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충북여행/단양여행)휴식과 국보인 단양신라적성비를 만나는 1석2조 단양팔경휴게소 여행. 적성산성과 단양신라적


지난주 수요일 태풍 미탁이 한반도를 강타한날 떠났던 원주여행 ㅎㅎ

 부산에서 출발하여 두번째 휴식을 위해 들렀던 단양팔경 휴게소입니다.



단양팔경휴게소 단양신라적성비 주소: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하방리 산 3-1




2016/02/22 - (충북여행/제천여행)청풍호문화재단지 팔영루. 청풍문화재단지 팔영루는 청풍팔경을 노래한 팔영시가 그 유래. 청풍호문화재단지 팔영루

2016/03/02 - (충북여행/제천여행)청풍문화재단지 제천도화리고가. 어릴 적 고향집 분위기와 닮은 제천 도화리 고가를 청풍문화재단지 안에서 만나보세요.

2019/06/24 - (충북여행/제천여행)청풍호반케이블카를 타고 육지속의 바다인 청풍호를 한눈에, 제천청풍호케이블카

2019/07/10 - (충북여행/제천여행)청풍호와 월악산 전망대 100명산 제천 금수산 산행.

2019/06/22 - (충북여행/제천여행)신선도 부러워할 절경 제천 송계계곡 망폭대 여행. 제천 송계팔경 망폭대





그런데 단양팔경 후게소에 단양신라적성비 가는 안내판이 있었습니다. 

태풍 영향 때문에 비도 추적추적 내리고해서 가야하나 포기할까하다가 국가문화재인 국보고 해서 우산을 쓰고 가보기로 했습니다. 

단양신라적성비는 중앙고속도로 준공 기념탑에서 출발합니다. 



저기 산 정상부에허리띠를 부른듯 산성의 일부가 보입니다. 

단양신라적성비는  저 산성 위에 있습니다.




단양신라적성비 가는 길입니다. 

신라 장수 이사부 비차부 무력 등의 포토죤 길입니다. 

저기 보이는 계단을 올라서면 전망대입니다.






정자가 있는 충주호 전망대입니다. 



충주호의 모습입니다. 전경이 대단합니다. ㅎㅎ

단양신라적성비는 오른쪽으로 갑니다.



드디어 신라 국경임을 뜻하는 단양신라적성비가 있는 적성산성이 올려다 보입니다. 



이정표도 있습니다. 

오른쪽은 산책길 가는길이며, 단양신라적성비는 왼쪽 돌계단을 올라갑니다.




적성산성의 규모가 대단했다는 것을 짐작할수 있습니다. 

잘짜여진게 축대는  복원된것으로 보였습니다.


적성산성에서 뒤돌아본 전경입니다. 

말목산과 금수산 등 전경이 펼쳐졌습니다. 

 


적성산성 일부입니다. 




적성산성 일부입니다. 



적성산성 일부입니다. 



이제 단양신라적성비를 보러 올라갑니다. 


적성산성위에서 뒤돌아 보았습니다. 

산성 위라 그런지 편편합니다. ㅎㅎ




말목산과 금수산 등 월악산 국립공원의 산세가 대단합니다. ㅎㅎ



산길을 쎄빠지게 올라왔더니 보이는 것은 단양신라적성비가 아니고 비각입니다. ㅋㅋ



국가문화재이며 후세에 물려주려고 보호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좀더 가까이서 볼수 있도록 해주면 좋을듯합니다. 

비각을 보러 이곳까지 올라가지는 않았지 않습니까. ㅎㅎ




단양신라적성비는 진흥왕의 명으로 죽령을 넘어 고구려 땅이던 단양 일대를 점령하고 표적으로 세운 비입니다. 



단양신라적성비를 보면 진흥왕이 신라 국경 개척을 돕고 충성을 바친 적성사람 야이치의 공적과 신라에 충성을 바치는 사람에게 모두 똑같이 포상하겠다는 내용도 담겨 있습니다. 



또한, 고관 10명의 이름이 나오는데 진흥왕 때 큰 공을 세운 이사부, 비차부, 무력 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단양신라적성비의 건립연대는 신라 진흥왕 의 집권시기인 545~550년경으로 추정됩니다.(안내판 참조) 

국보 제198호.



단양신라적성비에서 본 전경입니다.

발아래 단양팔경 휴게소도 보입니다. ㅎㅎ

혹시 중앙고속도로 단양 원주 춘천으로 여행을 떠날때 단양신라적성비를 찾아보세요. 

휴식도 취하고 국가문화재도 만나는 일석이조 여행의 단양팔경휴게소였습니다.



728x90

728x90


지금의 대비사는 고려시대 이곳으로 옮겨 왔다. 그 이전의 오갑사 사찰은 어떤 이유에선가 모두 폐찰이 되었는지 모르지만 지금의 운문사도 폐찰되었다가 보양국사가 까치의 도움을 받아 절터를 찾아 운문사로 이어져 오고 있듯이 대비사도 그 이전의 소작갑사는 폐찰이 된 모습을 박곡리 곡란마을 뒤 베틀바위 아래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이곳 대비사는 신라진흥왕 18년인 557년에 복호산 아래에 있는  북대암 옆 금수동에서 한 신승이 3년 동안 수도한후 560년에 7년간에 걸쳐 대작갑사 소작갑사,소보갑사 천문갑사 가슬갑사인 오갑사를 창건하였다. 대작갑사가 현재의 운문사이며 소작갑사가 현재의 대비사이다. 소작갑사에서 대비사로 이름이 바뀌것은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대자대비"'에서 따 왔다는 설과 신라시대 왕실의 대비가 수양차 이절에 머물렀다하여 대비사로 바뀌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대비사는 신라진평왕22년인 600년에 원광법사가 운문사와 함께 중창을 하였다한다. 그후 사찰은 폐찰의 수순을 밟다가 고려시대 이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와 중건이 되었는데 현존하는 건물인 대웅전은 보물제834호로 지정되어 있다. 조선시대중기의 건축 양식을 따른 것으로 보여지며 정면3칸 측면3칸의 다포식 맞배지붕으로 전체구성이 짜임새가 있고 다포계의 공포로 구성이 되어 있다 현재 대웅전의 외관은 단청을 입히지 않았는지 모를 정도로 원래의 목재건축물로 돌아가 있다. 세월의 흔적은 어쩔 수 없는지 대웅전의 빚바렌 단청으로 그의 무게가 더욱 느껴진다.

