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경북여행/문경여행)문경 봉암사. 일년중 부처님오신날 딱 하루만 산문을 개방하는 천년고찰 문경 희양산 봉암사 여행을 하다. 문경 봉암사


문경 희양산 봉암사는 1년 중 부처님오신날 딱 한 차례 산문을 개방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래서 여느 사찰처럼 불쑥 대웅전을 참배할 수 없으며 문경여행을 왔다고 해서 봉암사를 찾을 수도 없습니다. 이는 다른 도량과 달리 창건부터 지금까지 선도량으로 일관되게 이어졌으며 1982년 6월에 종단에서 봉암사를 특별수도원으로 지정하였기 때문입니다.






 

봉암사의 경내는 법당을 중심으로 동서남북 반경 4km라 하니 희양산은 물론이고 그 아래 백운대계곡 등 모두 봉암사 소유로 평소에는 출입을 할 수 없습니다. 봉암사의 내력을 보면 지금으로부터 약 1100여 년 전 그러니까 879년(헌강왕 5년) 지증대사 지선이 창건했습니다.



봉암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김천의 직지사 말사로 선종산문인 선문구산의 하나인 희양산문의 종찰입니다. 당나라에서 귀국한 지선의 명성을 들었던 심층은 수행도량으로 희양산 일대를 희사하겠다 하자 지선은 처음에 받을 수 없다며 거절하였습니다. 그 뒤 지선이 이곳을 둘로 보고 “스님의 수도 도량이 되지 못하면 도적의 소굴이 될 것이다”며 이곳에다 절을 세웠습니다.

 


지증은 용의 뿔처럼 우뚝 솟은 희양산의 바위봉우리와 그 아래에 펼쳐진 산자수려한 계곡을 보면서 과연 어떤 생각을 했을까요? “산이 병풍처럼 둘러 처져 마치 봉황의 날개가 구름을 흩는 것 같고 강물이 멀리 둘러 쌓였는 즉 뿔 없는 용의 허리가 돌을 덮은 것과 같다”고 감탄하며 이는 필연적으로 하늘이 자신에게 수도 도량을 세우라는 ‘부처님의 계시’라 생각할 정도로 마음에 '쏙' 들었나 봅니다.

 


일개 범부인 제가 느끼기에도 지금의 봉암사는 그만큼 좋은 장소라 생각되었습니다. 지선이 절을 짓자 881년에 헌강왕은 봉암사라는 이름을 내렸으며 지증국사 이후인 935년(태조 18년) 정진대사가 머물 때는 3천여 대중이 봉암사에 몰려 동방장, 서방장으로 나누어 정진수도 할 정도로 선풍을 일으켜 꾸준하게 그 맥이 이어졌습니다.

 


조선 초기인 1431년(세조 13년)에 기화스님이 중수하였고 1674년(현종 15년) 신화스님은 화재로 소실된 봉암사를 중건하였으며 1915년에는 세욱스님이 쇄락한 당우를 중건하였고 1927년 지증국사의 비각과 익랑을 세웠습니다. 봉암사는 1947년 해방과 함께 새로운 변혁기를 맞습니다. 

이는 ‘봉암사 결사’로 성철스님이 앞장서고 청담, 자운, 우봉스님 이 네 분이 “무엇이든지 잘못된 것은 고치면서 부처님 법대로만 살아보자”며 원을 세우고 결사 도량을 봉암사로 택했습니다. 그 후 20인이 동참하여 오늘날 봉암사 수행 도량의 근간이 되었습니다. 봉암사를 두른 암봉이 참 대단합니다.

 


봉암사 뒤 솟은 암봉은 희양산입니다. 여기에는 명나라 장수 이여송이 조선의 흥한 기운을 끊으려고 희양산 정상 바위에다 칼로 다섯 줄의 홈을 파내어 혈도를 끊은 곳입니다. 참 나쁜 놈입니다. 아직도 그 흔적이 남아 있다 합니다. 임진왜란으로 국운이 바람 앞에 등불인데 구원군의 최고장수인 이여송은 지관과 함께 우리나라 명당이란 명당의 혈도를 끊으러 다녔다 하니 그래 올케 전쟁을 했는지 의심스럽습니다.

 


부처님오신날 봉암사는 절 입구 삼거리에서부터 일체 차량 진입을 할 수 없었습니다. 그곳부터는 무료 셔틀버스를 타고 봉암사 마을버스 종점까지 들어갔고 내려서 걸어 봉암사로 가야 했습니다.


봉정사 일주문은 경내 목조건물에서 봉정사 극락전 다음으로 오래되었습니다. 1900년경 봉암사 일주문 사진이 남아 있는 것을 보면 최소한 18세기 초부터 19세기까지 지금의 자리를 지키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침류교를 건너면 먼저 한일(一)자로 길게 이어진 남훈루 현판이 걸린 가운데 문으로 들어섰습니다.

