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포항여행/포항가볼만한곳)포항 운제산 오어사 자장암. 부처님 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이 있는 운제산 오어사 자장암 절집구경.


포항 운제산 오어사의 산 내 암자인 자장암은 운제산의 사찰 중에서 가장 전망이 좋은 산봉우리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오어사 뒤 깎아지른 수직 절벽 위에 위태롭게 서 있는 자장암은 밑에서 보면 간이 콩알만큼 쪼그라들 정도로 아찔합니다.







2016/09/27 - (포항여행)운제산 오어사. 1300여년전 원효대사께서 쓰든 삿갓과 보물 제1280호 오어사 동종을 포항 오어사에서 만나다.





오어사에서 자장암 오르는 산길은 거리는 짧지만, 된비알의 오르막이라 처음 오르는 사람은 아주 힘들다 합니다. 그러나 걱정 붙들어 매세요. 자장암은 오천읍 쪽에서는 차를 가지고 오를 수 있도록 도로가 잘 나 있습니다.





자장암은 제비 둥지처럼 작은 터를 아주 적절하게 이용했으며 관음전 나한전 산신각 등의 건물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단연코 수직 단애를 뭉개고 선 관음전이 으뜸의 장소입니다.







신라 시대의 대국통인 자장율사가 이곳에 머물렀던 암자 자장암은 관음전을 돌아가면 부처님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이 있습니다. 이곳의 부처님 사리는 태국전 전 풋나지나윙 태국승왕이 보관하고 있던 사리 중 7과를 태국 유학승인 정신 스님이 기증을 받아 불기 2542년(1998년)에 이곳에다 금강계단을 세웠습니다.











자장암에서는 뭐니뭐니해도 관음전 앞에서 오어사로 내려다보는게 압권입니다. 이곳에서 보면 누구나 느끼는 감정은 ‘무섭다’입니다. 간담이 써늘할 정도 까마득하고 오어사에서 올려다보는 자장암의 위상은 그야말로 하늘에서 내려 준 난공불락의 요새 같습니다.









이름난 고승은 역시 이런 멋진 곳에서 수도를 하나 봅니다. 그래야 득도를 하고 고승의 반열에 오르나 봅니다. 포항여행에서 운제산 오어사와 함께 자장율사의 수도처 자장암도 함께 방문해보세요.


  











 



운제산 자장암


포항 운제산 자장암 주소:경북 포항시 남구 오천읍 항사리 34-1

포항 운제산 자장암전화:054-285-0129 

728x90

728x90

 

 

(상주·의성여행/상주·의성가볼만한곳)낙동강 관수루. 위풍당당한 관수루, 낙동강 3대누각인 관수루에 오르다. 

 

상주와 의성을 경계하는 낙동강 강변에 안동의 영호루, 밀양의 영남루와 함께 낙동강의 3대 누각으로 불렸던 관수루가 위풍당당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처음 관수루가 지어졌을 때는 고려 중엽으로 보고 있으며 관수루의 중건기에는 지금의 위치가 아닌 반대편에 새워졌습니다. 그러나 홍수로 떠내려갔는지 조선 초에 지금의 자리인 동쪽으로 옮겼다고 합니다.

 

 

 

 





그 후에도 1653년, 1734년, 1842년에 중건과 중수를 거듭하다 조선말인 1874년 갑술년에 불어난 홍수로 유실되었습니다. 관수루는 창건과 함께 여러 번의 중수와 중창을 거듭하였으며 지금의 관수루는 1990년에 의성군에서 지역민의 힘을 모아 현재 모습으로 복원하였습니다. 관수루의 ‘관수’는 노자의 ‘도덕경’에서 따왔으며 누각은 이익공의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5량가 기와 건물입니다.





앞면 4칸에다 옆면 2칸의 2층 누각으로 2층은 통칸으로 개방하였고 우물마루에. 그 끝은 계자난간을 돌렸습니다. 관수루 누마루에는 많은 현판이 걸려 있으며 예로부터 관수루의 절경이 빼어나 많은 시인 묵객을 불러들였습니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조선 시대 성리학의 태두 점필재 김종직, 성종실록에 김종직의 사초로 극형을 당한 탁영 김일손의 현액은 스승 김종직과 함께 나란히 걸려 있습니다. 퇴계 이황, 백운 이규보, 수헌 권오복, 봉창 유항, 총계 조동좌, 강고 류심춘, 성재 허부 등의 현액이 사방을 빽빽하게 채우며 이곳을 읊은 한시를 보면서 조선 시대 선비들 사이에서 관수루의 인기를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태백 황지에서 발원한 낙동강의 고고한 강물은 말없이 흘러 바위 절벽을 깎아내리는 게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올곧은 선비 정신에 비유해선지 유달리 낙동강을 노래한 한시는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점필재 김종직은 낙동강의 관수루에서 한시를 통해 당시 탐관오리의 횡포를 질타하며 자신 또한 벼슬아치로서 뒤돌아 보게 된다는 민용풍의 한시를 남겼으며 점필재집에 수록된 ‘낙동요(洛東謠)’의 현액이 눈길을 사로잡습니다. 




낙동요_점필재 김종직


黃池之源?濫觴(황지지원재남상:황지의 시원은 겨우 잔을 넘칠 정도인데)

奔流倒此何湯湯(분류도차하탕탕:이곳까지 흘러와서 어찌 이리 넓어졌나)

一水中分六十州(일수중분육십주:한 물이 육십 고을의 한가운데를 가르니)

津渡幾處聯帆檣(진도기처연범장:나루터마다 돛대가 줄을 서있네)

海門直下四百里(해문직하사백리:바다까지 사백리를 바로 흘러)

便風分送往來(편풍분송왕래상:편풍을 이용해 오고가는 상인의 배는 분주하고

暮宿觀水樓(모숙관수루:저녁에 관수루에서 머무네 )

樓下綱船千萬緡(누하강선천만민:누각 아래 배에는 천만냥을 실은 배가 묶였으니)

南民何以堪誅求(남민하이감주구:남쪽 백성들은 어찌 노략질을 견디리 )

缾缾已罄橡栗空(병앵이경상률공:쌀독은 비었고 도토리와 밤마저 없는데)

江干歌吹椎肥牛(강간가취추비우:강가에서는 풍악을 울리며 살찐 소를 잡네)

皇華使者如流星(황화사자여유성:임금이 보낸 사람은 떨어지는 별처럼 빠르게 지나가니)

道傍觸誰問名(도방촉루수문명:길 옆 해골에게는 누가 이름이라도 물어보겠는가)

少女風王孫草(소녀풍왕손초:왕손초에 소녀 바람이 불어 )

望眼悠悠入飛鳥(망안유유입비조:아득하게 멀리 보니 새는 날아들고)

故鄕花事轉頭新(고향화사전두신:고향의 꽃소식은 계절따라 피며)

凶年不屬嬉遊人(흉년불속희유인:흉년이라 봄놀이를 즐기는 사람 아무도 없고)

倚柱且高歌(의주차고가:기둥에 기대어 노래나 불러보리댄체 )

忽覺春興(홀각춘흥간:봄의 흥취는 어느 듯 가고 )

白鷗欲笑我(백구욕소아:갈매기는 나를 비웃으려는 듯 )

似忙還似閑(사망환사한:바쁜듯 되려 한가하게 )





그리고 점필재 김종직은 ‘낙동요‘ 이외에도 ’낙동나루‘ 현액도 함께 걸려 있습니다.

