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여행/고령여행)고려시대 불상 고령 개포동 석조관음보살좌상 여행.
방가방가
이번 포스팅은
고령군 개진면 개경포나루가 있던
개포리 시례골 석조관음보살좌상입니다.
고령 개포동 석조관음보살좌상 주소:경북 고령군 개진면 개포리 87
2021.03.10 - (경북여행/고령여행)팔만대장경 이운을 재현했던 조형물 개경포기념공원 여행. 고령 개경포기념공원
(경북여행/고령여행)팔만대장경 이운을 재현했던 조형물 개경포기념공원 여행. 고령 개경포기념
(경북여행/고령여행)팔만대장경 이운을 재현했던 조형물 개경포기념공원 여행. 고령 개경포기념공원 방가방가 경북 고령 오사리에 있는 개령포기념공원 여행입니다. 개경포 기념 공원 주소:경
yahoe.tistory.com
고령 개포동 석조관음보살좌상이 있는 시례골은
고려시대 팔만대장경 이운을 맡았던
환암대사 일행이 머물렀던
지장사 터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고령 개포동 석조관음보살좌상은
시례골 산비탈의 축대 위에
높이 128㎝, 너비 78㎝의 불상입니다.
머리에는 보석처럼 장식한 관을 쓰고
뒤에는 배 모양의 광배가 조각되어 있습니다.
얼굴은 둥글고 이마가 넓고
초승달 모양의 눈썹에
눈은 지긋이 감고 있습니다.
법의는 두 어깨를 모두 가렸으며
손 모양은 오른손을 가슴에 올려
엄지와 검지를 맞대고 있습니다.
2021.03.08 - (경북고령여행)고령 최고의 낙동강변 길 개경포 너울길 걷기. 개경포 너울길
(경북고령여행)고령 최고의 낙동강변 길 개경포 너울길 걷기. 개경포 너울길
(경북여행/고령여행)고령 최고의 낙동강변 길 개경포 너울길 걷기. 개경포 너울길 낙동강가에 있는 경북 고령군 개포리는 ‘산이 열린다’는 뜻인 개산포((開山浦))라 불렀습니다. 고령 개경포
yahoe.tistory.com
왼손은 몸 안쪽으로 비스듬히 내려
연꽃줄기를 쥐고 있는데
균형이 맞지 않습니다.
연꽃 줄기는
어깨 너머 광배까지
이어져 있습니다.
광배 안에 연꽃이 두 송이 더 새겨져 있으며
결가부좌한 자세에 두 발은
양 무릎에 갖다 붙인 듯이 되어 있습니다.
광배 뒷면에
‘옹희 2년 을유 6월 27일’ 명문으로
조성연대가 고려 성종 4년인
985년임을 알수 있습니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18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