 

 

 

 


그리고 봉암사에서 목조건물이 보물로 지정된 극락전을 먼저 만났습니다. 봉암사는 창건 이래 잦은 전란으로 소실되었지만 그중 극락전만은 용케 화마로부터 남아 보물 제1574호에 지정되었습니다. 앞면 1칸, 옆면 1칸에 2층 건물인 봉정사 극락전은 겹처마에 네 모 반듯한 평면건물에 올린 사모지붕을 하였습니다.

 

 

 


그 중앙에 석탑의 상륜부를 올려 탑의 형식을 갖춘 건물입니다. 봉암사 극락전 내부에 어필각(御筆閣) 편액이 있으며 이는 신라 경순왕이 전란에 봉암사로 피신하여 원당으로 사용했기 때문이며 주위에 남아 있는 지명을 보면 더욱 신빙성이 있습니다.


2016/05/23 - (경북여행/문경여행)희양산 봉암사 극락전. 잦은 화재로 봉암사 전각중 유이하게 남은 보물 제1574호 봉암사 극락전의 독특한 목탑양식 당우를 만나다. 봉암사 극락전

 

 

 

 

 

대웅보전 


대웅보전은 가운데 석가모니불을 봉안하고 협시보살로 좌측에 문수보살을 우측에는 보현보살을 모셨습니다.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는 보물 제138호에서 2010년 1월 국보 제315호로 승격 지정될 만큼 귀부와 이수의 조각수법이 대단히 뛰어나고 비신의 높이는 273cm, 넓이 164cm, 두께 23cm로 웅장한 규모의 탑비입니다. 지증대사는 신라 진골로 경주김씨이며 법호는 도헌이며 선종 구산선문의 하나인 희양산문의 개산조입니다. 840년(문성왕 2년)인 17세에 영주 부석사에서 경의 율사를 은사로 구족계를 받고 승려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헌강왕은 왕사에 임명하지만 거절하며 그가 창건한 봉암사로 돌아와 59세 법랍 43세에 입적하였습니다. 왕은 그에게 지증이란 시호를 내렸고 탑명은 적조라 하였습니다. 지증대사적조탑비는 통일신라 말기의 양식과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893년에 신라의 대문장가 최치원이 대사의 공적을 찬양하는 비문을 짓고 분황사의 석혜강스님이 글씨를 각자 했습니다.


2016/05/26 - (경북여행/문경여행)문경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 탑비. 보물에서 국보 제315호로 승격된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 탑비의 웅장함에 깜짝 놀라다. 봉암사지증대사탑비

 

 

 

 


봉암사 지증대사적조탑은 대사의 사리를 봉안한 승탑인 무덤입니다. 지증대사적조탑은 보물 제137호에 지정되었습니다. 그의 나이 59세에 봉암사에서 결가부좌하여 입적하자 헌강왕은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애통해하며 시호인 지증과 탑명인 적조를 내렸습니다. 지증대사적조탑은 신라의 승탑양식인 팔각원당형이며 높이는 341cm, 지대석 넓이는 228cm로 옥개석의 부분적인 파손 외에는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하겠습니다.

 

 

 


부도는 기단부와 탑신부, 상륜부로 구성된 아주 정교하게 조각된 부도입니다. 기단부의 중대석은 비파, 피리, 북 등을 연주하는 주악 인물상과 연꽃을 장식한 사리함, 공양천인상이 조각되었습니다. 또한, 중대받침석은 각 모서리마다 구름이 새겨진 기둥 조각을 세우고 그사이에 상반신은 사람이며 하반신은 새의 모습을 한 상상 속의 새로 악기를 연주하는 천인인 가릉빈가를 새겼습니다.

 

 


그리고 상대석은 팔각의 탑신에 사리함을 보관하고 자물쇠가 달린 문짝 모양을 조각하였습니다. 좌우로 불교의 법을 수호하는 사천왕과 보살을 돋을새김하여 사리함을 수호하도록 했습니다. 지증대사의 부도는 화려하면서 장엄하며 정교하여 당시 신라예술의 우수성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2016/05/25 - (경북여행/문경여행)문경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 통일신라 최고의 걸작품 지증대사 부도인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의 아름다움에 반하다. 봉암사지증대사탑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비와 지증대사적조탑 보호각

봉암사 수도도량 공간으로 출입할 수 없습니다.  

 

 

 

 

금색전 

 


봉암사 삼층석탑은 육중한 희양산의 암봉을 떠받치는 듯 장엄 웅장하며 가볍고 날렵하지만, 결코 촐랑대듯 경망스럽지 않은 아름다운 봉황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9세기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졌지만, 상륜부까지 완벽하게 남아 있으며 예술성을 갖춘 우리나라에서 몇 안 되는 석탑 중 한곳입니다.

 

 


봉암사 경내인 금색전 앞에 하늘을 받치는 기둥인 양 높게 솟아 있으며 전체 높이는 631cm, 상륜부 높이 238cm, 지대석 넓이 324cm로 대단히 큰 규모의 석탑입니다. 가장 주목해서 봐야 할 것은 완벽한 구성으로 남아 있는 상륜부로 노반 위에 네 개의 꽃잎을 돋을새김한 복발을 놓고 그의에 사각 모양의 양화를 올렸습니다.

