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경북여행/경주여행/안강여행)도덕산 도덕암. 경주의 북쪽에 숨은 듯이 자리 잡은 도덕산 도덕암

 

암자는 자리한 위치에 따라 여행객에게 많은 감동을 준다. 그 만큼 산자수려한 위치에 터 잡은 암자에 더 많은 호기심을 느끼며 관심을 가지게 된다. 그러한 암자가 있다. 경주 안강의 도덕산으로 정상이 702m인 수더분한 산이다. 그야 말로 별 특징이 없는 산으로 경주와 영천의 경계를 이루며 솟아 있다. 그래도 경주에서는 제법 높은 축에 들어가는 도덕산 언저리에 작은 암자가 자리 잡고 있다. 

 

 



 

 ☞(경북여행/경주여행/안강여행)도덕산 도덕암. 신라 선덕여왕이 찾아 왔다는 도덕산,

 

이 산의 기원은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신라의 선덕여왕이 이곳을 찾아 왔다하여 두득(덕)산으로 불렸다 한다. 어찌 덕만공주와 느낌이 비슷한 것 같다. 그러다 조선중기때 회재 이언적에 의해 도덕산으로 바꾸어 부르게 되었다한다.

 

 

 

 ☞(경북여행/경주여행/안강여행)도덕산 도덕암. 신라 경덕왕때 창건된 유서 깊은 고찰 도덕산 도덕암

 

안강 도덕산 도덕암의 기원은 신라 경덕왕(742년~765년)때 창건 된 암자로 풍진세상을 견디며 천년고찰의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원래는 아래 옥산리 정혜사의 12개 부속 암자중 하나였다한다. 어떠한 연유로 정혜사가 패사를 되었는지 알 수 없지만 현재는 도덕암만 남겨놓고 모두 흔적도 찾을 수 없다.

 

 

 

도덕암의 사찰 명칭도 창건 당시의 이름이 아닌 것으로 보여진다. 그 이유는 동방오현의 한사람인 회재 이언적에 의해 뒷산을 도덕산으로 고쳐 부르게 된 것으로 보아 조선 중기 이후에 도덕암으로 부른 것은 아닌지.

 

 

 

 

지금이야 도덕암 오르는 암자길이 뚫여 승용차도 쉽게 올라오게 되었지만 필자가 처음 암자를 찾을 당시에는 대단한 불심이 아니라면 엄두도 내기 힘든 그런 위치에 있어 그저 절의 명맥만 유지할 정도였다. 최근에 다시 찾아보니 이제는 콘크리트 포장이 된 차도가 뚫여 그때와는 격세지감을 느끼게 한다.

 

 

 

 

☞(경북여행/경주여행/안강여행)도덕산 도덕암. 동해 일출 관망 장소 도덕산 도덕암

 

이곳 도덕암은 암반을 깍아 만든 터에 제비가 둥지를 틀듯이 바위에 엉겨 붙어 있다. 옥산리 마을에서는 영험이 있는  기도처로 말려져 있다. 대웅전은 앞면3칸에 옆면 1칸의 그야말로 형식만 갖준 모양으로1890년대에 그려진 탱화가 한점 남아 있어 그 이전에도 암자의 명맥은 유지가 된 것 같다. 

 

 

 

 

도덕암에 올라보면 암자의 위치에 놀란다. 앞으로 펼쳐지는 전망은 그야말로 그칠것이 없다. 동해에서 올라오는 일출을 감상할 수 있는 멋진 조망을 가진 암자로 이곳에서 하루 쯤 지낸다면 그야말로 몸에 찌든 때가 정화가 된다는 느낌이 들 것 같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11교구 불국사 말사다.

 

 

 

 

 

 

 

 

 

 

 

 

 

 

 

 

 

 

 

 

 

 





728x90

728x90

 

 

연일 수은주가 곤두박질 치는 날씨로 동장군이 엄습을 하고 있다. 전국이 한파로 꽁꽁 얼어 붙은 요즘 산중 생활을 하는 분들은 어찌 생활을 할까.  그중에서도 인적드문 암자에서 도를 깨우치기기 위해 자신의 몸을 불사르는 수도승은 이번 강추위를 어찌 보내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티비의 무협영화를 많이 봐서인지 산속에서 생활하시는 수도승은 고드름이 주렁주렁 메달려 있는 냉동고 같은 방안에서 도술로  따뜻하다며 덥다고  모든 옷을 벗고 사는게 아닌가 상상도 하였는데 오늘 이곳의 수도승은 우리와 똑 같은 사람인가 보다.  

 

 

 

 

 그분들도 추울때는 남들처럼 추위를 타는지 올라올때 미리 베어놓은 '나무 한개비씩 부탁드립니다. 청룡암 스님 법희'하는 글귀가  장작에 메달려 있는게 아닌가. 너무 재미있다. 암자가 지리잡은 위치는 중국 무림의 고수들이 살만한 곳에 위치를 하여 슝~슝~하며 날라 다닐 것 같은데 장작개비를 날라달라는 쪽지가 왠말이냐. 

 

 

 

 ㅎㅎ 이곳은 그 흔한 임도도 없어 오롯히 두다리로 걸어서 이곳까지 올라와야 한다. 그러니 아궁이가 전부이며 땔감으로 작은 방을 데워야 해 장작이 연료의 전부인샘. 땔감용 장작을 밑에서 나르기도 힘들고 하여 암자 밑에 태풍으로 넘어져 고사한 나무들을 미리 잘라 산길 옆에 장작으로 만들어 두었다. 공부하는 스님들도 나르기에는 쉽지 않을 것 같다. 그래서 혹 암자를 찾는 신도분이나 등산객에게 장작을 날라달라는 애교섞인 글귀가 도를 닦는 수도승인 아닌 인간으로 보여 더욱 정이 간다. 이곳을 올라가는 모든 분들은 한개비씩 들고 올라가 주세요.

 

 

 암자 뒤의 바위군을 병풍암이라 부른다. 그아래 한점의 점이 암자라 자리한 위치가 대단하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