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뛰어난 경관을 자랑하는 곳에는 항상 전설이 있기 마련이다.
여기 청도에서 자랑하는 공암마을의 공암풍벽도
마을의 어르신들은 제2의 경북 금강산으로 자랑을 하신다.
아니나 다를까.
회룡포나 안동의 하회마을 처럼 물이 돌아가는 물도리이가 남쪽지방인 청도 동창전에도
있어니
여기또한 용의 전설을 가지고 있다.
 
공암풍벽


구룡산에서 이어지는 용의 능선이라
열마리의 용이 하늘로 올라가다 아홉마리는 승천을 허락하지만  
한마리는 도로 구룡산으로 떨어지니
그 승천하지 못한 이무기의 원혼을 달래기 위해
여기
공암에 용의 모습이 되었는가
.
유난히 용의 전설이 많은
이곳
사룡산
구룡산
반룡산
용귀




용머리
그의 형상을
마을에서는 용암이라 부른다네
그아래로 깊이를 알 수 없는 용혈이 뚫여 있어다는데
지금은 흔적만 남아있다한다. 


물돌이 곡천대 아래 
용이 살았다는 굴이 있었다하고
명주실 한타레를 풀어넣어보니
그 명주실 다 풀려 
그아래 마당수에 
명주실 실타레가 올라 왔다는데
믿어야 하나 말아야 하나.ㅋㅋ 



곡천대 굴에 살던 용한마리
하늘로
 올라가면서
심술을 부렸다는데
꼬리로 큰바위 절벽을 내려치니
큰바위가 둘로 갈라졌다하네.


용이 갈라 놓은 바위틈사이가
공암이라 지금은 부르고
신작로가 생기기전
통행길이 되었다하네
이길이
아니면 오도가도 못했다는데...
.

순이엄마도 자야엄마도
굴바우골창백이
이길을 넘어서 시집을 왔다하네.
대구에서 청도읍에서...
지금은 신작로가 뚫여
차들도 생생 달리지만
그때는
꿈도 못꾸어 봤네...
 

 


곡천대
물가에 노닐던 새한마리
학인지 왜가리인지..

예전에 이곳 곡천대에
학도 날아와 살았다는데
그래서 학소대라 불리었다네

지금은 잠겨버린
공암풍벽에
인간의 이기심이  마을은 수장되고
운문댐이되었다네...
















찾아가는길

부산노포동버스터미널에서 언양행 버스는 오전 6시30분부터 밤 9시까지 20분 간격으로 출발한다. 3200원. 50분 소요. 언양버스터미널에서 동곡 경유 대구행 완행 버스를 타면 방음리 새마을동산을 지나 대천마을버스정류장까지 갈 수 있다. 오전 9시, 10시30분 등 하루 5회 운행. 대천마을버스정류장에서는 동곡에서 정상 마일행버스가 09:00, 11:50, 15:30, 18:50분과 정상행 직행버스13:50,20:10 직행버스인 산내행은 07:00, 12:20, 19:00에 있다. 공암마을에 하차를 하면 되는데 공암풍벽은 버스가 왔던길을 되돌아 고개안부에서 능선을 타고 내려가야 한다. 
직행인 코스 종착지인 공암마을에서는 대천리나 동곡버스터미널(054-372-3881)까지 가는 버스가 오후에 드물게 있다. 오후 5시10분 전후와 7시10분 등에 있는데 이 경우 대천리에서 언양행 막차(오후 5시10분 출발)를 타기 힘들다. 따라서 시간을 잘 맞추어야한다. 대천(19:05분 산내막차)에서 산내(20:30분 경주막차)로 가서 경주로 거쳐 오는 방법도 있다.대천개인택시(054-371-6997)는 대천에서 공암마을 입구 고개까지 1만5000원 안팎.
자가용 이용시에는 경부고속도로 서울산IC에서 내려 35번 국도를 타고 언양 경주 방면으로 가다가 언양교차로에서 밀양 석남사 방향 24번 국도로 옮겨 탄다. 덕현교차로에서 우측 석남사 청도 방향으로 빠져나간 후 69번 지방도를 타고 운문령을 넘어 청도 방향으로 가면 방음리 새마을동산을 지나 운문댐을 지나 대천리 표지석에서 경주산내방향으로 우회전하여 망향정을 지나직진한다. 운문댐을 돌아가는 도로의 최 정점에 올라서면 우측산으로 오르면 공암풍벽을 볼 수 있다. 

