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기단석에 연꽃문양이 좌우로 정면과 귀로는 인왕상을 돋을 새김하여 놓았다. 그리고 연꽃좌대을 아래위로 두어 서로 대칭을 두었어며 탑신의 문양과 연꽃봉우리 또한 아름다운 모습을 하고 있는 아름다운 모습이다

산스크리스트 글자를 새겨 놓았다..

연꽃좌대를 서로 돌여 놓아 안정감과 부도탑의 전체적인 균형감각과 예술성을 배가 시켰다.

앞뒤로 인왕상을 돋을 새김해 놓았다.

좌우로는 연꽃문양을 돋을 새김하였어며




부도란 흔히 유명한 스님들의 사리를 보관하는 탑으로 알고 있다.
그래서 오래된 사찰이나고승들이 수도를 하였던 사찰에 가면 절 입구 한 켠 에 부도 탑이 전시되어 있어며 그 사찰의 전통을 나타내고 있다.
부도탑에 이끼류가 끼여 있어면 어쩐지 모르게 옷메무시를 정리하고 다시한번 그 부도탑을 보게 된다. 어느분의 사리탑인지를...

남암산 아래에는 고색창연한 사찰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지만 청송사지란 절터가 있다. 신라 효소왕때 처묵(處默)이 창건한 절로 알려져 있으며 그 외의 정확한 자료는 찾을 수 가 없다 한다.
청송마을로 불리는 그 자리가 청송사 절터로 부도탑과 삼층탑등을 보면 규모가 엄청 큰 절이 들어 서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송사지의 부도탑은 유형문화제 재3호로 지정되어 있어며 망해사의 부도탑과 다른 형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망해사의 부도탑은 탑의 형태를 보여주는 현재 보기 드문 형태의 모습이고 신라시대 부도탑이며 청송사지 부도탑은 지금 많이 볼 수 있는 석종형태의 부도탑이다.
현재 청송사지의 부도는 모두 3기로 두기는 온전한 모습을 갖추고 있지만 한기는 돌종형태의 모습만을 하고 있다.
좌측의 부도탑은 높이가 3M로 꽤 큰편이며 4단의 형태로 지대석 기대석 연꽃좌대, 탑신으로 짜여져 있다.
맨 밑단인 지대석위에다 기대석을 쌓았는데 남북 양면에다가 인왕상을 동서 양면에는 연꽃 문양을 돋을 새김하였다.
문양이 매우 아름답게 세겨져 있어며 독특하다. 그리고 연꽃좌대 위에다 석종형태의 탑신을 놓아 균형을 맞추었어며 탑신아래에다 산스크리스터 글자가 새겨져 있고 윗부분에는 연꽃 봉우리가 크게 새겨져 있다.
가운데 부도는 기대석 네면에 연꽃문양을 돌여 돋을 새김 해 놓았어며 탑신에는 주인이 누구인지 알 수 있도록 “서응당 진흡대사”란 글자가 아래부분에는 구름무늬(고사리무늬)를 새겨 놓았다.
우측의 부도는 높이 1.2M로 1982년에 복원을 하여 기단도 없이 놓여져 있으며 문양도 없는 깨끗한 모양을 하고 있다.



서응당 진흡대사란 글이 새겨져 있다.

기대석에는 연꽃문양과  탑신의 아래부분에는 구름문양을 그려 놓았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문화재청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VdkVgwKey=21,00030000,26&queryText=V_KDCD=21








728x90

728x90

울산시 울주군 청량면 율리 문수초등학교 뒤편 남암산 아래에는 청송사지터가 있다 대여섯채가 옹기종기 모여 생활하는 이곳 일대가 신라시대 청송사지터이다. 지금은 옛 절터가 미나리깡이나 논 밭으로 변해 있지만 절의 규모가 엄청 커 부도탑의 거리와 삼층석탑 그리고 부추밭의 바위에 일부 남아있는 예술조각의 흔적들이 그 당시의 청송사 규모를 말해준다. 청송사지로 갈려면 영해마을 문수암 올라가는 길로 가야한다. 영축사지터를 지나 문수암 갈림길에서 좌로 틀어 일방통행로 길을 따라가면 철탑의 성불암 갈림길에서 다시 좌측 문수분교방향으로 내려선다. 호젓한 대나무 숲길이다. 대나무 숲길을 나오면 청송사지 삼층석탑과 만난다. 눈에 펼쳐지는 관경은 호리병속의 입구를 지나면 눈앞의 삼층석탑과 한가로운 농촌의 들녁 풍경이 펼쳐진다. 외부와 단절된 느낌이다. 신선이 산다는 청학동이 따라 있을까? 여기가 청학동이 아닐까 하는 쓸데없는 생각도 해 본다. 청송사지 삼층석탑은 보물 제382호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전체적인 느낌은 군더더기가 없는 깔끔한 느낌이다.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을 세운 모습이다.
기단은 각 모서리와 중앙에 기둥을 새기고, 마감돌 위에 다른 돌로 2단의 모난 괴임돌을 끼워서 각각 윗돌을 받치도록 하였다.
탑신(塔身)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다.
1층 몸돌이 특히 길고 크며, 2층 몸돌은 급격히 줄어들었고, 각 몸돌 모서리에는 기둥모양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 밑면에는 5단의 받침이 있고, 추녀가 두꺼워 지붕 네 귀퉁이의 치켜올림이 약하며 처마는 수평으로 길이가 짧다.
 꼭대기에는 머리 장식을 받치는 노반(露盤)만 남아 있다.

