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증리에는 쌍봉사란 사찰이 있다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지만 혜철 선사가 이곳에 여름을 지냈다는 기록과 855년 경에 금강산에서 수도하던 철감선사가 이곳 쌍봉사에서 머물렀다는 것으로 보아 839년 이전에 창건된 것으로 보인다. 쌍봉사에 대해서는 차후 포스팅을 하기로 하고 이번 포스팅은 화순군에서는 유일한 국보 한 점과 그리고 보물 한 점을 소개할까 한다. 모두 철감선사와 관계가 있는 것이다, 국보인 탑은 스님 사후의 부도탑으로 승려의 사리나 유골을 모셔 놓은 곳을 말하는데 그의 정교한 기술이 예술의 극치를 보여 주고 있다. 철감선사는 798년인 원성왕 14년에 출생하여 18세에 불가에 귀의 하였고 28세때 중국 당나라로 건너가 수학하였다 그 후 847년에 범일 국사와 함께 귀국하여 금강산에 머무르며 수도에 전념하였다. 경문왕때 그는 이곳 산수의 아름다움에 거처를 정하고 그의 호를 따 쌍봉이라 하였다하는데 쌍봉이란 현재 쌍봉사의 앞 뒤로 솟은 봉우리를 의미한다. 868년 경문왕 8년 이곳에서 입적을 하였고 경문왕이 철감이란 시호를 내리고 탑과 비를 세우도록 하였는데 현재의 국보 57호와 탑신은 사라지고 없는 상태로 이수와 귀부만 남아 있다. 탑의 형태는 전체가 8각형으로 꼭대기의 상륜은 남아 있지 않다. 이탑의 모든 부분도 눈여겨 볼 일이지만 특히 막새기와 안에 연꽃무늬를 새긴 솜씨는 석공 필생의 역작이라 할 정도로 정교하며 신앙에 기인하지 않으면 도저히 이 룰 수 없는 작품이라 하겠다.

문화재청의 사이트를 인용하면

탑의 무게를 지탱하고 있는 탑은 전체가 8각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모습이며, 대부분 잘 남아 있으나 아쉽게도 꼭대기의 머리장식은 없어진 상태이다. 탑의 무게를 지탱하고 있는 기단(基壇)은 밑돌·가운데돌·윗돌의 세 부분으로 갖추어져 있으며, 특히 밑돌과 윗돌의 장식이 눈에 띄게 화려하다. 2단으로 마련된 밑돌은 마치 여덟마리의 사자가 구름위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저마다 다른 자세를 취하고 있으면서도 시선은 앞을 똑바로 쳐다보고 있어 흥미롭다. 윗돌 역시 2단으로 두어 아래에는 연꽃무늬를 두르고, 윗단에는 불교의 낙원에 산다는 극락조인 가릉빈가(伽陵頻迦)가 악기를 타는 모습을 도드라지게 새겨두었다. 사리가 모셔진 탑신(塔身)은 몸돌의 여덟 모서리마다 둥근 기둥모양을 새기고, 각 면마다 문짝모양, 사천왕상(四天王像), 비천상(飛天像) 등을 아름답게 조각해 두었다. 지붕돌에는 특히 최고조에 달한 조각 솜씨가 유감없이 발휘되어 있어서, 낙수면에는 기왓골이 깊게 패여 있다.

http://www.cha.go.kr/unisearch/Uniresult_Db_View.jsp?VdkVgwKey=11,00570000,36&queryText=쌍봉사철감선사탑

 



 

 

 

 

 

 

 

 

 

 

 

 

 

 

 

 

 

 

 

 

 

 

 

 

 

 

 

 

 

 

 

 

 

 

 

 

 

 

 동리산 태안사의 광자대사탑  보물 제274호

국보와 비교 함 해보세요.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보물 170호

철감선사탑비와 마찬가지로 통일신라시대 작품이다 경문왕이 시호를 철감으로 내린후 탑과 탑비를 세우도록 하였다. 도윤(798~868)의 탑비로 현재 거북받침돌인 귀부와 위에 얹혀진 이수만 남아 있다. 귀부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머리에 거북이의 형태를 하고 있다. 특이하게도 오른쪽 발은 올려진 모습이다. 이수는 운상인 구름문양으로 새겨져 있고 삼각형의 돌출형의 바위가 두 개 남아 있는데 한 개는 사라진 상태이다.  

http://heritage.daum.net/heritage/16509.daum

 

 

 

 

 

 

 

 

 

 

 

 

 

 

 

 

 

 

 

 

 

 

 

 

 

 

 

 

 

동리산 태안사의 광자대사탑비 보물 제275호

철감선사와 같은 보물입니다.

 





728x90

728x90


도갑사 도선수미비(道岬寺 道詵守眉碑)
보물1395호

위치: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8
이비석은 도갑사 도선 수미비로 도갑사를 중창한 수미선사의 행적을 기록해 놓은 것으로 이비를 만드는데 17년이 소요 되었다하며 조선효종 4년인 1653년에 완성 되었다 한다. 빗돌을 받치고 있는 돌 거북이는 여의주를 입에 물고 고개를 절쪽으로 바라보고 있는 형상이며 돌거북의 등 가장자리에 말린 연꽃잎이 세겨져 있다. 용의 모습을 새긴 비의 머리인 이수는 두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물고 하늘로 항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름이나 연꽃잎이 아닌 연잎으로 비의 무게를 받치고 있는 것은 조선시대의 양식으로 볼 수 있다한다. 비의 높이는 4.8m, 폭은 1.4m이며 1500자의 글이 새겨져 있다.비석의 몸체 앞뒤로는 글씨가 새겨지고 양쪽 면은 용의 모습이 새겨져 더욱 웅장한 모습을 하고 있다. 도갑사 절에서 미륵전 방향으로 향하는 월출산 미황재 방향으로 오르는 길에 계곡을 건너면 기와를 인 팔작지붕을 만날 수 있다. 이 곳이 도선수미비로 수미선사의 행적을 기록하여 놓은 비석으로 보통 귀부와 이수만 남고 빗돌은 파괴 된 경우가 많은데 수미비는 깨끗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