 

 

 


728x90

728x90

 

운문사를 가다보면 방음리 새마을동산 기념비가 서 있다.

이곳은 1972년 그 당시 박정희대통령이 새마을 운동을 격려차 방문한 기념으로 기념비가 세워져 있는대 이곳을 지나 오른쪽 골목으로 진입을 한다.
방음리 말음마을로 아름다운 동네 이름을 가지고 있다.

이곳의 경치가 너무 아름다워 선녀가 내려와 노래를 부르는데 이곳에서는 항상 끝말만 은은히 들렸다하여 말음마을로 부른다.
이곳에 지금은 선녀는 없지만 아름다운 마음으로 아름다움이 뿜어 나오는 한지로 예술을 승화시키는 작업을 하시는 분이 있다.
영담한지미술관(054-373-3638)의 영담스님으로
 
'사실 종이 가지고 무신 예술을 하겠어' 
간단히 치부하며 쉽게 넘겨 버릴 수 있지만 보갑사 영담스님은 우리나라 전통 한지를 아름다움으로 표현하시고 계신다.
사실 사찰의 스님들에 의해서 한지 제지술의 명맥이 이어져 왔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곳에서 운문사로 들어가면 억산과 운문산 사이를 넘는 재가 있다. 험준한 고개이름은 딱밭재로 예전에는 이곳에 닥나무가 밭이 있었다 한다. 그리고 그 골짜기를 천문지골이라 산꾼들 사이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 생각해 보면 운문사란 큰 사찰이 있는 것으로 보아 수긍이 가는 말인 것 같다.
살아서 천년, 죽어서 천년 간다는 주목처럼 닥나무에서 한지로 만들어지면 한지는 일천년의 기나긴 세월을 견디어 낸다고 한다.. 비단은 고작 500년이지만 그만큼 한지의 생명력이 오랜간다.

영담스님의 한지 만들기는 아버지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 같다.
출가하기 이전인 한의원에서 아버지가 사용하시던 한약봉지를 보아 왔기 때문이다.
자연스럽게 한지를 접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한다.
사실 한지를 만드는 과정은 힘든 노동이다. 닥나무를 잘라와 물에불리고 껍질을 벗겨 삶아서 백피로 만들어 하는 작업은 고행이다.
그런 작업을 아흔아홉번 손이 가야만 종이가 되고 마지막으로 사용하는 사람에 의해 백번의 손길이 가야만 한지가 된다.
그래서 백지가 되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래 어렵게 만든 한지가 흰종이로소만이 아닌 예술로 승화 시키는 작업을 하시는 영담스님.
자연에서 나온 색감으로 자연의 작품을 연출하시는 작은 공간인 영담한지미술관은 복층 구조인 2층으로 되어 있다. 스님이 손수 만드신 예술품이 창문과 벽에서 만날 수 있다. 
  

찾아가기
부산노포동버스터미널에서 언양행 버스는 오전 6시30분부터 밤 9시까지 20분 간격으로 출발한다. 3200원. 50분 소요. 언양버스터미널에서 동곡 경유 대구행 완행 버스를 타면 방음리 새마을동산까지 갈 수 있다. 오전 9시, 10시30분 등 하루 5회 운행. 대천개인택시(054-371-6997)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자가용 이용시에는 경부고속도로 서울산IC에서 내려 35번 국도를 타고 언양 경주 방면으로 가다가 언양교차로에서 밀양 석남사 방향 24번 국도로 옮겨 탄다. 덕현교차로에서 우측 석남사 청도 방향으로 빠져나간 후 69번 지방도를 타고 운문령을 넘어 청도 방향으로 가면 방음리 새마을동산 앞에 닿는다.





