津吏非瀧吏 官人卽邑人(진리비농리 관인즉읍인·나루의 아전은 농의 아전이 아니며 그 관리는 바로 읍사람이구나 )

三章辭聖主 五馬慰慈親(삼장사성주 오마위자친·삼장으로 임금님을 떠나와 오마로서 인자한 어머님을 위로하구나)

白鳥如迎棹 靑山慣送賓(백조여영도 청산관송빈·흰 새는 배 맞이하는 듯하며 청산은 손님 보내기에 익숙하구나)

澄江無點綴 持以律吾身(징강무점철 지이율오신·맑은 강은 한 점 티끌조차 없으니 이를 나의 계율로 삼으려네





그리고 퇴계이황 선생의 한시 ‘관수루’입니다.


洛水吾南國(낙동오국남·낙동강 물은 우리 남국의 자랑)

尊爲衆水君(존위중수군·뭇 강물의 으뜸이라네)

樓名知妙悟(누명지묘오·누각 이름은 묘리의 깨달음을 알게 하고)

地勢見雄分(지세견웅분·지세는 웅대하게 분리됨을 보네)

野濶烟凝樹(야활연응수·들은 넓어 안개가 나무숲에 엉기고)

江淸雨捲雲(강청우권운·강물은 맑아 비온 뒤 구름이 걷히었네)

匆匆催馹騎(총총최일기·총총히 역마를 재촉해 달리니)

要爲趁公文(요위진공문·공문을 진달하기 때문일세)


 한시 풀이는 국제퇴계학회 대구경북지부의 퇴계학맥 누정편 관수루를 인용했습니다.




성재 허부 관수루(觀水樓)


公事頻過洛 공무(公務)로 인해 자주 낙동강을 지나니

舟人識使君 뱃사공도 또한 나를 알아보네.

江聲千里大 강물 소리는 천리 길에 확대되고

地勢二州分 지세는 웅장하게 두 고을로 나뉘었네.

漁戶排津樹 어부의 집 앞에는 나룻나무 즐비하고

鹽帆掣海雲 소금 실은 돛단배는 바다구름 끌고 왔네.

陶山空悵望 도산(陶山) 쪽을 향해 공연히 슬프게 바라보는데

歌短不成文 노래 짧아 글 이루지 못하겠네.

한시 풀이는 국제퇴계학회 대구경북지부의 퇴계학맥 누정편 관수루를 인용했습니다.







봉창 유항 관수루(觀水樓)

 

宿客携琴夜入樓(숙객휴금야입루·자고 갈 손님 거문고 들고 누각에 오르는 밤)

碧簷星月耿新秋(벽첨성월경신추·푸른 처마 머리엔 별과 달이 빛나니 가을이 새롭네)

櫓聲驚夢江天曉(노성경몽강천효·노 젓는 소리에 놀라 꿈을 깨니 강가에 하늘이 밝아 오는데)

身世渾疑幻白鷗(신세혼의환백구·내 신세 혼연히 흰 갈매기로 화신한 신선인 듯 의심해보네)

한시 풀이는 국제퇴계학회 대구경북지부의 퇴계학맥 누정편 관수루를 인용했습니다.




수헌 권오복 관수루(觀水樓)


客裏羈懷惡(객이기회악·객지에서 나그네 마음이 울적한데)

逢君又送君(봉군우송군·그대를 만나자마자 또다시 보내다니)

孤帆和雁落(고범화안락·외로운 돛은 기러기와 함께 떠나가고)

遠岫點螺分(원수점나분·먼 산봉우리 소라껍질같이 나뉘어섰네)

樓上一盃酒(누상일배주·누각 위에서는 한잔 술이 오고 가는데)

洛東千里雲(낙동천리운·낙동강에는 천리 길 구름만 이네)

蒼茫天欲暮(창망천욕모·창망히 저 하늘마저 저물고자 하니)

吟斷不成文(음단불성문·읊는 소리 막히어 글을 지을 수 없네)

 한시 풀이는 국제퇴계학회 대구경북지부의 퇴계학맥 누정편 관수루를 인용했습니다.




탁영 김일손 관수루(觀水樓)


晩泊沙汀葉葉舟(만박사정접주·모래톱에 늦게 댄 조각배)

紛紛去馬與來牛(분분거마여내우·어지러이 마소들이 지나가네)

江山萬古只如此(강산만고지여차·강산은 만고에 다만 이 같은 것)

人物一生長自休(인물일생장자후·인물의 일생 또한 길이 쉬누나)

西日已沈波渺渺(서일이침파묘·저녁 해 벌써 지니 파도는 아득하고)

東流不盡思悠悠(동류불진사유유·흐르는 물 쉬지 않아 생각이 길어지네)

停舟獨立矄黃久(정주독립훈황구·배가 멈춰 홀로 서니 황혼이 깊은데)

掠水飛回雙白鷗(약수비회쌍백구·쌍쌍이 나는 갈매기는 물을 치며 돌아가네)

 한시 풀이는 국제퇴계학회 대구경북지부의 퇴계학맥 누정편 관수루를 인용했습니다.




탁영 김일손의 관수루(觀水樓)


江花江月十登船(강화월십등선·강가에 꽃피고 강물에 달이 비치어 십여 명이 배에 오르니)

司馬靑衫已五年(사마청삼이오년·사마에 오른 청삼 벼슬 벌써 오년이나 지났구나)

莫謂宦遊無所得(막위환유무소득·벼슬길에 노니는 몸 소득이 없다고 이르지 마오)

風流長夜鏡中天(풍유장야경중천·풍류를 즐기는 경중천(鏡中天)의 아름다움이여!)

 한시 풀이는 국제퇴계학회 대구경북지부의 퇴계학맥 누정편 관수루를 인용했습니다.




탁영 김일손 관수루(觀水樓)

 

落日長程畔(낙일장정반·해는 지고 가는 길 먼 들판 가에서)

把盃持勸君(파배지권군·잔을 잡아 그대에게 권하노라)

危樓天欲襯(위루천욕친·높은 누각은 하늘에 가깝고)

官渡路橫分(관도로횡분·나루터에는 길이 가로로 나뉘었네)

去客沒孤鳥(거객몰고조·손님 떠나니 외로운 새만 부침하고)

浮生同片雲(부생동반운·부평초 같은 삶이 조각구름과 같구나)

江風不解別(강풍불해별·강바람 우리 이별을 풀어주지 못하고)

吹到動波文(취도동파문·물위로만 불어대어 물결 일으키네)


 한시 풀이는 국제퇴계학회 대구경북지부의 퇴계학맥 누정편 관수루를 인용했습니다.


수헌 권오복 관수루(觀水樓)


是身天地一虛舟(시신천지일허주·이 몸은 이 세상에 한 빈 배와 같은 것)

劒氣當年射斗牛(검기당년사두우·무술을 닦던 그 당시엔 두우성을 쏠 듯 했네)

羈思向來何落落(기사향래하락락·나그네 생각 돌이켜 보니, 낙낙할 뿐)

宦情從此便休休(환정종차편휴휴· 벼슬길 이로부터 쉬게 되리라)

英雄萬古幾人在(영웅만고기인재·만고의 영웅들이 몇 분이나 계셨던가)

烟月空江引興悠(연월공강인흥유·연하에 가린 달빛만이 빈 강에서 흥을 돋우네)

觀水觀山皆可樂(관수관산개가악·산수(山水)에 관심 두는 것은 모두 즐거운 것)

鷗來忘我我忘鷗(구래망아아망구·갈매기는 나를 잊고 나도 갈매기를 잊네)


 한시 풀이는 국제퇴계학회 대구경북지부의 퇴계학맥 누정편 관수루를 인용했습니다.





