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설악산 봉정암. 사자산 법흥사, 태백산 정암사. 오대산 상원암, 영축산 통도사로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ㅋㅋ 모두 산 밑의 사찰.

예 사찰 맞습니다.

그리고요...

“적멸보궁”입니다.

예 맞습니다. 맞고예...

흔히 말하는 5대 적멸보궁이라 일컫는 사찰입니다.

 

 






적멸보궁은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이들 사찰에 가보면 사찰의 중심인 대웅전이고 어디를 가던지간에 부처님 모습의 불상을 찾을 수가 없습니다. 왜 일까요.



이곳 사찰들은 석가모니불의 진신 사리를 모셔 놓았기 때문에 따로 부처님의 모습인 불상을 모시지 않는다 합니다. ㅎㅎ.

그럼 영축산 통도사로 함 찾아 가 봅시다.



실제 통도사 대웅전의 그 큰 법당안에도 들어서 보면 따로 부처님의 모습을 찾을 수 없습니다. 그 대신 북쪽으로 큰 창문이 붙어 있습니다. 그 안으로 보이는 것은 부처님 진신 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의 모습인 사리탑이 눈에 들어오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장중한 그 모습에 입이 쩍 벌어집니다.



대웅전 좌우로 금강계단 안으로 들어 설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 있습니다. 통도사의 가장 큰 중심건물인 대웅전과 금강계단은 신라선덕여왕 15년인 646년 자장율사에 의해 세워졌다합니다. 어마어마하게 오래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하하 왜 하필 금강계단이라 이름을 붙였을까 궁금하네요. 계단(戒壇)의 의미는 불교의 계(戒)를 수여하는 의식이 행하는 장소라 합니다. 이곳에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것은 자장율사에 의해 창건된 통도사의 근본정신은 이곳 금강계단에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통도사를 삼보 사찰중 불보사찰이라 하는 것 같습니다.



지금의 금강계단 모습은 자장율사가 처음 세운 그 당시의 모습은 아니라고 합니다.
세월의 무게만은 어쩔 수 없는 지 이곳 금강계단도 여러번의 중수과정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하고 있다 합니다. 그러나 삼국유사의 기록를 찾아보면 그 기본 골격은 변함이 없다는 것이 보여 집니다하니 자장율사가 처음 세운 금강 계단의 모습도 이 모습과 별 차이가 없을 것 같습니다.






고려, 조선시대에와 금강계단을 수호하는 천인상과 신장상, 불좌상등이 새롭게 조성된 것으로 보이네요.



그리고 금강계단의 앞 대웅전도 임진왜란때 소실 된후 인조23년인 1645년에 우운대사에 의해 다시 중건되었다 합니다.
보통 기존의 대웅전은 일(一)자 형태로 장중한 모습을 하고 있는 게 보통인데 여기 통도사의 대웅전은 정(丁)자 형태를 하고 장중과 위엄을 모두 갖추고 있는 특이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동, 서, 남 모두 정면의 모습을 취하고 있어 그 당시의 통도사 대웅전의 위상을 찾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하 용의해인 2012년 임진년입니다.

흑룡의 기운과 부처님의 가피로 블로그님들의 가정에 행복이 가득하길 빌어 봅니다.

찾아가기

부산에서 이동할 경우 부산도시철도 1호선 명륜동역 앞에서 새벽 5시32분부터20~30분 간격으로 운행되는 언양행 버스를 타고 통도사 입구인 신평에서 내린다. 매표소인 일주문을 거쳐 통도사 소나무 숲길을 따라 들어서면 통도사이고 맨 끝 부분에 금강계단이 있다.

또 KTX 울산역을 이용하면 수도권 시민들도 2시간30분만에 통도사 일주문까지 도착 가능하다.
울산역 앞에서 새벽 5시2분부터 25~3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13번 버스를 타면 30분만에 통도사에 닿는다.
자가용 이용자는 경부고속도로 통도사IC에서 내려 35번 국도를 타고 통도사 방향으로 좌회전, 1㎞쯤 가다가 통도사 표지판을 보고 우회전하면 된다.매표소가 있는  일주문을 통과하면 다리를 건너 통도사 대형 주차장이 나온다.




통도사대웅전과금강계단
국보제290호
소재지: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728x90

728x90


전남 순천시 승주읍과 송광면, 주암면에 걸쳐 있는 조계산(曹溪山·887.1m)은 두 말할 필요도 없는 남도의 명산이다. 맑은 물이 흐르는 산중 계곡과 넉넉한 품을 자랑하는 육산으로 1979년 전남 도립공원으로 지정됐을 만큼 익히 그 명성이 자자하다.



