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흔히 태종무열왕이 삼국통일의 기초를 닦았다면 그의 아들 문무왕에 와 삼국통일을 이루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죽어서도 동해의 용왕이 되어 바다를 지키는 수호신이 되기 위해 유언을 남겼다 한다.
그래서 신문왕은 그의 아버지를 경북경주시 감포 앞바다에 수장을 시켰는데 그를 수중릉 또는 대왕암이라 부르며 호국의 용이라 한다. 그 호국의 용이 뭍에서 흔적을 남긴곳이 있다.

 




지금 삼척의 죽서루 옆 자연석으로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다. 용이 지나간 흔적의 자연석에 큰 구멍이 뚫여 있는데 이곳을 두고 신라30대 문무왕이 죽은 후에 동해바다를 지키다가 오십천을 타고 올라와 죽서루의 벼랑을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만들었다 한다.
문무왕이 화한 호국용이 이곳 죽서루 옆의 자연석을 뚫고 지나간 흔적이라 하여 이곳에서는 용문바위라 부런다.




지금은 이 바위의 아름다움과 나라를 지킬려고 호국용으로 변한 문무왕의 전설때문이지 이굴을 통과하면 무병하고 장수하며 그리고 다복을 한다는 이야기가 전해와 많은 사람들이 지금도 이곳을 찾고 있다. 문무왕은 죽어서라도 이 나라를 지킬려고 한 그의 모습에서 용문바위에 내려오는 그의 전설이 허구가 아님을 믿고 싶다.


그리고 이 용문바위에는 선사시대때부터 내려온 암각화가 새겨져 있어 눈길을 끈다. 가까운 울산의 방기리알바위처럼 여자의 생식기를 나타내는 둥근 구멍이 뚫여 있는데 이를 두고 성혈암각이라 한다.
성혈은 선사시대부터 내려오는 원시신앙으로 다산, 풍요, 생산등을 의미한다. 지금도 전국적으로 확인되고 있는 성혈암각은 죽서루의 용문바위 부근에도 10여개 확인되고 있다.




















 

1991년 2월에 문화부는 송강정철의 날로 정하고 그의 가사문학의 업적을 기리기위해 관동팔경의 1경인 이곳 죽서루와 담양의 성산별곡의 무대인 식영정 인근에 각각 기념하는 탑을 세웠다 한다.

지금도 죽서루 한켠에는 그의 ‘송강정철가사의터’라는 비가 남아 있으며 높이 2m의 팔각기둥에 8각의 기단을 두었는데 각 면마다 그의 대표작과 친필, 수결, 가사창작의 배경등이 세겨져 있다.






 

 

찾아가기
부산에서는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하여 경주IC에서 빠져나와 서라벌대로 2.1KM 이동후 오릉네거리에서 포석로 시내방면으로 2.2KM 이동후 좌회전한다. 내남네거리에서 태종로 시청, 시의회(울산,감포)방면으로 우회전 후 697M이동한다. 팔우정삼거리에서 원화로 경주시청(포항)방면 으로 좌회전후 2.1KM 이동하면 원화로 지하차도 진입후 9.9KM 이동한다. 7번국도를 따라 산업로 고가도로 진입후 7.5KM 이동후 유금IC에서 영덕(울진)방면 우측도로로21.3KM 이동한다. 광명휴게소에서 동해대로 159.6KM 이동한다. 동해대로 새천년도로 삼척항(강릉 동해)방면으로 우측도로 328M 지난후 삼척교사거리에서 오십천로 시청 태백 방면으로 좌회전후 1.8KM 이동한다. 죽서루앞 삼거리에서 죽서루길, 삼척문화원(죽서루) 방향으로 좌회전 하면 죽서루가 보인다. 네비게이션에 삼척 죽서루 검색을 하면 된다. (다음지도 이용)



공양왕릉

 

삼척 근덕면 궁촌리에 가면은 고려의 마지막 임금인 공양왕릉이 있다 한다. 궁촌왕릉이라 부르는 이왕릉은 그의 아들 왕석, 왕우 3부자의 묘로 전해지고 있다.
1392년 공양왕 4년인 7월에 이성계가 이씨조선을 건국하며 왕위에 오르자 8월에 전왕을 폐하여 공양군으로 강등하여 강원도 원주로 귀양을 보내게 되었다.
혹 모를 옛 고려충신들과의 접촉등을 꺼려 불안한 나머지 다시 3부자를 간성으로 옮겼다.
그곳에서도 불안함을 떨칠 수 없어 1394년 태조3년인 3월 14일 지금의 왕릉인근인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로 귀양지를 옮기게 한후 한달 뒤인 4월17일 사약을 내려 모두 죽였다.