총계 조동좌 관수루(觀水樓)

 

東風孤倚驛西樓 (동풍고의역서루·봄바람 의지하고 관수루에 달려오니)

物色蕭然滿兩眸(물색소연만량모·물색은 쓸쓸하게 두 눈에 가득 차네)

沙伐江山餘百戰(사벌강산여백전·사벌(沙伐)의 옛 강산은 백 번 전쟁 치른 터 남아있고)

徐羅時事杳千秋(서라시사묘천추·신라 때 찬란한 일 천추에 아득하네)

依俙芝曲商顔裏(의희지곡상한이·지원의 곡조는 상안 속에 의회하고)

寂寞龜書洛水頭(적막구서낙수두·거북에 쓴 글은 낙수 위에서 적막하네)

往蹟微茫何處問(황적미망하처문·지난 사적 미망하여 물을 곳 어디 있는가)

碧江無語夕陽流(벽강무어석양류·푸른 강물만 대답 없이 석양 따라 흐르네)


 한시 풀이는 국제퇴계학회 대구경북지부의 퇴계학맥 누정편 관수루를 인용했습니다.








































 

728x90

728x90

 


(포항여행/포항가볼만한곳)운제산 오어사. 1300여년전 원효대사가 쓰든 삿갓과 보물 제1280호 오어사 동종을 포항 운제산 오어사에서 만나다.



포항의 운제산에는 천년고찰 오어사가 있습니다. 오어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 말사로서 신라 진평왕 때 창건되어 처음에는 항사사(恒沙寺)라 불렀습니다. 이후 오어사는 신라의 4대 성인으로 추앙하는 자장, 혜공. 원효, 의상스님 등 고승이 수행한 사찰로 유명해졌습니다.







 


항사사가 왜 오어사로 바뀌게 되었느냐면 그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오어사에는 당시 원효와 혜공스님이 계곡을 사이에 두고 토굴에서 수행에 전념하다 하루는 두 스님이 누가 더 도력이 센지 물고기를 두고 시합을 했습니다.


 

 


두 고승은 개천에서 각각의 물고기에게 법력을 넣어 물속으로 살려 보내는 내기를 하였는데 두 마리 중 한 마리는 죽고 한 마리는 헤엄을 치며 물속으로 사라지자 서로 살아 움직이는 물고기를 보고 자신이 살려낸 물고기라 주장하여 오어사(吾魚寺)가 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원효대사 삿갓



오어사 경내는 따로 포스팅하겠지만 이번 포스팅은 오어사 유물전시관에 전시 중인 7세기 신라 시대 원효대사께서 머리에 쓰든 삿갓과 오어사 동종입니다. 원효대사의 삿갓은 실로 대단합니다. 1,300여 년 전의 삿갓이라 하니 어쩐지 얼떨떨합니다.


 

 


지금 신라 시대 유물로서 남아 있는 게 대부분 석물과 철물뿐인데 말입니다. 원효대사의 삿갓을 보면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안은 듯 헤어지고 바래지고 한 모습이 삿갓의 역사를 말해줍니다. 삿갓은 종이와 실로 연결하여 만들었는데 안에는 솜을 넣고 바깥에는 풀뿌리로 만들었다 합니다.


 

 오어사 동종

 

 


그리고 오어사 동종 또한 기구한 운명을 겪었습니다. 오어사 앞에는 큰 연못을 정원으로 두고 있는데 오어지입니다. 그 크기가 만수 면적 12만 평에 500만 톤을 저장하는 담수호입니다. 그런데 1995년 11월에 저수지 공사를 하다가 바닥 진흙 속에 묻혀 있던 동종을 발견했습니다.


 

 용뉴

 

 비천상


범종은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출토 후 바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로 보내져 보전처리 과정을 거쳤습니다. 보물 제1280호의 직함을 가지고 1997년 7월에 오어사로 돌아와 지금 일반인에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오어사 동종은 1216년 고려 고종 3년이라고 조성연대와 종을 만든 책임자는 대구 동화사 순성대사 및 주조하여 종을 제작한 기술자는 순광이라 이름까지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범종의 높이는 96cm이며 신라 시대 법종의 전통을 그대로 잇고 있습니다.


 

 


동종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더욱 돋보이는 게 범종의 가장 위쪽에 용의 모습을 한 고리에다 쇠줄을 연결하는 게 용뉴입니다. 용뉴는 범종각에 종을 메 달며 용뉴와 함께 소리 대롱인 음통이 있는데 용통 또는 음관이라 합니다. 음통은 우리나라 범종에서만 찾을 수 있다합니다.


 

 

 

 


오어사 동종의 용뉴는 섬세한 조각수법이 돋보이는데 조각된 용의 문양은 힘차며 금방이라도 날아오를 듯 한 모습입니다. 또한, 종의 몸체에는 보살 모양을 하고 천의를 휘날리는 비천상과 종신의 밑부분에는 섬세한 문양을 돌렸고 전체적으로 뛰어난 조형미를 보여줍니다.


 

 

 

 

 

 음통

 

 


오어사 동종은 신라 시대에서 고려 시대로 넘어오면서 종의 변천 과정과 고려 시대의 공예·주조기술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원효대사와 혜공대사의 영정 


 

 

 

 

 

 

 

 

 

 

 

 

 

 

 

 

 


◆포항 운제산 오어사 정보 안내


★포항 운제산 오어사


포항오어사 주소:경북 포항시 남구 오천읍 항사리 34


★포항 오어사 전화:054-292-9554

728x90

728x90



(부산여행/부산가볼만한곳)요산 김정한 생가, 요산문학관. 하늘은 높고 말을 살찐다는 계절 요산 김정한 생가, 요산문학관 여행 정말 추천합니다.


소설가 요산 김정한(1908~1996) 선생 생가와 요산문학관에 다녀왔습니다. '사하촌' '수라도'와 '사밧재' 등 요산 선생님의 소설을 여러 권 읽었지만, 막상 부산 금정구 남산동에 있다는 생가와 요산 선생님의 문학관을 가보질 못해 무언가 항상 허전했습니다. 이번에 범어사를 가면서 선생님의 생가를 찾게 되었습니다.









지금이야 선생님의 생가 주위로 집들이 들어차 도리어 생가의 규모가 아주 작아 보였는데 1970년 중반에 필자가 다닌 금정중학교 일원은 논밭투성이로 완전 허허벌판이었습니다. 토요일이면 오전 수업을 마치고 친구들과 온천장에 있는 집까지 걸어가면서 구불구불 논밭 사이로 이어진 농로를 따라 다녔으니까 지금의 모습을 보면 경천동지할 일입니다.







그 당시만 같아도 지대도 높고 논밭 사이로 선생님의 생가는 우뚝 솟아 주위 근방 모든 곳이 보였을 것이지만 이제는 주위에 큰 건물로 가려져 찾기가 조금 힘들었습니다. 요산 김정한 선생님은 동래구 북면 남산리 김해김씨 삼현파 집성촌인 이곳에서 태어났습니다.







본향은 경북 청도이신데 1498년 연산군 4년의 무오사화 때 16대 할아버지 김일손이 성종실록을 편찬하면서 스승 김종직의 조의제문의 사초 사건으로 참형을 당하셨습니다. 그 후에 후손들은 이곳으로 옮겨와 새 거를 이루었습니다.







선생님 또한 “사람답게 살아가라”는 가르침으로 격동의 20세기를 온몸으로 겪어 내신 분입니다. 1936년 단편소설 ‘사하촌’이 조선일본 신춘문예에 당선되면서 등단하셨습니다. 일제 강점기에는 여러 번 옥고를 치르셨고 손수 우리말 사전과 식물도감을 만들어 우리의 민족혼을 일깨우셨으며 광복이 된 후에는 경남 건국준비위원회와 ‘민주신보’ 논설위원으로 일하셨습니다.



