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내장산국립공원)내장산국립공원. 내장산국립공원입암산 산행.

내장산국립공원은 전라남도와 전라북도의 경계선을 물고 나간다. 그래서 내장산국립공원은 세 개구간으로 나뉘는데 먼저 내장산 국립공원을 대표하는 내장산(763m) 구간과 백양사가 있는 백암산(741m) 구간 마지막으로 입암산성이 있는 입암산(687m) 구간이다. 내장산 하면 먼저 수식되는 단어가 가을 또는 단풍이다. 그래서인지 가을의 막바지에는 내장산은 발 디딜틈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상춘객으로 붐빈다. 이번 가을 산행지로 입암산을 택하였는데 내장산과 백암산 일원은 앞전에 소개한 터라 이번 가을에도 내장산 단풍을 빼고 이야기 할 수 없어 편안한 산길의 단풍 길인 입암산 산행을 소개한다. 입암산은 내장산 국립공원에서는 가장 낮은 봉우리지만 삼국시대부터 축성된 입암산성이 현재에까지 남아 있는 유서 깊은 곳이다. 입암산성 내의 산성마을 흔적을 더듬으며 그분들의 옛 생활을 짐작할 수 있고 붉은색, 노란색등 형형색색으로 물들은 내장산 국립공원의 단풍을 원없이 볼 수 있는 그런 곳이다. 완만한 산길로 가족 누구나 부담없이 오를 수 있는 가족산행지이다. 그래도 전망이 없는 산은 더더욱 아니다. 주봉을 대신하는 갓바위(638m)에 올라보면 장성등 선운산과 변산반도의 전경이 펼쳐져 마음까지 시원함을 느끼는 그런 곳이다. 어린이를 동반했다면 역사성까지 겸하여 좋은 추억을 만들 수 있다











☞(내장산국립공원)내장산국립공원 입암산 산행 경로


입암산은 내장산 국립공원 남창지구 주차장을 출발해 전남대수련원 입구~탐방지원센터(백양사갈림길)~마지막화장실~장성새재 갈림길~은선동 삼거리~삼나무 숲~안부~삼거리(등천리 방향)~전망대~석문~전망대~갓바위 정상~입암산성 북문~윤진 순의비~성내마을터~남문을 거쳐 은선동 삼거리로 온 뒤 주차장으로 되돌아간다. 전체 산행거리는 11정도로 순수 산행시간은 3시간30~4시간, 휴식을 포함하면 4시간30분 안팎 걸린다.,,

 



 






☞(내장산국립공원)내장산국립공원. 입암산 은선골을 따라 원점 산행


남창지구 주차장에는 평소에는 주차비를 받지 않는 것 같다. 가을철 시즌이라 주차비를 주차한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그러나 주차비가 너무 비싸요. 변두리에서 승용차가 5천원이라니요. 그래서 인지 주변 도로에다 많은 주차를 한 것을 볼 수 있다. 남창지구 입암산 주차장에서 출발한다. 도로를 따라 올라가면 먹거리인 상가가 있고 전남대수련원 입구를 지나 다리를 건넌다. 오른쪽은 남경산기도원 입구고 산길은 왼쪽 임도길이다. 여기서부터 남창계곡을 따라간다. 초입부터 붉은색으로 물든 단풍나무와 노란물을 들인 은행나무가 서 있다. 100m가량 가면 남창탐방지원센터다. 오른쪽으로 나 있는 오르막 길은 몽계폭포(1)와 상왕봉(3.8)을 거쳐 백양사(5.8)로 이어진다. 그래서 등산객이 백양사 방향으로 많이 올라간다. 입암산 갓바위는 직진이다. 거의 경사가 느껴지지 않는 넓고 완만한 길이다. 주위로 숲속을 따라많은 탐방로가 열려 있다. 무시하고 큰 길 만 따라간다. 마지막 화장실을 지나면 곧 장성새재 갈림길이다. 오른쪽으로 가면 장성새재를 거쳐 백암산과 백양사로 이어진다.

 








☞(내장산국립공원)내장산국립공원. 입암산오르는 산길. 장성새재갈림길을 지난다.


