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경주여행/경주가볼만한곳)경주 신문왕릉. 문무왕의 뒤를 이은 신라 31대 신문왕릉을 여행하다. 


신문왕은 신라 31대 왕으로 삼국통일의 과업을 완수한 부왕 문무왕의 장자로 성은 김 씨, 이름은 정명 자는 일초입니다. 664년 문무왕 4년에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681년에 왕위에 올라 10년 남짓 통일신라를 이끌었습니다. 어머니는 자의왕후이며 왕비는 소판 김흠돌의 딸인 김 씨였지만 아버지 김흠돌이 반란을 일으켜 출궁 당하자 다시 일길찬 김흠운의 딸을 왕비로 맞았습니다.





경주 신문왕릉 주소:경상북도 경주시 배반동 453-1

신문왕릉 문의 전화:054-779-6396



2014/05/21 - (경주여행/감은사지 이견대 문무대왕수중릉 여행) 호국용 문무대왕의 혼이 깃든 경주 감은사지 이견대 대왕암 이른 봄여행

2016/04/29 - (경북여행/경주여행)능지탑지. 문무대왕 화장터로 알려진 경주 능지탑지 여행. 능지탑지

2014/05/27 - (경북여행/경주여행)동해의 신비 경주주상절리 파도소리길 걷기, 읍천항벽화마을, 이견대, 문무대왕수중릉, 감은사지 해파랑길 걷기




신문왕에 대해서는 역사적으로 많은 일을 한 분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또한 감은사와 만파식적등 신문왕과 문무왕에 얽힌 흥미로운 전설로 익히 들어 알고 있습니다. 신문왕이 즉위하던 그해에 장인인 김흠돌이 모반을 꾀했습니다. 모반의 사유가 궁색하지만 왕비인 딸이 아들을 낳지 못했다는 일과 진복의 상대등 임명 건에 반기를 들었던 곳으로 유추하고 있을 뿐입니다.

 


그러나 난을 평정하고 그에 연루된 모든 사람을 처형시켰는데 심지어 반란모의를 사전에 알고도 고하지 않았다는 죄목으로 이찬 군관과 그의 아들까지 죽게 하였습니다. 이 사건을 기화로 신문왕은 귀족세력의 권력을 제어함과 동시에 전제왕권을 더욱 강화하였습니다. 신문왕 하면 퍼뜩 떠오르는 게 있습니다.





이견대에서 해룡으로부터 받았다는 피리 만파식적과 선왕인 문무왕이 왜군을 진압하기 위해 세웠던 감은사입니다. 지금은 절터의 흔적인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만 국보로 지정되어 그 터가 일부 남아 있습니다. 앞에서도 이야기했지만 감은사는 문무왕이 착공을 했지만, 완공을 못 보고 신문왕이 아버지의 유지를 이어받아 682년인 신문왕 2년에 완공했습니다.





처음에는 나라를 지킨다는 뜻인 진국사였습니다. 그러다 신문왕은 아버지 문무왕의 호국 충정에 감읍하여 감은사로 고쳐 불렀습니다. 문무왕은 죽으면서 용이되어 신라를 왜적으로부터 시키겠다며 동해에다 장사지낼 것을 유언하였습니다. 신문왕은 그 유지를 받들어 경주 낭산의 능지탑에서 문무왕을 화장하여 그 뼈를 감포 동해구의 물속 바위에 안장했는데 후세에 와 이 바위를 대왕암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감은사 금당은 일반사찰의 금당과는 다른 모습인데 꼭 돌다리 형태입니다. 이는 신문왕이 바다의 용으로 변한 부왕을 이곳에서 쉴 수 있게 금당 아래에다 바다로 연결된 통로를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또 하는 만파식적입니다. 만파식적은 만능 피리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습니다. 피리를 불면 파도가 일렁이면서 강한 태풍으로 변해 왜군의 배를 모두 물속에 가라앉게 했다는 전설의 피리입니다.





신문왕은 부왕을 위해 감은사를 완공하자 다음 해 작은 산 하나가 감은사 앞바다에 떠 있다는 전갈에 “이는 호국용으로 변한 문무왕과 천신으로 변한 김유신이 보배를 주려는 것입니다”라는 말을 듣고 신문왕은 이견대로 달려갔습니다. 그곳에는 대나무 한줄기가 있었으며 낮에는 대나무가 둘이 되었다가 밤에는 하나가 되었습니다. 다음날 대나무가 하나가 되자 왕은 산에 들어갔습니다.