 



다시 학교로 돌아와 부산중학교를 거쳐 부산대학교에서 후학들을 가르치시며 많은 작품 활동을 하셨습니다. 선생님의 생가는 2002년 12월에 허물어져가던 옛집을 헐어내고 그 자리에 일자형의 팔작지붕 한옥을 원형 그대로 2003년 6월에 복원해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생가 옆에는 요산문학관이 있습니다. 들어서는 입구에 선생님의 흉상이 세워져 있으며 지하 1층, 지상 3층의 현대식 건물로 지어졌습니다. 1층은 세미나실, 2층은 전시실과 도서관, 3층은 후배 문학가들의 창작실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먼저 세미나실로 들어갔습니다. 한쪽으로 선생님의 소설들이 전집과 판권으로 진열되었으며 판매도 하고 있었습니다.


 

요산 김정한선생님 작품 사하촌, 옥심이, 항진기, 모래톱이야기,


그물 당대풍 축생도, 낙일홍, 수라도, 제3병동 개와 소년, 사밧재 등










2층의 전시실은 선생의 유품과 육필원고, 그리고 선생님이 직접 만드신 우리말 낱말카드와 식물도감, 습작 노트 등을 전시 중이며 소설 속의 무대를 사진으로 소개하여 방문객의 이해를 돕고 있습니다. 사밧재라든지 수라도의 화제리 등 실제로 저도 여러 곳을 다녀보아 이번 전시실을 보면서 그때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올랐습니다.


 

























































이제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천고마비의 계절입니다. 요산 김정한 선생님의 생가와 요산문학관도 여행하시고 평생을 올곧은 선비정신으로 삶을 사신 선생님의 뜻을 생각하며 선생님의 소설을 읽어보세요.





 ◆요산문학관 정보 안내◆

★관람안내:화요일~일요일, 오전 10시~오후5시

 매주 월요일과 공휴일 휴관, 입장료는 무료

★요산문학관 주소:600-815 부산광역시 금정구 팔송로 60-6

★교통편:도시철도 1호선 범어사역에서 청룡초등교 정문을 지나 600m, 도보 15분, 또는 도시철도 1호선 장전역 3번 출구로 나와 80번 버스로 환승하여 남산동 버스정류장에 하차하면 60m거리.

728x90

728x90



 

(창녕여행/창녕가볼만한곳)창녕석빙고. 요즘 같은 지진에 더욱 빛나는 우리 문화재, 석빙고의 무지개 천장에 내진 설계가 적용된 조선시대 얼음창고 창녕석빙고. 


요즘 우리나라를 공포에 떨게 하는 게 소리 없이 찾아온다는 지진입니다. 지금까지 지진의 공포는 남의 나라 이야기였습니다. 최근 경주가 진앙으로 알려진 5.8의 강진이 발생했는데 이제 남의 나라 이야기가 아닌 눈앞의 현실로 찾아 왔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도 오래전부터 강도 7~8의 지진이 심심찮게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어 한반도는 원래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근대에 들어와 큰 지진 일어나지 않았다 뿐이라는 것인데 이제부터라도 지진대비에 힘써야겠습니다. 지금이야 모든 게 발전하여 건물을 지을 때도 내진설계를 적용하여 강도 6~7도에도 무너지지 않게 견디며 안전하게 짓는다 하지만 지금부터 1,000년도 훨씬 넘긴 신라 시대 고건축물인 첨성대와 다보탑, 석가탑, 불국사를 받치는 기반 등이 이번 강진으로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너무나 오래된 문화재인데도 지금까지 발생한 수많은 지진을 견디며 온전하게 남아 있는 것을 보면 새삼 우리 선조님들의 창의적인 과학 정신이 돋보이기 때문입니다. 

당시에도 지진에 견디는 내진설계를 적용하여 바위를 깎아 끼워 맞추어 첨성대를 쌓고, 다보탑과 석가탑, 불국사를 세웠다니 지금도 그 어떤 지진에도 끄떡없는, 선조님들의 과학 정신에 다시 한 번 감탄 합니다.






2016/03/03 - (경북여행/청도여행)보물로 지정된 청도석빙고. 현존하는 석빙고중에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되었고 규모가 큰 조선시대 얼음저장고 청도석빙고.

2012/12/02 - (경남여행/창녕여행)영산 석빙고. 조선시대 냉장고는 어떤 모습일까요.영산 석빙고






웬 갑자기 뜬금없는 지진 이야기냐고요??? 그런 과학 정신이 만들어낸 게 전국에 산재해 있는 얼음창고 석빙고가 아닐까 싶습니다…. 지난번에 창녕을 가면서 잠시 창녕석빙고를 찾았습니다. 요즘이야 냉장고가 있어 얼음장 같은 찬물을 쉽게 마실 수 있고 아니면 물을 얼려 얼음을 만들어서도 먹고 음식물을 보관도 하며 아주 당연하다고 생각하는데 만약에 냉장고가 없었다면 어찌 요즘 같은 무더위를 이겨내며 살아갈까요. 그만큼 냉장고는 우리 생활의 일부분이 되었습니다.





냉장고와 유사한 게 조선 시대의 보물창고 석빙고입니다. 석빙고는 냉장고처럼 얼음을 얼리는 기능이 있는 게 아니고 겨울에 꽁꽁 언 얼음을 쪼개어 이곳 석빙고에서 봄·여름·가을까지 녹지 않게 보관하는 인공구조물로 언뜻 보면 고분과 많이 닮았습니다.





창녕석빙고는 석빙고 입구를 쇠창살로 문을 만들어 들어가지 못하게 막아 놓았습니다. 그러나 뼈 때만 앙상하게 남아 있던 청도석빙고를 보면 그 구조를 알 수 있는데 이곳 창녕석빙고도 같은 구조로 지어졌지 싶습니다. 석빙고의 내부는 얼음을 넣어주는 공간인 빙실이 있습니다.





절반은 땅속에 들어가고 절반은 땅 위로 노출된 형태인데 입구의 계단을 내려가면 네모난 밑바닥은 평평하며 약간 경사가 졌습니다. 그리고 북쪽 구석에는 얼음이 녹아 생기는 물을 빼는 배수 구멍을 만들었으며 돌을 잘 다듬어 바닥에서부터 양쪽으로 벽체로 쌓아 올렸습니다.


 



천장에 다다라서는 다듬은 돌을 서로 어긋나게 끼워 맞춘 무지개 모양의 돌다리를 만들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걸친 형태인데 다리 모양이 모두 4개입니다. 그 돌다리 위에다 긴 돌을 가로질러 걸쳤으며 보온을 위해 흙을 두껍게 덮어 천장을 마무리했습니다.







또한, 요즘으로 말하면 센셔기능인데 천장 중간중간에 요철을 가진 환기 구멍을 만들어 바깥의 공기가 드나드는 것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얼음이 녹지 않고 오래가게끔 하였습니다. 문화재 보호 때문에 지붕에는 올라가보지 못했습니다.

>







대부분 석빙고는 강과 개천 옆에 만들었습니다. 이는 계곡의 얼음을 쉽게 옮겨 보관하기 위해서며 창녕 석빙고도 서쪽으로 화왕산에서 내려오는 자하골과 직각이 되도록 했고 형태는 남북으로 긴 모양이며 출입구는 남쪽에다 두었습니다.

