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경남여행/통영여행)통영성지 통영성 여황산 북포루 여행. 통영성지 여황산 북포루


통영여행을 하면서 이순신 장군께서 지휘한 통제영의 세병관을 두른 통영성을 둘러보았습니다. 

통영성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이후인 1678년(조선 숙종 4년) 왜적을 방어하는 목적에서 쌓았습니다.



통영성은 아치형의 4대문과 2개의 암문, 3곳의 포루가 세워졌습니다. 

통영성은 평지와 산지를 이용한 절충형 산성이며 해발 174m의 여황산 아래 북신동·문화동·명정동·태평동·정량동 등에 걸쳐 쌓은 산성입니다.



둘레는 2.6㎞, 높이는 4.5m, 폭이 4m 정도라고 합니다. 

포루는 장수가 병사를 지휘하던 곳입니다. 

통영성에는 북·동·서쪽에 세워졌으며 장수의 지휘소라 하여 방위의 명칭을 따와 북장대·서장대·동장대로도 불렀습니다.



먼저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한 북포루를 올랐습니다. 

서포루와 마주 보고 있으며 북포루는 북장대라고도 하며 여황산 정상에 있습니다.

 


현재 북포루는 늠름한 모습으로 통영항을 굽어보고 있습니다. 

1895년에 통제영이 철폐되면서 통영성은 관리가 전혀 되지 않았습니다.

 


엎친 데 덮친격으로 1910년 일본의 강제병합으로 통영성은 성벽과 문루가 일제에 의해 강제로 철거되는 수난을 당했습니다.

 




일본은 다 이겼다고 생각했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서 성웅 이순신장군의 23전 전승의 세계 해전사에 전무하다는 기록으로 대패하고 통분을 삼키며 철수했습니다.

 


일제강점기에 일본관리는 이순신 장군이 머물면서 지휘했던 통제영의 통영성을 보면서 아마 원수로 생각했을 것 같습니다.



통영성이 철거된 자리에는 민가와 도로가 들어서고 통영성은 그 흔적만 군데군데 남은 완전히 황폐해졌습니다.

 


현재 여황산 정상의 북포루는 1993년에 복원했습니다. 

북포루는 색을 입혀서 그런지 겉모습은 화려하고 웅장하며 깔끔했습니다. 

그러나 자세히 보고는 실망을 많이 했습니다.

 


북포루 지붕을 받치는 기둥이 정말 깨끗하다며 만져보았는데 그게 나무가 아니고 시멘트 기둥이었습니다. 

저같이 문화재 여행을 많이 다니는 사람으로서는 같은 값이면 우리나라 나무로 두리기둥을 세웠다면 더 좋았다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통영성지인 북포루까지 힘겹게 올랐는데 해무가 끼어서 그 좋다는 북포루 조망을 즐길 수 없어 정말로 안타까웠습니다.



북포루는 일출과 통영항의 조망은 소문났기에 아쉬움을 달래며 북포루만 보는 것으로 만족하며 내려왔습니다.

경상남도 지방문화재 제106호

728x90

728x90

 

(여수여행/여수가볼만한곳)여수 고소대, 타루비, 통제이공수군대첩비, 여수천사벽화골목 여행


전라좌수영·삼도수군통제영에 전란으로 불탔던 진해루 대신 새워진 건물이 국보 제324호인 진남관입니다. 이충무공이 머물렀던 전라좌수영·삼도수군통제영인 진남관을 마주하고는 고소대와 이충무공의 공적을 새긴 통제이공수군대첩비와 공을 추모하여 세운 눈물의 ‘타루비’가 있습니다.





고소대(타루비·통제이공수군대첩비)주소:전라남도 여수시 고소동 620

 

2017/03/18 - (여수여행)전라좌수영 진남관. 우리나라 최대 단층목조건물인 웅장한 진남관 위용.

2017/03/07 - (여수여행/여수가볼만한곳)동백꽃 오동도. 3월이면 동백꽃이 최고절정이라는 여수 오동도 여행. 오동도

2015/03/13 - (전남여행/여수여행)자산공원 여수해상교통관제센터 곤충 체험실 빠삐용관을 만나고 왔습니다.

2015/03/12 - (전남여행/여수여행)여수케이블카와 자산공원. 자산공원에서 여수케이블카도 타고 즐거운 여수 여행 하고 왔습니다.

