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부산여행/금정구여행)금정산 원효암의 원효석대와 의상대. 범어사 원효암에는 특이하게 원효와 의상이 수도한 바위가 있다네요..

흔히 범어사를 영남의 3대 사찰이라 부른다.   양산 통도사, 가야산 해인사 그리고 범어사를 두고 하는 말이며 의상대사에 의해 창건 되었다 한다. 그 범어사를 등지고 서서 원효암이란 작은 암자가 초야에 묻혀 있다.  바람 흔적만 찾아 드는 곳에  있으며 미륵사와 함께  원효대사에 의해  창건되었다. 이 원효암은 아주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범어3경의 원효석대와 금정8경의 의상망해가 함께 위치를 하고 있어 흔히 의상이 있는 곳에 원효가 있고 원효가 있는 곳에 의상이 있다는 말을 증명이라 하듯이 원효석대와 의상망해는 서로 이웃집 처럼 한능선에 100여m를  두고 자리 잡고 있다.

 


 


크게 부르면 서로 대화가 가능한 위치에 있으며 서로 누구의 도력이 더 센지 내기를 하여도 될 것 같은 거리이다. 이름 그대로 의상망해에서 바라보면 멀리는 광안리 앞바다와 광안대교가 보이며 좌측으로 해동수원지와 그 주변 일대가 조망이 된다. 그리고 일반인도 쉽게 오를 수 있는 곳에 위치를 하고 있다. 원효석대는 원효암 뒷편에 자리를 잡고 있는데 상어의 이빨 처럼 솟은 여러개의 바위로 되어 있어 밑에서 쳐다 보면 위압감이 든다. 실제로 산죽지대를 헤치고 오르면 바위밑에서 보았듯이 원효가 앉아 수도 하였을 법한 편편한 바위에는 쉽게 오를 수가 없다. 그리고 그위에서 쳐다보면 금정산 정상인 고당봉을 위시하여 금정산에서 제일 먼저 새벽을 알렸다는 계명봉과 계명암이 눈에 들어오고 우측으로는 광안리 앞바다 까지 보여 그야말로 의상대와 원효대는 두 대사가 서로 수도를 하여 도를 터득하지 않았나 쉽다. 범어사에서 원효암 찾아가는 길은 20여분 발품을 팔아야만 오를 수 있다. 범어사에서 북문으로 오르는 입구에서 좌측으로 난 길이며 너덜로 된 계곡을 건너면서 시작된다. 원효봉의 산비탈을 타고 오르면 능선 갈림길에 올라서고 좌측은 의상대로 가고 원효암은 직진 또는 우측 산길를 따라가면 된다.  초라한 일주문이 어느 양반댁 대문 처럼 솟아 있고 지금은 세월의 흔적 때문인지 허물어 지기 직전이 되어 이곳이 그 유명한 원효대사의 수도처인가 싶을 정도로 의구심이 든다.  
















원효암 동편 삼층 석탑
유형문화재 제11호로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524번지 원효암에 소재하고 있다.
신라말에서 고려초의 3층석탑으로 추정되며 원효암 들어서는 입구에 큰 지대석을 기단삼아 3층의 탑신부만 남아 있다. 탑의 형식으로 미루어 이중의 기단위에 삼층의 탑신을 올리고 그 위에 상륜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이 된다.
 기단부와 상륜부는 소실된 것으로 보이며  그후에 석탑의 부재를 수습하여  기단없이 세웠다.










원효암 서편 삼층석탑


























원효석대로 이 바위위에 올라서면 계명봉과 그아래 계명암 그리고 범어사를 볼 수 있다.







 

 

 

 

 


 

 

 

728x90

728x90

(부산여행/금정구여행)금정산 범어사 범어3기.  암상금정, 원효석대,자웅석계를 금정산 범어사의 범어3기라 합니다.

 

