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경남여행/함안여행)군북 백이산~숙제봉~오봉산 산행. 불사이충의 어계 조려 선생의 충절에 비유된 백이산~숙제봉~오봉산 개요.


중국의 사마천이 쓴 사기 열전에 나오는 이야기다. 백이와 숙제는 형제로서 은나라 고죽국의 왕자였다. 불사이충의 정신으로 은나라가 망하자 그는 수양산으로 들어가 고사리로 연명을 하는데 왕미자가 찾아와 주나라의 녹을 받을 수 없다더니 주나라 고사리는 어찌 먹느냐며 타박하니 백이와 숙제는 그 길로 고사리도 마다하며 꿂어 죽었다. 우리는 불사이충의 정신으로 두 임금을 섬기지 않고 충절을 지킨 분을 백이숙제에 빗대어 말한다. 함안 군북에는 조금은 특별한 이름의 산인 백이산과 숙제봉이 있다. 이곳에 생뚱맞은 백이산 숙제봉이 있어 산행계획을 세웠는데 이곳 군북 출신의 어계 조려 선생의 충절 때문이라 한다. 생육신의 한사람인 조려선생은 세조가 왕권을 찬탈하여 단종을 폐위시키는 것에 항거하여 그는 낙향을 하여 독서와 낚시로 은둔하며 끝내 출사의 길로 나가지 않았던 사람으로 그의 충절에 비유하여 백이산과 숙제봉이 되었다. 그 만큼 굳은 충신의 절개가 묻은 산이라 두 봉우리는 독특한 모습을 하고 있다. 지면에서 솟구쳐 오른 것처럼 불끈 솟았는 모양으로 어계 조려선생의 충절을 느끼게 하고도 남을 산이다.


 

 




 




 




 




 




 



☞(경남여행/함안여행)군북 백이산~숙제봉~오봉산 산행. 불사이충의 어계 조려 선생의 충절에 비유된 백이산~숙제봉~오봉산 산행경로.


백이산~숙제봉~오봉산 산행은 함안군 군북과 진주시 이반성면에 경계를 하고 있다. 산행 경로를 보면 군북역(KTX)~백이산 등산로 입구~백이산 둘레길 갈림길~백이산 정상~안부 삼거리~샘터~명동 공룡 발자국~(안부 삼거리)~숙제봉~오봉산 갈림길 이정표~유동고개~임도~제산령~465m봉~정상밑 무덤 갈림길~오봉산~(정상밑 무덤 갈림길)~쇠단산~임도~폐광~얼음굴가든~얼음골 버스정류장~사촌리~군북역으로 돌아오는 원점산행이다. GPS 산행 거리는 약 16km안팎이며 산행시간은 5시간30분이 소요된다. 300m높이에서 500m 높이까지l 오르내려 많은 산행 시간이 소요되며 체력 소모도 많다. 휴식과 식사등을 포함하여 산행 시간은 넉넉히 잡는게 좋다.

 



 




 




 




 




 




 



☞(경남여행/함안여행)군북 백이산~숙제봉~오봉산 산행. 백이산~숙제봉~오봉산 산행은 군북역에서 시작하는 열차 이용 산행.