   
'근교산&그 너머' 취재팀이 순천 조계산 배바위에 올라 주변 풍광을 살피고 있다. 청명하고 짙푸른 가을 하늘을 이고 있는 뒷쪽 봉우리가 조계산 정상인 장군봉이다.
게다가 정상인 장군봉을 중심으로 동쪽과 서쪽에 각각 이 나라의 사찰을 대표할만한 명찰을 끼고 있어 더욱 많은 산행객들이 찾고 있다. 동쪽의 선암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돌다리로 평가받는 승선교와 2층 누각인 강선루를 품고 있으며 경내에는 사시사철 하루도 꽃이 질 날이 없다. 또 서쪽에는 삼보사찰 중 승보사찰로 통하는 송광사가 있다. 송광사는 1200여년 전인 통일신라 말엽에 혜린선사가 송광산 길상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한 후 고려 중엽인 12세기에 보조국사 지눌 스님이 정혜결사 운동을 펼치고 조계산 수선사로 개칭했고 이후 고려 말에 조계산 송광사가 됐다.

 


 





송광사 기점 원점회귀 18㎞코스… 7시간은 잡아야 넉넉

   
보조국사와 그의 제자 담당국사의 전설이 어린 천자암 쌍향수.
산행지로서 뿐 아니라 최근 불고 있는 건강 걷기 코스로도 각광을 받을만큼 조계산은 산세가 험하지 않고 완만한데다 산책로처럼 걷기편한 코스가 거미줄처럼 엮여있다. 그래서 굳이 정상에 가지 않더라도 선암사와 송광사를 잇는 산책코스로도 인기가 높다.

'근교산&그 너머' 취재팀은 이번 주 다시 이곳을 찾았다. 한겨울에도 최저기온이 영상 2도에 머물 정도로 따뜻한 해양성기후를 갖고 있어 11월 말까지 늦은 단풍이 있을 뿐 아니라 초겨울 산행지로도 적당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새로운 코스를 답사, 소개하기 위해서다. 이른바 '송광사 원점회귀 코스'. 특히 송광사 3대 명물 중 하나로 통하고, 천연기념물 제88호로 지정돼 있기도 한 천자암 쌍향수(雙香樹)를 코스에 포함시켜 늦가을의 정취를 즐기며 볼 거리도 만끽할 수 있도록 했다.

송광사 매표소 앞을 기점으로 삼은 이번 코스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매표소~송광사~수석정삼거리~운구재~천자암~송광굴목삼거리~배도사대피소~보리밥집~장박골~작은굴목재~배바위~장군봉 정상~장박골 정상~연산봉사거리~피아골~토다리삼거리~수석정삼거리~송광사~매표소 순이다. 총 거리는 18㎞로 꽤 긴 편이다. 하지만 코스 전체적으로 된비알이 별로 없어 산행시간은 생각보다 많이 걸리지는 않는다. 순수하게 걷는 시간은 5시간30분, 휴식과 식사 유물관람 등을 포함하면 7시간30분쯤 잡아야 한다.








■산중 계곡 늦가을 단풍·배바위 조망 매력적인 육산

   
송광사 출입문 역할을 하는 우화각 주변의 단풍이 곱다.
매표소(유료)를 통과해 송광사 일주문에 이르는 1.4㎞가량의 한적한 진입로는 말그대로 산책로다. 본절 왼쪽으로 법정 스님이 머물렀던 불일암(佛日庵) 가는 길이 보여 옛 추억에 잠겨본다. 일주문을 지나 송광사 건축의 백미 중 하나로 꼽히는 우화각(羽化閣)에 닿으니 파란 하늘 아래 붉은 단풍이 조화를 이루며 산꾼의 눈과 마음을 즐겁게 한다. 우화각을 통해야만 절로 들어가게 되지만 취재팀은 곧바로 침계루(枕溪樓) 우측으로 난 길로 직진, 산행로를 따른다. 계곡을 베개로 삼았다는 뜻의 침계루라는 이름이 더없이 운치있다. 조금 더 오르니 더욱 운치 그윽한 대숲 사이로 길이 이어진다. 곧이어 수석정삼거리. 이곳에서 왼쪽 길을 따르면 굴목재를 넘어 선암사나 정상으로 곧장 가는 길이고 오른쪽 길은 천자암 가는 길이다. 오른쪽을 택해 천자암을 향한다. 노란 물 들인 은행나무를 지날 때 왼쪽 멀리 연산봉 정상부가 눈에 들어온다. 운동장을 오른쪽에 끼고 오르는 길은 고즈넉한 산책로의 분위기를 자아내는 완만한 오르막이다.