부산의 진산인 금정산에는 대한불교 조계종의 범어사가 있다. 산내 암자인 말사를 10여개 거느리고 해인사. 통도사와 함께   영남지방의 3대 사찰로 이야기를 한다. 1300여년 전인 신라 문무왕때 의상대사가 창건하였다. 호국사찰인 범어사를 중앙에 두고 주변에는 범어3기가 삼각형으로 포진을 하고 있다.
이름하여 암상금정, 원효석대,자웅석계로 암상금정은 이름그대로인 돌우물로 금정산이란 이름을 탄생하게 하였다. 고당봉 아래쪽인 범어사와의 일직선 상인 중간 큰 바위 군상에 있는 샘으로 아무리 심한 가뭄이 들어도 마르지 않으며 그 샘에 하늘에서 오색 구름을 타고 내려온 물고가 있었다. 몸에 금빛을 내며 유유히 노는 물고가 있었다 하여 금샘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범어사의 산내 암자인 원효암은 범어사와 제법 동떨어진 원효봉 중턱에 자리를 잡고 있다. 범어사에서는 가장 멀리 떨어진 왜진 암자로 범어사를 등지고 있어 심산에 들어온 느낌을 준다. 그래서 인지, 지금도 찾는 이가 별로 없어서 인지 원효암으로 들어서는 일주문 부터 흡사 귀곡산장으로 들어서는 느낌을 들게한다. 다 쓰러질 듯한 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한글로 법당이라 적어 놓은 건물을 볼 수 있다. 이건물도 채색이 바래지고 폐가의 모습을 하고 있으니 원효스님의 기도처라고는 쉽게 생각이 들지 않는다. 그 법당 뒤 왼쪽으로 톱날 같은 바위가 있으니 원효스님이 수도를 하였다는 원효석대이다. 보살님에게 원효석대의 위치를 물어보니 모른다며 입구의 의상대는 알고 있다 하신다. 자초지종 이야기하니 스님에게 물어보고 오겠다하며  요사체로 달려가 원효석대가 어딥니까 물어보니 스님께서는 이 뒤가 원효석대라며 법당뒤 바위를 이야기 하였다. 그러면서 올라가는 길이 없다고 하였다. 원효석대 부근에는 산죽이 뒤 덮혀 산길의 흔적은 없으며 산짐승들의 흔적들이 보였다. 그리고 원효석대에 올라서면 범어사 쪽은 수십길의 낭떨어지이고 칼날같은 바위들이 서로 솟아 있어 일반인들은 쉬게 올라가기 힘든 모습을 하고 있었다.
또 하나는 범어사앞에서 우측 계곡 옆 도로를 따라가면 계명암으로 올라가는 계단과 만나는데  계명암 옆에는 금정산에서 제일 먼저 새벽을 알렸다는 암,숫닭 한쌍을 한 바위가 있었다 한다. 일본인들에 의해 암닭은 처참하게 파괴되어 현재는 그 흔적을 찾을 수 없으며 지금은 그 자리에 작은 석탑이 서 있다. 남아 있는 숫닭도 몰골이 말이 아니다 . 자웅석계라 생각을 하고 바라보면 숫닭의  모습을 읽을 수 있지만 아무런 생각없이 지나가면 작은 바위에 불과한 모습을 하고 있다. 이 범어3기가 금정산과 범어사를 대표하는 문화유적지로 대접을 받는 날이 빨리 왔어면 한다. 
암상금정인 금샘 찾아가는 정도만 작은 안내도가 설치 되어 있고 원효석대, 그리고 자웅석계는 그 어떤 표시나 명칭은 찾을 수가 없어니 금정산을 찾고 범어3기를 알고자 하는 분들을 위하여 하루빨리 이정표와 안내판을 설치하길 권해본다.

암상금정


원효석대


자웅석계



 

 

 

728x90

728x90

(부산여행/금정여행)금정산 범어사 계명암 여행. 하늘에서 닭 울음소리가  들렸다는 금정산 계명암

 

금정산은 예로 부터 여러 봉우리들이 모여 하나의 금정산을 이루고 있다. 최고봉을 고당봉이라고 하며 그 동쪽으로 금샘이 있다.
그 금샘에 금어가 놀아 범어사와 금정산의 어원이 되었다는 것은 모두 다 아는 사실이다. 파리봉, 상계봉, 계명봉의 봉우리가 있었는데 그외의 장군봉,의상봉. 원효봉, 대륙봉등의 이름은 최근에 붙여졌다. 범어사를 감싸고 있는 봉우리는 고당봉과 장군봉 그리고 계명봉이다. 범어사의 우측에 우뚝 솟은 계명봉은 마치 피라미드와 같은 독립봉의 형태를 가지고 고당봉의 동쪽에 솟아 있어 계명산으로도 부르는 이가 있다.

 




 


계명암에는 계명이란 이름을 낳은 닭의 형상을 한 바위가 있다.
계명암 위 30m 근방 등산로 상에 있는 작은 바위로
이 바위가 자웅석계로 "범어3기"의 하나로 기록 되어 있다. 한때는 이 바위옆에 닭의 형상을 한 바위가 한개가 더 있었다 한다.
한쌍의 닭형상, 즉 수탉과 암탉의 모습을 한 바위가  나란히 있어 새벽을 알리는 닭 울음소리가 들렸다 한다.
용맹정진하는 스님들이 새벽예불을 드릴 시간에 정확하게 하늘에서 닭의 울음소리가 들렸다하여 계명암이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지금은 암탉의 모습은 일본인들이 우리나라의 정기를 말살시키기위해 무참하게 깨어버려 훼손되어 없고 수탉만 남아 있지만 그 수탉 마저 온전한 모습이 아닌듯하다.
위의 사진은 수탉의 모습이다

범어사 청련암 입구에서 가파른 계단을 오르면 약 해발 500m에 위치한 계명암 일주문과 만난다.
일주문을 지나면 길게 늘어선 담장이 운치가 있으며 한적한 산사의 멋을 느낄 수 있다. 지금은 그때의 모습은 찾을 길이 없지만 계명암 앞 마당에서 보는 고당봉과 범어사 경내 그리고 멀리 부산의 앞바다를 볼 수 있는 뛰어난 전망을 자랑한다.



경내로 들어서는 돌담위에 앙증맞은 작은 모습의 부처들을 만날 수 있다.
천년의 세월을 간직한 계명암의 전설은 아는지 모르는지...

경내로 들어서면 먼저 만나는 스님의 수행공간이 좌측으로 있으며 법당은 앞으로 방을 내어 기도처로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부처님오신날도 지난 후지만 신도들의 발걸음이 잦은 절이다.

우측으로 통유리를 넣은 곳이 본법당이며

동자들의 해학적인 모습이 더욱 정감이 간다.

암탉이 있던 자리에 지금은 석탑이 세워져 있고

한반도의 국운이 다시 굳건하게 될때쯤 장탉의 우렁찬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기를 고대해본다.



계명암 마당에서 본 금정산 고당봉과 운치 있는 절의 담장

<법당안의 모습들>







본전에 모서진 부처님 앞에 작은 동자가 앉아 있는 모습이 다른절과 특이한 것 같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