경전선의 복선화로 새로 문을 연 KTX 군북역 승강장에서 나와 지하도를 빠져나가면 오른쪽에 백이산 등산로 표지판이 큼지막하게 있다. 산행 후에는 왼쪽 도로로 걸어 와 이곳에서 만나게 된다. 백이산 안내판의 화살표 방향인 오른쪽으로 200m쯤 간다. 백이산 이정표와 백이산 안내도가 등산로 입구에 있다. 완만한 계단길로 올라서면 작은 산답지 않게 울창한 소나무 숲길이 이어진다. 아침 시간이라 군북면민이 거의 평지나 다름없는 백이산 둘레길 걷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었다. 송전탑이 서 있는 갈림길에서 직진하면 백이산으로 서서히 오름길이 시작된다. 운동시설을 지나고 곧 좌우로 백이산 둘레길과 정상으로 나눠지는 사거리다. 좌우 둘레길은 백이산 정상으로 오르지 않고 숙제봉 방향으로 바로 이어진다. 백이산 정상을 오르기 위해서는 직진 오르막을 친다. 20여분 된비알의 급경사를 오르면 갑자기 하늘이 열리며 주변 전망이 시원하게 펼쳐지는 백이산 정상이다. 큰 돌탑과 산불감시초소와 첨단 장비인 산불감시 카메라가 팽팽 돌아가고 정상석이 백이산을 알리고 있다. 백이산을 쌍안산으로도 부르며 동쪽으로 낙남정맥길인 오곡재를 지나 미산령으로 이어지는 능선과 그 뒤로 함안 여항산의 산군이 솟아 있다. 가야할 능선인 남쪽으로는 숙제봉과 오봉산이 징검다리처럼 뜀을 뛰고, 서쪽으로는 괘방산과 방어산을 이어 놓은 능선이 남강으로 꼬리를 내린다. 남강 건너편인 북쪽으로는 의령의 명산 자굴산과 합천의 산들이 쭉~ 나열된다.


 

 




 



 




 




 




 




 



숙제봉 가는 길은 가파른 내리막이다. 10분쯤 내려서면 벤치가 있는 쉼터에서 왼쪽 둘레길과 만나고 다시 만나는 두 번째 갈림길에 이정표가 있다. 오른쪽 약수터, 둘레길 방향으로 내려선다. 잠시 공룡발자국 유적을 보고 오자. 100m쯤 내려가면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다는 약수터에서 시원한 샘물을 한잔하고 오른쪽으로 3분만 가면 편편한 바위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45호인 명관리 공룡발자국 유적지와 그 아래에 절골 공룡발자국 유적지가 있다. 백이산 둘레길을 조성하며 찾아내었다는 명관리 공룡발자국 유적지를 보고 능선 삼거리까지 되돌아온다.

 


 




명관공룡발자국유적지

 




 




 




 




 



능선 갈림길까지는 10분쯤 걸린다. 숙제봉 방향으로 오르는 산길은 짧지만 된비알의 급한 길로 15분가량이면 능선에 올라 오른쪽으로 꺾으면 숙제봉 정상이다. 나무에 가려 조망도 기대할 수 없고 정상을 알리는 표지석도 없다. 오래된 벤치에서 잠시 숨을 고르고 왼쪽 10시 방향으로 뚜렷하게 난 길로 3분쯤 내려가는 이정표가 있는 사거리 갈림길이 나온다. 이곳에서는 '오봉산 4.57㎞' 방향인 급경사 내리막을 탄다. 다시 산길은 편안한 능선 길로 바뀌고 20분이면 푹 꺼진 유동고개에 큰 모과나무가 한그루가 고개를 지키고 있다. 왼쪽은 군북 유동 마을 방향이고 오른쪽은 사기정골로 내려선다. 오봉산은 직진하여 15분쯤 능선길을 내달리면 임도와 만난다. 직진 방향으로 바로 올라서도 오봉산으로 향하지만 산길이 확실하지 않고 급경사라 오르기가 만만치 않다. 오른쪽의 완만한 옛길을 따라 25분쯤 산허리길을 돌아가면 진주와 함안의 경계인 제산령에 닿는다. 군북면 명관리 명동마을에서 진주 진양군 이반성면으로 넘어가는 고개며 장안령이라고도 부른다. 조선의 인조대왕이 이곳을 올라 고갯마루에서 쉬어 갔다는데서 유래하며 고개에 개미가 하도 많아서 쉬고 있는 인조대왕을 못살게 굴어 개미를 멀리 귀양을 보냈는데 그 뒤부터 이곳에서는 개미를 볼 수 없었다 한다. 오른쪽은 어석재를 거쳐 괘방산 방어산 방향이고 왼쪽은 오봉산 정상 방향이다. 50m 쯤 오르막을 오르면 갈림길과 만난다. 왼쪽으로 진주 이반성면의 성전암 가는 길이 갈라지며 오봉산 정상은 직진 오르막이다.



