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화순의 쌍봉사는 천년고찰로 통일신라시대인 839년 이전에 창건되었다하는데 기록에 의하면 이해에 혜철선사가 하안거를 지냈다는 기록이 전해졌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그 후 855년에 철감선사가 중국에서 건너와 금강산에 머물다 이곳에 내려 왔다하며 사찰의 앞과 뒤에 봉우리가 두 개 솟아 쌍봉사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이곳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 화순군에선 유일한 국보가 이곳에 있다. 국보57호인 철감선사 탑의 모습은 경지에 이른 조각가의 솜씨로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보물인 철감선사 탑비와 함께 쌍봉사를 대표한다.

주지 시공스님은 대숲에 앉은 바람은 ‘사랑해 사랑해“하고 풍경에 앉은 바람은 ’그러마 그러마”하며 인사 글을 올렸는데 이곳 쌍봉사의 분위기를 잘 보여주는 것 같다. 그 만큼 찾는이가 드문 한적한 골짜기이다. 안타까운 사실은 숙종16년인 1690년에 대웅전을 중건하고 대웅전 석가삼존불과 극락전의 아미타삼존불을 봉안하였다 한다. 대웅전은 여러번 중수과정을 거쳐 1950년 6.25 한국동란때에도 전쟁의 화마 속에서도 대웅전과 극락전은 보존이 잘 되어 오다가 1984년 뜻하지 않은 화재로 대웅전이 전소되었다. 그 후 1986년 원형의 모습을 유지하며 복구를 하였는데 1962년 대웅전을 해체하여 중수를 하였다 한다. 그때 발견된 기록을 가지고 옛 모습으로 복원을 하였다는데 어쩐지 엉성한 느낌은 지울 수 없다. 정면 1칸, 측면 1칸인 통으로 연결된 3층 목탑형식인 대웅전이 원형 그대로 보존이 되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내내 남는다.

 

 



 

 

 

 

 

 

 

 

 

 

 

 

 

 

 

 

 

 

  



쌍봉사는 구산선문중의 일문인 사자선문의 개조인 철감선사께서 통일신라 48대 경문왕8년인 868년에 창건하였다. 대웅전의 모습은 단 국내에서는 두점으로 속리산 법주사의 팔상전과 이곳 쌍봉사 대웅전으로 193653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아쉽게도 198443일 신도의 부주의로 소실 되었다. 평면이 방형인 3층 전각으로 사모 지붕의 목조탑파 형식이다. 현재는 86년 복원된 모습이다.



 

 

 

 

 








 

 

 

 

 

 

 

 

 



 



 

 

 

 

 

 

 

 

 




 




 

 

 

 

 

 

 

 




 




 

 




 




 

 

 

 

 

 

 

 

 

 

 

 

 

 

 

 

 

 

 

 

 

 

 




728x90

728x90

 

(올무에 걸린 백구의 당시 모습)

 



 

 

 

 

 

 

 

 

2012년 5월2일 포스팅하였던 “일주일만에 죽을 고비에서 살아 돌아온 백구, 무슨일이 있었기에”의 결과를 알려 드리는 포스팅이다.

전남 화순과 보성군에 솟아 있는 계당산(580m)은 높이에 비해 품이 넓어 오지에 속하는 산이다. 이곳 화순쪽으로 천년고찰 쌍봉사란 절집이 있는데 이곳에서 일주일 전에 키우던 삼식이를 분실하였는데 스님께서 마을과 가볼만한 곳을 다 뒤지고 다녀도 삼식이를 찾자 못해 어느 몹쓸 인간이 끌고가 잡아 먹었나 하며 포기를 하였다 한다.

 

일주일이 지난 그날 우리 일행은 인적이 끊어져 사람이 찾지 않는 능선길을 내려오는데 개 짓는 소리가 쩌렁쩌렁하여 왼 개하며 개인농장이라 생각하고 돌아갈까 하다 자세히 보니 올가미에 골반 부분이 걸려 있는 백구를 구해주었는데 그 삼식이가 일주일동안 올무에 조여 낭심과 그 일때가 껍질이 다 벗겨지고 푹 파헤쳐져 있어 엄청 상처가 깊었는데...걱정을 하며 돌아왔는데 다행이 그 결과가 불친님의 블로그에 댓글로 달려 있어 옮겨 왔다.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다.

 

쌍봉사의 보살님으로 항상 절에가면 뛰쳐나와 반기며 꼬리를 흔들던 삼식이, 그분이 광주 시내의 동물병원에 대리고 가 항생제 투여와 수술을 거쳐 일주일 동안 입원치료를 받았다 한다. 일주일 입원 후 그 분은 삼식을 대리고 쌍봉사에 내려놓으니 제일 먼저 달려간 곳이 마을의 어느 집으로 가는 것을 따라 갔는데 그 집에는 새끼가 다섯 마리가 있었다한다. 그 집주인이 하는 말이 삼식이의 새끼라 하는 것으로 봐 내가 알기에는 삼식이는 숫놈인데 그 아픈 와중에 동물 병원에서 못 본 일주일이 얼마나 새끼들이 눈에 아른 그려 이리 오자마자 쫓아왔을까.