 






창녕 석빙고의 건립연대는 석빙고 앞에 세워진 빗돌을 보면 1742년인 조선 영조 18년에 당시 창녕 현감이었던 신서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석빙고에 저장된 얼음은 주로 왕실에서 사용하거나 아주 특별한 날 왕이 신하에게 특별 하사를 하는 귀중품 입니다. 그 당시에도 화채란게 있었는데 얼음이 동동 뜬 화채 생각만 해도 등골이 오싹해집니다. ㅎㅎ


 



 


◆창녕석빙고 문화재 정보 안내◆

★보물 제 310호

★창녕석빙고 소재지: 경상남고 창녕군 창녕읍 송현리 288

★창녕석빙고 문의전화:055-481-4650





728x90

728x90



(상주의성여행/상주의성가볼만한곳경)낙동강 낙단보 여행. 낙동강 3대 정자인 관수루의 처마에서 전통미의 낙단보를 디자인하다. 낙동강 자전거길 낙단보


경상북도 의성군과 상주시를 경계하며 관통하는 낙동강의 관수루를 보기 위해 의성군 단밀면으로 달렸습니다. 먼저 관수루 누마루에서 낙단보를 찾았더니 잘 보이지 않아 관수루를 내려와 낙단보를 가까이서 보기로 했습니다. 낙단보 입구에 낙동강 자전거 길 안내판이 있고 낙단보 초소에 관리하시는 분이 있어 자전거만 갈 수 있는가 하면서 입구에서 그냥 낙단보를 구경했습니다.








그리고 상주시쪽에서 낙단보를 보기 위해 낙단교를 걸었습니다. 다리 중간쯤에서 만나는 낙단보와 관수루는 낙동강 제1경이라 해도 손색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상주 쪽 낙동강 둔치에는 소공원이 조성되어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 여행의 휴식공간으로 정말 좋을 듯 보였습니다.


 







ㅎㅎ저는 어린아이도 없고 해서 그저 낙동강과 건너편 관수로, 낙단보를 보면서 좋다는 말만 연발했습니다. 그럼 낙단보는 언제 만들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낙단보는 2009년 이명박 전 대통령의 선거공약인 ‘4대강 살리기 사업’의 목적으로 낙동강에 8개의 보를 설치했습니다.


 

낙단보




보가 하는 일을 보면 “수리시설의 하나로 둑을 만들어 위에서 내려오는 물을 가두어 두는 곳”으로 필요할 때는 수문을 열어 물을 내려보내는 기능을 합니다. 낙단보는 낙동강 상류에서 두 번째로 설치된 보로 부산의 하굿둑으로 내려가면서 6개의 보가 더 설치되어 있습니다.





보마다 특징을 살려 특이한 모양으로 세워져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는데 특히 낙단보는 낙동강의 3대 정자 중 하나라는 관수루(觀水樓)의 처마에서 낙단보의 건물을 디자인하여 한국적인 전통의 미(美)가 철철 흐릅니다.


 





그리고 또한 낙단보 전망대 공사 중에 고려 전기로 추정되는 마애보살좌상이 발견되어 문화재를 보존하기 위해 설계 변경까지 하였다 합니다. 현재 마애보살좌상은 낙단보의 전략제어실과 문화관 사이의 나무 계단 아래에 보존 중입니다..





낙단보의 총 길이는 286m인데 그중에서 고정된 보는 144.4m이며 가동 보인 공도보는 141.6m, 보의 높이는 11.5m입니다. 낙단보는 3,430만 톤의 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친환경의 다기능 다목적 보입니다.





또한, 1,500Kw급의 소수력발전소 2기가 설치되어 연간 1472만kWh의 전기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보에 다가 따로 물고기의 왕래를 위한 자연형 수로와 콘크리트 블록 조립식의 아이스 하버식을 복합적으로 적용한 어도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낙단보의 착공은 2009년 11월 23일 첫 삽을 뜬 뒤 2011년 2월 16일 준공하여 그해 11월 12일에 일반인에게 개방되었습니다. 의성군과 상주시의 경계인 낙동강 경관 1번지 관수루 여행과 함께 낙단보 구경 추천합니다.

 


◆낙동강 낙동보 정보안내◆

낙단보주소: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생송리 산 172-1

낙단보 전화:054-830-7120

728x90

728x90




☞(문경여행/문경가볼만한곳)사불산 대승사. 사면석불의 공양절인 공덕산 대승사 천년사찰 여행하기.  


문경의 공덕산에는 천년고찰인 대승사가 있습니다. 불가에서는 사불산으로 더 알려져 대승사 일주문 현판에도 사불산 대승사라 되어 있습니다. 삼국유사의 사불산조에 나온 기록을 보면 사불산의 유래는 대승사와 윤필암 사이의 바위봉우리에 신라 시대 진평왕 9년인 587년 갑신년에 큰 돌이 붉은 비단보자기에 싸여 떨어졌는데 사면에 사방여래불이 조각되어 있다 합니다. 이 소문이 흘러 흘러 진평왕의 귀에까지 들어가게 되었고 왕도 기괴하게 생각하여 사면 석불의 바위가 떨어진 봉우리에 올라 친견하고 공경하는 마음으로 엎드려 절을 하였습니다. 진평왕은 이곳에다 사면 석불을 공양하는 절을 짓게 하였는데 그게 오늘날의 대승사입니다.




◆문경 대승사 주위 가볼만한곳◆

2016/09/07 - (문경여행)문경 공덕산 윤필암과 묘적암 암자 여행. 경허, 성철, 청담 등 근대 선승의 수도처 문경의 사불산 윤필암과 묘적암 암자 여행

2016/07/08 - (문경여행/문경 가볼만한곳)문경 대승사 마애여래좌상. 머리에 뿔처럼 꽃무늬를 돋을 새김한 이색적인 불상을 만나다. 대승사 마애여래좌상

2016/07/07 - (문경여행/문경 가볼만한 곳)공덕산·사불산 사불암. 그럴싸한 전설이 정말 잘 어울리는 신비의 세계 사불암 사면석불, 공덕산·사불산 사면석불 사불암을 만나다.








사불암이 하늘에서 떨어졌다 하여 사불산 또는 역덕산이라 하고 사불암 공양절로 진평왕은 대승사라 이름하였습니다. 대승사는 묘법연화경을 외울 수 있는 자를 주지로 삼았는데 이대승사의 주지가 죽자 그의 무덤에 연꽃이 피었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대승사는 1592년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전소하였습니다. 









그리고 1604년 선조 37년에 중창을 시작하여 1701년까지 근 100년 동안 대승사의 대웅전을 비롯하여 승당, 관음전, 조전, 미륵전, 금당, 십왕전 등 여러 전각을 신축하여 큰 사찰다운 뼈대를 갖추어나갔습니다. 1725년 영조 1년에 의학스님이 삼존불상을 개금하였는데 복장유물로 사리 1과와 705년 신라 성덕왕 4년에 금을 입힌 화엄경 7권이 함께 나왔다 하니 천년 고찰은 틀림없나 봅니다.







그 후에도 종각과 금강문, 천왕문, 일주문을 중건하였고 1831년인 순조 31년에 구담스님이 중창을 하고 9개의 산내 암자를 거느리는 등 대승사는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합니다. 1862년인 철종 13년에 명부전과 응진전을 제외한 대승사의 모든 전각이 화재로 잿더미가 되었습니다. 의운, 취월, 덕산 스님 등이 중건을 시작하면서 다시 극락전, 회랑, 염불당, 동별당 등 많은 전각을 중건했지만 1956년 또다시 일어난 화재로 명부전과 극락전만 남기고 소실되었습니다.







