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경북여행/봉화여행) 백두대간 선달산 박달령의 뜻


전국에 박달이란 이름의 고개가 많이 있다. 우리 부모님이 즐겨 부르던 '울고넘는 박달재'가 가장 유명한 것이 아닐까 싶다. '천등산 박달재를 울고 넘는 ~'으로 시작되는 이 가사는 우리 민족의 애환을 노래하였다. 그리고 또 유명한 것으로는 요즘 백두대간 종주꾼들에 의해 유명새를 날리는 박달령이 있다. 경상북도 봉화군에서 강원도 영월군을 넘는 이 고개는 높이도 해발 1000m 대로 꽤 높은 고개이다. 




 

 

  ☞(경북여행/봉화여행) 백두대간 선달산 박달령의 유래


이곳의 박달령도 장날을 찾아 다니는 보부상과 백성이 소통의 장소이다. 요즘 정치인들이 말로만 떠들고 다니는 소통이 고개에서 부터 이어진 것이 아닐까. 이고을에서 저고을 잇는 고개가 하나의 소통 그 자체이다. 보부상들이 넘어 다닌 박달령에도 태백산 산신을 모신 산령각이 있다. 6.25 이전까지만 해도 이곳 고개에서도 호랑이등 맹수가 득실하였을 것이다. 백두대간을 따라 움직이는 맹수의 밥인 호식이 되지 않게 무사안녕을 기원하는 제를 지냈을 것이다. 지금도 매년 사월초파일에 이곳에서 태백산 산신에게 고사를 올리고 있다한다.  지금의 산령각은 오래되어 허물어지고 하여 1994년 새로 중수하였다. 마을사람들의 구전에 의하면 세조에게 쫒겨나 유배생활을 하던  단종이 청렴포로 가기위해 이 고개를 넘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경북여행/봉화여행) 백두대간 선달산 박달령의 뜻


박달은 박달나무를 뜻하기도 한다. 그러나 박달은 밝음와 믿음의 뜻으로 배달민족을 뜻한다. 박달나무가 우리의  배달민족과 같은 뜻이다. 배달은 박달의 음운변형이며 단군왕검의 한자인 단도 박달나무단자를 쓴다. 단군왕검이 박달나무인것이다. 그래서 전국에 박달령이 많은가 보다. 


 

 

 

 

 

 

 

 

 

 

 

 

 

 

 

 





728x90

728x90

 

 

仙達山의 선달은 ‘신선이 놀던곳’의 뜻을 가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先達山이라하여 먼저 올라야 한다는 뜻을 포함한다고 한다. 그러나 선달산은 신선이 놀던 곳이라는 그 뜻이 맞지 않을까 싶다. 선달산은 경북 봉화군 물야면, 영주시 부석면 남대리, 강원도 영월군 하동면 내리에 접한다. 백두대간 능선의 소백산에서 태백산으로 그 능선을 넘겨주는 첫 번째 봉우리라 장쾌한 백두대간의 능선을 몸으로 채험할 수 있는 구간이다.

 



 

 

 

이번 선달산 산행은 경북 봉화군 물야면 생달리 오달2리 마을에서 출발하여 오전약수터로 내려오게 원점 화귀 산행을 하도록 잡았다.  물야 댐을 돌아가면 오달2리 마을 버스정류장이다. 여기서 산행이 시작된다. 오른쪽으로 부석사 6.5km를 가르키고 왼쪽으로는 남대리7.2km 이정표가 서 있다. 이곳은 또 봉화군에서 개설한 둘레길인' 외씨버선길'이 이어진다. 버스 정류장에서 마을길을 따라 들어선다. 12월달이라 그런지 이곳에는 벌써부터 눈발이 날린다.

 

 

포장길을 20여분 올라가면 생달길314번 수다원 앞과 산골쉼터펜션도 잇따라 지난다. 늦은맥이 갈림길 가지 시멘트 포장길을 다라가는데 작은 절집에 사천왕 참배 표지판과 물바가지가 걸린 샘터를 지나 15분이면 선달산 산길은 갈라진다. '백두대간 등산안내도'와 이정표의 늦은목이 선달산 안내를 따라 왼쪽 계곡으로 내려선다. 이정표에 '마루금길'이라 표시 되어 있다. 이제부터 본격적인 산길이다. 늦은목이재로 오르는 옛길로 이길을 따라서 강원도 영월로도 넘어가게 된다. 먼저 계곡을 건너서 산길은 이어진다. 별 다른 오르막이 없이 편안하게 오를 수 있다. 늑은맥이재까지 1km. 소나무숲과 잣나무 숲이 이어진다.

 

 

 나무 말뚝 2개로 등산로가 아님을 막아 두었다. 계곡을 버리고 왼쪽 능선을 돌아 오른다. 늦은목이재 직전까지는 편안한 산길을 따른다. 왼쪽에 샘터가 있다. 이길을 오르내린 수많은 민초들이 요긴하게 사용하였을 생명수이다. 한모금 들이키니 폐속의 모든 지꺼기를 밖으로 분출 시킬 것 같다. 임도 갈림길에서 20여분이면 사거리인 늦은맥이재에 오른다. 백두대간으로 왼쪽은  입산을 통제한다는 현수막이 붙어 있다. 백두대간이 어떤 곳인가. 백두산에서 지리산을 이어주는 뼈대 아닌가. 이것을 무조건 막는 일변도만 취할게 아니고 개방을 하여 더 많은 사람들이 호랑이의 기상을 느끼게 하면 좋을 것 같다. 왼쪽은 부석사 도는 소백산으로 갈 수 있다. 선달산은 오른쪽. 여기가 해발 800m로 400m를 조금 더 오르면 된다.