2015/03/11 - (전남맛집/여수맛집)자산공원 맛집, 여수 엑스포 맛집 한일관. 남도 해산물 명가 여수 한일관에서 봄내음 가득한 해산물 한정식 먹고 왔습니다.

2015/03/10 - (전남여행/여수여행)돌산도 향일암. 남해 최고의 기도도량 여수 돌산도 향일암 여행.



 

 

 

현재 진남관 아래 임란 유물전시관 인근에 있는 좌수영 다리를 건너면 정자인 매영정이 지어져 있습니다. 이 뜻을 보면 봄이면 전라좌수영·삼도수군통제영 건물 주변에 매화가 만발해서 매영성으로 불렸으며 진남관으로 통했던 길이 도로가 생기므로 끊어져 좌수영 다리를 놓아 옛길을 다시 이어서 오가는 길손에게 옛일을 되새겨 보도록 하는 의미에서 매영정을 지었다는 안내문이 있습니다.

 

 

 

 

이곳은 여수의 벽화 거리인 ‘천사벽화골목’이 시작되는 곳이기도 하여 많은 관광객이 천사벽화골목과 고소대, 타루비, 통제이공수군대첩비를 찾고 있습니다. 먼저 천사벽화골목에는 이순신 장군의 스토리가 양쪽 벽면에 그려져 있습니다. 천사 이름에 맞게 그 길이가 1,004m이며 구 해양공원의 이순신광장에서 진남관의 좌수영 교까지입니다

 

 

 

 

이 지역 주민이 1,800만 원을 모금하여 완성된 벽화골목이라 하는데 그래서인지 더욱 친근감이 들었습니다. 무엇보다 진남관의 좌수영 교에서 타루비가 있는 고소대까지는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를 스토리텔링 하여 벽화로 그려져 있습니다. 이순신은 28살의 늦은 나이에 무과에 도전합니다.

 

 

활쏘기, 말타기 등의 시험을 보다가 그만 말에서 떨어졌고 주위의 버드나무를 꺾어 껍질을 벗겨내 접질린 발목을 고정하며 끝까지 시험을 봤지만, 낙방의 고배를 마십니다. 그리고 4년 뒤인 32세에 식년 무과에 합격했습니다.

 

 

 

 

처음 받은 보직이 남해안의 해안가가 아닌 지금의 평안북도 삼수군인 압록강 유역이며 여진족과 국경이 접해있던 곳입니다. 이후 여러 부임지를 옮겨 다녔으며 1591년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한 해 전에 류성룡의 천거로 전라좌수영에 부임합니다. 당시 남해에는 출몰하는 왜적의 노략질이 심해 큰 고민에 빠졌지만 이순신 장군은 만반의 태세를 갖추며 남해는 점차 안정을 되찾아갔습니다.

 

 

 

 

그리고 보유한 군선을 수리하고 새로 건조하며 또한 나대용에게 거북선을 만들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임진년에 왜군이 부산포로 몰려들었고 임진왜란이 일어났습니다. 왜군은 순식간에 조선을 짓밟았지만 23전 23승의 세계해전 역사상 전무후무하다는 이순신 장군이 철통같이 지켰던 남해로 인해 조선은 지켜졌습니다.

 

 

 

 

 

 

그러나 이순신 장군은 그의 마지막 전투였던 노량해전에서 관음포로 달아나는 왜군을 끝까지 쫓아가다 그만 적의 흉탄을 맞았고 “나의 죽음을 적에게 알리지 마라”는 유언을 남겼습니다. 그의 일대기가 천사벽화골목을 장식하고 있으며 힘이 없다면 언제라도 외침(外侵)을 받을 수 있음을 생각하게 하는 역사의 산교육장입니다.

 

 

 

 

 

 

그림을 하나하나 보다 보면 그 끝에는 당시 장대로 사용했던 포루인 고소대에 닿습니다. 이충무공이 이곳에서 군령을 내렸다 합니다. 현재 이곳에는 해전에서 승리한 이순신을 기리기 위해 세운 통제이공수군대첩비와 이 비석의 건립 경위를 기록한 동령소갈비와 노량해전에 전사하자 장군의 죽음을 슬퍼하며 부하들이 세운 타루비가 있습니다.