새재 갈림길에서 5분가량 올라가면 다리를 건너고 오른쪽으로 숲 체험장이 있다. 여기서 두 길다 갓바위(4.3) 방향으로 삼나무 숲을 지나면 서로 만난다. 이정표는 직진으로 표시하고 있다. 1960년대에 전남대가 조성한 삼나무 숲으로 지금은 숲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커 우리에게 그 만큼 유익하게 돌아온다. 삼나무 숲을 벗어나도 산길은 편안하게 이어진다. 은선골 안에는 지난 여름의 연이어 올라온 태풍으로 인해 많은 생체기를 겪었다. 그런 현장을 내내 지나가야하니 마음이 편치 않아 조심이 간다. 어서 빨리 자연적인 치유가 이루어져 우리의 내장산 국립공원으로 돌아오길 빌 뿐이다. 지 난 여름의 태풍을 견뎌내고 좌우로 늘어선 단풍나무를 구경하다 보면 자연스레 걸음이 느려진다. 곧 다리를 건너면 계곡 합수점인 은선동 삼거리다. 갓바위를 거처 입암산성을 한바퀴 돌면 다시 이곳에서 만나게 된다. 입암산성 삼거리에서 우선 왼쪽 산길로 오른다.









☞(내장산국립공원)내장산국립공원. 선운산과 변산반도 조망


등산로 주변뿐만 아니라 좌우의 산 사면과 골짜기 안은 단풍나무의 붉은색을 비롯해 색색으로 물들어 가고 있다. 10분 정도 오르면 다시 삼나무 숲을 지나고 20여 분 호젓한 길을 여유 있게 걷다 보면 길이 계곡과 헤어져 왼쪽 산 사면으로 오른다. 2~3분이면 능선에 올라선다. 왼쪽은 비법정 탐방로 능선을 따라가면 방장산으로 이어진다. 갓바위는 오른쪽 오르막길. 곧 등천리(1.7) 방향의 갈림길에서 직진 능선길이다.

 











☞(내장산국립공원)내장산국립공원 . 입암산 갓바위에 오르다.



갓바위 0.5이정표를 지나면 곧 가파른 오르막이다. 그 위가 전망대이다. 전망대를 지나면 곧 거대한 바위들이 맞물려 큰 구멍이 뚫여 있는 석문(石門)을 지난다. 삼신봉 능선의 송정자굴과 같은 그런 느낌이 든다. 20m 계단을 올라가면 오른쪽에 다시 전망대가 있다. 여기서부터 길은 완만하게 갓바위까지 이어진다. 정상 바위가 보이면 길은 오른쪽으로 우회해 오른다. 데크 계단을 올라가면 갓바위 정상이다. 펑퍼짐한 정상부 끄트머리엔 전망데크가 놓여 있다. 정면의 호남고속도로 뒤로 입암저수지와 그 왼쪽의 방장산이 보이고 멀리 선운산도립공원과 변산반도국립공원의 윤곽이 뚜렷하다. 갓바위는 꼭 갓을 쓰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하여 갓바위로 불리며 정읍쪽에서는 입암 즉 선바위로 불린다.. 원점회귀를 위해서는 갓바위 정상에서 내려와 반대쪽 북문(0.8) 방향으로 가야한다. 철계단을 내려섰다가 다시 올라가면 곧 우뚝 선 바위 옆 계단으로 내려간다. 또 다른 선바위가 특이한 모습을 하고 있다. 여기부터는 입암산성 성벽 위를 따라 편안한 길을 걷는다.







 




☞(내장산국립공원)내장산국립공원. 입암산성 산성길을 걷다.


