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동래 읍성지(東萊 邑城址)

동래읍성은 현재의 동래 일원 즉 복천동, 안락동, 명륜동, 칠산동, 명장동 일대에 걸쳐져 있는 성으로 조선시대 동래부의 행정중심지를 둘러싸고 있었던 읍성이다. 안락로타리의 충렬사 뒤산인 동장대에서 인생문를 거쳐 북장대의 마안산으로 연결되고 동래향교 뒷산의 낮은 산등성이를 전부 포함하며 현재 동래시장이 있는 평탄한 곳까지도 여기에 포함된다.


 




산성과 평지성의 형식을 접목하여 장점을 이용한 평산성의 형식으로 쌓았다. 삼한시대에부터 부분적으로 성의 형태를 갖추어진 것으로 보지만 동래성에 관한 기록은 고려사에 보이는 현종12년인 1021년에 동래성을 수리한 것으로 나와 있다.
1387년 고려 우왕13년에 박위가 왜구를 막기 위해 쌓은 후 조선시대에 들어와 동래부는 대일 외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아의 규모도 키우고 격식 또한 높혔다. 그래서 정3품의 부사를 두어 관할하게 하였는데 이는 왜적을 방어하기 위함이였다.

 



1592년인 선조 25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왜군은 부산진성과 함께 제1공격목표를 정했다한다. 이에 동래부사 송상현은 동래성을 사수하기 위해 민관군과 함께 끝까지 싸우다가 장렬하게 전사를 하게 된다.
임진왜란이 끝나자 성은 허물어진채로 방치되어 오다가 1731년 영조7년에 와서 정언섭에 의해 기존의 성보다도 규모가 큰 성을 다시 쌓았다한다.
이때 쌓았던 성의 흔적을 토대로 지금 동래읍성을 새로 복원하게 된 것이다. 증축된 성의 규모는 성곽이 3.8km, 읍성에는 사대문인 동,서,남,북문과 인생문, 암문이 있고 각 문에는 문루가 있었다한다. 





동문을 지회루, 서문을 심성루, 남문을 무우루, 암문을 은일루라고 하였다. 동래읍성중 평지에 있었던 남문은 위치로 보아 중요하게 여겨 익성을 두었는데 앞쪽의 세병문과 뒤쪽의 주조문의 이중구조로 되어있었다. 일제강점기때 시가지정비계획에 의해 평지에 있던 성벽은 철거되고 마안산등 일부에만 그 흔적이 남아 있다가 북문, 북장대, 동장대. 서장대, 인생문이 복원되었고 치성과 여장등이 보수 또는 수리중이다.



동래읍성의 장대중 하나인 북장대는 1737년 영조13년에 좌천동 동구 도서관 옆 증산 위에 세워졌다가 20년후 이곳으로 옮겨 온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그때의 장대는 없어지고 1999년 현재의 북장대는 복원이 되었다. 1870년 고정7년에 동래부사 정현덕이 왜적의 침입에 대비하여 성벽과 문루등을 고쳐 쌓았는데 서장대를 세워 장수의 지휘와 주변 경계를 강화하도록 하였다한다.



북장대는 읍성중에 가장 높은 위치에 있어 성내외에 있는 군대를 쉽게 지휘할수 있었으며 6개의 문중 하나인 인생문은 임진왜란때 이곳 인생문으로 피난을 위해 성을 빠져나간 사람은 모두 목숨을 건졌다하여 사람을 살린 문이라하여 인생문으로 부르게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당시 동래부사 송상현이 성문을 굳게 닫고 문루에있는 송상현을 보고 소서행장이 길을 빌려달라고 하였습니다. 왜구는 명나라를 칠려고 하니 조선은 우리에게 길을 빌려달라고 하였는데 정발장군이 길을 빌려 줄 수 없다하며 반대하여 종과부적과 조총으로 인해 부산진성은 함락되고 그 길로 동래성으로 쳐들어 왔다고 합니다. 



소서행장이 송상현에게 "싸울테면 나와서 싸우고 그렇치않으면 길을 빌려달라"고 하니 송상현이 "죽기는 쉬워도 길을 빌려 주기는 어렵다"는 답글로 결연의 의지를 보여줍니다. 그러나 송상현의 그 결연한 의지도 군사의 열세와  조총으로 중무장한 왜적을 이길수는 없었습니다. 동래성은 함락 되었고 송상현은 동래성과 끝까지 함께 하다가 순절하였습니다. 그 역사의 성인 동래읍성 주위로는 볼거리도 많이 있습니다. 송상현과 정발장군등 숱한 선열들을 모신 곳인 충렬사가 있으며, 복천동고분군, 동래향교등 문화유적과 함께 역사성도 많은 곳으로 자녀분과 주말에 방문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

728x90

동래향교

1972년 6월26일
부산유형문화재제6호지정
부산시 동래구 명륜동 235번지 명륜초등학교옆에 위치

동래향교인 정면의 2층누각으로 반화루이다. 그 뜻이“성인을 따라 덕을 쌓고 임금을 받들어 공을 세우기를 원한다”는 교육이념을 나타낸다.


 



학생들이 수업을 하던 곳으로 명륜당이라 한다.

대성전으로 성현들을 모셔 놓은 곳이다. 