1960년에 대승사는 남인, 기종, 대휴 스님에 의해 다시 한 번 중창 불사인 삼창을 시작하였습니다. 현재 주지인 철산 스님에 이르기까지 객사, 범종루, 백련당 회랑 등을 복원하면서 대승사의 옛 모습을 조금씩 찾아가고 있습니다.


 



대승사의 많은 볼거리 중 가장 눈여겨볼게 보물 제991호인 대승사 금동보살좌상과 보물 제1634호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입니다. 제가 누런 금붙이를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금동불상에만 눈이 가는 것을 보면 말입니다. 이외에도 대승사 목각 아미타여래 설법상과 관계문서는 보물 제575호에 지정되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사실 사찰에서 법당의 본존불을 카메라를 들이대며 사진 찍기가 좀 민망한 곳도 있습니다. 유명사찰은 보통 사진촬영을 금한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어 더욱 그런 것 같습니다. 문경의 대승사에도 건물 외관만 사진을 찍고 불상 촬영을 하지 않아 대승사 포스팅을 하면서 너무 허전하여 문경시청 홈페이지의 문화재 사진을 출처를 밝히며 옮겨왔습니다.


 

노주석 






 




 





 

 

대승사 금동보살좌상(사진:문경시청 홈피)


대승사 금동보살좌상은 대승사의 선방에 주존불로 봉안하고 있습니다. 불상의 전체적인 높이는 90cm이며 보관 높이만 15cm에 불두를 포함하면 37cm, 어깨너비는 28cm, 무릎너비 57.5cm로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한 편입니다. 특히 머리에는 별도의 금속 보관을 썼는데 화려하기가 이루 말할 수 없습니다.



(사진:문경시청 홈피)


양쪽 귀의 보발은 여러 가닥이 흩어져 어깨를 덮고 있으며 이목구비는 원만한 얼굴에 미간에는 백호를, 목에는 삼도를 표현하였습니다. 금동보살좌상의 조성 시기는 “정덕 11년 병자사월개금”의 기록이 남아 있어 1516년인 조선 중종 11년에 개금이 이루어졌으며 불상 조성 시기는 그보다 빠른 15세기 후반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사진:문경시청 홈피)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사진:문경시청 홈피)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은 극락전에 봉안된 주존불로 불상 높이는 87.5cm, 무릎 너비가 63cm입니다.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은 1301년 고려 충렬왕 27년을 전후하여 조성되었음을 복장유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고려 후기의 불상연구에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복장유물에서 수습된 다라니 12매는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을 조성하면서 불복장되어졌습니다.

 


문경 대승사 주소:경북 문경시 산북면 전두리 8번지

문경 대승사 전화:054-552-7105

728x90

728x90


 

 

☞(부산영도여행/영도가볼만한곳)흰여울문화마을. 영화 변호인 촬영지 흰여울문화마을이 새롭게 바뀌었습니다. 흰여울길


부산의 특징 중 하나는 산복도로에 다닥다닥 붙은 판자촌마을입니다. 부산의 판자촌 유래는 6.25 한국전쟁과 8.15 광복으로 그 역사는 올라갑니다. 일본의 무조건 항복으로 총알받이로 끌려갔던 우리 조선인은 귀국선을 타고 부산항으로 들어왔으며 한국전쟁 때는 피난민들까지 몰려들어 그야말로 부산은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북새통을 이루었습니다. 


2014/09/23 - (부산여행/영도흰여울길)변호사 촬영지 흰여울길, "니 변호사 맞재?" 변호사 촬영지 흰여울길을 여행하다.

2014/02/20 - (부산여행/영도여행)변호인촬영지 절영산책로에서 봄을 마중하다. 흰여울길.







부산은 평지보다 산이 많아 비좁은 평지만으로는 그 많은 사람을 다 수용할 수 없어 급기야 산을 깎아 내고 공동묘지도 뭉개고 하여 비를 피하는 움막집을 짓고 살았는데 부산의 많은 판자촌 중 영도의 흰여울 길 문화마을도 피난민 마을 중 한곳입니다. 흰 여울이란 이름은 영도의 주산인 봉래산에서 흘러내린 여러 갈래의 물줄기가 바다로 떨어지면서 물보라를 일으키는 게 마치 흰 눈이 내리는 듯 빠른 물살의 모습과 같아 흰여울길이라 불렀습니다.





흰여울문화마을 주소: 부산시 영도구 영선동 4가

 





흰여울길 문화마을은 서구 암남동의 송도를 제1 송도라 하면서 그에 견주어 제2 송도라 하였습니다. 기암괴석과 층암절벽의 단애 위에 집을 지은 흰여울길을 이름 붙이기 좋아하는 사람들은 부산의 산토리니니 이탈리아 리비에라의 해안가 절벽의 친퀘테레를 연상시킨다며 찬사를 아끼지 않습니다. 그만큼 흰여울문화마을은 포근하며 사람사는 정이 묻어 있습니다. 또한, 남항 앞바다에 점점이 떠 있는 바다 주차장 묘박지의 많은 배와 반짝하는 바다의 몽환적인 풍경은 이곳 흰여울 길에서만 만날 수 있습니다.







흰여울길 문화마을은 여러 번 포스팅을 했습니다. 제가 사는 집과도 가까워서 자주 찾는 곳으로 매번 올때마다 흰 여울 문화마을의 골목은 변화를 거듭하였습니다. 아마 흰 여울 문화마을을 전국 관광지로 떠오르게 한 것은 천만 관객을 동원한 영화 '변호인'이었습니다.



 



돼지국밥집을 하는 할머니 김영옥이 살았던 집으로 변호사로 나오는 송광호가 집 앞 계단에 쭈그리고 앉아 하염없이 할머니를 기다리는 신을 촬영한 곳입니다. "니 변호사 맞제"





물론 영화 변호인 말고도 '범죄와의 전쟁' '첫사랑 사수 궐기대회' 티브이 드라마 '딴따라' '드림' 등이 촬영되었습니다. 1960년~1980년의 우리나라 산업화의 현장으로는 당시와 정말 잘 어울리는 이만한 촬영지도 여기 말고는 없습니다. 바다와 함께 옹기종기 붙은 집들은 당시의 상황을 가장 잘 보여줍니다.





지금은 골목길이면 골목길 계단이면 계단 모두 아름다운 페인트로 칠을 입혀 화려함은 더했지만, 회색의 거친 시멘트 느낌은 사라져 예전같이 수수함은 많이 사라져버려 정말 아쉽습니다.





이탈리아 리비에라 절벽의 친퀘테레 마을을 연상시킨다는 바위 절벽 위의 집, 오른쪽 그 아래는 천길 낭떠러지로 간담이 써늘합니다. 아마 이 담장이 없다면 오금이 저릴듯합니다. 이 길을 따라 쭉 가면 변호인 촬영지가 나옵니다.





보이나요. 바다 주차장 묘박지, 긴 항해를 끝낸 배들이 이곳에서 지친 몸을 뉘이며 기름과 선원들의 부식을 보충하고 또 다른 곳으로 떠날 준비를 하는 곳입니다. 묘박지에 세워진 수많은 배와 함께 이른 아침의 어슴푸르하게 밝아오는 바다의 모습은 이곳만의 매력입니다.






지금 흰 여울 문화마을은 다닥다닥 붙은 슬레이트집만 있는 게 아닙니다. 이곳도 매번 진화를 거듭하여 번듯한 건물이 자꾸자꾸 들어차 곧 흰 여울 문화마을의 모습도 새롭게 지도를 그릴 것 같습니다.




