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경주 시내 동부동 KT 건물 뒤에 도심지의 있는 고려 시대 돌로 만든 경주읍성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으로 본 옛 경주읍성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돌로 경고이 쌓은 석성의 모습이 90m정도 남아 있다.

경주읍성을 보면서...

제 고향은 경주입니다. 경주의 이야기나 남산의 이야기가 나오면 옛 추억들이 나도 모르게 생각이 나곤합니다. 이번에도 벌초를 한다고 고향에 하늘 밑으로 가게 되었습니다. 벌초후 경주시내의 경주 읍성을 둘러보게 되었습니다.

산을 다니다 보니 산성의 흔적은 여러번 보았지만 평지인 마을의 성은 보기가 힘든 구경입니다.
금전산 밑의 낙안읍성과 서울 장안의 4대 문등 경우 떠오를 정도입니다. 금전산을 산행하다가 잘 보존되고 있는 낙압읍성의 현 상태를 보고 깜짝 놀랬는데 도심한복판의 서울 4대분이나 경주의 읍성은 모든 성이 주택가가 들어차서 성의 흔적을 찾아 보기 힘들정도입니다. 그래서 경주에서는 읍성의 존재를 생각도 못했습니다.
이번에 찾아본 경주읍성은 현재 90m만 겨우 명맥을 유지하며 예전에 여기가 성이였다는 흔적을 보여 주고 있었습니다.
그나마 이것도 주택의 담장에 걸쳐져 있어 옛 성터의 흔적을 찾기란 쉽지가 않을 것 같습니다.
석성의 위의 큰 고목만 세월의 깊이를 짐작할 뿐입니다. 경주읍성은 사적 제96호이며 경주시 북부동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경주에는 열매시장인 성동시장과 아랫시장이 있습니다. 그 대로변 중간에 kt 건물이 있어며 그 건물 뒤에 석성의 흔적이 조금 남아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월의 무게에 이기지 못하고 남은 석성의 흔적은 담쟁이가 덮혀 있는 어느집 돌담역활도 하고 있다.

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기 위해 군사적, 행정적 기능을 함께한 성을 의미한다합니다. 경주읍성은 고려시대 현종 3년(1012)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동부동 북부동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성의 둘레가 4,075자(尺:2400m)이며 높이가 12자(尺:3.6m)인 돌로 만든 석성입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도 경주읍성에 관한 기록을 볼 수 있다합니다. 이곳에 조선 태조의 어진을 모신 집경전과 관아, 우물80여개를 있었다하니 많은 주민들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동서남북으로 사대문을 두어 향일문인 동문, 망미문인 서문, 남문인 징례문, 북문인 공진문을 두었다 하며 적의 침입을 막기위해 해자(垓字)도 갖추었다 한다.
남문인 징례문에는 현제 경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성덕대왕 신종을 걸어 매일 시각을 알려주었다 한다.
임진왜란때는 경주읍성에서 일본군을 크게 격퇴하였는데 이장손이 발명한 비격진천뢰를 사용하였다한다.
일제강점기때 대부분 헐리고 읍성의 흔적을 알 수 없을 정도인 90m 남아 현재 보존되고 있다.
그러나 경주시에서 최근 경주 읍성 복원계획을 실행을 하고 있다 한다. 고려 태종 왕건이래 역대고려왕들은 경주읍성을 중요시하여 940년에 안동대도독부를 설치 994년에동경유수관을 두는 등 지방통치의 중심을 삼은 경주읍성을 복원하기위해 2002년부터 주위의 토지보상과 건물철거등으로 83억원을 투입하였고 2012년 까지 총605억원을 들여 동북성곽 1100m및 동문의 향일문과 북문인 공진문을 복원한다고 한다.

하루빨리 복원이 되어 옛 경주의 모습을 보았서면하고 낙안읍성처럼 하나의 관광상품이 되었서면 하는 바램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경주읍성에서 출토된 주춧돌과 경주읍성을 알리는 초라한 표지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복원된 모습을 보이는 경주 읍성의 모습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복원된 성곽의 모습과 그 뒷면으로 돌아가면 보는 모습으로 쓰레기가 나뒹굴고 자라난 나무등으로 곧 허물어질 태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복원현장의 오래된 고목, 밑둥치만 남기고 있지만 고목에 그래도 싹이 트고 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