 

 

 

 

 

 

 

 

통제이공수군대첩비는 좌수영대첩비로도 부르며 이순신 장군과 그를 따르던 수군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비석으로 국내 비석 중에서 가장 크다고 합니다. 1615년인 광해군 7년 이순신 장군을 모셨던 유형이 황해도 병마절도사로 있으면서 가장 좋은 돌을 보내어 통제이공수군대첩비를 세우게 되었습니다.

 

 

통제이공수군대첩비의 글씨는 김상용이 썼고 비문의 내용은 오성 이항복이 짓고 글씨는 당시 명필이었던 김현성이 썼다 합니다. 보물 제571호. 그리고 보물 제1288호 타루비입니다. 이순신 장군을 따르던 부하들이 장군을 추모하며 1603년인 선조 36년에 세운 공덕비입니다.

 

 

 

 

타루의 뜻은 중국고사로 “비석을 바라보면 눈물을 흘리게 된다”를 뜻해 이순신을 추모하는 부하들의 심정을 타루비를 보면서 읽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동령소갈비는 1698년인 숙종 24년에 대첩비를 건립하는 경위와 참여 인물 등을 기록한 비석으로 진안 현감이었던 심인조가 남겼습니다.

 

 

 

 

이 비석들은 그 후 일제강점기인 1942년 여수경찰서장으로 있던 일본인 마쓰키가 조선의 민족정기를 말살하려고 비각을 헐면서 통제이공수군대첩비와 타루비를 숨겨버렸습니다. 광복 후인 1946년 경복궁에서 발견되어 그다음 해 이곳에 복원해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진남관을 둘러보면 꼭 함께 찾아보세요.

 

 

 

 

 

 

 

 

 

 

 

 

 

 

 

 

 

 

 

 

728x90

728x90

 

(여수여행/여수가볼만한곳)전라좌수영 진남관. 우리나라 최대 단층목조건물인 웅장한 진남관 위용.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분이 있습니다. 당시 조선국왕인 선조도 아니고 또한, 태자인 광해군도 아닌 23전 해전을 승리로 이끌었던 이순신장군입니다. 세계 해군사의 전무후무한 기록이라는 영웅인 이순신장군, 우리는 이분을 성웅 이순신이라 부릅니다. 이순신장군은 남해에 빗장을 걸듯이 철통같이 지켜내어 전라도로 진격하는 왜군을 막았으며 그들의 보급로를 차단하여 끝내는 조선에서 왜군을 몰아내는 큰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여수 진남관 주소:전라남도 여수시 군자동 472

여수 진남관 전화:061-659-5711


2017/03/07 - (여수여행/여수가볼만한곳)동백꽃 오동도. 3월이면 동백꽃이 최고절정이라는 여수 오동도 여행. 오동도

2015/03/13 - (전남여행/여수여행)자산공원 여수해상교통관제센터 곤충 체험실 빠삐용관을 만나고 왔습니다.

2015/03/12 - (전남여행/여수여행)여수케이블카와 자산공원. 자산공원에서 여수케이블카도 타고 즐거운 여수 여행 하고 왔습니다.

2015/03/11 - (전남맛집/여수맛집)자산공원 맛집, 여수 엑스포 맛집 한일관. 남도 해산물 명가 여수 한일관에서 봄내음 가득한 해산물 한정식 먹고 왔습니다.

2015/03/10 - (전남여행/여수여행)돌산도 향일암. 남해 최고의 기도도량 여수 돌산도 향일암 여행.

 


많은 조선군과 장수, 의병과 의병장, 승군과 잡초 같은 근성의 백성이 힘을 합해 조선땅을 지켜냈지만, 그 가운데 조선을 지켜내는데 큰 공적을 세운 분이 이순신 장군이라 해도 큰 무리는 아니라 생각합니다. 그 때문인지 모르지만 지금 남해안 여행을 떠나면 이순신을 상징하는 거북선 모형이 전시되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로 이순신 마케팅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최근에 이순신 장군이 머물며 조선 수군을 지휘했던 전라좌수영 본영을 여행하고 왔습니다. 언뜻 생각하면 여수에 전라좌수영 본영 건물이 있었나 생각하겠지만 분명히 있었습니다. 지금은 전라좌수영보다는 진남관으로 더욱 유명해져 모두 진남관으로 부르고 또한 알고 있습니다. 이 진남관이 있는 곳이 이순신장군이 머물렀던 전라좌수영 본영 터입니다.