흰 여울 문화마을을 알리고 있습니다.




그 바위 절벽에는 절영도 해안 산책로를 연결하는 어마무시한 천국의 계단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계단이 까마득할 정도로 높아 꼭 하늘로 올라가는 계단이라나 뭐라나, 하여튼 입이 쩍 벌어지는데 지금은 모두 계단을 알리는 이름이 하나씩 척하니 붙어 있습니다. 총 4개의 계단이 있는데 첫 번째 만나는 계단이 맏머리 계단이며 이곳에 맏머리 샘이 있었다 합니다.






꼬불꼬불 흰 여울 문화마을을 연결하는 아름다운 골목길





이제 흰여울 점빵도 생겼습니다. 과거와 현재를 만나는 곳입니다. 지금까지 산업화 시대를 만났다면 이곳 흰여울 카페에서는 현재의 가장 인기품인 '코피'를 마실 수 있습니다. 흰 여울 마을에서 공동으로 운영하는데 이곳 의자에 척 걸터앉아 찐한 커피 향에 바다와 호흡해보세요. 어디선가 비릿한 바닷냄새와 산업화의 상징인 사람들의 땀내음이 아른한 향수가 되어 밀려옵니다.





담벼락의 바다 조형물입니다. ㅎㅎ 인어공주 아니 황옥 공주가 여의주를 들고 금방이라도 물속에서 튀어나와 "나 잡아봐라." 할 것 같습니다.





역시 계단이 살아 있습니다. 거칠 계단 길에 더덕더덕 덧입혀진 시멘트는 꼭 우리들의 마음의 상처 같습니다. 덧칠된 시멘트 골목길이 과거의 모습이라면 아름다운 색으로 덧칠한 담벼락은 오늘을 뜻합니다. 무조건 아름답게만 보이려는 게 안타깝지만 그래도 마을이 한결 산뜻한 느낌이라 기분이 좋습니다.





노란색이 정말 찐해 인상 깊었던 집으로 사진에 담았습니다. 하수구 위의 시멘트 맨홀 뚜껑을 보면서 그 위를 걸었던 사람들의 삶의 무게가 이 골목에서 느낄 수 있었습니다.





요기 꼬막 계단도 맏머리계단 처럼 바위 절벽을 타고 절영해안 산책로와 연결되는 계단입니다. 이곳에는 금술 좋은 할매할배가 고기도 잡고 조개도 따고 하며 살았다는 하꼬방 꼬막집이 있어 정겨운 이름인 꼬막 계단이라 부릅니다.





저 뒤 아파트는 아주 작아 미니아파트로 부릅니다. 원래는 공동묘지 자리였다는데 지금은 아파트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습니다. 흰 여울 마을에서는 그래도 제일 높은 건물입니다.





젊은 연인이 변호인을 촬영하였다는 집으로 향합니다. 역시 요즘 최고 대세는 스마트폰입니다. 무조건 팍팍 누르면 이리 사진으로 나오니 말입니다. 저도 오래된 스마트폰인 노트3로 열심히 담았습니다.





드디어 변호인을 촬영했던 현장입니다. 지금은 또다시 변신해서 흰여울 안내소란 간판을 달고 있습니다.





요 앞에 계단 보이지요 이 계단에 앉아 송광호가 국밥집 할매 김영옥을 기다린다 이잉교??? 그런데 지금은 시멘트로 덧칠하여 깔끔하게 했습니다. 그때의 분위기는 안나지만 들어가서 한번 보고 가입시다. 저도 바뀌고는 처음이라 내부가 궁금합니다.





매번 올 때마다 빈집이었는데 작은 마당에는 잡초가 막 자라 있고 변호인 촬영지가 아니라면 완전히 폐가 수순을 밟는 집이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방안도 깔끔하게 하여 흰 여울 문화마을의 홍보도우미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바뀌었습니다. 사진과 함께 마을의 옛 모습을 알리는 작은 쉼터로 변호인 촬영지에서 보는 남항 앞바다는 또 다른? 분위기입니다. 분위기의 반전이라 할까요??? 70년대의 집에서 밖을 내다보면 2016년 오늘의 모습이 눈앞에 쫙 펼쳐집니다. 남항동과 암남동을 연결한 남항대교와 하늘을 찌를 듯이 솟은 고층건물인 아파트는 이곳에서 보면 마치 신기루 같은 느낌입니다.


  




방안 내부를 둘러봅니다. 




흰 여울 문화마을 홍보물과 부산 원도심 투어 팸플릿을 한 장식 챙겼습니다.







내부에서 밖을 본 모습입니다. 뷰가 그림 같습니다.





변호인 촬영지 마당입니다.





옆 작은 방에는 청춘사진관입니다. 이곳에서 사진을 찍는다면 반백의 촌로들이 모두 젊은 청춘으로 다시 바뀌는 게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저도 찍어야 했는데 혼자라 아쉽지만 찍지 못했습니다.













영도의 흰여울길 문화마을은 우리 인생의 축소판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금까지 본 것은 우리가 힘들게 살아왔던 부모님의 모습의 흰 여울 문화마을이라면 현재와 앞으로의 흰 여울 문화마을의 밑그림은 더욱 많은 기대를 하게 합니다.





영도에서 꼭 가보고 싶은 여행지, 꼭 가야만하는 여행지라면 역시 흰여울 문화마을은 빼놓을 수 없습니다. “단디 찾아보고 가이소”






 




절영해안산책로의 해안가 모습입니다. 







728x90

728x90

 


☞(강진여행/강진가볼만한곳)하멜표류기와 하멜기념관. 서양에 최초로 조선을 알린 하멜보고서의 하멜표류기와 하멜 기념관 여행


바다에서 표류하다 조선 땅의 제주도에 닿아 13년간의 조선에서의 억류 생활을 겪은 뒤 지은 책이 있습니다. 이름하여 '하멜표류기'입니다. 네덜란드 선원이었던 하멜이 조선에서의 참담했던 생활을 하나의 기행문으로 남긴 보고서인데 ‘난선 제주도 난파기’와 부록에 해당하는 ‘조선국기’로 조선의 지리와 풍속, 군사와 교육등 당시 사회 전반과 겪었던 상황을 상세하게 기록하였습니다.





 

2016/09/14 - (강진산행)강진 수인산 수인산성 산행. 여기에도 산길이 있을까? 멋진 가을 산행이 기다리는 철옹성 같은 산성이 있는 강진 수인산.

2016/09/12 - (강진여행/강진가볼만한곳)전라병영성. 지금 한창 발굴조사가 진행중인 제주도와 전라도 육군 총지휘부였던 전라병영성 여행, 그 규모에 입이 쩍~~강진 병영성




 


하멜표루기는 1666년 하멜 일행이 조선을 탈출하여 본국인 네덜란드로 돌아가 1668년 조선이란 나라를 최초로 유럽에 소개했던 책입니다. 하멜은 왜! 자의든 타의든 조선 땅에 오게 되었을까요?? 하멜은 네덜란드 사람으로 동인도회사의 선원이었습니다.


 

 


네덜란드는 일본과의 무역거래가 아주 활발하게 이루어졌습니다. 당시 일본은 포르투갈과 교류하여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조총으로 한반도를 짓밟기도 했는데 단교하고 다시 네덜란드와 교류하여 유럽의 신식문물인 양학과 난학을 받아들이는 등 개혁개방을 추진하여 일본은 경제부흥을 일으키는 토대를 마련하면서 조선을 강제 병합하기에 이릅니다.


