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들깨가 들어가서 그런지 국물이 뻑뻑하며 들깨가루가 실제로 보인다. 그리고 호박과 감자 홍당무가 있어 입맛을 당기게 한다.




가까이 본 칼국수 모습입니다.


따라 나오는 밑 반찬은 간단하며 기본 찬으로 배추김치와 깍두기 그리고 고추 양파와 된장과 양념장이 같이 나온다. 

관광지나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으로 가면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을 많이 찾는다.

그런 음식 중에 하나가 칼국수이다. 가을철이라 그런지 모든 산에서는 평일인데도 사람들로 붐빈다. 문수산 밑 언저리에서 점심을 먹을까 싶어 찾아 들어 간 곳이 매우 바쁜 집으로 자리 잡기가 수월하지 않은 집이였다. 마당에 들어선 차하며...

필자도 간단하게 먹을 요량으로 남이 앉아 먹다 간 자리에 않으며 그릇을 치우는 아주머니가 나왔기에 주문을 하니 칼국수가 한참을 기다려도 나오지 않는다.
그래서 현수막에 걸린 내용을 보니 눈길이 간다.
수입밀은 봄에 파종을 하여 가을에 수확을 하지만 우리밀은 가을에 파종을 하여 추운 겨울을 나고 늦은 봄에 수확을 하기 때문에 병충해가 강하고 농약을 치지 않아 웰빙 음식이고 복합다당류, 단백질이 다량 함유하고 있어 면역기능을 높여 주며 노화를 억제하고 청심환 처럼 마음을 시원하게하고 스트레스도 해소되고 뇌기능 활성화 성분이 들어 있으며 동의보감을 빌리면 장과 위를 튼튼하게하고 기력을 세게하여 오장을 도운다고 되어 있어 이정도면 만병에 좋은 음식일 것 같아 역시 주문을 잘 했다 싶었다.
오늘 여행도 즐기고 이런 천하의 음식인 우리밀 칼국수를 먹어 보는데...그
런데 내 보다 뒤에 온 사람들의 음식은 먼저 나오는데 말이다. 한참을 기다리도 안나오기에 아주머니한테 왜 칼국수 안나오느냐 하니 주문을 했느냐 반문한다.
아니 아주머니 그릇치울 때 칼국수 주문 안 했느냐 하니까, 그때야 빨리 해가지고 온다고 이야기를 한다.
가져온 칼국수는 우리밀로 만들어서 그런지 색상은 깨끗하지 않았다.
국물 또한 뻑뻑하여 무엇인가 넣은 것 같아 맑지가 않았다.
홍당무 호박등이 들어가 있는 우리밀 칼국수, 음식은 먹을 만 했는지 배가 고파 맛있는지 잘먹었다.
그 때 까지는 진시황제도 부럽지 않은 불노초 칽국수를 먹었다.
칼국수집은 점심시간 때라 그런지 매우 바빠 보였다.
나도 칼국수를 다 비우고 그 아주머니께 국물에 들께 가루를 넣었느냐하고 물어 보니 바쁜데 뭘 그런 것 물어 보느냐하며 눈총을 준다.
계산을 하고 돌아 나와 그집 간판을 보니 옳은 간판도 없고 현수막에 그냥 상호가 걸여 있어 전화번호라도 물어 볼 욕심에 다시 들어가 말도 못 붙여 보고 핀잔만 들었다.
불친절 한 것인지 바쁜데 물어 볼여고 했는 내가 잘 못인지...
스트레스가 더 쌓였다.
다음에 다시 우리밀로 스트레스를 확 날리게 가야하나여...

상호: 문수산자락 우리밀칼국수

전화:바쁘다해서 물어보지도 못함

주메뉴:우리밀 손칼국수 5000원 문수파전 7000원 가마솥손두부 5000원등등...

위치 :경남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율리 문수산 입구마을인 영해마을

젓가락으로 휘 저어 먹기전의 우리밀 칼국수입니다.

문수산자락 칼국수집 입니다. 가시는 것은 여러분 자유입니다. 그런데 다른 집 보다는 바쁨니다.






728x90

728x90


영해 마을에서 내려 걸어 들가면 별장같은 집 뒤로 문수산이 솟아 있다. 옛 영축산으로 청량산으로도 불려 청량면의 기원이 되었다.





망해사 가는 길. 망해사 안내문을 보고 넓은 길을 따라 올라간다. 대형버스는 여기가 끝으로 마을 입구에 차단봉이 설치 되어 있다. 



