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동래 읍성지(東萊 邑城址)

동래읍성은 현재의 동래 일원 즉 복천동, 안락동, 명륜동, 칠산동, 명장동 일대에 걸쳐져 있는 성으로 조선시대 동래부의 행정중심지를 둘러싸고 있었던 읍성이다. 안락로타리의 충렬사 뒤산인 동장대에서 인생문를 거쳐 북장대의 마안산으로 연결되고 동래향교 뒷산의 낮은 산등성이를 전부 포함하며 현재 동래시장이 있는 평탄한 곳까지도 여기에 포함된다.


 




산성과 평지성의 형식을 접목하여 장점을 이용한 평산성의 형식으로 쌓았다. 삼한시대에부터 부분적으로 성의 형태를 갖추어진 것으로 보지만 동래성에 관한 기록은 고려사에 보이는 현종12년인 1021년에 동래성을 수리한 것으로 나와 있다.
1387년 고려 우왕13년에 박위가 왜구를 막기 위해 쌓은 후 조선시대에 들어와 동래부는 대일 외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아의 규모도 키우고 격식 또한 높혔다. 그래서 정3품의 부사를 두어 관할하게 하였는데 이는 왜적을 방어하기 위함이였다.

 



1592년인 선조 25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왜군은 부산진성과 함께 제1공격목표를 정했다한다. 이에 동래부사 송상현은 동래성을 사수하기 위해 민관군과 함께 끝까지 싸우다가 장렬하게 전사를 하게 된다.
임진왜란이 끝나자 성은 허물어진채로 방치되어 오다가 1731년 영조7년에 와서 정언섭에 의해 기존의 성보다도 규모가 큰 성을 다시 쌓았다한다.
이때 쌓았던 성의 흔적을 토대로 지금 동래읍성을 새로 복원하게 된 것이다. 증축된 성의 규모는 성곽이 3.8km, 읍성에는 사대문인 동,서,남,북문과 인생문, 암문이 있고 각 문에는 문루가 있었다한다. 





동문을 지회루, 서문을 심성루, 남문을 무우루, 암문을 은일루라고 하였다. 동래읍성중 평지에 있었던 남문은 위치로 보아 중요하게 여겨 익성을 두었는데 앞쪽의 세병문과 뒤쪽의 주조문의 이중구조로 되어있었다. 일제강점기때 시가지정비계획에 의해 평지에 있던 성벽은 철거되고 마안산등 일부에만 그 흔적이 남아 있다가 북문, 북장대, 동장대. 서장대, 인생문이 복원되었고 치성과 여장등이 보수 또는 수리중이다.



동래읍성의 장대중 하나인 북장대는 1737년 영조13년에 좌천동 동구 도서관 옆 증산 위에 세워졌다가 20년후 이곳으로 옮겨 온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그때의 장대는 없어지고 1999년 현재의 북장대는 복원이 되었다. 1870년 고정7년에 동래부사 정현덕이 왜적의 침입에 대비하여 성벽과 문루등을 고쳐 쌓았는데 서장대를 세워 장수의 지휘와 주변 경계를 강화하도록 하였다한다.



북장대는 읍성중에 가장 높은 위치에 있어 성내외에 있는 군대를 쉽게 지휘할수 있었으며 6개의 문중 하나인 인생문은 임진왜란때 이곳 인생문으로 피난을 위해 성을 빠져나간 사람은 모두 목숨을 건졌다하여 사람을 살린 문이라하여 인생문으로 부르게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당시 동래부사 송상현이 성문을 굳게 닫고 문루에있는 송상현을 보고 소서행장이 길을 빌려달라고 하였습니다. 왜구는 명나라를 칠려고 하니 조선은 우리에게 길을 빌려달라고 하였는데 정발장군이 길을 빌려 줄 수 없다하며 반대하여 종과부적과 조총으로 인해 부산진성은 함락되고 그 길로 동래성으로 쳐들어 왔다고 합니다. 



소서행장이 송상현에게 "싸울테면 나와서 싸우고 그렇치않으면 길을 빌려달라"고 하니 송상현이 "죽기는 쉬워도 길을 빌려 주기는 어렵다"는 답글로 결연의 의지를 보여줍니다. 그러나 송상현의 그 결연한 의지도 군사의 열세와  조총으로 중무장한 왜적을 이길수는 없었습니다. 동래성은 함락 되었고 송상현은 동래성과 끝까지 함께 하다가 순절하였습니다. 그 역사의 성인 동래읍성 주위로는 볼거리도 많이 있습니다. 송상현과 정발장군등 숱한 선열들을 모신 곳인 충렬사가 있으며, 복천동고분군, 동래향교등 문화유적과 함께 역사성도 많은 곳으로 자녀분과 주말에 방문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

728x90

복천동에 가면 복천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적을 모아 복천박물관을 개관해 놓았다.