잠시 뒤 이정표가 선 입암산성 북문 삼거리다. 왼쪽은 만화제(1.5) 방향이고 출발지인 남창주차장(4.8) 방향은 오른쪽 내리막이다. 이곳 북문터는 안내판이 없다면 북문인지 모르고 지나칠 그런 곳이다. 올라온 은선골과 달리 북문 주변은 단풍나무가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다. 15분 정도 내려가면 윤진 순의비 입구다. 왼쪽으로 100m가량 올라가면 정유재란 때 의병장 윤진의 순의비가 서 있다. 잠시 보고 돌아 온다. 이곳은 넓은 분지형으로 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산성 축성시기에부터 마을을 이루었는 것으로 보여 지형만 봐도 예전 산성 안에 많은 이가 머물 수 있었을 듯하다. 산성 내 마을터의 흔적을 아직도 찾아 볼 수 있다. 성내리라는 마을이 있었던 곳을 지나는면 복원공사가 진행 중인 입암산성 남문이다. 현재 입암산성 중에서 완벽하게 남아 있는 곳이다. 하사은 주차장(3.3) 방향 길을 따른다. 남문을 지나면 유독 태풍에 쓰러진 나무들이 많이 보인다. 20분이면 은선동삼거리에 닿고 여기서부터는 올라온 길을 되짚어 남창탐방지원센터를 거쳐 30분 정도면 주차장에 도착한다.

 











☞(내장산국립공원)내장산국립공원, 입암산 남창지구 교통편


내장산국립공원 남창지역은 승용차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남해고속도로를 타고 가다가 순천분기점에서 호남고속도로를 탄다. 대덕분기점에서 고창담양고속도로로 바꿔서 달리다가 장성분기점에서 다시 호남고속도로를 탄다. 백양사IC에서 빠져나와 백양사 방향으로 가다가 남창(입암산) 방향으로 들어가면 된다.




 

 





728x90

728x90

근교산&그너머 <369> 가야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석화성(石火星). 굳이 우리 말로 바꾸자면 돌불꽃이다. 전국 방방곡곡의 웬만한 산을 섭렵한 산꾼이라면 ‘아!, 가야산’하고 곧바로 맞장구를 칠 것이다.


이 말은 예부터 가야산의 크고 작은 뾰족한 기암봉을 비유한 것으로 입에서 입을 통해 전해 내려온 것. 출처는 알고 보니 조선 후기 지리서인 이중환의 ‘택리지’. 이 책에는 ‘합천 가야산은 끝이 날카로운 바위들이 늘어선 모양새가 흡사 불꽃이 공중에 솟은 듯하다’고 적혀있다.


‘백문(百聞)이 불여일견(不如一見)’이라고. 어쩜 이렇게 적확한 표현을 썼는지. 뛰어난 관찰력이 없는 범부일지라도 이중환의 표현을 실감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가야산 전체를 총칭해 석화성이라고 하지만 그 중에서 기암봉들이 촘촘히 밀집해 있는 곳은 주봉인 상왕봉의 남동쪽 일대 공룡능선과 만물상능선으로 흔히 석화성의 백미라고 불린다. 설악산이나 금강산의 그것과 비교해 규모면에서 떨어지지만 오히려 그 점이 가야산의 장점으로 작용한다.


무슨 말인고 하니 거대한 설악의 공룡능선 암봉은 막상 가까이 가면 그저 밋밋한 벽으로 다가오지만 가야산의 암봉 앞에 서면 암봉 그 자체 뿐만 아니라 근처 암봉까지 함께 감상할 수 있다는 것.


주봉은 상왕봉(象王峰·1430m) 또는 우두봉(牛頭峰). 상왕(象王)은 ‘열반경’에서 모든 부처를 의미하며 우두봉은 정상의 바위가 소의 머리를 닮아 붙여졌다.


산행은 성주군 백운동 매표소~백운1-4교~옛 백운동대피소(가야산 등산안내도)~백운암지~서성재~가야산성터~전망대~칠불봉~안부~상왕봉~석조여래입상~헬기장~옛 가야산대피소~토신골갈림길~마애불입상~용탑선원~해인사 순. 5시간30분~6시간 정도 걸린다. 현 시점에서 가야산에서 열린 유일한 등산로다.


매표소를 지나면 계곡으로 들머리가 열린다. 용기골이다. 계곡을 따라 백운교 4개를 잇따라 지난다.


백운1교에서 30분쯤 뒤 쉼터가 나온다. 옛 백운동대피소다. 정면에 ‘영남의 영산 가야산’이라고 적힌 커다란 안내판이 서있다. 그 옆에 ‘칠불봉 2.5㎞’ ‘상왕봉 2.7㎞’ 팻말이 보인다.