방음리 말음마을로 영담한지미술관 입구입니다. 여기서 우측길로 따라가면 됩니다.
운문댐에 잠겨 있는 실향민들이 심었다는 벚꽃나무가 운문댐 도로를 따라 8~9km 이어져 장관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728x90

728x90

☞(경북여행/청도여행)영남알프스 변방의 호랑이 날등 청도 해들게봉~도롱굴산 종주산행

청도 해들게봉~도롱굴산

호랑이 등줄기 타고 가다 운문호에 '풍덩'
영남알프스 범봉분맥 중 북쪽능선 밟는 코스
들머리 박곡리 천년 세월 간직한 유적 산재
인적 드문 낙엽천지 하산길 늦겨울 정취 만끽
도롱굴산 정상 까치산 표기는 재정비 필요

 



 

영남알프스 일대의 산들이 대부분 저마다 한가락씩 하기 때문일까. 충분히 가볼 만한 산인데도 불구하고 2만5000분의 1 공식 지도나 웬만한 등산지도에 이름조차 못 얹어 놓은 산이 한두 개가 아니다. 2월의 마지막 주, 겨울을 보내면서 '근교산&그 너머' 취재팀이 찾은 경북 청도군 해들게봉(475m)과 도롱굴산(617m) 또한 그 범주에 속한다. 참 생소한 이름이다. 하지만 이름이 덜 알려졌다고 산의 진면목까지 묻힐 수는 없는 일. 구만산 억산 범봉 등 세 개의 명산을 남쪽에 두고 남에서 북으로 치달리는 해들게봉~도롱굴산 코스는 한적하지만 속은 꽉찬 근교산행을 선호하는 산꾼들에겐 반갑기 그지없는 코스다.

   
 

박곡리를 출발하여 처음 만나는 전망대로 들머리 미륵당 마을과 능선을 한눈에 볼 수 있고 우측으로 곡란마을과 골안 저수지도 및 청도군의 산들도 확인을 할 수 있다.
 
범봉에서 발원한 범봉분맥을 중간쯤에서 올라 탄 후 분맥의 끝인 운문호 호산 앞에서 끝내는 산행은 마치 운문호에서 범봉쪽으로 날아 오르는 호랑이 등을 타고 호수 끝에 걸쳐진 꼬리에서 사뿐히 내려서는 듯한 기분을 맛보게 한다. 융단처럼 깔린 낙엽길을 원 없이 밟을 수 있다는 점도 막바지 겨울 산행의 묘미를 한껏 부추긴다. 게다가 들머리 마을인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는 억산과 범봉으로 오르는 청도쪽 산행 기점이기도 하지만 보물 203호인 박곡리 석조석가여래좌상과 신라 진흥왕대에 창건된 대비사의 대웅전(보물 834호) 등을 안고 있는 유서깊은 마을이라는 점에서 천년 세월을 넘는 진한 역사의 향기도 느낄 수 있다.

전체 산행은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 박곡교~소나무 벤치앞~밀성박공 무덤~전망대~해들게봉~이무기바위~독종골만당~정거고개~진등(556m삼각점봉)~도롱굴산 정상~삼거리(565m봉)~447m봉~무덤3기~호산고개로 이어지는 9.8㎞코스다. 아담한 봉우리를 10여 개 넘나드는 능선산행에 소요 시간은 4시간30분.

들머리 찾기는 크게 어렵지 않다. 박곡리 마을 입구 다리(박곡교)에서 다리 건너 마을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왼쪽 포장 도로를 따라 100여 m가량 이동한다. 정면 멀리 대비사계곡 위에서 억산 '깨진바위'가 내려다보고 있다. 왼쪽에 벤치 2개와 소나무 2그루가 있는 동네 놀이터가 보이면 리본을 참조하며 들어선다. 들머리다.

   
 

해들게봉 능선의 일명 '이무기바위'. 
 
곧바로 조립식 민가 왼쪽 무덤을 통과, 완만한 능선길로 진행한다. 어른 키만한 잔솔들이 봄바람에 살랑이며 환영인사를 해 온다. 능선 왼쪽 곡난골 계곡과 석이바위가 보인다. 석이바위는 근처에 석이버섯이 많아 붙은 이름이다. 산행 시작 전 만난 한 주민은 "어제도 동네 사람 40여 명이 석이버섯 캐러 바위까지 갔다 왔다"고 전해 준다. 부드러운 흙길을 따라 15분쯤 가면 작은 갈림길이 나오는데 왼쪽은 곡란골로 내려서는 길이고 오른쪽 길이 등산로다. 50m 정도 더 가면 왼쪽에 허물어진 무덤이 있다. 뒤돌아보면 박곡리 앞산이자 억산북릉 산행의 포인트인 기총망봉(오봉리에선 개물방산, 일부에선 귀천봉이라 부름)이 뚜렷하다.

