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밀양 단장면 보문사의 대웅전과 선바위모습

밀양 단장면 보문사

밀양시 단장면 무릉리 노곡마을 뒤산을 수리덤산이라 부른다.

산 정상일대에 바위 층덤이 절벽을 이루고 있어 이곳에 수리매가 서식을 하였다 한다.
이곳 아래에 보문사란 작은 암자가 자리하고 있다.
절의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지만 앉은 폼새 만은 천년고찰의 고승대덕이 수도하였을 법한 그런 위치이다.
발아래로는 이상향인 꿈속에라도 볼 수 있을 것 같은
도연명의 ‘무릉원기’인 무릉도원에서 따 왔다는 무릉리 마을이 펼쳐지고
 흡사 산 아래로 구름 바다가 펼쳐지면 신선이 되어 다닐 것 같은 그런 곳이다.
필자가 걸음을 옮겨 걸어 올라가니 꽤나 다리품을 팔아야 하며 경사도 또한 만만치 않아 힘이 들었다.




그래서 올라가는 중간중간 고급 전원주택들이 자리를 잡고 앉아 옛집들을 몰아내고
텃줏 대감인양 주인행세를 하고 있는 모습이 여기의 풍경과 어울리지가 않은 것 같았다.
이곳 보문사는 올해 나이로 68세이다.
창건연대는 어느 천년고찰에 비유할때가 되지 못하지만
노스님 한분과 기거하는 보살님의 자비로움이 관광지의 고찰에서 볼 수 없는
그런 사찰다운 모습을 찾을 수 있었다.

노스님은 올해 나이로 79세이며 법랍은 56세인 주지 신행스님으로
아직고 텃밭을 일구시며 할 일을 찾아 호미를 덜고 나가신다.
잘 쉬시다가 가’란 말씀과 함께,

이곳 보문사에는 신기한 바위가 3개 있다.
대웅전과 붙어 있는 선바위로 마을에서는 입암으로도 부른다.
이 바위의 모습에 보문사를 창건하지 않았나 싶을 정도로 모습이 신기하다.
이리보면 사람의 얼굴이요. 저리보면 부처님의 모습이라.
그래서 사람이 곧 부처란 그 말이 실감나는 곳이다.

그 밑으로 자리 잡은 작은 바위는 흔들바위로 멀리서 보아도 흔들리는 그 모습이 확인된다.
또 하나는 요사채 좌측의 마당바위로 옛 밀양땅에서 관직을 버리고
국전리에서 여생을 보내며 이곳에 올라 시 한수 읊조리지 않았을까
싶을 정도로 아늑한 공간으로 소나무가 둘러져 있다.

그래서 인지 보문사는 더욱 정갈하며 정감이 가는 작은 암자이다.




 











흔들바위

마당바위


찾아가는 길

부산에서 밀양행 열차를 이용한다. 오전 5시10분,50분 6시35분, 55분, 7시45분, 8시35분,9시25분, 10시20분등 다양하게 있다. 버스를 타고 시외버스 터미널로 이동하며 밀양시외버스 터미널에서는 국전행 시내버스를 이용한다. 하루 5회로 6시20분 8시40분, 12시50분, 17시, 19시이며 무릉에서 하차를 한다.

 

부산에서 신대구부산고속도로를 이용하여 밀양요금소를 빠져 나오면 24번 국도와 만난다. 울산 얼음골 표충사 방향으로 우회전을 하여 금곡인터체인지에서 우측 표충사로 내려선다. 금곡교를 건너면 단장면으로 1077번 지방도인 표충사 방향으로 직진한다. 단장면 소재지의 면사무소 앞에서 1077번 지방도인 무릉리 국전리 방향으로 우회전하면 된다. 곧 무릉버스 정류장과 만나고 정류장 직전 노곡교를 건너면 자암서당을 지나 보문사 주차장이다.


728x90

728x90

100여년 전인 밀양 단장면 무릉리 노곡마을의 작은 서당에는
유생들의 글 읽는 소리가 낭낭하게 울려 퍼졌다.

그 글 읽는 소리가 퍼져 인근의 수많은 유생들이 이곳에 찾아 들었다.
이름만큼 아름다운 곳이다.

진나라때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무릉도원의 별천지 모습이  이를까
논에는 막 모내기를 끝내고 한가로운 농촌의 풍경과 주변의 대추나무에는
겨울옷을 벗어버리고 이제는 초록색의 여름옷으로 바꾸어 입은 자연의 모습이
무릉리 마을 사람들이 꿈꾸는 무릉도원이 아닐까.
그래서 인지 이곳도 전원주택이 
많이 들어서 있다. 