 

 

 


방형모양에 4면과 각각의 모서리에 6엽과 4엽의 연꽃을 배치하였습니다. 그리고 5단의 보륜을 올렸으며 팔각의 보개를 놓고, 십자 모양의 수연 끝에 용차와 보주를 차례로 세웠습니다. 오늘날까지 상륜부의 원형이 완벽하게 남아 있는 것은 철심을 관통하여 상륜부를 잡아주었기 때문이라 추정됩니다. 봉암사 삼층석탑은 균형 잡힌 모습에 안정감이 있으며 그 아름다움과 완벽미까지 인정받아 보물 제169호에 지정되었습니다.


2016/06/03 - (경북여행/문경여행)문경 희양산 봉암사. 봉암사의 꽃이라는 통일신라시대의 완벽한 예술품 문경 봉정사 삼층석탑을 만나다. 문경 봉암사


 

 

 

 

 


범종각

 

 

 

 

 

 

 

 

 


봉암사 마애보살좌상을 보기 위해서는 봉암사 입구인 침류교로 되돌아 나오면 마애불을 알리는 안내판이 있습니다. 용추동천인 백운대계곡을 따라 700m가량 계곡 옆 소나무 오솔길을 따라가면 물소리가 요란한 백운대입니다. 바위를 타고 흐르는 물이 마치 옥구슬이 구른다 하여 옥석대로도 부릅니다. 등줄기의 땀을 식히며 푸른 녹음에 감탄하다 보면 그 한 쪽에 4m 높이의 편편한 바위에 조각한 봉암사 마애보살좌상과 마주합니다.

 

 

 

조선시대 승려 환적의천선사의 원불이라는 기록이 백운대 미륵비명에 나와 있으며 특이하게도 머리 부분은 깊게 파내어 감실 같은 느낌을 들게 처리했습니다. 몸통과 결가부좌한 다리 쪽으로 내려갈수록 조각이 옅어지며 머리에 쓴 보관에 꽃무늬가 있으며 반달 같은 양쪽 눈썹에 백호가 뚜렷하고 반쯤 뜬눈을 하고 있습니다.


 


두손은 연꽃을 들었고 목에는 삼도를 표현하였으며 법의는 양어깨를 덮은 통견을 얇게 선각하였고 옷의 띠 매듭, 주름선 까지 아주 유려하고 뚜렷하게 표현하였습니다. 불상의 제작기법을 보면 고려말에서 조선 초기의 작품으로 추정하며 신라말 문장가인 고운 최치원이 백운대를 각자 한 바위와 돌로 암반을 두드리면 목탁소리가 난다는 목탁바위도 있습니다.

  

2016/05/20 - (경북여행/문경여행)희양산 봉암사 마애보살좌상. 무릉도원의 선경인 용추동천의 백운대에 자리한 봉암사 마애보살좌상을 만났습니다. 봉암사 마애보살좌상.


 

 스님의 수행 도량이며 부처님오신날까지도 일반인 출입이 금지되어 문이 꽉 잠겨진 진공문.

 

 봉암사 설봉대사비

 

 

 


정진대사 원오탑비입니다. 보통 부도와 함께 조성하는데 특이하게도 멀리 떨어져있어 정진대사 원오탑인 부도는 보지 못하고 왔던 아쉬움이 있습니다. 정진대사 긍양은 신라말에서 고려 초 스님이며 성은 왕씨입니다. 스님이 열반에 들고난 뒤 공적을 각자한 비문으로 965년(광종 16년)에 세웠습니다. 정진대사 원오탑비의 높이는 273cm, 폭 161cm, 두께 26cm로 고려 초기의 조형미를 잘 보여줍니다.

 

 

 


비신은 청석이며 이수와 귀부는 고려 초기의 탑비 양식을 따랐습니다. 귀부에 비신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렸는데 거북 등에 비를 꽂는 비좌가 큰 게 특징이며 머릿돌인 이수에는 불꽃무늬에 둘린 연꽃봉우리 문양의 보주 장식이 웅장하게 조각되었습니다. 비문의 필체는 2cm 크기의 구양순체 해서로 당대의 문장가인 이몽유가 짓고 명필로 이름 날렸던 장단열의 글씨라 합니다.


2016/05/17 - (경북여행/문경여행)희양산 봉암사 정진대사 원오탑비. 희양산 봉암사의 전성기를 이끈 정진대사 원오탑비를 만나다. 보물 제172호


 

 

 

 


올해 부처님오신날 찾았던 문경 봉암사는 스님의 수도 도량이라 그런지 정말 맑고 깨끗한 법신이 머무는 느낌이었습니다. 처음 찾았던 봉암사라 그런지 아쉬움이 많은 여행이었으며 2017년 부처님오신날이 또 기다려지는 이유입니다. 그때는 더욱 자료 등을 준비하여 이번에 찾아보지 못한 곳을 여행해야겠습니다.

 

 

 

 

희양산 

 

◆문경 봉암사 정보◆

봉암사 주소: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85

★봉암사전화:054-571-9088


☞2008/11/03 - (경북여행/문경여행)문경 대야산 산행. 문경의 명산 대야산 용추폭포와 만추홍엽 단풍보기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