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무등산 증심사*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호

소재지:광주시 동구 운림동



통일신라시대 철감선사 도윤스님(798~868)에 의해 창건 되었다 한다.

1094년인 고려 선종 11년에 혜조국사가 다시 짓고 세종25년인 1443년에 세 번째로 지었다 한다. 그후 정유재란때 불타버린 것을 광해군 1년인 1609년 석경, 수장, 도광 세 선사에 의해 네 번째 중수되었다. 그러나 그후 6.25전쟁때 모든 건물이 불타 버리고 폐허가 되다시피 하였지만 1970년대부터 현재의 건물로 복원을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무등산 증심사의 일주문
천년의 세월만큼 많은 부도탑이 서 있다.



증심사의 화려한 대웅전으로 6.25전쟁때 소실된 것을 1970년 이후에 중건되었다.








사문유관상과 유성출가상의 그림글이 대웅전 한켠에 그려져 있다.
지장전












*증심사 석조보살입상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4호







고려시대에 만든 불상으로 원래에는 담양군 남면 정곡리 서봉사지에 있던 것을 증심사로 옮겨 온 것으로 전해진다.상중하의 대석과 바닥돌을 갖추고 머리에는 원통형의 보관을 올리고 얼굴은 갸름하면서 은은힌 웃음을 띠고 있고 우아항 기품이 흘러나온다. 대석에 세겨진 화려한 연꽃무늬와 목에 장식한 목걸이, 부드러우면서도 고운 옷무늬의 선은 따뜻한 숨결을 느끼게 한다. 이와 비슷하게 보관을 서고 있는 형상은 국보 제124호 한송사석조보살좌상과 보물제139호 월정사석조보살좌상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증심사 오백전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제13호


오백전이 안치된 건물은 정면 3칸, 측면3칸의 단층의 맞배지붕으로 단아한 아름다움이 돋보인다. 거친돌 허튼 층 쌓기 기단위에 기둥을 세우고 소의 혀 같은 장식을 낸 겹처마집이다.

1443년에 세 번째 지어진 건물이 정유재란 대 모두 불타버려 광해군1년인 1609년 석경, 수장,도광스님에 의해 다시 지어 졌으며 현재의 오백전도 그 때 지어졌다 한다. 6.25 전쟁때에도 증심사의 모든 건물은 소실 되었지만 오백전만 살아남아 지금에 이르고 있다한다.


*증심사 삼층석탑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제1호




높은 2중기단에 3층으로 탑을 쌓았고 노반위의 상륜부 유실되었다.

지붕돌의 층급은 4단으로 층을 이루고 지붕모서리의 치올림한 곡선이 매우 아름다운 신라하대의 작품이다.1971년 12월에 해체후 복원을 할때 석탑안에서 유물이 나오지 않은 것으로 보아 도굴 된 것으로 추측이 된다.

*증심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제131호


증심사 비로전의 주불인 비로자나불좌상은 장흥의 보림사, 철원의 도피안사 불상과 함께 신라 하대의 대표적인 철불상이다. 부처의 손모양은 오른손 검지를 왼손이 감사쥔 지권인을 하고 있으며 신체비례가 인체와 비슷한 등신상이다.

1934년에 대왕사 절 또는 계냇개게 절에서 옮겨 왔다고 하나 확인할 길이 없다.


(안내판 발취)
 



728x90

728x90

*무등산 약사암 석조여래좌상

보물 제600호

소재지: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 산11 약사암


약사암 대웅전 안에 안치 되어 있는 석조여래좌상은 통일신라 시대인 9c때의 작품으로 1976년 8월4일에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의 불상에서 보면 광배가 떨어져 나가고 없어며 통일신라시대 불상으로 호남지방에서는 극히 보기드문 불상이다. 현재 원형이 거의 보존되어 있으며 불두는 나발위에 육계가 사발처럼 넓고 억굴은 둥글 넓적하다. 불상을 보면은 우리부리한 모습으로 보이며 백호와 초생달 같은 짙은 눈썹과 옆으로 긴 눈과 깨어진 코, 입술이 도톰하게 조각되어 있다.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고 귓밥이 짧은 모습이며 어께는 남성미가 물신 풍기며 앞가슴 또한 뚜렷하게 나타난다. 법의는 오른쪽 어께를 드러낸 한쪽만 걸친 모습으로 옷주름은 다리의 아래까지 덮고 있다. 불상을 받치고 있는 대좌는 상중하대로 연꽃무늬로 1개의 돌로 각각 다듬어 놓았다.




(좌상 뒷면에 새겨져 있는 관음보살상의 모습입니다.)

*무등산 약사암
소재지: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 산11

약사암은 의제 백물관에서 0.8km 더 올라가면 새인봉 삼거리 직전에 좌측으로 약수암을 만날 수 있다. 철감선사가 증심사를 짓기 전에 먼저 약수암을 지었서며 약수암에서 기거하며 증심사를 창건하였다는 설이 있지만 뚜렷한 증거가 없다. 약사암의 대웅전에서 정면으로 바라 보이는 바위 암봉이 새인봉으로 사인암(舍人岩)이라 이야기를 하며. 천제단을 향하여 임금과 신하가 서로 받드는 형국이라 한다. 그리하여 새인봉과 천제단, 대웅전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를 하여 명당 터로 알려져 있다.







약사암의 대웅전에서 정면으로 바라 보이는 사진상의 좌측 바위 암봉이 새인봉으로 사인암(舍人岩) 또는 사인봉이라 이야기를 하며. 천제단을 향하여 임금과 신하가 서로 받드는 형국이라 한다. 그리하여 새인봉과 천제단, 대웅전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를 하여 명당 터로 알려져 있다.

석조여래불을 주불로 모시고 있는 대웅전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