 

 

 

 선달산1.9km방향인 오른쪽으로 꺾어 오른다. 큰 나무들이 하늘을 가려 조망은 볼 수 없지만 여기가 백두대간의 심장부라 생각하니 깊은 숨을 몰아 본다. 그 만큼 공기가 다른것 같다. 조금씩 고도를 높일때 마다 산길은 경사가 급하였다가 편안한 길을 번갈아 나타난다. 힘이 들지 않는 산길이다. 선달산 0.9m 이정표가 있는 갈림길에서 오른쪽 오르막 산길을 올라간다. 늦은목이재에서 50분이면 선달산 정상에 오르다. 현위치 4-10번 표지목을 지나면  선달산 정상 안내판과 생달 용운사 2.6km, 김삿갓 문학관 12.8km 안내판이 서 있는 곳을 지나면 정상석이다. 

 

 

 

 

산림청에서 세운 정상석의 규모가 엄청 크다. 정상에도 물론 조망을 볼 수 없다. 이곳에서 박달령까지는 5km다. 오르내림을 반복해야 하는 코스이다. 보통 산행은 정상에 오르면 바로 하산을 하지만 대간 능선을 따라가는 길은 정상에서 하산이 하산이 아니다. 여름철에는 꽤 힘들어 보일 것 같은 구간이다. 이번 산행에서는 12월 초에 내린 눈으로 눈산행을 할 수 있어서 그런지 별로 힘들지 않았다. 

 

 

 

 

선달산 정상에서 박달령 5km 표지목을 보고 직진한다. 큰 나무에 붙어 있는 상고대가 선달산의 높이를 짐작하게 한다. 흡사 크리스마스 트리를 연상시킨다. 바람이 불면 가지에 붙어 있는 눈이 바람에 후두둑하며 흩날린다. 4-8 현위치 표지목이 서 있다. 박달령까지 2시간 안내판이 머리 위 나무에 걸려 있는 지점을 통과하면 서서히 내려선다 . 안부에서 오른쪽으로 내려서는 길이 있다. 150m 내려가면 선달산 옹달샘 이정표가 있다고 되어 있다. 시간상 직진이다. 표지목 박달령 3.9km. 다시 산길은 오르는 길이다. 영주 국유림 괸리소에서 세운 '참나무 식물 안내판'과 휴식을 위한 벤치가 두개있다. 우리는 너무 편리함만 좆아 가는 것 같다. 이 적막힌 능선에 벤치를 드문드문 만들어 둔 것을 보면 나쁘다고 해야할지 찬성을 해야할지...답을 내릴 수 없다.

 

 

 임도길을 버리고 본격적으로 산으로 오르는 갈림길

 

 4-4 위치 표지목이 서 있는 봉우리에 엄청 큰 상수리나무가 서 있다. 이 큰나무가 태풍에도 견딘것을 보면 신통망통하다. 그 곳을 통과하면 산길은 또 다시 내려간다. 박달령까지 5~6번은 오르내려야 한다. 산군 들의 사이에 불만이 튀어 나오는 사람도 있다. '도 올라가나'하면서 말이다. 그러나 대간의 능선은 보통 탈출로가 정해져 있어 함부로 산길을 잡아 하산을 하면 위험이 닥칠 수 있다. 그러니 꼭 등산로를 찾아 하산을 하는게 자신의 안전을 지켜주는 길이다. 선달산 정상에서 70분이면 박달령 1.4km 이정표가 선 봉우리에 도착한다. 이곳에서 오른쪽으로 대간의 능선은 틀어서 나간다. 15분이면 헬기장이 있는 박달령에 도착한다. 이곳에도 눈으로 인해 온천지가 하얀 옷을 갈아 입었다. 직진하면 옥돌봉으로 이어진다. 그 입구에 이곳 박달령 산신을 모신 성황당 당집이 있다.

 

 

 

 박달령에서 오른쪽 방향이다. 오전 약수터 2km  이정표을 보고 30m 넓은 임도를 따라간다. 이곳에서 산길은 임도를 버리고 오른쪽 박달령을 오르내린 옛길을 따라간다. 길게 뻗은 능선에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박달령 옛길은 '외씨버선길'이란 이름으로 다시 태어났다. 옛 보부상이나 마을 주민들이 오르내린 길이라 그런지 유순하디 짝이 없다. 그저 발걸음만 턱턱 내 딛이면 된다.

 

 

 

 

그러나 지난 가을의 낙엽이 옛길을 덮고 있어 혹 미끄러짐에 유의를 해야한다. 박달령 옛길을 따라 40분이면 박달령식당에 내려선다. 그 아래 탄산수인 오전 약수가 있다. 조선시대때 최고의 약수로 소문이 자자하여 하였다. 단맛을 전혀 느낄 수 없어서 인지 닝닝한게 '물  맛이 왜이래'하며 한잔을 먹어 본다. 여기서 10분이면 주차장에 온전히 내려선다. 벌써 해는 넘어가고 주차장의 가로등에 불이 들어 와 있다.

 

 

 

 

 늦은목이재 샘터

 

 늦은목이재

 

 

 

 

 

 

 

 

 

 

 

 

 

 

 

 

 

 

 

 

 

 

 

 

 

 

 

 

 

 

 

 

 

 

 

 선달산 옹달샘 갈림길

 

 

 

 

 

 

 

 당집이 있는 박달령

 

 

 

 

 

 

 

 박달령 옛길인 외씨 버선길

 

 

 

 

 

 탄산수인 오전약수

 

 

 

 

 봉화군 홈페이지 발췌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