국가사적 제273호인 복천동고분군의 조사 내용을 종합하여 전시해 놓은 곳으로1996년 10월 부산지역의 가야와 신라문화를 복원하여 개관하였다. 복천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많은 유물과 무덤방식은 가야의 신비를 풀어줄 열쇠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제1전시실은 삼국시대의 모태가 된 삼한시대의 역사와 문화, 삼국문화의 비교, 그리고 가야 멸망이후의 복천동 고분군의 무덤규모와 내부를 볼 수 있다.

부산지역의 삼국시대에 변한 12국에 속하였으며, 삼국시대에는 화려한 가야문화가 꽃피었다가 5C 중기 이후 신라의 영역에 속하게 된다. 노포동고분군, 복천동 고분군,연산동고분군이 이러한 과정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적이다.

제2전시설은 복천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다양한 유물을 장르별로 전사하였고 인접지역애서 출토된 유물을 비교 전시하여 복천동 고분군의 성격을 볼 수 있다. 복천동 고분군에는 굽다리접시, 그릇받침, 목항아리등 다양한 종류의 도기가 나왔다. 특히 신발모양토기,오리모양토기, 말머리모양뿔잔 등은 뒤어난 조형미를 보여줄 뿐 아니라, 당시의 의식행위나 죽은자에 대한 영혼사상을 알 수 있게 해준다.

*관람안내*

*관람시간:09:00~18:00(오후5시 매표마감)

*관람료:어른500원, 청소년.군인 300원, 어린이.65세 이상.장애인 무료

*휴관일:매년 1월1일, 매주월요일(월요일이 공휴일 경우 그다음날)
(복천박물관 팜프렛 발췌)

*복천박물관의 전시유물*

먼저 1층의 부산의 역사 방입니다.

조선시대까지 이어온 도기류등 많은 문화재를 관람할 수 있습니다.



















복천동 고분군에서 볼 수 있는 무덤의 형태는 덧널무덤과 구덩식돌덧널무덤을 볼 수 있다.

복천박물관 전경

복천동고분군

*복천박물관에 들어서면 사진촬영금지란 안내판이 있어 사진을 다 촬영하지 못하였습니다. 안내장에 보면 플레쉬와 삼각대를 사용하지 말라고 되어 있는데 마 마음 놓고 찍는 건데...괜이 양심이 쪼리가지고...*


728x90

728x90

☞(부산여행/동래여행)동래 복천동고분군. 도심한복판의 U.F.O가 가야시대 고분인 복천동고분군

 

복천동 고분군

사적 제273호

소재지: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50일원

<반구 돔형태의 건물로 안으로 들어서면 발굴현장의 모습과 출토된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덧널무덤과 구덩식돌덧널무덤을 출토당시의 모습으로 보여 주고 있다.>

 복천동 고분군은 현재 동래마안산의 중심부에서 서남쪽으로 길게 뻗은 구릉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부산에서는 대표적인 고분이다.

 

1969년 주택공사를 하면서 고분군 일부가

 


 

 

 파괴되며 이세상에 존재를 알리게 되었는데 1995년 까지 부산대학교와 시립박물관이 중심으로 발굴 조사가 실시되었다.

현재까지 출토된 유구는 130여 기에 달하고 출토유물은 9천점에 이른다 한다. 출토된 유물의 분포를 보면 토기류, 철기류, 장신구류, 인골, 말 이빨 같은 동물의 몸체 일부도 같이 출토되었다.

동래구청이 있는 동래시장을 통과하여  우성베스토피아 아파트 앞을 지나면 복천동 고분군으로 갈 수 있다.

고분공원으로 무덤자리는 회양목을 심어 돌여 놓았으며  까만 빗돌로 고분임을 표시 하였다. 



도심한 복판에서 가야 신비를 경험할 수 있다. 1969년 주택공사 과정에서 고분군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동서남은 시내와 접하고 북으로는 동래읍성이 둘러 쳐져 있어 시민공원으로 많은 주민들이 고분군을 산책하며 야와고분군은 무료로 관람을 할 수 있다. 




복천고분군의 53호인 구덩식돌넛무덤(수혈식석곽묘)의 내부로 출토된 당시의 모습으로 전시를 하고 있다.




복천동 고분군 54호 무덤인 덧널무덤(목곽묘) 내부로 출토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전시하고 있다.


 




밤이 아름다울 것 같은 복천동 고분군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