 




당시 성안에는 80여 동의 건물과 2,000여 호의 민가, 우물 등이 있었으며 봄에는 성곽 주변으로 매화가 만발해서 ‘매영성’으로도 불렸다 합니다. 임진왜란 이후 재차 정유재란을 일으킨 일본은 명량대첩에서 다시 패하자 명나라 장수에게 뇌물을 주며 물러나려니까 길을 열어달라며 화의를 재촉하지만, 이순신은 완강히 거부합니다.





그리고 이듬해 도요토미히데요시가 죽자 일본은 철수를 감행하고 이순신은 마지막 해전을 준비합니다. 노량해협에서 일전을 벌여 해전을 승리로 이끌었습니다. 또한, 관음포로 달아나는 적을 끝까지 추격하다 흉탄에 그만 전사하셨습니다. 전란 속에 전라좌수영의 모든 건물은 잿더미가 되었습니다.







그러니까 이순신장군께서 이 진남관에 머물던 것은 아닙니다. 그럼 왜 전라좌수영에 진남관이 들어서게 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진남관은 ‘남쪽 왜구를 진압해서 나라를 평안하게 한다’는 뜻으로 정유재란이 끝나고 선조 32년인 1599년 삼도수군통제사이자 전라좌수사였던 이시언이 잿더미가 된 진해루터에다 75칸 규모의 객사를 지었습니다.












1664년 이도빈이 개축하고 그러나 안타깝게도 숙종 42년인 1716년에 발생한 화재에 그만 소실되었습니다.  2년 뒤인 1718년 전라좌수사였던 이제면이 다시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 건물은 웅장하고 장엄하여 조선 수군의 정신적인 지주 역할을 했으며 역대 국왕의 전비와 궐패를 봉안해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관아의 수령이 정례 참배했습니다. 또한, 나라에 큰일이 있을 때는 임금을 보듯 대궐을 향해 ‘향궐망배’ 의식을 거행하고 중앙관리나 외국의 사신을 접대하는 건물로도 사용했다 합니다.







여수에 전라좌수영이 처음 들어서게 된 때는 1479년인 조선 성종 10년이며 1895년인 고종32년에 좌수영을 폐했습니다. 400여 년의 긴 세월을 남해안 방어의 전략적 요충지이자 전초기지였던 전라좌수영 건물을 그대로 내버려 뒀다가 경술국치로 일본에 강제병합하면서 남아 있던 성곽과 관아건물은 모두 파괴와 헐렸습니다.

 






순종 4년인 1910년에는 전라좌수영 본영 입구를 지키던 망해루가 헐렸고 진남관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패배를 앙갚음이나 하려는 듯 건물 구조를 변형시켜 여수공립보통학교, 여수중학교, 야간상업중학원등의 학생 교실로 사용하게 했습니다. 1950년 일어난 6.25 한국동란에는 전쟁통에 건물이 붕괴위기에 내몰렸고 그 와중에도 긴급하게 보수가 이루어졌습니다.







1959년 보물 제324호로 지정하여 그때부터 본격적인 원형 보존과 보수, 단청 등 성역화 작업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헐렸던 망해루는 1991년 2층 누각으로 복원하였으며 2001년 진남관의 역사적 가치와 중요성을 인정하여 국보 제301호로 승격 지정하였습니다.

 


진남관의 규모를 보면 정면 길이가 54.5m, 높이는 14m, 넓이는 748㎡입니다. 건물을 받치는 기둥은 총 68개로 앞면 15칸에 옆면 5칸인 사찰의 회랑과 궁궐 건물을 제외하면 해인사의 장경판전과 함께 우리나라 최대의 단층 목조건물입니다. 저는 여수 쪽을 여러 번 여행하며 찾았지만,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조선수군인 전라좌수영의 본영 터인 진남관을 좀체 찾을 기회가 나지 않았습니다.



이번에 다시 1박 2일 여수 쪽 여행과 산행을 기획하면서 도착과 동시에 가장 먼저 찾아 참배했습니다. 지금 진남관은 다시 보수공사 중입니다. 진남관을 빙 둘러 접근을 금지하는 안전펜스가 설치되어 진남관의 기둥을 만져본다든지 대청마루에 오르지 못해 정말 아쉬웠습니다. 그러나 사람도 아프면 치료를 받아야 하듯이 3백 살인 진남관도 아픈 부분을 고쳐서 이순신장군이 지켜냈듯이 우리 남해안을 지켜낸 전초기지의 역사를 후세에도 계속 볼 수 있었으면 합니다.