동래향교는 조선태조1년 때인 1392년에 신설된 교육기관으로 현재 동래읍성 밖의 동래고등학교 자리에 위치하였다 한다. 그후 현재의 위치에는 순조12년인 1812년에 동래부사 홍성만에 의해 지금의 명륜동 명륜초등학교 옆에 자리를 잡게 되었다. 향교의 기능은 공자를 비롯한 유교의 성현들에게 제사를 지내고 백성들의 교육을 담당하는 국립교육기관이었다. 지금의 중등교육기관에 해당을 한다. 동래향교는 교육을 담당하는 명륜당과 성현을 모신 대성전을 나누는데 그사이에 내삼문을 두고 있다. 그리고 명륜당과 일치하지 않고 명륜당 우측으로 비껴나 않게 대성전이 위치하고 있는 점도 다른 향교와 특이한 점이라 하겠다.

정문인 반화루가 있는 2층 누각은 특별한 행사 이외에 현재는 밑으로 출입을 할 수 없으며 좌측 관리사무소 옆으로 쪽문이 열려 있다. 쪽문으로 들어서면 좌측 반화루와 서로 마주보게 앉은 명륜당이 자릴 잡고 좌측으로 서재, 우측은 동재로 3동의 건물이 있다. 명륜당은 요즘 말하는 수업하는 교실이라면 동재와 서재는 학생들이 기거하는 기숙사인 것이다. 그리고 반화루 옆에는 많은 빗돌을 볼 수 있는데 동래부사로 부임한 관리들의 빗돌로 동래향교에서 부사들의 공적비를 세운 것이라 하였다. 이 공적비를 흥학비로 부른다.

명륜당과 대성전은 정면5칸이고 측면이2칸인 겹치마 맞배지붕으로 건축되었고 그 앞 부속건물인 동재와 서재는 정면3칸과 측면1칸의 홑처마 맞배지붕양식으로 지어졌다. 동래향교의 중심건물인 명륜당과 마주하고 있는 반화루는 그 뜻에 걸맞게 동래향교의 교육이념을 잘 나타내고 있다. “성인을 따라 덕을 쌓고 임금을 받들어 공을 세우기를 원한다”는 2층 누각 반화루는 정면3칸 측면2칸이며 주심포양식의 겹처마 팔작지붕을 올려 중후한 맛을 내게하였다. 대성전 아래 동무와 서무는 성현들의 위패를 모신 곳으로 동재와 서재와 비슷하지만 겹처마 맞배지붕을 올렸다. 명륜당 좌측에는 수령220년 된 은행나무가 지금 노란 물을 들이고 있고 보호수이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동래향교의 학사관리를 위해 학전7결이 지급되었고 종6품의 교수1명과 70명의 학생이 수업을 받았다 한다.

필자가 동래향교를 찾아가기 위해 자신을 하고 찾아갔는데 동래향교를 찾을 수가 없었다. 30년전 고등학교를 다닐때 그 훤하던 길들이 지금은 샛길이 되어 있고 많은 도로가 새로 생겨 30년 전의 기억을 무용지물로 만들었다. 우성베스토피아 입구의 전봇대에서 안내판을 찾았는데 그 안내판을 보고 찾을 수가 없어 부근의 여중생2명에게 동래향교를 물어보니 그런곳 모릅니다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200m 거리의 문화재도 모른다고 하니 말이다. 아님 요즘 어린이 납치범들이 많아 얼른 짜리를 피할여고 그런지... 내 기억으로도 명륜초등학교 옆에 있다고 기억을 하는데 그 예들도 그 학교를 졸업을 하였을 껀데 모른다고 하니 뭔가 교육이 잘못되어가고 있는 느낌이 들었다. 동래향교와 복천동고분군, 박물관을 한 이정표에 삐딱하게 붙이고 비슷한 방향으로 화살표를 그어 놓아서 그것을 보고는 복천동고분군과 박물관은 찾아갈 수 있는데 동래향교는 찾을 수가 없었다. 동래구청에 부탁하고 싶은 게 안내판을 나누어 동래향교의 안내판은 그 방향에 제대로 붙여주었으면 한다.

반화루 앞 입구에 넓은 주차장을 두고 있어 쉽게 찾을 수 있는 곳이다.

입구에 들어서면 정면에 명륜당 좌측에 서재 우측에 동재로 학생들의 기거할 수 있는 공간이다.

동재와 서재로 정면3칸과 측면1칸의 홑처마 맞배지붕의로 되어 있다

흥학비로 동래부의 관리로 부임한 부사들의 공적비를 적은 빗돌이다.

명륜당에서 마주 바라본 반화루로 2층 누각을 이루고 있다.




명륜당 내부 모습입니다.

명륜당 현판과 내부 천장의 모습입니다.




대성전으로 성현들을 모시고 재사를 지내던 곳

동무와 서무로 성현들의 위폐를 모신 곳이다.


명륜당과 대성전을 가르는 내삼문

안내판의 그림대로라면 같은 골목으로 이해가 되지만 실제 찾아가면 고분군과 읍성지는 같은 길이지만 동래향교는 엉뚱한 방향의 길입니다. 같은 도로가 아닌 길입니다. 그리고 작고 너무 높이 붙여 놓아 쉽게 안내를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