지금부터는 길이 약간 얼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25분 정도 가면 백운암지. 통일신라때 이 곳 용기골에는 해인사에 버금가는 금당사라는 절과 이에 딸린 100여개의 암자가 있었는데 백운암도 그 중의 하나로 추정된다고 적혀있다. 20분쯤 더 가면 서생재. 제법 너른 평지로 네갈래길이 나있다. 왼쪽은 만물상능선 및 공룡능선 가는 길이고 정면은 마애불입상으로 가는 방향이다. 하지만 폐쇄돼 있다. 칠불봉으로 향하는 오른쪽 길을 택한다. 나무 계단을 지나면 곧 너덜길. 안내판을 보니 이는 가야산성터다. 이제 상왕봉까지는 1㎞.


가야산성터를 지나면 왼쪽에 탁 트인 전망대가 기다리고 있다. 정면 산 정상에 조그만 정상석이 튀어나온 오도산을 중심으로 왼쪽으로 비슬산 앞산 황매산이, 오른쪽으로 비계산 별유산 지리산 천왕봉이 시야에 들어온다.


이제부터는 급경사의 연속. 이 때문에 철계단을 많이 설치해 놓았다. 철계단이 없으면 산행을 못할 정도로 주변에 눈이 아직 녹지 않았다. 두 개의 철계단과 집채만한 바위를 에돌아 오르면 석화성의 진면목이 기다리고 있다. 왼쪽 만물상능선, 오른쪽 공룡능선. 잔설이 희긋희긋한 석화성에 넋을 잃는다. 정말 돌불꽃이 공중에 솟은 듯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철계단의 한 지점에 다다르면 정면 칠불봉, 뒤쪽 만물상 및 공룡능선, 오른쪽에 해인사가 모두 보인다. 곧 칠불봉(1433m)에 닿는다. 김수로왕의 일곱 왕자가 허왕후의 오빠 장유화상을 스승으로 모시고 3년간 수도 후 생불이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온다. 서성재에서 1시간10분 정도 걸린다. 장쾌한 조망이 인상적이다.


서쪽으로 향적봉~무룡산~삿갓봉~남덕유산으로 이어지는 덕유능선과 그 밑으로 금원산 기백산 능선과 덕유산을 잇는 삼봉산 대덕산 초점산 능선이 파도처럼 출렁이고 북쪽 코앞에는 성주 독용산이, 저 멀리 민주지산과 황악산이 하얗게 변해있다. 동쪽엔 팔공산도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보물 222호 마애불입상
 


주봉인 상왕봉(1430m)까지는 10분 거리. 그 사이가 도경계. 칠불봉은 경북 성주, 상왕봉은 경남 합천에 있다.


하산은 정상석 밑으로 내려선다. 워낙 급경사인데다 눈 덮인 바위가 살짝 얼어 있어 여간 신경 쓰이지 않는다. 한 발 한 발에 집중을 하지 않으면 낭패 보기 십상이다. 길 옆 큰 바위에도 두꺼운 고드름이 주렁주렁 매달려 있다.


30분 뒤 보물 264호 석조여래입상을 지나면 헬기장과 옛 가야산대피소가 잇따라 나온다. 대피소 자리에는 구상나무를 심어 쉼터를 조성했다. 가야산의 또하나의 명물인 산죽밭도 지난다. 눈덮인 평탄한 산길 사이로 초록 댓잎에 하얀 눈이 얹힌 산죽이 인상적이다.


곧 갈림길. 토신골은 휴식년제로 막혀있어 직진한다. 계곡을 한 번 건너면 주변에 곧게 뻗은 홍송이 보이고 그 왼쪽에 보물 222호인 마애불입상이 서있다. 높이가 5.8m인 마애불과 주변 아름드리 홍송의 조화가 일품이다.


이제부턴 본격 하산길. 계곡을 건넌 뒤 계곡과 나란히 걷는다. 용탑선원까지는 40분 정도 걸리고 해인사 일주문은 10분 후에 닿는다.



