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경남여행/창원여행)창원 백월산 산행. 철새들이 떠난 주남저수지가 발아래 창원 백월산 산행

사자 닮은 암봉 3개 넘으니 '철새 요람' 주남지가 발아래에…

월산마을~화양고개 3시간 안팎이면 충분

산에서 볼 수 있는 우리 봄꽃 수십종 만발

높지는 않아도 정상부 암봉서 본 조망 압권

주남저수지·마금산온천 등과 연계 여행도 좋아

 


 

글자 그대로만 해석하면 '흰달산'을 뜻하는 경남 창원 백월산(白月山·428m)은 비록 낮지만 오랜 역사와 전설을 품고있는 유서 깊은 산이다. 게다가 정상부의 우뚝한 3개 암봉으로 인해 '삼산'이라는 별칭을 갖고 있기도 하다. 무엇보다 매력적인 것은 빼어난 조망미를 가졌으면서도 3시간 안팎이면 충분히 산행을 마무리할 수 있어 가족 친지 등과 함께하는 봄나들이 산행지로 적격이라는 점이다. 또 '철새의 요람'인 주남저수지 전체를 가장 잘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고 인근에 마금산온천까지 있어 주남지 여행과 백월산 등산, 온천욕을 묶은 하루 나들이 코스로도 그만이다. 특히 봄에는 온갖 야생화가 만발해 더욱 정겹다.

백월산 산행 중 범골봉에서 본 주남저수지. 왼쪽 정자는 백월산정이다

 

백월산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깊은 역사와 전설이다. 신라 경덕왕(764년) 때 창건된 백월산 남사는 창원 최초의 가람이다. '노힐부득'과 '달달박박'이라는 이름의 두 젊은이가 승려가 된 후 득도해 각각 미륵불과 아미타불이 됐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백월산 남사의 존재 때문에 정병산(봉림산 또는 전단산) 천주산 등 더 큰 산을 제쳐두고 이 산을 창원의 진산으로 인정하는 산꾼들도 적지 않다. 또 하나. 백월산은 산의 명칭을 삼국시대 때부터 1000년이 넘도록 잃어버리지 않고 꿋꿋이 지켜내고 있는 흔치 않은 산들 가운데 하나다. 따지고 보면 고려 조선 일제강점기 등을 거치면서 고유의 이름을 잃어버리거나 빼앗긴 산이 어디 한둘이던가.

백월산으로 가는 길에 볼 수 있는 창원 정병산(566.7m)만 예를 들어 봐도 그렇다. 부산에서 남해고속도로를 타고 진주 방향으로 가다가 진영휴게소를 지날 때 왼쪽 위로 우뚝 솟은 봉우리가 낙남정맥의 주요 봉우리이자 창원의 대표적 산 가운데 하나인 정병산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 그런데 이 정병산(精兵山)이라는 이름은 일제강점기인 1920년께 일본군이 이곳에 병참기지를 두고 군사훈련을 한 곳이라고 해서 그들 마음대로 '정병산'이라 이름 붙이고 군사지도에도 그렇게 표시했다고 한다. 따라서 상당수 창원 시민들과 산꾼들은 옛 이름인 봉림산(鳳林山)으로 부르고 있고 일부 시민들은 "봉림동 봉림사 뒤 야트막한 293m봉이 봉림산이며, 대동여지도 등에 따르면 이 산을 전단산으로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처럼 산 하나를 놓고 여러 개의 이름이 혼용되는 사례가 하나 둘이 아닌 실정을 감안하면 1000년 넘도록 하나의 이름만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백월산은 범상치 않게 느껴진다.


전체 산행은 창원시 북면 월백리 월산마을 입구 등산로 안내판에서 출발, 화양고개에서 마무리한다. 안내판~마을 안 갈림길~이정표~능선 사거리~산불초소~하봉~중봉(정상석과 감시카메라 위치)~백월산 정상(상봉)~갈림길~헬기장~남지갓등~안부~범골봉(백월산정)~안부 사거리(나무다리)~화양고개 순. 총거리 6.2㎞에 걷는 시간만 2시간40분, 휴식과 식사를 감안해도 3시간30분 정도 걸리는 단출한 코스다.

 

월백리 월산마을 입구 등산로 안내판에서 왼쪽에 높이 솟은 백월산 정상부의 3개 암봉을 바라보니 분명히 사자가 엎드려 있는 형상이다. 실제 '사자암'이라고도 불린다. 그런데 산행 중에는 이 사자의 형상을 인식하기 힘들다. 산의 남쪽에 자리 잡은 월산마을과 인근 남백마을 등에서만 사자의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마을 안으로 200m쯤 가다가 전봇대 앞 '등산로 왼쪽' 표지판을 보고 좌회전한다. 민가를 벗어나 비포장 길이 시작된다. 왼쪽 계곡 방향은 버리고 오른쪽 오르막을 타야 한다. 뒤돌아보면 멀리 작대산과 그 왼쪽 농바위가 눈에 들어온다. 적송 우거진 한적한 길을 오르면 10분 후 지능선에 닿는다. 첫 이정표에 '백월산 정상 1.8㎞'라고 표시돼 있다. 정상부의 3개 암봉도 마을에서 볼 때 훨씬 더 크게 다가온다. 곧이어 달성 서씨 묘를 비롯해 무덤이 밀집해 있는 묘지군을 통과한다. 주변에는 온통 양지꽃, 큰구슬붕이, 제비꽃, 줄딸기, 산자고 등 야생화 지천이다. 길 양옆으로 약모밀도 빼곡하다.