능선 오름길 주변에는 군데군데 텐트를 쳤던 장소가 나오는데 아마도 동네 주민들이 송이버섯을 지키기 위해 머물렀던 흔적인 듯하다. 15분쯤 더 가면 '호조참판 의금부사 밀성박공지묘'라고 쓰여져 있는 소박한 무덤을 만난다. 조선시대 호조참판을 현대적 의미로 보면 경제 총괄부서인 기획재정부 차관급이요, 의금부사는 검찰과 법원을 합쳐 놓은 특별사법기관의 고위 관리쯤으로 해석할 수 있을텐데 그 정도 인물의 묘 치고는 참 검소하다. 10분 정도 오르막을 치면 왼쪽이 탁 트인 첫 전망대를 만난다. 우뚝한 석이바위와 오른쪽 멀리 운문댐이 눈에 들어온다. 비록 운무가 짙게 낀 날씨였지만 석이바위 뒤로는 학일산과 대왕산, 그 왼쪽으로 갓등산 토한산 대남바위산 등이 보인다.

   
  능선길을 5분가량 더 오르면 GPS 기준 해발 475m인 해들게봉 정상이다. 들머리로부터 55분 걸렸다. 공식 지형도에 이름 하나 얻어 걸치지 못한 이 봉우리가 안쓰러워 취재팀은 리본 뒷면에 마을 주민들이 수백년간 불러 온 전통을 존중, '해들게봉 정상'이라는 표기를 해 두었다.

오른쪽 아래 독종골 계곡을 두고 오르막 능선을 탄다. 능선길은 험하지 않지만 살짝 비켜나 오른쪽을 보면 깎아지른 벼랑이다. 5분 뒤 두번째 전망대에서 독종골과 그 안쪽 박곡저수지, 대비사계곡과 그 위의 억산 깨진바위에서 왼쪽으로 팔풍재 범봉 운문산 가지산 등 영남알프스 연봉들을 조망한다. 특히 왼쪽 끝에 보이는 봉우리 정상부의 '덧니바위'가 선명하다. 이 덧니바위는 운문사 주차장쪽에서는 장군바위 또는 호거대라 부르기도 하고 또 일부에서는 '등신바위'라 부르기도 해 이름이 제각각이지만 이곳 해들게봉 능선에서 보면 영낙없는 덧니 모양이다.

5분쯤 더 가면 흙길이던 능선이 갑자기 30여 m 길이의 바위능선으로 바뀐다. 바위를 타고 가다 높이 1.5m 정도 아래 흙길로 내려서서 뒤돌아보니 길쭉한 구렁이가 기어가는 듯한 모양새다. 용이라고 하기엔 너무 초라하고, 뱀이라고 하기엔 너무 큰 바위. 취재팀은 이 바위 이름을 '이무기바위'로 명명했다. 그렇게 이름을 붙이니 저 아래 천년고찰 대비사(大悲寺)와 억산 깨진바위에 얽힌 '이무기 전설'이 오버랩되며 묘한 일체감을 이룬다.

10분가량 된비알을 치고 오르면 삼각점이 있는 독종골만당(614m) 분기점에 닿는다. 범봉에서 갈라져 이번 산행 종점인 호산에서 끝나는 '범봉분맥' 능선 등허리에 올라탄 것이다. 오른쪽은 범봉, 억산 가는 길. 취재팀은 북쪽인 왼쪽 도롱굴산 방향으로 향한다. 이정표에는 왼쪽 까치산 방향이라고 돼 있다.

