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의성여행/의성가볼만한곳)경상북도 의성 비봉산 대곡사. 의성 대곡사 여행을 하다.


경상북도 의성군을 여행하면서 찾아간 비봉산 대곡사. 외진 곳의 사찰로서는 아주 대찰이었습니다. 비봉산 대곡사는 1368년 고려 공민왕 17년에 당시 선승이었던 지공·나옹선사 두 분의 왕사가 중건했으며 원래는 대국사라 불렀습니다.

 




의성 대곡사 주소: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 895

의성 대곡사 전화:054-862-4222


2016/11/15 - (의성군여행)의성군 비봉산 대곡사 대웅전. 조선 중기의 건축 양식을 잘보여주는 의성 대곡사 대웅전 여행.

2016/11/07 - (경북의성여행)대곡사 적조암. 비봉산 대곡사 적조암의 독특한 건축양식인 구포루 인법당.



지금 대곡사의 정확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지만 ‘한국 향토사 연구 전국협의회’의 1989년 향토사연구 자료집에 대곡사의 창건연대를 신라말과 고려 초로 확신하고 1196년 8월 17일의 백운 이규보가 지은 ‘십칠일입대곡사 탐방시’와 대웅전 앞의 다층석탑 양식 그리고 1960년에 대곡사 텃밭에서 출토된 통일신라 후기 양식의 금동불상을 근거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대곡사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으로 겪으면서 완전히 소실되다시피 했습니다. 그러다 1605년인 선조 38년에 탄우대사가 대곡사 재건을 시작하면서 중창하였으며 1687년 숙종 13년에 대전 선사께서 중건하면서 대곡사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전성기의 대곡사는 9 암자를 거느린 대찰이었습니다. 모두 전란으로 전소와 황폐되었으며 지금은 산내암자로 적조암만 남아 있습니다.

 




현재 대곡사에 남아 있는 문화재는 대곡사 대웅전 (보물 제1831호), 경상북도 지방유형문화재 제161호 대곡사 범종각,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39호 대곡사 명부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05호 대곡사 다층석탑이 있으며 부속건물로 나한전, 산신각, 종무소, 요사채가 있습니다. 의성 대곡사을 들어서는 일주문의 장대함에 먼저 입을 다물지 못했습니다. 굵은 두 기둥에 달아 올린 공포의 화려함은 천년고찰 대곡사의 풍모를 그대로 보여주었습니다.

 












먼저 만나는 게 대곡사 범종각입니다. 정확하게 말해서 2층의 누각 형태로 보아 대곡사 범종루가 맞는 것 같습니다. 현재 사찰의 범종은 따로 범종각을 지어 그곳에다 달아 놓았으며 현재는 대곡사의 출입문을 지키는 누각 형태로 남아 있습니다. 대곡사 범종각은 1368년 고려 공민왕 대 처음 건립됐습니다.

 

대곡사 범종각



그러나 1598년 정유재란 때 대부분 소실되면서 범종각 또한 불탔습니다. 지금의 범종각은 대곡사를 중창한 탄우대사와 중수한 태전선사에 의해 건립됐다 합니다. 범종각은 다포계 양식의 팔작지붕으로 중층의 누각입니다. 공포는 외2출목에 내3출목을 두었으며 건축양식을 보면 조선 후기에 지어졌습니다. 아마 대웅전의 건축을 범종각에 접목하여 모방한 것으로 보이며 종각 안에 있던 범종은 용문사로 옮겨갔다고 합니다.






















대곡사 다층석탑





대곡사에서 가장 눈길이 가는 게 개인적으로 대웅전과 다층석탑입니다. 이런 형태의 석탑은 이곳 외에도 두 번 정도 더 본 것 같은데 지금 기억이 잘 나지 않으나 아주 특이한 석탑만은 틀림없는 것 같습니다. 다층석탑 기단부는 45cm의 화강암이며 점판암의 연화 대좌로 된 탑신부는 20cm, 탑신의 높이는 108cm입니다. 그러나 상륜부는 현재 유실된 상태입니다.

 








다층석탑의 전체 높이는 173cm로 12층이며 6층과 7층 옥개석 간의 체감비율이 차이가 다른 층에 비해 급격한 것은 그사이의 한 층이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이는 처음 만들어졌을 때 13층의 석탑임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현재 남아 있는 다층석탑은 각층 옥신석이 남아있지 않으며 옥개석도 부분적으로 손상되었습니다. 그러나 고려 초기의 청석탑 양식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을 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남아 있는 이런 형태의 탑은 12기 정도로 문화적 가치가 아주 높은 편입니다.