 


선생은 수림덤산을 배경으로 산자수려한 이곳에 
유하여 지상낙원인 무릉도원을  꿈꾸었을까. 
이곳은 1913년 소눌 노상직(1854~1931)선생이 망명지 만주에서
이곳 무릉리로 돌아와 저술과 후진양성을 위해 세운 강학소이다.
‘자암’은 서당뒤 서북쪽에 있는 붉은 색을 띠는 바위로
마을에서는 뿔근바위 즉 자암에서 자암서당이라 하였다.
선생은 1919년 3.1운동 직후 파리에서 열리는 만국평화회의에
조선의 독립을 청원하는 파지장서에 유림대표 137명, 문인 14명과 함께
서명 한후 옥고를 치르기도 하였다.



그의 제자가 일천에 이를 정도로 그의 학문과 열의는 인근에서는 따를 자가 없었고
1930년에는 근방 사연리 말방마을에 사남서장을 짓고
후진양성과 책을 보관하였다 하는데 현재는 남아 있지 않다.




작금의 자암서당은 글 읽는 수많은 사람들은 온데 간데 없고 
마당에 웃자란 잡풀만이 무성하여 황량한 바람소리만 들릴뿐이다.
서당건물과 안가는 서로 담장과 서당건물이 쳐져 분리를 해 놓았다.
출입문은 두 개로 밖에서 보면 살림집으로 들어가는 문과 서당으로 들어서는 문이 있다.
현재는 안가로 들어서면 좌측에 안채가 있고 정면에는 서고가 자리하고 있다.
안채도 지금은 살림을 살지 않으며 서고문을 열어보니 책꽃이만 짜여져 있고 책은 볼 수 가 없었다.
세월 앞에 어 쩔 수 없는지 살림집의 출입문에 붙은 작은 사랑채에 후손들이 기거를 하는 것 같다.







모양세로 보아 할머니 한분만이 이 자암서당을 지키고 있는 것 같다.
할머니의 발이 되어 줄 유모차가 마당에 나딩굴고
 평상에는 살림들이 누워 있으며 수돗가 옆에는 세탁기가 자리를 하고 있다.
자암서당으로 들어서는 중문은 함석이 문 앞에 기대어져 최근에는 들어선 흔적을 볼 수가 없었다.
중문을 열고 들어서니 우측으로 서당의 출입문과 화장실이 서 있으며
두동의 건물이 서 있었다.

자암서당으로 세월의 흔적은 어쩔 수가 없는 가 보다. 
문 짝 등 보수를 한 흔적은 찾을 수 가 있었지만 마루위에는 잡동사니등이 너부러져 있고
회칠을 한 벽들은 떨어지고 마당앞의 잡풀은 자랄대로 자라 사람이 들어설 자리가 없었다.
자암서당의 간결하면서도 기품있는 모습에서
선생의 올 곧은 모습과 선생의 열의에 찬 교육열을 옅볼 수 있었다.












자암서당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94호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무릉리

자암서당은 소눌 노상직(1854~1931)선생이 망명한 만주에서 돌아와 저술과 후진 양성을 위해 세운 서당으로 선생은 이곳에서 3.1운동 직후에 파리평화회의에 보내기위한 파지장서에 서명을 하였고 그의 학업과 덕망에 천여명이 넘는 제자를 배출하였다. 선생은 이곳에서 또함 많은 저술 활동을 펼쳐 성리절요, 동국씨족고등 많은 저서를 남겼다.














찾아가는길

 

부산에서 신대구부산고속도로를 이용하여 밀양요금소를 빠져 나오면 24번 국도와 만난다.
울산 얼음골 표충사 방향으로 우회전을 하여 금곡인터체인지에서 우측 표충사로 내려선다.
금곡교를 건너면 단장면으로 1077번 지방도인 표충사 방향으로 직진한다.
단장면 소재지의 면사무소 앞에서 1077번 지방도인 무릉리 국전리 방향으로 우회전하면 된다.
곧 무릉버스 정류장과 만나고 정류장 직전 노곡교를 건너면 자암서당이다.

부산에서 밀양행 열차를 이용한다. 오전 5시10분,50분 6시35분, 55분, 7시45분, 8시35분,9시25분, 10시20분등 다양하게 있다. 버스를 타고 시외버스 터미널로 이동하며 밀양시외버스 터미널에서는 국전행 시내버스를 이용한다. 하루 5회로 6시20분 8시40분, 12시50분, 17시, 19시이며 무릉에서 하차를 한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