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관사는 천관산의 북서쪽인 관산읍 농안리의 용소 골짜기인 해발 300m에 위치를 하고 있다. 절터의 앉은 지형이 특이한 모습으로 갑자기 바닷가에서 솟은 특이한 지형위에 넓은 분지를 이루는 이곳에 신라시대 진흥왕때 영통화상이 창건을 하였다 한다. 창건당시에는 화엄사란 꽤 큰 사찰로 주위에 89암자를 거느린 대 사찰이었다 하나 지금은 그저 조계산의 승보사찰인 송광사 말사로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천관사의 폐찰에 대해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어나 바닷가에 위치한 관계로 임진왜란등 많은 외침으로 인해 사찰의 규모는 급격하게 축소된 것을 알 수 있지만 그래도 1659년 에 간행된 지제산사적기에서도 천관사에 대한 기록을 찾을 수 있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도 천관사 극락보전을 중수하며 그에 대한 기록을 남긴 것으로 보아 조선후기까지도 절의 규모가 남아 있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 현재 사찰의 규모를 갖추게 된 것은 1963년 와서 장한택 스님이 대웅전과 칠성당을 중건하면 서 부터이다 현재는 대웅전이 극락보전으로, 칠성당은 도통스님이 다시 중창을 하며 삼성각으로 바뀌었고 아마 최근에 와 범종각이 새로운 모습으로 건립이 되었다. 현재 천관사는 2008년 10월부터 너른 터에 문화재 발굴작업을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천관사삼층석탑(보물795호) 석등(전남유형문화재제134호), 5층석탑(전남유형문화재제135호)등의 문화재가 남아 있고 천관산의 특이한 산세로 인해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한다.
*천관사삼층석탑(天冠寺三層石塔)
보물 제795호
지 정 일: 1984.11.
극락보전 좌측 한켠에 떨어져 있는 삼층석탑은 전체적으로 깔끔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천관 보살을 모섰다는 천관사의 삼층석탑은 기단은 2단이고 3층의 탑신을 올린 고려시대 작품이다.
전체적으로 비례감이 알맞아 안정감이 느껴지며 단아함을 풍긴다. 기단 각면의 가운데기둥이 생략되고, 지붕돌의 받침이 얇아져 퇴화된 수법을 보여주는데, 이는 통일신라에서 고려로 시대가 바뀌면서 일부 양식이 지방화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 이러한 점들을 통해 이 탑은 고려 전기의 작품으로 추측된다.
출처:문화재청 홈페이지 입니다.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VdkVgwKey=12,07950000,36
*천관사 석등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4호)
지정일:1986년 2월7일
소재지:장흥군 관산읍 농안리 740
천관사 극락보전 앞에 있는 석등으로 절에 불을 밝혀두었을 때 사용을 하는 것으로 등불을 밝히는 부분을 화사석(火舍石)이라 한다. 화사석은 동서남북 네군대에 창을 만들어 불빛이 퍼저 나가도록 하였다 . 아래에는 3단으로 받침을 두었고 받침부분에는 아래로 향하는 연꽃을 세기고 윗받침에도 연꽃을 새겨 서로 대칭을 주었다. 그 중간에 육각의 기둥을 세웠다. 연꽃 무늬를 새긴 아랫단 아래에는 8각으로 된 1개의 넓은 돌을 깔고 각면에는 안상을 넣은 것을 볼 수 있다. 지대석은 4각의 넓은 돌을 사용하여 안정감을 주었다. 화사석 위로는 지붕돌을 올렸는데 아랫부분은 평면이지만 위선은 귀퉁이가 모두 올려간 것을 볼 수 있다.
그 위로 연꽃봉우리를 올려 놓아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있다.
출처: 문화재청 홈페이지입니다.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VdkVgwKey=21,01340000,36&queryText=V_KDCD=21
*천관사5층석탑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5호
지정일 : 1986.02.07
천관사에 서 있는 5층 석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다.
출처:문화재청 홈페이지입니다.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VdkVgwKey=21,01350000,36&queryText=V_KDCD=21
종의 문양
찾아가는길:승용차 이용시 순천I.C~장흥~벌교 장흥 순천만 2번~고흥 벌교 장흥 강진 낙안민속마을 2번 좌회전~청암대학앞 장흥 보성 벌교 2번~장흥 벌교 나로 우주센타~목포 벌교 2번~목포 보성 장흥~목포 장흥 보성차밭~목포 장흥 제암산 천관산~천관산 목포 장흥2번도로~목포 강진 ~천관산 관산 23번 지방도 우회전 후 좌회전(순지교차로)~굴다리~대덕 관산 23번지방도~천관산9.5km안내판~관산 우측 837번 지방도~관산읍소재지~ 칠량 837번 우회전~ 용전리 와룡마을~천관사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