이 탑은 기단의 짜임새가 정연하지 못하고, 1층 몸돌이 지나치게 큰 반면 지붕돌이 작아서 좋은 비례로 보기 어려우나, 지방에 분포된 신라 석탑의 한 예로 주목할 만하다. 또한 1층 몸돌의 괴임돌이 다른 돌로 되어 있는 점은 탑의 특이한 조형과 아울러 9세기 이후에 조성된 것을 짐작하게 한다.

1962년 해체, 수리할 당시 위층 기단에서 동제사리함이 발견되었다.
그 안에 청동여래입상 1구를 비롯하여 유리구슬 16점, 수정으로 만든 곱은옥 1점, 관옥 1점 등 30여 점이 발견되었다. <문화재청의 자료를 인용함>


우바이 백화당 낭옥님의 부도로 청송사지 부도중에 유일하게 청신녀의 부도이다. 울주군 청량면 율리 산1183번지 부도골 논둑에 묻혀 있던것을 1990년 수집상에 의해 전라도까지 유출된 것을 지안스님외 마을주민이 함께 되찾아 왔다한다. 현재 삼층탑 앞에 송덕비와 함께 있다.

청송사지의 규모는 얼마나 큰지 부추밭의 담벽 바위에도 무엇인가 둘러 산 문양이 새겨져 있고  뜯겨나간 바위면에도 문양이 새겨져 있을 것이라고 짐작을 할 수 있다.

현 청송사는 최근에 다시 불사를 일으켜 세중건한 절로서 삼층석탑 우측 청송마을에 위치를 하고 있는 조용한 사찰이다




처마 끝의 단청이 우아하게 색칠이 되어 있어며 대웅전 주변에도 깨끗하개 주변을 정리하였다.
대웅전 기둥의 부처님과 옛 청송사지터의 규모를 보여 주고 있다.

걸어서 청송사지 가기위해....
문수산  남암산 아래 청량면 율리 마을에는 많은 문화재가 산재해 있다. 이번 답사에서는 문수암은 빼고 하였다. 그래서 먼저 답사한 곳이 망해사지, 망해사지 보도탑을 보고 걸어 문수산 등산로를 넘어 내려서면 영해마을, 그기서 길을 따라 뚜벅뚜벅 걸어오르면 문수암으로 가는 도로를 따르지 않고 굿당이란 안내판을 보고 올라간다.청송사지를 만나기 위함인데 문수암도로를 따라가면 지겹고 안그래도 안좋은 무릅도 아플 것 같고 우회하고 해서 위치를 가늠해 대충 산길을 잡아 올라가며 농사 일을 하는 몇분에게 청송사지 삼층탑을 물어니 거의 돌아오는 답이 모른다. 가보지 않았다. 탑이 있나요하는 대답뿐이다. 부산에 있는 나도 그것쯤은 아는데 혹 이마을 쪽에서 청송사지로 넘어가는 반듯한 길을 물어볼여고 했더니 대 실망이다. 요즘은 복잡한 도시를 떠나 노후를 농촌에서 보내는 분이 많은 것 같아 그런분들인가 생각을 한다. 이제 농촌의 어른신들은 다 어디갔는가요? 그것이 궁금합니다.
굿당 밑에서 농사일을 하는 분에게도 길을 물어보니 시원한 답이 없다. 굿당을 통과할여고 하니 그놈의 똥개(?)가 자꾸 짓는다.내가 ?라 해서 그런지 엄청 짓어 할 수 없이 돌아나와 능선을 돌아 굿당을 우회하여 산길을 잡고 치고 오른다. ?야 메롱하며 능선에 오르니 희미한 갈림길.좌측의 중간길로 길을 잡아 내려갈려고 보니 능선의 형태가 너무 밑으로 떨어 질 것 같아 우측으로 능선을 따라 오른다. 길의 흔적도 나타나고 끊어지고, 우회하고하여 문수가든 뒤 족구장으로 떨어졌다 문수가든을 나와 우측으로 틀면 바로 청송사지터였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문화재청 청송사지 삼층석탑을 보세요.
http://www.cha.go.kr/unisearch/Uniresult_Db_View.jsp?VdkVgwKey=12,03820000,26&queryText=청송사지삼층석탑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