15분 후 벤치를 통과해 능선을 따라 10분쯤 더 가면 마산마을과 백월산 정상으로 갈라지는 주능선 사거리에 닿는다. 왼쪽으로 가면 마산마을 하천변으로, 직진해서 내리막을 타면 마산마을 주차장 방향으로 가는 길인데 취재팀은 오른쪽을 택한다. 마산마을 코스의 경우 지난 2002년 1월 '다시 찾는 근교산' 시리즈에서 한 차례 소개한 바 있다. 당시에는 남백마을에서 시작, 정상을 거쳐 마산마을로 하산하는 코스였다.

조금씩 경사도가 높아진다. 그러나 등에 적당히 땀이 묻어날 정도일 뿐 험한 길은 아니다. 길 가에는 진달래 붉은 꽃잎이 4월의 마지막 불꽃 일듯 타오르고 있다. 먼저 불꽃이 인 꽃잎들은 어느새 바닥에 떨어졌다. 김소월의 시처럼 '진달래 꽃 사뿐히 즈려밟으며' 가는 산행은 봄에만 누릴 수 있는 호사다. 15분 후 오른쪽이 탁 트인 바위 전망대에 닿는다. 발아래 들머리인 월산마을이 보이고 고개를 들면 왼쪽부터 진달래축제로 유명한 천주산의 천주봉과 용지봉(정상), 농바위, 작대산 등 그림처럼 펼쳐진다.


전망대를 지나면 서서히 암릉이 나타난다. 짧은 로프구간을 통과해 마루금에 오르면 산불감시 초소가 있다. 백월산의 빼어난 조망미는 이곳 초소부터가 진짜다. 서북쪽의 마금산과 천마산이 우선 드러난다. 이달 중순 개통했다는 두 산 연결 구름다리도 보인다. 천마산 왼쪽으로 무룡산과 작대산 농바위 천주산 천주봉이 이어진다. 또 그 왼쪽으로는 진영휴게소 위 우뚝 솟은 정병산( 봉림산 또는 전단산)과 멀리 장복산 불모산 비음산도 보인다. 초소에서 좀 더 진행 첫 번째 만나는 암봉은 3개의 백월산 암봉 중 가장 낮은 하봉(420m)이고 곧이어 북면공설운동장으로 내려서는 갈림길 직후에 만나는 두 번째 암봉이 백월산 정상석과 카메라가 서 있는 중봉(426m)이다. 그런데 국립지리정보원 발행 2만5000분의 1 지형도에는 이 봉우리가 해발 426m이고 100m쯤 더 가야 되는, 가장 동쪽 봉우리인 상봉으로 불리는 암봉이 428m인데 '해발 428m'라고 적힌 정상석은 중봉에 세워져 있어 다소 혼란스럽다. 실제 상봉 제일 높은 바위에 올라보면 눈으로 어림잡아도 정상석이 선 중봉에 비해 좀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봉과 중봉 상봉 주변에는 모두 쉴만한 공터와 벤치가 많아 점심 식사를 하기에 적당하다. 또한 세 봉우리 모두 조망이 빼어난데 북쪽에 유유히 흐르는 낙동강과 그 너머 창녕 영취산 화왕산 능선, 밀양 종남산, 청도 화악산까지 시원하게 펼쳐진다.

 

백월산 산불초소 부근에서는 작대산과 무룡산이 잘 보인다.

 

상봉을 지나 200m쯤 가면 갈림길. 직진하면 마산마을로 내려가게 되지만 취재팀은 헬기장 방향인 오른쪽 내리막을 택한다. 5분 후 안부인 헬기장에서는 직진하는 넓은 임도가 있는데 조림구역이라며 통행금지 간판과 철조망이 설치돼 있다. 당황하지 말자. 오른쪽 월산마을 입구 방향으로 3m만 살짝 내려섰다가 왼쪽으로 꺽으면 능선과 평행선을 그리며 이어지는 등산로가 있다. 이 길을 따라 10분쯤 가면 잣나무 조림구역이 끝나는 지점에서 다시 능선에 올라서게 되고 곧바로 작은 봉우리인 남지갓등에 닿는다. 오른쪽 내리막은 남백마을로 하산하는 길이지만 화양고개 방향으로 직진한다. 2분 후 정면이 탁 트이며 주남저수지가 내려다보이는 무덤에서 길 찾기에 주의해야 한다. 언뜻 직진하기 쉽지만 정면에 보이는 범골봉으로 가는 길은 왼쪽 급경사 내리막을 타야 한다. 난간 기둥을 이은 로프가 설치돼 있는 길이다. 왼쪽으로 꺾어 내려섰다가 시계 방향으로 크게 돌아가는 구간이다.