산꾼들의 발길이 뜸했는지 바닥에 쌓인 낙엽이 발목을 덮는다. 살짝 내리막 안부를 거쳐 15분가량 가면 왼쪽으로 희미한 석이바위 갈림길을 만나지만 직진한다. 5분 후 오른쪽 3시 방향으로 바위절벽이 완연한 지룡산과 옹강산이 바라뵈는 전망대를 거쳐 5분가량 더 가면 갈림길이다. 능선 사면을 타고 오른쪽으로 가면 덧니바위와 방음산으로 갈 수 있고 왼쪽 주 능선을 타면 도롱굴산 방향. 10분 후 정거고개에 닿는다. 들머리로부터 정확히 4.9㎞ 지점. 예정된 코스의 절반을 온 셈이다. 오른쪽 운문면 방음리와 왼쪽의 금천면 임당리 사람들이 왕래하던 고갯길에 등산로까지 더해져 사거리가 됐다. 정거고개에서 능선을 따라 북쪽으로 직진하는 길은 군데군데 암릉이다. 15분 뒤 521m봉을 넘어 5분 후 561m봉에 오르면 드디어 북쪽 정면 멀리 도롱굴산 정상이 보인다. 오른쪽 1시 방향 멀리 운문호 상류가 보이지만 극심한 가뭄 탓에 물은 없다. 수몰 이전의 도로 모습까지 확연할 정도로 바닥이 휑하다.

  

 


하산시에는 낙엽이 많이 깔려 있어 미끄러짐에 주의를 해야한다.

5분 후 삼각점이 새겨진 진등(556m봉)을 넘어 20분 뒤 암봉인 577m봉에 서면 도롱굴산 정상부가 코 앞에 성큼 다가선다. 정상 방향으로 10m가량 살짝 내려서면 오른쪽에 안말음쪽 하산길이 열려 있다. 정상쪽으로 20분을 더 가면 600m봉이다. 정상 바로 앞에 웅크리고 있어 '동생도롱굴봉'이라 이름 지어 본다. 5분 뒤 드디어 도롱굴산 정상이다. 어느 기업체 산악회에서 표시해 놓은 '까치산 615m'란 정상목이 눈에 띈다. GPS에 표기된 높이가 617m라는 것은 오차범위를 인정한다 치더라도 까치산이라는 표기는 다소 헷갈린다. 인근 마을 주민들은 이 봉우리를 도롱굴산이라 부르며, 대한백리산악회 이병진 대장이 펴낸 영남알프스 지도에는 이 봉우리에서 북쪽으로 10분가량 더 가서 만나는 삼거리 571m봉을 까치산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창우 산행대장은 이 산을 도롱굴산이라고 부르는 것이 맞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짙은 운무만 없었다면 운문호 푸른 물과 영남알프스 주변 산봉들을 더 잘 조망했을 텐데…", 아쉬움을 남긴 채 북쪽으로 하산길을 잡았다. 봉우리 하나를 넘고 10분 뒤 '상수원보호구역 운문댐 92'라는 금속 푯말이 서 있는 삼거리 571m봉에서 왼쪽 호산고개 방향으로 향했다. 오른쪽 길은 방음리 새마을동산으로 내려서는 길이다. 하산길은 융단같은 낙엽 천지. 그만큼 미끄럽기도 하다. 여러 차례 중심을 잃기도 했다. 마치 나뭇잎 봅슬레이를 타는 듯한 기분. 20분 후 무덤 3개를 통과해 30m를 가면 능선길을 버리고 오른쪽 작은 계곡쪽으로 내려선다. 길섶에 어른 손톱만한 크기의 양지꽃 새싹이 봄의 전령인 양 수줍게 얼굴을 내밀고 있다. 5분 후 수원 백씨 묘를 지나면 청도에서 운문사 가는 69번 국도를 만나 산행을 마무리한다.

취재팀은 버스터미널이 있는 운문면 소재지 대천리를 향해 왼쪽으로 국도를 타고 1㎞가량 걸었다. 서쪽 산등성이를 막 넘어 가려는 석양 빛이 곱다.


◆ 떠나기 전에

- 천년고찰 대비사엔 슬픈 '이무기 전설'

- 마을별로 주변 산봉 부르는 이름 제각각
들머리인 청도군 박곡리에서 계곡으로 3㎞가량 더 들어가면 천년고찰 대비사(大悲寺)가 있다. 신라 진흥왕대인 557년에 창건된 것으로 1400년이 넘었지만 사시사철 신도들과 탐승객이 끊이지 않는 산 너머 운문사와 달리 고요함을 유지하고 있다.

  

 
  보물 203호인 박곡리 석조석가여래좌상. 
 