교통편: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는 열차와 버스(2차례)를 갈아타야 한다. 부산역에서 청도행 경부선 무궁화호 열차 출발시각은 오전 5시10분, 5시50분, 6시35분과 55분, 7시45분, 8시35분, 9시25분 등이다. 1시간 걸리며 4800원(주말 5000원). 청도역 앞 청도시외버스터미널에서 운문사행 버스를 타고 금천면 동곡에서 내린다. 오전 7시40분, 9시20분, 10시40분에 있다. 1시간 걸리며 3500원. 동곡정류장에서 산행 기점인 박곡리로 가기 위해서는 마을버스를 타야 하는데 15분 걸린다. 동곡정류장 입구에 있는 개인택시(054-372-3066)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는 대구-부산 고속도로를 타고 청도TG에서 내려 밀양·청도 방면 25번 국도를 타고 우회전했다가 곧바로 경주·운문 방면 20번 국도로 좌회전한다. 운문사 방향으로 동곡재를 지나 동곡리 사거리에서 직진한 후 남양·오봉 방면 919번 지방도로를 타고 가다 동창천을 건너 '대비사 6㎞' 이정표를 보고 좌회전해 들어가면 박곡리에 닿는다. 박곡리석조여래좌상을 지나 박곡저수지를 돌아가면 대비사앞 주차장이다.








대비사는 이무기의 전설이 남아 있다. 어느시대인지는 알 수 없지만 대비사 작은 암자에 스님과 상좌가 함께 살고 있었다. 어느날 한방에서 잠을 자던 스님은 감짝 놀라 잠에서 깨어났다. 옆을 보니 상좌가 잠을 자고 있었는데 상좌의 몸을 만저 보니 몸이 얼음장 처럼 차가워 있었다. 이상하다 생각하며 잠을 청하는데 그 다음날도 상좌의 몸이 얼음장처럼 차가워져 있는게 아닌가. 다음날밤 스님은 잠자는 척 하면서 상좌의 동태를 살펴보니 상좌는 스님이 자는 것을 확인한후 밖으로 나가는 것이었다. 그리고 새벽이 되어서야 들어와 옆에 눕고는 이내 깊은 잠에 빠저 들었다. 역시 몸이 차가운 상태였다. 다음날 밤이 되어 상좌는 다시 스님이 자는 것을 확인 한후 밖으로 나가는 것이 아닌가. 자는 척 하던 스님도 뒤따라 나와 상좌를 따라가니 상좌는 대비사 앞 연못에서 입고 있던 옷을 벗더니 연못속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잠시 뒤 상좌의 몸은 이무기로 변해 물에서 수영을 하며 놀다가 다시 나와 옷을 입고는 산너머 골짜기인 이무기못안골에서 빗자루를 들고는 쓸고 있지를 않는가. 놀란 스님은 '네 이놈.상좌야. 네가 여기서 지금 무엇을 하느냐'하며 호통을 치니 상좌는 감짝놀라  이무기로 변하여 하늘로 올라가며 '아 억울하다 천년을 기다렸는데. 오늘만 지나면 용이 되어 하늘로 승천을 할 수 있었는데'하는 것이 아닌가. 이무기는 억울함에 꼬리로 뒷산의 바위를 힘껏치고는 뒤편의 호박소로 날아갔다는는 전설이 있는 대비사. 그 깨어진 바위가 억산의 깨진 바위가 되었다 한다.

대비사에는 오래된 연륜 만큼이나 부도밭에 고승대덕의 부도탑이 11기 남아 있다. 지금은 부도밭 뒷편의 자연석에 석가여래좌상을 새겨 놓았다.









대비사의 전신인 소작갑사터로 신라시대 신승에 의해 운문사와 함께 창건된 오갑사의 대비갑사 즉 소작갑사터다.
지금은 대추나무 밭으로 조성이 되어 있고 밭사이로 연꽃무늬대좌와 석등의 받침대 그리고 깨어진 기왓장등이 옛날의 영화를 대변해주는 것 같다.
소작갑사터에서 바라본 박곡리마을 전경. 그아래 저수지가 보이고 그 뒷 능선이 와불능선으로 명명을 하였다. 사진상으로는 안나오지만 왼쪽 끝 부분에 봉우리가 남양리에서는 부처산으로 불리고 있다 한다. 어째 이름이 맞아 들어간다는 느낌이...
소작갑사터 아래에 있는 골안저수지로 이곳이 혹 대비사의 이무기 전설이 전하는 그 연못이 아닐까.상좌로 변한 이무기가 밤마다 나와 연못에서 수영을 했다는 이야기의 대비지가 아닐까. 정면 중앙에 보이는 독립가옥 밑이 옛대비사 터인 소작갑사터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