안부를 지나 작은 봉우리 2개를 타고 넘어 능선을 이어가면 20분 후 범골봉 정상에 닿는다. 왼쪽에 '백월산정'이라는 이름을 가진 정자 겸 전망대가 있다. 주남저수지 전경을 가장 잘 조망할 수 있는 곳이다. 망원경 2대가 설치돼 있기도 하다. 확 트인 주남지를 내려다보며 봄날의 정취를 한껏 만끽할 수 있다. 내리막을 타고 10분 남짓이면 안부 사거리에 닿는다. 오른쪽은 남백마을로 내려서는 길. 직진하면 아담한 크기의 목제 다리를 건너 10분 만에 화양고개에 닿는다. 산불감시 초소가 있다. 이곳에서 도로를 건너 산길을 이어가면 구룡산을 거쳐 낙남정맥을 탈 수도 있다.

◆ 떠나기 전에

- 중국 당나라 황실 연못에 백월산 모습 비쳤다는 전설


백월산이라는 이름이 붙게 된 것은 중국 당나라의 황제와 연관된 전설과 관련이 있다. 당시 당나라 궁궐에 있던 연못에 사자 모양의 암봉이 있는 산의 모습이 비쳤는데 황제가 화공에게 그 모습을 그리게 한 뒤 신하들에게 '도대체 저 산이 어디에 있는 산인지 찾아보라'고 지시를 내렸다. 중국의 산을 샅샅이 뒤져도 같은 모양의 산을 찾지 못하자 신라 땅에까지 중국 관리들이 넘어왔다. 그런데 이 산의 모습을 본 한 당나라 관리가 비로소 찾았다며 신발 한 짝을 벗어 바위 위에 놓아두고 당나라로 돌아가 연못에 비친 산을 보니 신발이 함께 보여 문제의 그 산임이 증명됐다. 그러자 당나라 황제가 이 산의 이름을 백월산이라고 지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처럼 중국 황제와 연관된 우리 산 이름이 많다. 고흥 팔영산의 경우도 중국 위왕이 대야에 담긴 물에 비친 8개의 암봉 모양을 보고 신하에게 명해 그 산을 찾으라 한 후, 한반도 남단에서 결국 찾아내자 '여덟 개의 그림자가 비쳤다'며 팔영산(八影山)이라 불렀다고 전해진다. 대구 달성군의 비슬산 정상인 대견봉 역시 중국 당나라 태종의 대야속 물에 비친 산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현호색과 솜방망이
◆ 교통편

 

그런데 이처럼 중국 황제와 연관된 우리 산 이름이 많다. 고흥 팔영산의 경우도 중국 위왕이 대야에 담긴 물에 비친 8개의 암봉 모양을 보고 신하에게 명해 그 산을 찾으라 한 후, 한반도 남단에서 결국 찾아내자 '여덟 개의 그림자가 비쳤다'며 팔영산(八影山)이라 불렀다고 전해진다. 대구 달성군의 비슬산 정상인 대견봉 역시 중국 당나라 태종의 대야속 물에 비친 산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 북창원IC에서 내려 우회전 후 마금산온천 쪽 좌회전

대중교통을 이용해 백월산 산행 기점인 창원시 북면 월산마을까지 가려면 우선 마산시외버스터미널까지 가는 것이 더 편리하다. 부산서부버스터미널에서 마산행 시외버스는 오전 5시40분부터 7~8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3500원. 마산버스터미널 앞에서 창원 북면 월백리행 23번 버스를 타면 되는데 오전 6시와 9시, 낮 12시 등에 운행한다. 남백마을이 종점인데 직전 마을인 월산마을 버스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된다. 산행 후 화양고개에서는 남백마을까지 15분 정도 걸어간 뒤 23번 버스를 탈 수 있다. 오후 3시20분, 6시20분, 밤 9시 등에 출발한다.

자가용을 이용할 경우 남해고속도로 북창원IC에서 내려 우회전 한 후 곧바로 마금산온천 방향으로 좌회전, 79번 국도를 타고 가다가 월촌리 월백리 방향 이정표를 보고 우회전, 5분만 가면 월산마을 입구에 닿는다. 주차 장소가 마땅치 않으니 마을 주변 적당한 공터를 잘 찾아 주차를 해야 한다. 날머리 화양고개에서 차량 회수를 하기 위해서는 30분 가량 걸으면 된다.

문의=국제신문 주말레저팀 (051)500-5169

 

이창우 산행대장 011-563-0254

글=이승렬 기자 bungse@kookje.co.kr254 (http://yahoe.tistory.com)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