대비사와 그 위 억산 깨진바위에는 이무기에 얽힌 슬픈 전설이 있다. 옛날 대비사에 주지 스님과 동자승이 살았는데, 밤마다 동자승이 바깥에 나갔다 들어오는 것을 수상히 여긴 스님이 어느날 밤 자는 척하다가 동자승의 뒤를 밟았다. 방에서 나간 동자승은 대비사 앞 연못인 대비지에서 옷을 훌훌 벗더니 연못에 들어가 이무기로 변해 헤엄을 치는 것이 아닌가. 놀란 스님이 좀 더 지켜보니 다시 동자승으로 변한 이무기가 산으로 올라가 큰 빗자루로 산 위의 돌들을 쓸기 시작했다. 이때 스님이 "동자야, 여기서 무얼하느냐"라며 호통을 치니 깜짝 놀란 동자승은 본래 모습인 이무기로 변해 도망을 치면서 꼬리로 억산 정상의 바위를 쳤는데, 이때 바위가 갈라져 깨진바위가 됐다는 것이다. 1년만 더 기도를 하면 용이 돼 하늘로 승천할 수 있었던 이무기는 눈물을 훔치면서 날아가 가지산 호박소로 들어갔다고 한다. 이번 산행 중 해들게봉 능선에서 만난 기다란 바위를 취재팀이 '이무기바위'로 이름 붙인 이유도 이와 무관치 않다.

한편, 이 일대 산봉들에는 같은 봉임에도 이름이 마을마다 제각각이다. 박곡리 앞산의 경우 억산북릉의 산행 포인트인 '귀천봉'으로 알려져 있지만 박곡리 주민들은 전쟁때 깃발을 흔들었던 봉이라고 해서 '기총망'이라 부른다. 인근 마을인 오봉리 주민들은 범봉에 살던 호랑이가 마을에서 개를 물고 가 이 봉우리에서 잡아 먹었다고 해서 '개물방산'이라 부르기도 한다. 또 운문사 주차장에서 오른쪽으로 올려다보이는 큰 바위를 '호거대'라 하지만 박곡리 사람들은 덧니처럼 생겼다고 해서 '덧니바위'라 부른다. 박곡리 주민 김중겸(70) 씨는 "인근 절 스님들이 장군바위라 부르기도 하는데 조상 대대로 덧니바위라 부른 것은 분명하다"고 말한다.


◆ 교통편

- 금천면 동곡에서 박곡리행 버스 하루 6차례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는 열차와 버스(2차례)를 갈아타야 한다. 부산역에서 청도행 경부선 무궁화호 열차 출발시각은 오전 5시10분, 5시45분, 6시40분과 50분, 7시50분, 9시10분, 10시30분 등이다. 1시간 걸리며 4800원(주말 5000원). 청도역 앞 청도시외버스터미널에서 운문사행 버스를 타고 금천면 동곡에서 내린다. 오전 9시20분, 10시10분, 10시50분에 있다. 1시간 걸리며 3500원. 동곡정류장에서 산행 기점인 박곡리로 가기 위해서는 마을버스를 타야 하는데 15분 걸린다. 박곡리 입구 정거장에 하차. 오전 9시45분, 11시30분, 오후 4시10분, 6시10분 등 하루 6회 운행한다. 요금은 1000원. 동곡정류장 입구에 있는 개인택시(054-372-3066)를 이용할 경우 요금 5000원.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는 대구-부산 고속도로를 타고 청도TG에서 내려 밀양·청도 방면 25번 국도를 타고 우회전했다가 곧바로 경주·운문 방면 20번 국도로 좌회전한다. 운문사 방향으로 동곡재를 지나 동곡리 사거리에서 직진한 후 남양·오봉 방면 919번 지방도로를 타고 가다 동창천을 건너 '대비사 6㎞' 이정표를 보고 좌회전해 들어가면 박곡리에 닿는다. 박곡리 마을 입구에서 정면의 다리를 건너지 말고 왼쪽 11시 방향 포장도로를 100m 정도 가면 왼쪽에 들머리가 있다. 그 앞에 주차해도 무방하다.