 




유동고개

 




 




 




 




 


 

바로서면 뒤로 넘어 질 듯 대단한 경사도를 자랑하는 구간으로 30분을 쉬지 않고 올라야 한다. 여름철이면 땀께나 흘릴 각오를 해야한다. 이곳만 올라서면 오봉산 정상 까지는 일사천리다. 다시 살짝 내려섰다 올라서면 삼거리로 유등고개를 지나 만나는 임도에서 직진하여 올라오면 이곳 삼거리에서 서로 만난다. 오른쪽 방향으로 꺾어 능선 길을 가면 바위 옆에 한기의 무덤을 지난다. 이곳이 하산지점으로 정상까지 갔다 돌아와야 한다. 오봉산 정상은 50m만 가면 된다. 작은 정상석 맞은편으로 전망이 열린다. 발아래 남서쪽 풍광이 장관이다. 절벽 아래에 879년 신라 헌강왕 5년에 도선국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하는 천년 사찰 성전암의 지붕이 보이는데 ‘성인이 살고 있는 곳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조선시대 인조가 능양군으로 있을 때 이곳에서 100일 기도를 올려 왕위에 올랐을 정도로 빼어난 전망을 자랑한다. 왼쪽 멀리 고성의 거류산 벽방산이 쫑끗하고 사천 와룡산, 하동 금오산, 진주 달음산과 지리산 천왕봉도 빼놓을 수 없다.



제산령

 




 




 




 




 




 



 

하산을 위해서는 무덤까지 돌아가자. 오른쪽으로 뻗어 내려간 능선으로 들어서면 사람의 발길이 뜸해 산길이 꽤 묵어 있다. 능선만 따른다는 생각으로 내려가면 별 무리가 없다. 10분 후 묵은 무덤을 지나고 지형도상의 444m 암봉인 쇠단산 직전에 왼쪽 11시 방향으로  돌아 능선을 탄다. 묵은 산길에다 급한 하산길을 20분쯤 가면 임도다. 오른쪽 임도 길을 따라 15분쯤 가면 일제시대 때 채굴한 폐광산터 앞 삼거리에서 왼쪽으로 꺾는다. 옛날부터 이곳에 쇠붙이가 많이 나왔다하여 쇠단산으로 불렸다고 한다. 곧 얼음굴 산장앞을 지난다. 이곳은 여름철 피서지로 각광을 받고 있는데 폐광된 굴에서 찬바람이 쏟아져 나와 한여름에도 한기를 느낄 정도이다. 광산교를 건너면 아스팔트 도로고 왼쪽으로 꺾어 군북역까지 4㎞를 걸어야 한다. 얼음굴 산장 앞 버스정류장에서 군북역 나가는 버스가 있지만 오후에는 1시30분과 7시30분 2회 뿐이라 군북역까지 걷는 것이 편하다.

 



성전암

 




 




 




 




 




 




 




폐광의 흔적

 




일제때 폐광된 얼음굴

 




 




☞(경남여행/함안여행)함안군북 백이산~숙제봉~오봉산 산행 교통편


백이산 산행은 부산 부전역에서 열차가 편리하다. 부전역에서 군북역을 지나가는 열차는 4회로 오전은 6시10분, 10시35분에 있다. 1시간 50분 소요 되며 요금은 6500원. 군북역에서 부전행 열차는 오후 1시05분, 7시08분, 6시54분에 있다.

자가 운전시에는 네비에 군북역(신군북역)으로 하면 된다.



 

 

 

 



 





 



 


 



728x90

728x90

 

 

仙達山의 선달은 ‘신선이 놀던곳’의 뜻을 가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先達山이라하여 먼저 올라야 한다는 뜻을 포함한다고 한다. 그러나 선달산은 신선이 놀던 곳이라는 그 뜻이 맞지 않을까 싶다. 선달산은 경북 봉화군 물야면, 영주시 부석면 남대리, 강원도 영월군 하동면 내리에 접한다. 백두대간 능선의 소백산에서 태백산으로 그 능선을 넘겨주는 첫 번째 봉우리라 장쾌한 백두대간의 능선을 몸으로 채험할 수 있는 구간이다.