망해사 입구로 영축산망해사란 표지석이 있으며 등산로와 망해사지석조부도는 우측으로 오른다고 안내판이 설치 되어 있다. 



망해사로 들어서면 먼저 정면으로 대웅전이 반긴다. 어느절 처럼 정 중앙에 대웅전이 자리하고 좌우로 요사체와 산신각등이 위치를 하고 있다. 석조부도는 대웅전 우측뒤에 있다. 1957년 전 주지인 김영암화상이 중건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대웅전 법당안에 모서져 있는 불상


법당 천장을 올려다 보니 동해용왕을 위해 지은 사찰이라 네귀퉁이에 용을 만들어 놓았다. 


화려한 천장의 연꽃무늬에 용의 모습까지 있어 더욱 헌강왕의 전설인 동해용왕을 위해 지은 절이라 실감을 한다.


건물 외벽에 그려진 벽화로 부처님의 설법 모습과  열반에 드는 모습도 볼 수 있다. 










바깥 단청의 화려한 모습이 눈길을 끈다.


작은 범종각의 종소리가 동해로 퍼질때 용왕은 아직도 망해사가 자신을 위해 지은 절이라 기뻐하겠지요. 


석조부도탑으로 가기위해서 대웅전을 우측으로 돌아 산신각, 범종각을 지나 올라서면 만날 수 있다. 뒤돌아 본 대웅전

영축산 망해사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율리에 있다.
부산에서는 노포동 종합터미널(노포역)에서 울산행 시내버스를 이용하여 영해마을 또는 망해사 입구에 하차를 하면 된다.
망해사 안내판을 따라가는 길은 많은 별장형 집들이 들어서 있다.
최근에 생긴 도로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세상사의 실타레를 보는 것 같이 복잡하다.
정면에는 영축산이 우뚝솟아 있고 그 아래 망해사지와 현 망해사가 자리를 잡고 있다.
망해산를 안고 있는 산이 영축산으로 불교에서 따온 이름임을 알 수 있다.
인도의 천축국왕사성에 있는 영축산으로 부처님이 이곳에서 법화경을 설법하였고 영축산 아래서 열반에 들어 불자들의 성지가 되었다한다.
그후 중국의 당나라로 건너가 당나로로 유학을 온 자장율사에 의해 영축산이 국내에 들어오게 되었다.
양산의 영축산, 창녕의 영축산등 모두 인도의 영축산에서 따온 이름일 것이다.
지금은 망해사 뒷산이 영축산으로 범위가 많이 축소 되었지만 신라시대에는 지금의 문수산이 영축산으로 불렸다한다. 또 한편으로는 청량산으로 불려 지금의 울주군 청량면의 유래가 여기서 온것일 것이다.
망해사는 바다를 볼 수 있다는 이름처럼 현재는 바닷가가 보이지 않는 내륙의 사찰이다
한때는 이부근까지 바닷물이 들어 왔는지는 모르지만 망해사의 창건연대는 매우 길다. 
신라 헌강왕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약1100여년 헌강왕이 창건한 사찰로 되어 있어 그 연유 또한 삼국유사에 전하고 있다..

신라 49대 헌강왕(875~886)때는 서라벌(현경주)에서 지방에 이르는 모든 마을이 태평성대를 누리며 평안하게 살았다.
이에 헌강왕은 울산의 세죽이란 곳으로 나들이를 나왔다. 물가에서 앉아 쉬고 있는데 갑자기 주위에 구름과 안개가 끼여 천지를 분간할 수 없어 그 연유를 알아보니 동해의 용왕이 한 짓임을 알게 되었다. 이에 헌강왕은 그의 신하에게 명령을 하여 부근에 동해용왕을 위한 절을 짓게하니 구름과 안개는 사라졌고 개운포라는 이름으로도 현재 불리고 있다.
이에 동해용왕은 헌강왕이 자신을 위해 절을 짓고 망해사라 하였다는 이야기에 크게 감복을 하여 일곱 왕자들과 함께 헌강왕 앞에 나타나 왕의 성덕을 찬양하였고 용왕의 왕자중 한명은 궁궐에 남아 정사를 도우니 그의 이름을 처용이라 하였다.
울산의 바닷가인 처용암은 처용이 나온 바위라 하며 현재도 개운포에는 처용암이 남아 있다.
그후 망해사는 언제 폐사를 하였는지 모르지만 임진왜란으로 추정을 할 뿐이며 옛 터만 있던 자리에 1957년 김영암화상이 중건을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망해사 위의 망해사지에는 현재 두기의 부도가 남아 있다.
망해사지 석조부도로 보물 제 173호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부도란 유명한 스님들의 사리를 보관하던 곳이며 망해사와 함께 세워 졌다한다.
폐사와 함께 동서 두 탑이던 것이 동쪽에 있던 부도탑은 무너져 방치되어 있다가 1960년 11월에 다시 세웠지만 상륜은 두탑 모두 없어졌다한다.
 