 

모정은 따라갈 수 없지만 부정의 삼식이도 그래서 올가미에 걸린 후 일주일 동안의 생과 사 갈림길에서 포기를 하지 않은 것은 자신의 새끼들 때문이라 생각을 하니 눈시울이 붉어진다. 그래도 치료가 잘 되어 건강한 모습으로 돌아 온 것이 천만다행이다. 보살님 고맙습니데이...

 

 (불친님의 블로그에 쌍봉사 보살님이 남긴 댓글 내용)





728x90

728x90

 

 

7일간 생사의 갈림길에서 선 백구. 그 백구의 생환. 사람이나 짐승이나 죽음 앞에는 초연해지는 것일까. 자신이 죽는다고 생각했을 백구. 7일 동안 올가미에 걸려 죽음의 문턱을 왔다 갔다 하면서 보낸 그 7일이 악몽으로 여겨 질쯤 갑자기 사람의 인기척이 들렸는지 필사적으로 멍멍멍 하며 짖어 자신의 존재감을 알리는 게 아닌가. 우리 일행은 하산길에 임도길이 아닌 사람이 근래에는 다닌적 없는 묵은 능선을 따라 목적지까지 갈 요량으로 내려선 능선.

 



 

 

 

그 백구에게는 생사의 갈림길에서 생 쪽으로 기운다고 생각했을까.

그래서 필사적으로 짖는 백구. 선두에 선 일행이 아 앞에 개있어요 하는게 아닌가.

개가 미친 듯이 짖어 자기 주인 농장이니 출입이 안된다며 이곳은 들어 올 수 없다는 뜻으로 짖는 것 같다며 생각을 하여 다시 임도로 돌아가야 하나 하며 백구를 유심히 보니 허리 쪽에 올무가 걸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상황이라면 어찌해야 할까. 경계심을 가지고 쳐다보니 백구가 우리를 경계의 눈초리로 보며 짖는게 아닌가.

 

 

 

개를 두고 돌아갈까 생각도 하였지만 혹 싶어 내가가서 확인을 해보겠다며 조심스럽게 다가갔다.

이런 상황이라면 백구도 엄청 흥분된 생태로 짐작이 되어 덤벼들지 모르니 조심하지 않을 수 없었는데 가까이가서 보니 그래도 그런 것 같지 않아 머리를 쓰다듬어 주니 꼬리를 흔드는게 아닌가.

괜찮다며 일행을 오라하고 이런 경우 어디다 전화를 하노 하며 일단 119에 연락해서 함 물어 보자며 119로 전화를 걸어보았다.

 

 

 

불통이라 신호가가지 않는다.

할 수 없이 백구의 머리를 쓰다듬어 주며 안정을 시키고 나무에 매듭을 풀어보니 와이어고 백구가 발버둥을 쳐서 그런지 풀리지가 않는다.

백구를 두고 가자니 마음이 아프고 오랜 시간을 와이어와 시름하니 조금씩 와이어가 밀리는게 아닌가. 이 순간에도 간이 콩닥콩닥.... 혹 우리가 와이어를 풀려고 하면서 백구의 상처가 아파 우리를 꽉하고 물어뿌면 우짜노하며 긴장이 되는 순간.

 

 

 

 

그래도 다행이 백구도 잘 참고 매듭도 풀리고 하여 자유의 몸은 만들 수 있었는데 이제 부터가 문제였다.

살을 파고 든 와이어를 몸에서 풀어 빼는 것인데 순간적으로 백구의 상처를 건드리고 그리되면 개가 아파서 성질을 부리면 하며 생각을 하니 끔직 그자체,

연신 머릴 쓰다듬어 최대한 안정을 시키고 와이어를 밀어 늘려서 정말 겨우 몸에서 분리를 할 수 있었다.

 

 

 

 

백구를 풀어주니 먼저하는 일이 7일동안 굳어진 자기의 몸을 푸는지 기지개를 켜듯 내발에다 힘을 주고 허리를 밀어 보는게 아닌가.

그러면서 그 자리에서 볼일을 보는 백구, 긴장이 풀어져서 일까....

그러면서 우리와 반대로 우리가 내려온 방향으로 올라 가 길에 임도 쪽으로 내려가나 싶어 조심해서 가라며 우리도 하산을 시작하였다.

잠시 후 백구가 우리 옆에 붙어 있는 게 아닌가.

 

 

 

 

흡사 길안내라도 하는지 같이 동행하며 내려오니 또 하나의 올무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도 철거를 하고 무사히 함께 하산을 하였다. 절집에 들어서니 백구는 스님과 가기에 스님에게 혹 이개 주인을 물어보니 마침 절집을 지키는 개로 삼식이라 부른다는 게 아닌가.

일주일전에 행방불명이 되어 마을 주위를 찾아보아도 없어 어느 못된 인간이 잡아먹었나 하며 생각을 했다한다.

 

 

 

 

늦은 시간이라 읍내 병원이 문을 닫아 다음날 가축병원에 가서 치료를 해야겠다는 스님의 이야기를 뒤로하고 안심하며 돌아 올 수 있었다.

삼식아 멀리까지 가 산속은 헤 메지 말고 절 가까이서 놀며 잘 살아라...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