 



 

 

 

이번 선달산 산행은 경북 봉화군 물야면 생달리 오달2리 마을에서 출발하여 오전약수터로 내려오게 원점 화귀 산행을 하도록 잡았다.  물야 댐을 돌아가면 오달2리 마을 버스정류장이다. 여기서 산행이 시작된다. 오른쪽으로 부석사 6.5km를 가르키고 왼쪽으로는 남대리7.2km 이정표가 서 있다. 이곳은 또 봉화군에서 개설한 둘레길인' 외씨버선길'이 이어진다. 버스 정류장에서 마을길을 따라 들어선다. 12월달이라 그런지 이곳에는 벌써부터 눈발이 날린다.

 

 

포장길을 20여분 올라가면 생달길314번 수다원 앞과 산골쉼터펜션도 잇따라 지난다. 늦은맥이 갈림길 가지 시멘트 포장길을 다라가는데 작은 절집에 사천왕 참배 표지판과 물바가지가 걸린 샘터를 지나 15분이면 선달산 산길은 갈라진다. '백두대간 등산안내도'와 이정표의 늦은목이 선달산 안내를 따라 왼쪽 계곡으로 내려선다. 이정표에 '마루금길'이라 표시 되어 있다. 이제부터 본격적인 산길이다. 늦은목이재로 오르는 옛길로 이길을 따라서 강원도 영월로도 넘어가게 된다. 먼저 계곡을 건너서 산길은 이어진다. 별 다른 오르막이 없이 편안하게 오를 수 있다. 늑은맥이재까지 1km. 소나무숲과 잣나무 숲이 이어진다.

 

 

 나무 말뚝 2개로 등산로가 아님을 막아 두었다. 계곡을 버리고 왼쪽 능선을 돌아 오른다. 늦은목이재 직전까지는 편안한 산길을 따른다. 왼쪽에 샘터가 있다. 이길을 오르내린 수많은 민초들이 요긴하게 사용하였을 생명수이다. 한모금 들이키니 폐속의 모든 지꺼기를 밖으로 분출 시킬 것 같다. 임도 갈림길에서 20여분이면 사거리인 늦은맥이재에 오른다. 백두대간으로 왼쪽은  입산을 통제한다는 현수막이 붙어 있다. 백두대간이 어떤 곳인가. 백두산에서 지리산을 이어주는 뼈대 아닌가. 이것을 무조건 막는 일변도만 취할게 아니고 개방을 하여 더 많은 사람들이 호랑이의 기상을 느끼게 하면 좋을 것 같다. 왼쪽은 부석사 도는 소백산으로 갈 수 있다. 선달산은 오른쪽. 여기가 해발 800m로 400m를 조금 더 오르면 된다.

 

 

 

 선달산1.9km방향인 오른쪽으로 꺾어 오른다. 큰 나무들이 하늘을 가려 조망은 볼 수 없지만 여기가 백두대간의 심장부라 생각하니 깊은 숨을 몰아 본다. 그 만큼 공기가 다른것 같다. 조금씩 고도를 높일때 마다 산길은 경사가 급하였다가 편안한 길을 번갈아 나타난다. 힘이 들지 않는 산길이다. 선달산 0.9m 이정표가 있는 갈림길에서 오른쪽 오르막 산길을 올라간다. 늦은목이재에서 50분이면 선달산 정상에 오르다. 현위치 4-10번 표지목을 지나면  선달산 정상 안내판과 생달 용운사 2.6km, 김삿갓 문학관 12.8km 안내판이 서 있는 곳을 지나면 정상석이다. 

 

 

 

 

산림청에서 세운 정상석의 규모가 엄청 크다. 정상에도 물론 조망을 볼 수 없다. 이곳에서 박달령까지는 5km다. 오르내림을 반복해야 하는 코스이다. 보통 산행은 정상에 오르면 바로 하산을 하지만 대간 능선을 따라가는 길은 정상에서 하산이 하산이 아니다. 여름철에는 꽤 힘들어 보일 것 같은 구간이다. 이번 산행에서는 12월 초에 내린 눈으로 눈산행을 할 수 있어서 그런지 별로 힘들지 않았다. 