진남관에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본 유물인 문인석이 한 점 남아 있습니다. 여수석인으로 전란 속에 눈속임용으로 돌로 사람 형상을 깎아 세웠는데 두건에 도포를 입고 팔짱을 낀 형상이며 7기가 있었다지만 현재 1기만 남아 있습니다. 여수석인은 진남관과 마주하며 진남관을 지키는 수호신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전라남도도지정문화재 제33호













그리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이순신 장군이 이끈 전라좌수영, 해전을 승리로 이끌었던 역사의 현장에 ‘진남관임란유물전시관’이 개관중입니다. 진남관의 건축적 특징과 규모, 축조와 용도 등 진남관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접할 수 있었습니다.

 



명나라 황제인 신종이 이순신장군에게 선물했다는 참도 모형


그리고 유물로는 명나라 황제인 신종이 이순신장군에게 선물했다는 참도를 재현해 전시중이며 진품은 통영 충렬사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1917년, 1925년, 1930년에 교실로 사용했던 진남관을 사진으로 만나고 이순신장군이 임진란과 정유재란의 7년 전쟁을 하면서 쓴 진중 일기인 국보 제76호 난중일기와 가족과 친척에게 보낸 편지를 수집하여 만든 책인 국보 제 76호 ‘서간첩’도 재현해 전시 중입니다.








1917년, 1925년, 1930년에 교실로 사용했던 진남관 사진


변형된 진남관 모습






이순신장군이 임진란과 정유재란의 7년 전쟁을 하면서 쓴 진중 일기인 국보 제76호 난중일기


이순신장군이 가족과 친척에게 보낸 편지를 수집하여 만든 책인 국보 제 76호 ‘서간첩’





임진왜란과 이순신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게 거북선입니다. 정조 때 편찬한 ‘이충무공전서’에는 “전라좌수영 거북선의 길이와 너비 등 치수는 통제영 거북선과 같으나 다만 거북 머리 아래에 귀신 머리를 새겼다. 거북 잔등 덮게 판에는 거북 무늬를 그렸고, 좌우에 문이 2개씩 있다. 거북 머리 아래에 대포 구멍이 2개, 뱃전 좌우에 대포 구멍이 1개씩 있다. 뱃전 난간 좌우에 대포 구멍이 10개씩, 덮게 판 좌우에 대포 구멍이 6개씩, 좌우 노는 8개씩이다.”라고 거북선에 대해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순신장군이 항상 벽에 걸어두었다는 두 자루 장검에는 ‘삼척서천 산하동색(三尺誓天 山河動色), 일휘소탕 혈염산하(一輝掃蕩 血染山河)’란 친필을 새겨 스스로 마음과 정신을 가다듬었다는 합니다. 그 뜻을 보면 “석 자 칼로 하늘에 맹세하니 산과 물이 떨고, 한번 휘둘러 쓸어버리니 피가 강산을 물들인다.” 또한 정치권이고 간에 이순신 장군의 어록 중 가장 많이 인용하는 게 ‘생즉사 사즉생(生卽死 死卽生)’인 “살고자 하면 죽을 것이요, 죽기를 각오하면 살 것이다.”입니다. 참 의미심장한 말이 아닐 수 없습니다.



 


죽음을 앞에 두고 마지막까지 “나의 죽음을 적에게 알리지 마라”는 유언을 남기며 백척간두의 조선을 구한 장군의 유물과 전란에서 조선 수군이 사용했던 무기류 등을 관람하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망해루를 지나면 왼쪽에는 전라좌수영 비군이 있습니다. 선정비와 불망비이며 그중에서도 ‘이량장군방왜축제비’가 문화재자료 제240호로 지정하였습니다.

 




1479년 연산군 3년에 전라좌수사로 부임한 이량이 돌산도와 장군도 사이 수중에 제방을 쌓아 왜구의 침입을 막은 업적을 기념해 1643년 후손들이 장군도에 세웠으나 비석이 훼손되어 1710년에 좌수영 서문밖에 다시 세웠던 것을 1984년 이곳에 옮겨왔습니다. 현재 전라좌수영은 보수 중이지만 참관하는 데는 별 무리가 없으며 입장료는 무료입니다. 진남관임란유물전시관 개관시간은 하절기(3월~6월) 9시~18시, 동절기(11월~2월) 9시~17시, 참고하세요.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