날머리인 호산재에서는 운문사에서 청도나 대구로 가는 버스가 지나갈 때 손을 들고 세워 탈 수도 있고 운문댐 아래 대천정류장까지 1㎞가량 걸어도 된다. 운문사에서 청도행 버스는 오후 3시50분, 4시50분, 5시40분, 7시15분(막차). 3500원. 청도역에서 부산행 무궁화호 열차는 오후 1시57분, 5시48분, 6시8분, 6시40분, 7시46분, 9시38분에 있다. 날머리에서 박곡리에 주차해 놓은 승용차를 회수하러 가려면 동곡에서 내려 박곡리행 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문의=국제신문 산행팀 (051)500-5169
사진=이창우 산행대장 www.yahoe.co.kr

GPS 도움=GPS영남 (http://cafe.daum.net/gpsyn)
글 = 이승렬 기자 bungse@kookje.co.kr  

박곡리 입구 당수나무에서 내려 버스 진행 방향으로 걸어가면 버스는 우측 박곡교를 건너 간다. 산행은 좌측 직진길이다.

우측으로 박곡리 마을 회관과 그 뒤로 개물방산으로 불리는 기총망봉의 예사롭지 않게 솟아 있다.

100m  정도 도로를 따라 걸어오면 좌측으로 큰 나무가 서 있다 하얀집인 독립가옥 가는 길로 좌측으로 들어서면 된다.

멋진 소나무가 서 있고 놀이터와 쉼터, 하얀집이 나타나면 초입은 잘 찾았다. 독립가옥 좌측, 묘지 방향으로 들어서면 이동통신 철탑이 서 있고 그 사이로 들어서면 해들게봉으로 오를 수 있다. 독립가옥 우측으로 보이는 봉우리가 해들게봉으로 해가 뜨면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봉우리란 뜻이란다.

박곡리 마을 전경
tk

 산길은 밀성 박씨묘 뒤로 이어지며 본격적인 오르막 산길이 해들게봉까지 이어진다.

들머리도 확인 가능한 첫번째 전망대

맨 우측 중간 쯤의 작은 암봉이 호거대라 불리는 덧니바위로 박곡리 주민 김중겸(70)씨는 운문사 스님이 장군봉 또는 호거대는 잘못된 이름이라 바로 잡아 달라고 이야기를 하신다. 사람의 덧니 처럼 예전에는 이 덧니바위 위에 큰 바위가 얹혀져 있었는데 밑의 광산때문에 굴러 떨었졌다고 이야기를 하며 덧니바위라고 제차 강조를 하신다.

대비사의 이무기 전설과 어울리는 이무기바위로 취재팀이 명명을 하였다.

614봉 정상으로 독종골 만당이다. 왼쪽 아래 깊은 골짜기가 박곡리에서는 독종골로 부르고 있다.

지룡산의 신선봉의 헌걸찬 바위봉

정거고개로 좌측은 금천면 임당리로 내려가는 길이고 우측은 운문면 방음리 안말음으로 내려선다.
도롱굴산은 직진

577봉의 암봉을 올라서는 취재팀

독종골만당에서 걸어온 능선이 취재팀 등뒤로 펼쳐진다.

취재팀 위로 도롱굴산의 전위봉인 암봉과 그 우측의 봉우리가 정상이다.

600봉에서 본 전경으로 발아래 운문호가 보이는데 가뭄으로 인해 물은 말라 있고 그 뒤로 청정산인 옹강산이 확인된다. 

도롱굴산정상. 정상표지목에는 까치산으로 되어 있다. 10년도 훨신전인 근교산 초장기때 방음리 마을 주민에 의해 산 이름을 알아낸후 개척산으로 소개를 하였다. 지금은 다향한 산길이 소개 되어 있어 쉽게 찾을 수 있다.

정상을 넘어서면 

571봉 갈림길로 우측은 새마을 동산 가는 길, 호산고개는 좌측으로 내려선다.

낙엽이 무릎까지 빠지는 깨끗한 하산길로 미끄러짐에 주의를 해야한다.

막바지로 좌측으로 호랑이를 사랑한 처녀의 무덤이 있다는 호산이다.

운문사로 들어가는 69번 지방도에 내려서면 산행 끝

그 앞으로 운문댐 하류에는 그래도 물을 볼 수 있다.

대천 버스 정류장으로 걸어가면서 본 일몰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