대곡사 명부전



대곡사 명부전은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는데 이 건물 또한 1605년과 1687년에 탄우와 대선 두 스님에 의해 중창·중건하였지만, 현재 명부전의 건립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며 건물의 구조와 건축양식인 오량과 겹처마 맞배지붕을 보면서 17~18세기의 형식으로 지어진 건물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의성의 비봉산 대곡사는 의성여행에서 빼놓을 수 없는 여행지입니다. 

 











대곡사 대웅전












728x90

728x90


(의성군여행/의성군가볼만한곳)의성군 비봉산 대곡사 대웅전. 조선 중기의 건축 양식을 잘보여주는 의성 대곡사 대웅전 여행.


의성군의 비봉산 아래 고찰인 대곡사 여행을 하고 왔습니다. 대곡사는 산이 낮지만, 봉황이 날개를 펼친 듯 옹골찬 모습을 한 비봉산 기슭에 1368년 고려 공민왕 17년 지공스님이 원나라와 고려를 왕래하면서 불법을 펼친 것을 기념해 지은 절이라 합니다. 이는 처음 세운 목적에 따라 대국사로 불렀으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거치면서 대국사는 대부분 소실되었습니다.





의성 대곡사 주소: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 894

의성대곡사 전화:054-862-4222


2016/11/07 - (경북의성여행)대곡사 적조암. 비봉산 대곡사 적조암의 독특한 건축양식인 구포루 인법당.


 


그러다 1605년 선조 38년에 탄우대사가 중창하였는데 그 뒤부터 대곡사로 절이름이 바뀌었습니다. 대곡사의 창건에는 여러 설이 있습니다. 1960년 대곡사 앞의 작은 텃밭에서 통일신라 후기 것으로 보이는 금동 불상이 나왔고 고려 초기로 보이는 대웅전 앞의 다층석탑, 백운 이규보의 대곡사 탐방시구 등을 보면서 통일신라 말이나 고려 초기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정확한 자료가 남아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의성 비봉산 대곡사에는 현재 많은 문화재가 남아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대곡사에서 가장 돋보이는 문화재는 대웅전입니다. 대웅전은 원래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60호였다가 보물 제1831호로 2014년 6월에 승격 지정되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보물로 승격된 대곡사 대웅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왜 보물로 지정되었는지 그 이유가 궁금한데 대곡사 대웅전은 앞면 3칸에 옆면 2칸 규모의 다포계양식의 팔작지붕으로 5량가 건물입니다. 1605년 탄우대사가 중창했던 대웅전을 1687년 숙종 13년에 태전선사께서 다시 중건했습니다.





대웅전의 내부를 들여다보면 불단이 뒷줄의 평주선 보다 뒤쪽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불단의 위치가 평면구성이 같은 다포계 양식의 팔작지붕인 불전에서는 18세기 이후 점차 줄어드는 추세로 대곡사 대웅전은 17세기 후반인 중건 당시의 불교 건축물의 건축사적 흐름을 읽게 해줍니다.





또한 후면 서측협칸에는 창호 중간에 기둥을 두어 창문을 두 개처럼 보이게 하는 영쌍창구조이며 좌우 측면과 배면의 벽체에는 중인방 없이 세로 벽선을 세웠으며 정면과 양 측면의 기둥 아래쪽에는 쪽마루를 달아 낸 흔적인 큰 구멍이 남아 있습니다.





불전 정면에 마루를 둔 사례나 영쌍창과 세로 벽선은 18세기 이전 건축에서 찾아볼 수 있는 오래된 양식입니다. 다포계 형식의 포작은 내외 3출목이며 건물의 앞과 뒤, 왼쪽과 오른쪽 면 기둥 간격을 똑 같게 하고 주간에 두 구씩의 공포를 배치하여 지붕 하중을 안정되게 받게 하였습니다.

 






이를 보면 건축공간계획과 구조계획이 함께 설계된 세심하고 능숙한 기법을 볼 수 있습니다. 기둥과 보 등의 부재를 보면 섬세한 가공이나 미적인 의장성은 최소화하고 가구의 구조는 간결하며 명확하게 결구된 양식입니다.





한마디로 대곡사 대웅전의 특징은 공포의 동일한 내외출목수, 배면 개구부의 영쌍창, 불단의 배치와 건의 마루 흔적 등을 보면서 대곡사 대웅전의 중건 당시 시기적 경향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대곡사 대웅전은 의성지역의 불교사찰이 부흥하던 시기의 건축 양식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서 건축사적으로 대단한 가치를 인정받아 보물로 지정되었습니다. (문화재청 보도자료 참고)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