||||||
|
보성 초암산 철쭉산행 뒷이야기
사실 철쭉이나 진달래등 시기를 맞추는 취재 산행 때가 가장 괴롭다.
지금은 영남알프스 둘레길 취재중이라 오랜만에 취재를 나가는 근교산에
철쭉 산행을 테마를 잡고 산행지를 정해 보니 그래도 보성이나 장흥의 일림산 제암산 보다는 덜 알려진 철쭉의 명산 초암산을 잡아 보았다.
얼마나 철쭉으로 꽃대궐을 이루면은 철쭉봉이란 봉우리 이름까지 있을까?.
철쭉이 적당히 피어 있고 기사가 나간후 절정이면 되는데
그래서 시기를 맞추기가 가장어려운게 사실이다.
그래서 인터넷으로 초암산의 철쭉 상태를 알아보니
현재의 초암산 모습이라며 1/3쯤 개화가 된 상태의 사진이 여럿있었다.
그리고 철쭉제도 4일~8일로 시기도 딱 맞아 떨어젔다.
취재산행에는 적기다 싶어 괜찮은 철쭉산행이 될 것 같았다.
그런데 사실 요즘 이상 기온으로 쌀쌀한 날씨인데 철쭉이 다른해 보다 일찍피었다는 의심도 해 보았지만
이상하다는 생각도 하였지만 그래도 인터넷에 올라온 현재의 초암산 철쭉 모습을 보고 내심 기대를 하였는데
도착을 해 초암산을 보니 휑~~~한 그자체였다.
내려오는 산행객들에게 물어 보니 아직 철쭉이 안피었다는 말만 돌아 왔다.
꽃몽우리만 맺혀 다음주는 되어야 겠다는 이야기이다.
그럼. 우리 철쭉 산행에서 사진은 어짜노~~~
인터넷의 철쭉산행에 낚시질을 당하다니~~~
참 황당 그 자체이다.
그래도 어짜노.
부산에서 이까지 달려 왔는데.
철쭉 산행은 하고 가야지.
지난주 취재산행때의 모습이다 이번 주말에는 꽃몽우리들이 만개를 하여
붉은 꽃들이 천상의 화원을 연출할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