 

 

 

 

선달산 정상에서 박달령 5km 표지목을 보고 직진한다. 큰 나무에 붙어 있는 상고대가 선달산의 높이를 짐작하게 한다. 흡사 크리스마스 트리를 연상시킨다. 바람이 불면 가지에 붙어 있는 눈이 바람에 후두둑하며 흩날린다. 4-8 현위치 표지목이 서 있다. 박달령까지 2시간 안내판이 머리 위 나무에 걸려 있는 지점을 통과하면 서서히 내려선다 . 안부에서 오른쪽으로 내려서는 길이 있다. 150m 내려가면 선달산 옹달샘 이정표가 있다고 되어 있다. 시간상 직진이다. 표지목 박달령 3.9km. 다시 산길은 오르는 길이다. 영주 국유림 괸리소에서 세운 '참나무 식물 안내판'과 휴식을 위한 벤치가 두개있다. 우리는 너무 편리함만 좆아 가는 것 같다. 이 적막힌 능선에 벤치를 드문드문 만들어 둔 것을 보면 나쁘다고 해야할지 찬성을 해야할지...답을 내릴 수 없다.

 

 

 임도길을 버리고 본격적으로 산으로 오르는 갈림길

 

 4-4 위치 표지목이 서 있는 봉우리에 엄청 큰 상수리나무가 서 있다. 이 큰나무가 태풍에도 견딘것을 보면 신통망통하다. 그 곳을 통과하면 산길은 또 다시 내려간다. 박달령까지 5~6번은 오르내려야 한다. 산군 들의 사이에 불만이 튀어 나오는 사람도 있다. '도 올라가나'하면서 말이다. 그러나 대간의 능선은 보통 탈출로가 정해져 있어 함부로 산길을 잡아 하산을 하면 위험이 닥칠 수 있다. 그러니 꼭 등산로를 찾아 하산을 하는게 자신의 안전을 지켜주는 길이다. 선달산 정상에서 70분이면 박달령 1.4km 이정표가 선 봉우리에 도착한다. 이곳에서 오른쪽으로 대간의 능선은 틀어서 나간다. 15분이면 헬기장이 있는 박달령에 도착한다. 이곳에도 눈으로 인해 온천지가 하얀 옷을 갈아 입었다. 직진하면 옥돌봉으로 이어진다. 그 입구에 이곳 박달령 산신을 모신 성황당 당집이 있다.

 

 

 

 박달령에서 오른쪽 방향이다. 오전 약수터 2km  이정표을 보고 30m 넓은 임도를 따라간다. 이곳에서 산길은 임도를 버리고 오른쪽 박달령을 오르내린 옛길을 따라간다. 길게 뻗은 능선에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박달령 옛길은 '외씨버선길'이란 이름으로 다시 태어났다. 옛 보부상이나 마을 주민들이 오르내린 길이라 그런지 유순하디 짝이 없다. 그저 발걸음만 턱턱 내 딛이면 된다.

 

 

 

 

그러나 지난 가을의 낙엽이 옛길을 덮고 있어 혹 미끄러짐에 유의를 해야한다. 박달령 옛길을 따라 40분이면 박달령식당에 내려선다. 그 아래 탄산수인 오전 약수가 있다. 조선시대때 최고의 약수로 소문이 자자하여 하였다. 단맛을 전혀 느낄 수 없어서 인지 닝닝한게 '물  맛이 왜이래'하며 한잔을 먹어 본다. 여기서 10분이면 주차장에 온전히 내려선다. 벌써 해는 넘어가고 주차장의 가로등에 불이 들어 와 있다.

 

 

 

 

 늦은목이재 샘터

 

 늦은목이재

 

 

 

 

 

 

 

 

 

 

 

 

 

 

 

 

 

 

 

 

 

 

 

 

 

 

 

 

 

 

 

 

 

 

 

 선달산 옹달샘 갈림길

 

 

 

 

 

 

 

 당집이 있는 박달령

 

 

 

 

 

 

 

 박달령 옛길인 외씨 버선길

 

 

 

 

 

 탄산수인 오전약수

 

 

 

 

 봉화군 홈페이지 발췌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