어디선가 용이 나타나 그에게 검은 옥대를 주면서 소리로써 천하를 다스리는 상스러운 피리라며 대나무가 하나가 되었을 때 베어 피리를 만들라 하였습니다. 신문왕은 그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어 천존사에 보관하였으며 만파식적이라 하고 국보로 삼았습니다. 이번 신문왕 포스팅은 신문왕이 이룬 업적도 중요하지만, 만파식적과 감은사의 전설이 더욱 흥미로워 옮겨보았습니다.

 




신문왕은 옛 백제와 고구려 백성들을 융합하여 하나의 통일신라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통일신라의 기틀을 다지는 등 국학 설립으로 인재 양성에 힘썼으며 녹읍 폐지와 관료전 지급 및 지방 통치를 위한 9주 5소경 제도를 완성하고 여러 국가제도를 정비하여 전제 왕권의 기틀도 마련했던 국왕입니다.







신문왕의 장지는 현재 경주 남산 아래에 있습니다. 둥글게 흙을 쌓은 원형봉토분이며 봉분 아래에는 둘레석을 돌렸는데 자연석을 블록 모양으로 다듬어 5단으로 쌓았습니다. 이는 무덤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호석이라합니다. 호석 맨 위에는 덮개돌인 갑석을 올렸습니다. 또한, 호석 주위로 44개의 삼각형 받침돌로 호석을 받치게 했습니다. 남쪽으로 향하는 받침돌 한곳에는 출입구를 뜻하는지 모르겠지만, 문(門)자가 새겨져 있다는데 무엇을 뜻하는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신문왕릉은 둥근 모양으로 흙을 쌓은 원형봉토분입니다. 능의 밑 둘레는 약 92m에 높이는 8m고 봉분 앞에는 크고 긴 사각의 돌기둥을 여러 개 눕혀 쌓아 상석을 만들었습니다. 삼국사기에는 신문왕릉은 낭산 동쪽에다 장사 지냈다는 기록에 근거하여 현재의 왕릉으로 비정한 상태입니다.


 

그러나 100% 맞는다고는 할 수 없는 일부 사학자들 사이에서는 황복사지 인근에 있는 보문들에 십이지상 등이 남아 있는 능을 신문왕릉이라고 주장합니다. 그 왕릉은 논 가운데 폐허가 되어 있으며 지금 발굴 작업이 한창 진행 중이었습니다. 현재 공식적인 신문왕릉은 배반동에 있으며 이번에 포스팅한 곳입니다. 참고하세요. 경주에 엄습한 강력한 지진으로 신문왕릉의 출입문인 솟을 대문의 벽체가 떨어져 나간곳이 여러곳 있었습니다. 어서 빨리 보수가 필요해 보였습니다. 경주 신문왕릉 사적 제181호

728x90

728x90



 

 

 ☞(경주여행/감은사지 이견대 문무대왕수중릉 여행) 호국용 문무대왕의 혼이 깃든 경주 감은사지 이견대 대왕암 여행.


경주는 노천박물관이라 할 정도로 많은 신라시대의 불교유적이 있습니다. 경주 남산을 위시한 경주 시내에 수 없이 많은 문화재를 보면서 신라인의 예술성과 믿을 수 밖에 없는 전설 등을 듣고 있노라면 그 속으로 자연히 빨려 들어가는 나 자신을 발견하곤 합니다. 그만큼 흥미 진지한 이야기가 있는 신라의 서라벌  속으로 달려가 봅니다.



 

 

 

이번 경주 여행은 양북면과 감포읍에 있는 문무대왕 전설의 감은사와 이견대, 문무대왕릉의 대왕암을 찾아 갔습니다. 고향이 경주라 자주는 가 보질 못하지만 그래도 여러 번 가보았던 곳이며 학창 시절 때 한번쯤 들었던 호국용 이야기와 만파식적은 아직도 기억 속에 생생하게 남아 있습니다.



 

 

 

먼저 토함산의 추령고개(지금은 추령터널을 지나면 금방임)를 넘어 쏜살같이 내려가면 일렁이는 동해 바다가 펼쳐집니다. 바다에 닿기 전 왼쪽으로 웅장한 쌍탑이 있는곳이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의 감은사지입니다.



 

 

 

감은사지는 문무대왕이 죽어 호국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는 전설이 전해 오고 있는 곳입니다. 백제와 고구려를 차례로 굴복시키고 삼국을 통일한 문무대왕은 언제나 바다 건너 왜구가 걱정이었습니다. 왜구와 가까운 위치에 있던 남해안과 동해안의 경주와 울산에는 왜구의 잦은 출몰로 백성들의 핍박이 심해 부처님의 원력으로 이들을 물리치기 위해 문무왕은 감은사를 짓습니다.