40분쯤 오르면 운구재다. 이곳에서 왼쪽으로 꺾어 천자암을 향해 간다. 역시 약간의 완만한 오르막. 이어서 봉우리를 휘돌아가는 편평한 산길이 이어진다. 스님들이 본절과 천자암을 오르내리기 가장 편하게 길이 만들어져 있다. 30분만에 도착한 천자암 입구 종각 앞에서 바라보니 남도의 나즈막한 산들이 수없이 겹치며 이어지는 모습이 그야말로 장관이다. 가을 꽃으로 뒤덮힌 천자암에는 그 유명한 쌍향수(별도 기사 '떠나기 전에' 참조)가 있다. 기묘하게 뒤틀린 향나무 두 그루는 서로 의지한 채 하늘을 향해 뻗었는데, 1000년 가까이 살았다는 이 나무들의 모습이 하도 신기해서 한참을 바라본다.



   
운구재에서 천자암으로 향하는 고즈넉한 산길.
다시 종각 쪽으로 내려서서 왼쪽 화장실쪽으로 간다. 화장실을 지나 10분쯤 가면 헬기장. 굴목재 방향으로 8분쯤 더 가면 갈림길이 나오는데, 왼쪽 오르막은 천자암봉을 거쳐 송광굴목재로 가는 길이고 오른쪽 직진 길은 송광굴목삼거리 및 배도사대피소 방향이다. 오른쪽 길을 택한다. 유순한 느낌의 길에서 부처님의 자비심과 같이 넉넉한 평온을 느낀다. 간간이 만나는 붉은 단풍잎은 만추산행의 묘미를 더해준다. 15분 후 송광굴목삼거리에서 우측 선암사 방향으로 내리막을 따른다. 10여분 후 돌탑과 작은 대피소 건물이 있는 곳에 닿는데 바로 배도사대피소다. 1980년대 초반 대피소를 지은 직후에 배씨 성을 가진 유식한 나그네가 이곳에 머물며 기행을 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곧이어 갈림길에서 왼쪽 길로 직진, 5분만 가면 그 유명한 '조계산 보리밥집'이다. 선암사~송광사 순례길을 걸을 때 많은 사람들이 요기를 하는 곳이다.



화장실 앞에 '장군봉 2.1㎞' 이정표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2분 후 굴목교삼거리에서 작은굴목재 방향인 왼쪽 길을 따른다. 곧바로 벌통바위를 지나면서 산중 계곡인 장박골의 가을 풍광을 만끽한다. 장박1교와 장박2, 3교를 잇따라 지나면 20분 만에 삼거리에 닿는다. 이곳에서 우측 계단을 따라 100m만 오르면 작은굴목재다. 장군봉 방향인 왼쪽의 약간 가파른 오르막 능선길을 따라 15분쯤 오르면 배바위다. 잠시 배낭을 벗어 내려 놓고 배바위 위로 올라본다. 로프가 설치돼 있다. 배바위에서는 머리 위에 장군봉, 그 아래로 선암사와 멀리 순천 앞바다까지 거칠 것 없는 조망을 즐길 수 있다. 다시 바위 아래로 내려와 10분만 오르면 정상인 장군봉이다. 삼각점과 돌탑, 정상석 등이 어지럽다. 서쪽의 장박골 건너편에 연산봉(832m)도 우뚝하다. '송광사 6㎞' 이정표가 가리키는대로 진행 방향으로 직진, 한바퀴 빙 돌아 서쪽에 보이는 연산봉 아래까지 일단 가야한다.



■연산봉사거리서 피아골 방향 하산로 험해 주의 필요

   
조계산 배바위에서 바라보면 바다와 산, 하늘의 경계가 모호해진다.
그야말로 평지나 다름없는 능선길의 연속이다. 잇따라 나오는 산죽터널을 통과한다. 접치갈림길과 장박골 정상, 장박골삼거리 등을 거쳐 연산봉사거리에 도착하기까지 50분쯤 걸린다. 이곳에서 연산봉으로 오르지 않고 우측 급경사를 내려서서 피아골 계곡으로 접어든다. 너덜이 많고 경사가 꽤 급해서 조심해서 걸어야 하는 길이다. 내리막이지만 결코 안심할 수 없는 험로다. 1시간가량 내려서면 길이 좋아지고 곧바로 토다리삼거리에 닿는다. 굴목재를 오르내리는 주 산행로에 합류한 셈이다. 우측으로 20분쯤 내려서면 수석정삼거리. 조계산 일대에 울려퍼지는 은은한 범종 소리를 들으며 걷다보면 15분 후 출발지점인 매표소에 닿는다.