그 후 귀양 온 공양왕이 죽어 묻혔던 곳으로 전해지게 되는데 다시 경기도 고양시 식사리로 옮겨 갔다고도 한다. 그곳에도 공양왕릉이라하여 왕비릉와 함께 사적191호로 지정되어 있다.
그 연유를 보니 1421년인 세종3년 1월13일에 공양왕의 공주였던 단양군 이성범의 처가 임금에게 상소를 하여 자신의 아버지를 다시 공양왕으로, 그의 어머니를 왕비로 추봉을 하여 공양왕릉을 정릉으로 정한 기록이 현재 남아 있다.
이곳은 1837년 헌종3년 가을에 삼척부사 이규헌이 개축하였고, 1977년 삼척군수와 근덕면장에 의해 개축 보수를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곳은 강원도 기념물 제71호로 지정되어 있다.

 








 

찾아가기
부산에서는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하여 경주IC에서 빠져나와 서라벌대로 2.1KM 이동후 오릉네거리에서 포석로 시내방면으로 2.2KM 이동후 좌회전한다. 내남네거리에서 태종로 시청, 시의회(울산,감포)방면으로 우회전 후 697M이동한다. 팔우정삼거리에서 원화로 경주시청(포항)방면 으로 좌회전후 2.1KM 이동하면 원화로 지하차도 진입후 9.9KM 이동한다. 7번국도를 따라 산업로 고가도로 진입후 7.5KM 이동후 유금IC에서 영덕(울진)방면 우측도로로21.3KM 이동한다. 광명휴게소에서 동해대로를 따라가다 삼척시 근덕면 궁촌IC에서 공양왕릉 표지판을 보고 우측으로 내려서면 된다. 약1km를 옛 도로를 따라가면 된다. 이정표가 잘되어 있고 우측으로 공양왕릉임을 쉽게 찾을 수 있다.

 


 

 

728x90

728x90

향산리 지석묘.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22호
소재지: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향산리 286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흔히 지석묘를 고인돌이라 부른다.
그시대의 정치권력자 또는 힘있는 사람들이 자신의 힘를 과시하기 위하여 만든 무덤으로 울산지역의 지석묘는개석식과 바둑판식을 주로 사용하였다 한다.
개석식이란 4개의 다리 즉 받침돌를 세우고 그 위에다 바둑판 처럼 넓은 덮게 돌을 덮는 것으로, 그 밑을 파 돌로 방을 만드는방식을 바둑판식 도는 남방식이라하며 개석식은 바둑판의 받침돌이 없이 돌방에다 바로 넓은 덮게 돌을 덮는 식을 말한다. 흔히 무지석식이라 한다.
향산리 지석묘는 능곡마을 도로 옆에 있으며 덮게돌의 길이가 310CM 길이가300CM  두께90CM로 상북면의 지석묘에서 큰 편에 속한다. 
이지석묘는 조선시대때 정대업 장군이 이바위에서 무술을 연마하여 흔히 장군바위로도 불리며 덮게돌에 7군데의 성혈이 있어 칠성바위라고도 부른다 한다. 예로부터 덮게돌의 성혈은 여성의 성기를 나타내며 다산과 풍요를 의미한다. 여기서도 방기리 알바위와 같은 전설이 전해 오는데 애기를 낳지 못하는 부인들이 작은 돌을 덮게 돌에 문질러 붙으면 아들을 낳는 다는 이야기가  있다 한다.  
찾아가는길: 언양읍에서 석남사가는 24번 국도를 따라가다 향산초등학교에서 우측으로 고개를 넘어면 된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