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근교산&그너머 <720> 남해 망운산
눈앞엔 다도해, 발아래 야생화… 여기가 바로 仙界
지역민 사랑 한몸에 받는 남해 진산, 발길 닿는 곳마다 한려수도 비경 만끽
층계형 오르막 능선 절묘하게 배치, 10㎞ 코스 … 천천히 5시간이면 충분
봄볕 따사로운 계절에 산길을 가다 보면 여러 종류의 야생화와 무수히 만난다. 흔하다는 진달래 개나리 제비꽃 민들레는 제쳐 두더라도 하얗거나 연보라빛을 띤 노루귀, 샛노란 양지꽃, 은빛 찬란한 산자고, 보라색 얼레지 등 도회지에서는 좀처럼 보기 어려운 꽃들이 참 많다. 마음속으로 이들 야생화와 반갑게 인사를 나누며 걷는 것 또한 봄 산행의 묘미다. 주변을 둘러보면 숲은 어느새 연둣빛으로 옷을 갈아입는 중이고 능선을 넘나드는 바람에도 따뜻한 훈기가 묻어난다. 봄비라도 한두 차례 내려 준다면 반투명 연둣빛 숲은 좀 더 짙은 초록으로 금세 물든다. 그래서일까. 많은 사람이 산행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로 4월을 손꼽고 있기도 하다.
전체 코스는 남해스포츠파크가 자리 잡고 있는 남해군 서면 서상마을에서 출발, 고현면 화방사까지 10㎞ 구간이다. 코스를 요약하자면 서상마을 서상교~가물랑산~전망대~물야산~평치~학석봉~직장마을 갈림길~용두봉(수리봉)~KBS송신소(지형도상 정상)~능선 철쭉군락지~관대봉 능선 갈림길~정상~화방사 순이다. 보통 걸음으로 휴식 포함해 5시간 정도 잡으면 된다. 면소재지이기도 한 서상마을 서상교 앞에 노거수가 있고 다리 옆에 자그마한 '망운산 등산로' 안내 푯말이 있다. 작은 하천을 따르는 마을길로 진입하면 5분 후 상세한 등산로 안내판이 나온다. 좀 더 콘크리트 임도를 타고 올라 작은 언덕에 오르면 남해스포츠파크와 주변 남해바다가 한눈에 들어온다. 길 옆에 피어난 개불알풀 현호색 산자고 등 야생화들이 산꾼을 정답게 맞아준다. 마늘밭 보리밭을 잇따라 스쳐가는 임도를 타고 15분쯤 가면 통정대부 김해 김씨묘 앞 이정표. 이곳에서 임도를 버리고 본격적으로 산행로를 따른다.
# 떠나기 전에 - 망운사 명성에 가려진 화방사 들러볼 만 남해 망운산 정상 아래에 자리한 망운사는 일반적으로는 망운암(望雲庵)으로 더 알려져 있는 산중 암자다. 고려 때 진각국사가 개창했다고 알려진 이 절은 남해읍과 남해만을 굽어보고 있어 조망이 빼어나고, 현재는 유명한 선화가 스님인 성각 스님이 주지로 봉직하고 있다. 성각 스님의 공력 덕분에 보리암 못지않은 유명세를 타고 있기도 하다. 그런데 정작 망운사가 '쌍계사의 말사'라고 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산행의 날머리인 화방사는 외지인들에게 크게 알려져 있지 못하다. 화방사는 신라 문무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한 연죽사에서 비롯된 사찰로 조선 중기인 1636년 현재의 위치로 옮겨서 화방사라는 이름으로 바뀐 것으로 전해진다.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52호인 채진루(埰眞樓)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축물로 조선 후기 건축양식을 잘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 화방사 일주문 왼쪽 언덕에는 천연기념물 제152호인 산닥나무 군락지가 있다. # 교통편 - 남해터미널에서 서상마을행 군내버스로 부산서부버스터미널에서 남해까지는 오전 6시20분부터 오후 7시20분까지 50~7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2시간30분 소요. 1만1300원. 남해터미널에서 산행 들머리인 서면 서상마을까지는 군내버스가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하루 20여 회 운행한다. 산행 후 화방사에서는 택시(개인택시 011-887-7177)를 이용하는 하는 편이 가장 편하다. 남해 터미널까지 요금은 5000원 안팎이다. 자가용 회수를 위해 서상까지 가려면 남해터미널에서 다시 서상행 버스를 갈아타거나 택시를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택시 요금은 1만3000원 안팎이다. 자가용 이용자는 남해고속도로 진교IC에서 내려 남해 방향으로 간다. 남해대교를 건너 19번 국도를 타고 남해읍까지 간 후 남해유배문학관 앞 삼거리에서 우측 남해스포츠파크 방향 도로를 탄다. 10분 후 서면 서상마을에 닿는다. 문의=주말레저팀 (051)500-5169, 이창우 산행대장 011-563-0254 | ||||||||||||||||||||||||||||||||||||
|
남해군 서면 면사무소 옆 서상교에서 산행이 시작된다. 등산로 입구 맞은편에 있는 노거수에 오늘의 안전 산행을 빌어본다.
서상교 다리 좌측 등산로 입구란 안내판을 보고 들어서면 만나는 망운산 안내도.
임도길을 따라 올라서면 좌측으로 남해가 펼쳐지고 멀리 여수 돌산도 금오산도 눈에 들어온다. 발아래는 남해 스포츠 파크
가물랑산으로 섬 산답게 민간신앙이 뿌리를 내린 흔적을 볼 수 있다.
전망대에서 바라본 남해와 광양, 여수 돌산도. 오늘 따라 날씨가 선명하지 못한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벼락바위가 있는 전망대로 천길 낭떨어지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시원함의 극치이다.
평고개 또는 평치라하며 여기서 우측의 봉우리가 학석봉이다.
바위를 밟고, 넘어가는 재미가 솔솔하다.
학석봉정상으로 호구산 송등산 괴음산과 멀리 남산, 그리고 다랭이 논이 있는 설흘산도 확인이 가능하다.
용두봉 또는 수리봉으로 불리는 봉우리로 뒤로는 여천공업단지와 광양제철이 있는 광양만, 우측으로는 방송국송신소가 있는 지형도상의 정상이 있다.
kbs송신소가 있는 지형도상의 정상
정상석이 있는 망운산 정상으로 가기 위해서는 넓은 등산로를 따라간다. 특징은 두부를 짜른 듯한 바위들이 널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5월에는 정상으로 타 오르는 망운산 철쭉으로 꽃의 향연을 볼 수 있다.
연죽마을 갈림길
망운산의 주등산로인 관대봉으로 일반적으로 관대봉을 올라 망운산 정상~화방사 방향으로 하산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상아래에 있는 망운사로 고려시대 진각국사가 창건을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망운산 정상으로 남쪽은 물론이며 북으로는 대곡산과 금오산, 멀리는 지리산 주능선이 만리장성을 쌓아 놓은 것 처럼 눈에 확 들어온다.
하산하는 등산로에도 철쭉 터널을 이루고 있다.
하산지점의 화방사
야생화인 산자고 보춘화 얼레지로 망운산에는 봄꽃들이 서로 앞 다투어 피고 있어 앙증맞은 꽃에 눈을 맞추어 보는 재미가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