- 합천 가야산? 성주 가야산? 주봉 자리 놓고 두지역 신경전


백운동 매표소에서 해인사 쪽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산행을 하면서 등산안내도와 정상석을 유심히 본 사람이라면 한가지 의문점을 가지게 된다.


익히 알려진대로 가야산의 최고봉은 상왕봉으로 해발 1430m. 하지만 경북 성주군 백운동 쪽에서 올라오다 보면 하나같이 칠불봉이 1433m로 가장 높다고 적혀 있다. 칠불봉 정상석 아래 적힌 ‘가야산(칠불봉) 전설’이나 옛 백운동 대피소 앞의 ‘영남의 영산 가야산’ 등산안내도에는 마치 약속이라도 한 듯 ‘가야산에서 가장 높은’이라는 수식어가 칠불봉 앞에 따라 다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경북 성주군에 위치한 칠불봉 정상.
 


상왕봉은 경남 합천군에, 칠불봉은 경북 성주군에 위치해 있다. 두 봉우리 간격인 200m 사이에 도 경계선이 지나간다.


성주군의 이같은 노력은 바로 합천 가야산이 아니라 성주 가야산으로 널리 알려지기를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더구나 가야산 면적의 61% 정도가 성주군에 포함돼 있어 칠불봉이 상왕봉보다 높다는 사실만 인정되면 확실하게 성주 가야산으로 홍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흔히 산의 면적이 얼마나 포함돼 있느냐 보다는 주봉의 위치가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산 앞에 그 지방의 이름이 붙는다.


하지만 성주군의 노력은 몇 가지 이유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성주군의 주장대로 해발고도가 3m나 낮다는 상왕봉 정상의 정상석은 답사자들은 잘 알겠지만 상왕봉의 최고점이 아니라 최고점 아래 평평한 곳에 설치돼 있다. 실제 최고점과 정상석이 놓인 두 지점간의 간격이 3m 이상이라는 것이 목격자들의 공통된 견해이다.


또 한가지. 국토지리정보원의 유권해석. 이에 따르면 성주군이 주장하는 칠불봉의 높이인 1433m는 전혀 근거가 없으며, 때문에 현재로선 가야산 주봉은 상왕봉이라는 것.


한 관계자는 “경상도의 지형도 수정작업이 실시되는 내년에 반드시 재측량을 해 이 문제를 확실하게 매듭지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래도 산꾼들은 성주군의 노력을 높이 사고 있다. 성주쪽의 등산로가 합천쪽의 그것보다 훨씬 잘 정비돼 있기 때문이다.



- 교통편



부산 서부버스터미널(051-322-8306)에서 거창행 시외버스를 탄 후 고령에서 내린다. 오전 7시, 7시50분, 8시30분, 9시20분, 10시 출발. 8600원. 1시간50분 정도 걸린다. 고령시외버스터미널(054-954-4455)에서 산행 들머리인 백운동행 버스는 오전 9시40분(1850원), 9시45분(2000원), 11시40분(1850원)에 있다.


날머리인 해인사 입구에는 부산행 버스가 없어 고령까지 와서 시외버스를 타야 한다. 20분 간격으로 있으며 오후 7시50분이 막차. 2700원. 고령에서 서부버스터미널까지는 오후 4시40분, 5시20분, 5시55분, 6시45분, 7시20분(막차)에 출발한다.


승용차는 남해고속도로~칠원분기점~구마고속도로~현풍IC~좌회전~국도5번~위천삼거리 좌회전~88고속도로 성산IC~해인사IC~백운동 순으로 가면된다.


가야산으로 가기 위해 이용되던 옥포분기점이 폐쇄됐기 때문에 현풍IC에서 나와야 된다. 날머리 해인사에서 들머리 백운동까지는 택시(055-932-7321, 011-512-7325)로 이동해야 한다. 20여분 걸리며 1만5000원 정도 나온다 .

참고로 교통편은 변동사항이 있습니다. 각 지자체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문의 하세요

/ 글, 사진 = 이흥곤기자 hung@kookje.co.kr

/ 문 의 = 국제신문 산행팀 (051)500-5151

이창우 산행대장 (051)245-7005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