 

 

 

 

문무대왕은 절의 완공을 보지 못하고 죽자 그의 아들인 31대 신문왕이 부왕의 유업을 받들어 절을 완공하며 ‘아버지 은혜에 감사하다’는 뜻인 ‘감은사’로 이름 하였습니다. 현재 감은사지는 동탑과 서탑이 세워져 있으며 옛 절터의 흔적인 금당 터가 남아 있습니다.


 

 

 

 

금당터 아래는 움푹 파여진 모습이며 이곳으로 동해의 용으로 화한 문무대왕이 대종천을 거슬러 올라와 이곳에서 몸을 쉬게 하였다는 곳입니다. 1959년 발굴 조사가 시작되었는데 금당의 바닥구조는 마치 바위를 깎아 마루를 깔듯이 특이한 구조를 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어 문무왕의 전설이 더욱 신빙성을 갖게 합니다.



 

 

 

금당 앞의 쌍탑을 보겠습니다. 국보 제 112호 지정된 감은사지 동서 3층석탑은 682년 신문왕 2년에 창건된 감은사의 부속 석탑입니다. 창건연대를 알 수 있는 가장 오래된 탑으로 높이는 13.4m에 이중 기단 위에 몸체돌을 세우고 처마 밑은 직각으로 꺾어 5단의 계단식 받침이 층단을 이루게 하였습니다. 지붕돌 위는 곡면을 이루어 우리나라 석탑 양식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감은사지 동서 3층 석탑의 특징은 하나의 큰돌로 이루어 진 것이 아닌 수십개에 이르는 부분석재로 조립되었다는 점이며. 1959년부터 1960년까지 서탑을 해체복원하였고 1996년에는 동탑을 해체하여 복원하였습니다. 그 때 동서 탑에서 금동제 사리함과 사리가 들어 있는 수정 사리병이 발견되었습니다.



 

 

 

 

 

 

 

 

 

 

 

 

 

 

 

 

 

 

 

 

 

 

 

 

 

 

 

 

 

 

 

 

 

 

 

 

 

 

 

 

 

 

 

 

 

 

 

 

 

 

 

 

 

 

 

 

 

 

 

 

 

 

 

 

 

 

 

 

 

 

 

 

감포읍 대본리에는 이견대가 있습니다. 신라 문무왕이 죽어서도 동해의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킨다며 수중릉을 만들었던 대왕암을 볼 수 있는 정자입니다. 삼국유사의 기록에는 신문왕은 호국용이 된 부왕 문무왕을 위해 감은사를 완공하였고 이견대는 바다에 나타난 용을 보고 나라에 큰 이익을 얻었다는 곳으로 신문왕은 이견대에서 문무왕과 김유신이 보냈다는 대나무로 만든 피리인 만파식적를 받았던 곳입니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이견대는 중국의 주역인 ‘비룡재천이견대인(飛龍在天 利見大人)’에서 글귀를 빌려 “큰 용이 바다에 있는 것을 보았다”다며 기록하고 있습니다. 신문왕이 문무왕을 생각하며 세웠던 이견대는 없어졌지만 현재의 이견대에 세워진 정자는 1970년에 발굴하여 건물지를 확인하고 1979년에 신라의 건축 양식을 추정하여 세웠던 정자로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에는 해안과 불과 200m 떨어진 곳에 암초가 있습니다. 옛날부터 대왕암, 문무대왕 수중릉이라 불렀습니다. 삼국통일의 대업을 이룬 문무왕을 모신 곳으로 죽어서 동해의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겠다는 군주의 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대왕암은 자연석을 이용하여 만들었는데 현재도 알 수 있듯이 동서남북으로 네 군대 인공수로가 있습니다. 물은 동쪽으로 들어와 서쪽으로 나가게 하여 항상 수면이 잔잔하게 유지가 됩니다. 그 속에 길이 3.7m, 폭 2.06m의 거북모양의 돌로 만든 덮 게가 놓여 있고 그 안에 문무대왕의 유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역사의 진실을 알기 위해 이곳 대왕암 발굴 계획을 세웠다가 곧 철수를 하였다 합니다. 조사를 하면 대왕암이 문무대왕릉의 전설이 맞다, 아니다는 금방 알 수 있겠지만 모든 진실을 꼭 밝혀내는 것보다도 국민의 가슴속에 각인되어 있는 위대한 문무대왕의 큰 뜻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한 것 같습니다. (참고:신라사람들 ‘동해지역 문화유적 답사 자료집’ http://www.isilla.co.kr)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