◆ 떠나기 전에

- 천자암 쌍향수는 보조국사 담당국사 지팡이 였다고…

천자암의 쌍향수는 천연기념물 제88호로 지정된 두 그루의 향나무다. 아마도 대한민국의 수많은 나무가 있고 천연기념물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이 쌍향수는 그 외모의 신비로움과 그 내력에 얽힌 전설까지 합쳐져 최고의 나무라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전설에 따르면 이 두 그루의 향나무는 12세기말 정혜결사 운동을 펼친 보조국사 지눌 스님과 그의 제자인 담당국사와 관련이 있다. 지눌 스님이 중국 유학에서 돌아올 당시 중국 왕자 출신으로 자신의 제자가 된 담당국사와 함께 귀국, 천자암에서 수도하면서 두 스님이 귀국길에 사용했던 향나무 지팡이를 꽂은 것이라는 것. 그 때문인지 비슷한 둥치의 두 그루 중 한 그루가 마치 스승 앞에서 고개를 숙이는 제자의 모습처럼 약간 숙이고 있는 모양을 하고 있다. 아무리 보고 또 봐도 신기하다 못해 신령스런 느낌을 주는 쌍향수다.


◆ 교통편

- 자가용 이용, 남해고속도로 주암IC에서 빠져나가야

코스가 꽤 길고 빠른 걸음의 산꾼도 7시간 안팎은 잡아야 하기 때문에 대중교통 보다는 자가용 이용을 권한다. 남해고속도로 주암(송광사)IC에서 내려 좌회전 한 후 곧바로 송광사 방향으로 우회전(국도 18호선)한다. 파인힐스CC를 지나 주암호를 끼고 가다보면 송광사 입구 삼거리에서 좌회전, 3분만 가면 송광사 식당가 주차장에 닿는다. 부산에서 약 2시간50분 소요. 동절기의 경우 밝을 때 하산하기 위해서는 늦어도 오전 10시 이전에 산행을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부산에서 오전 7시 이전에 출발해야 한다.



문의=생활레저부 (051)500-5169,
국제신문
이창우 산행대장 010-3563-0254
이승렬 기자 bungse@kookje.co.kr






 


 

 

728x90

728x90

(경남여행/양산여행)통도사 국장생석표. 천년동안 통도사의 경계를 표시했던 국장생석표가 보물로 남아 있네요.


통도사는 신라 제27대 선덕여왕15년인 646년에 당나라에 유학을 다녀온 자장율사에 의해 창건 되었다.

삼보사찰의 하나로 불보사찰로 유명하다. 삼보란 불교의 뿌리가 되는 불(佛:부처님), 법(法:불법), 승(僧:승단)을 뜻하는 말로서 통도사는 부처님의 진신사리와 금란가사가 봉안되어 있어 대웅전에는 불상이 모서져 있지 않은 사찰로 유명하다. 








팔만대장경을 모신 해인사가 법보사찰, 보조국사 이후 16국사를 배출한 조계산 송광사가 승보사찰로 알려져 있다. 그중에서도 부처님의 진신사리와 금란가사를 모시고 있는 통도사를 삼보의 으뜸이라 치고 있는데 그러한 규모인 통도사의 경계가 궁금한 것은 사실이다.



영축산 아래에 자리잡은 통도사는 현재 영축산 동남쪽인 통도사 뒤 골짜기가 모두 통도사 소유의 땀으로 알려져 있다. 지산마을에서 영축산을 거쳐 오룡산에 이르는 능선과 해운자연농원이 있는 뒷산인 늪재(봉화산)에서 통도사 매표소까지 이어지는 어마어마한 규모를 가지고 있다.
지금도 이러한데 옛날의 불교를 숭상하던 고려시대의 사찰 규모는 더 확장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생각해 본 것이 통도사의 경계를 표시한 보물 제74호인 통도사 국장생석표이다.



통도사에서 먼 거리에 위치한 이 표석은 양산시 하북면 백록리 35번 국도상에 위치하고 있다. 일주문에서 동남쪽 2km 지점이다. 예전 그 영화는 간데 없고 쓸쓸히 밭고랑 사이에 그때의 흔적만 남기고 있다.
통도사의 '통도사사리가사사적약록' 기록에 따르면 사방 산천의 기를 보충하기 위해 12곳에다 장승인 표석을 세웠다고 하며 국명에 의해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1085년 고려시대때 세웠다고 되어 있는데 다시 세운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국장생석표가 존재한 것으로 보인다.

167cm의 돌 기둥에다 해서체로 새겨진 통도사 국장생 석표의 원문글씨로 '通度寺孫仍川國長生一坐段寺所報尙書戶部乙丑五月日牒前 判兒如改立令是於爲了等以立 太安元年乙丑十二月日記(다음백과사전인용) '
네줄로 새겨진 글자는 이두문이 함께 사용되었고 금석문 연구의 중요한 자료라 한다. 넓이는 60cm 정도의 크기이다. 국장생석표의 역할은 사찰의 경계를 표시하며 땅의 기운을 보충하여 절에 들어오는 액운을 막기위한 고려시대의 풍수사상으로 보인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