망해사지 석조부도로 보물 제173호이며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울리산 16-3 망해사 위에 있는 동서 쌍탑으로 동탑은 폐사와 함께 무너져 있던 것을 1960년 11월에 다시 맞추어 세웠다 한다. 그래서 그런지  동탑은 많이 깨져 있다. 형재 탑위 상륜은 남아 있지 않다.
서쪽에서 본 모습


동쪽에서 본 모습으로 그때의 주춧돌과 기단의 모습 등을 볼 수 있으며

그 우측으로 돌종 형태의 깔끔한 조선후기의 부도탑을 볼 수 있다.

쌍탑중 서탑으로 방치된것을 새로 세웠다. 서탑의 높이는 3.3m이며



동부도탑은 온전한 모습으로 남아 있다. 높이는 3.4m이며 두 부도탑모두 같은 쌍탑이다.

8각원당형(八角圓堂形) 기본양식을 따라, 지대석(地臺石)은 정4각형으로 마련하고 기단(基壇)을 구성하였다.


8각상대(八角上臺)의 각면 상부에는 얕은 턱을 두고, 그 밑의 각면에 안상(眼象)을 1좌씩 얕게 조각하였다.

이 지대석 위에 복련석(覆蓮石)을 놓았으며, 복판(複瓣) 8엽(八葉)의 연꽃을 둘렀고,

 그 꽃잎 끝에는 귀꽃을 새겼으나 평면적이다.

중앙에 팔각형의 높직한 4단의 굄이 얕은 중대석(中臺石)을 받치고 있고, 중대석에는 각 우각(隅角)에 기둥모양이 모각(模刻)되어 있을 뿐 다른 조식(彫飾)은 없고,

그 위에 앙련석(仰蓮石)이 놓여 있다. 앙련석은 밑에 3단의 각형(角形) 받침이 있는 위에 단판(單瓣) 연꽃이 상하 6잎씩 2중으로 조각되었다. 이와 같이 기단을 구성한 위에 탑신을 받치기 위한 딴 돌이 있다.




이 돌은 갑석형(甲石形)으로 지나치게 내민 턱을 중심으로, 밑에는 8각 각면에 기단에서와 같은 수법으로 된 안상이 있고 위에는 24잎의 연꽃을 돌렸다.



이 돌은 갑석형(甲石形)으로 지나치게 내민 턱을 중심으로, 밑에는 8각 각면에 기단에서와 같은 수법으로 된 안상이 있고 위에는 24잎의 연꽃을 돌렸다.

탑신도 역시 8각으로 각 우각에 기둥모양을 모각하였고, 각면에는 위에 영창 의 형태를 나타냈으며, 밑에는 전후좌우 4면에만 호형(弧形)을 새겼다. 옥개석도 8각으로 각 부재(部材) 중에서 가장 많은 손상을 입었다.

옥리(屋裏)는 반원을 그리며 연목(椽木)을 번안(飜案)하였고, 추녀는 수평으로 넓은 편이다. 옥상에는 높직한 우동(隅棟) 8가닥이 흘렀고 곡선은 매우 완만하다. 상륜(相輪)은 양 부도가 모두 상실하고 있으나 그 일부가 따로 보관되어 있다.

 







현재 서부도탑의 모습으로 훼손이 심하며 이 두 부도는 각부의 구성과 조각수법이 다소 섬약(纖弱)한 편이다. 특히 얕게 새겨진 안상이나 복련석 귀꽃은 입체감을 잃었다. 그러나 8각원당의 기본형을 계승하였고, 석재의 결구(結構)에서 짜임새 있는 비율을 잃지 않아 통일신라 후기의 가작이다.<망해사홈페이지>



부도탑에서 본 망해사이며 현 위치에서는 바다를 볼 수 가 없다.

문수산 등산로 우측으로 터를 잡은 망해사로 등산로에서 본 대웅전 그뒤로 영축산도 보인다

망해사 홈페이지 가시면 더욱 자세한 망해사의 내력과 망해사지 부도탑을 만날 수 있습니다.
http://www.manghaesa.or.kr

그리고 문화재청 망해사지석조부도 : 문화재청
URL : 

http://www.cha.go.kr/newinfo/Culresult_Db_View.jsp?VdkVgwKey=12,01730000,26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