 

 


조선이라는 나라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그리 당하고서도 당시 정치꾼은 정신을 못 차리고 조선 말기에 일본에다 나라를 송두리째 빼앗기는 아픔을 당했습니다. 그 아픔이 70년이 지난 지금도 이어져 오는 것을 보면 참 생각하면 한심하기 짝이 없었습니다.


 

 

 

하멜 돌담길:병영면에는 하멜 돌담길이 있습니다. 호박만한 크기의 돌을 사용하는 우리나라의 돌담길과는 많은 차이가 있으며 또한, 돌담의 높이는 2~3m로 병영성의 군사가 말을 타고 다녀 민가의 사생활 보호 차원에서 집안 내부를 볼 수 없게끔 높이 쌓았습니다. 흙 담에다 돌을 일렬로 쌓지 않고 납작한 돌을 15도 각도로 기울려 한방향이 아닌 지그재그 형태의 빗살무늬로 쌓아 견고함을 더욱 높혔습니다. 이런 형태의 담장이 네덜란드 담장의 축조 양식이라 합니다.

 

 

 


동인도회사는 1602년에 설립되어 중국과 일본, 아메리카와 오세아니아 등과 활발한 해상무역을 펼쳤습니다. 주로 동양의 향신료와 중국과 일본에서 생산된 청화백자를 유럽으로 가져가 엄청난 이윤을 남겼습니다.


 

 

 

 


하멜이 탄 배는 1653년 1월 10일 네덜란드에서 출발하여 6월 14일 타이완의 안핑까지 운항하였고 동인도 회사 본사에서 일본 나가사키로 가라는 명령을 받고 출발합니다. 그러나 갑자기 날씨가 변하면서 악천후를 만나 배는 좌초하였고 제주도의 모슬포 인근에 겨우 닿았지만 66명의 선원 중에서 살아남은 사람은 38명이었습니다. 이로써 하멜 일행은 조선에서의 험난한 생활이 시작됩니다.


 

 

 

 


제주 목사였던 이원진이 이들을 체포하여 조정에 장계를 올렸으며 하멜 일행은 제주도에서 생활하면서 네덜란드로 돌아가게 해달라고 사정하지만 효종은 허락하지 않습니다. 이에 선원 6명이 탈출을 시도하였고 실패로 끝나자 효종은 하멜 일행을 서울로 압송하라는 어명을 내립니다.


 

 

 

 


효종은 네덜란드 선원의 대포, 조총 등 신무기 기술을 활용하여 당시 추진하던 불벌계획에 이용하기 위해 이들에게 거처를 마련해주고 박연의 휘하에서 군사훈련을 받도록 조치합니다. 그해 청나라 사신이 조선에 들어오자 조정은 양인을 억류하고 있다는 사실이 청나라 사신에게 오해의 빌미를 제공하는 것을 우려해 하멜 일행을 남한산성에 억류시켜버립니다.


 

 

 

 


일행 중 두 명이 빠져나와 청나라사신 앞에서 자신들을 살려달라고 호소하지만, 그마저 실패로 끝나고 하멜 일행 모두 전남 강진의 병영성에서 탈출 전까지 7년간의 유배 생활에 처해집니다. 하멜 표류기를 보면 유배생활 중 전라 병영성의 병마절도사가 총 5명이 바뀌었다 합니다.


 


 

 


풀 뽑기와 가벼운 청소 그리고 산에서 나무하기 등 호의적인 병마절도사도 있었지만 혹독하게 일을 시켜 입고 있던 옷이 누더기가 될 정도로 육체적인 노동을 강요했다 합니다. 1659년 현종이 즉위하고 조선은 가뭄과 홍수 등 천재지변으로 백성들은 도탄에 빠졌습니다.


 

 


하멜표류기에는 이때의 상황을 “백성들은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산에서 도토리를 줍고 소나무 껍질을 벗겼으며 잡풀까지 뜯어 먹어야 했다”라고 당시 참담했던 상황을 기술하였습니다. 하멜 일행도 3년 동안의 생활은 말로 표현할 수없는 참담함 그 자체였습니다.


 

 

 

 


하멜 일행도 역병과 굶주림에 생존자는 22명만 남게 되었고 조정은 이들을 순천과 남원, 여수 좌수영에 각각 분산 배치하여 수용하게 합니다. 하멜과 함께 11명은 여수의 좌수영으로 옮겨갔고 이곳에서도 기다린 것은 또한, 고된 노역과 배고픔이었습니다.


 

 

 

 


하멜은 고된 노역과 질병, 굶주림에 일행이 자꾸 죽어나가는 것을 보고 탈출 계획을 세웠습니다. 먼저 타고 갈 배를 구입하는 게 문제였습니다. 하멜은 닥치는 대로 돈되는 일을 시작하여  악착같이 돈을 모았습니다. 탈출계획은 착착진행되어 당시 배삯의 두배를 주고 배를 구입하였고 1666년 드디어 일본 나가사키로 탈출을 성공하여 본국인 네덜란드로 돌아가게 됩니다.. 당시 생존자가 16명인데 8명만 탈출에 성공하였습니다. 



 

 

 


그럼 강진군 병영성 앞의 하멜 기념관을 보겠습니다. 전남 강진군 병영면 병영성로 180 하멜 기념관은 우리나라를 최초로 서양에 알린 하멜보고서인 하멜표류기의 저자 헨드릭 하멜(Hendric Hamel)의 생애와 그의 업적을 기리는 기념관 및 자매도시 네덜란드 호르큼 시와의 문화적 교류를 위해 개관하였습니다.


 

 

 

 

 

 


하멜 기념관의 건물은 타원형의 목조건물로 왼쪽 건물은 하멜이 처음 도착한 제주도를 상징하며 오른쪽 건물은 하멜이 일본 나가사키로 가기 위해 탓 던 조난선인 스페르베르(Sperwer)호를 뜻한다 합니다.


 

 


하멜 기념관의 전시실은 ‘하멜보고서’ 외에도 하멜의 생애와 17세기 조선과 네덜란드의 사회 문화와 역사적 상황, 강진군과 네덜란드 호르큼시와 자매결연 등 주제별로 전시실을 꾸며 하멜 기념관을 더욱 알차고 풍성하게 꾸며놓았습니다. 하멜 기념관은 총 200여 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상설 전시 중입니다.


 

 

하멜기념관 사진으로 만나기


 

 

 

 

 

 

 

 

 

하멜보고서 원본 복제품

 

 

 

 

 

 

 

 

 

 

 

 

 

 

 

 


◆하멜기념관 관람정보안내

★하멜기념관 주소:전남 강진군 병영면 병영성로 180

하멜기념관 전화:061-430-3318

관람시간:연중 09:00~18:00

휴관일:신장, 구정, 추석, 매주 월요일

관람료:무료

주차시설 무료




728x90

728x90


☞(영도여행/영도가볼만한곳)청학동 해돋이 전망대 청학마루. 영도 최고 전망대로 손색없는 봉래산 둘레길 청학동 해돋이 벽화 마을 해돋이 전망대 청학마루를 만나다.


 어제 5일간의 긴 추석 연휴의 마지막 날이라 아쉬움을 달래고자 집 앞 남항에 놓인 남항대교를 걸어 영도로 콧바람을 쉬러 갔습니다. 영도는 이름 그대로 섬입니다. 섬인 영도를 이루는 게 영도의 최고봉인 봉래산입니다.







봉래산은 신선이 산다는 곳으로 강원도 금강산과 동격인 산입니다. 금강산은 사시사철 부르는 이름이 달라 여름에만 봉래산으로 부른다지만 부산 영도의 봉래산은 일 년 내내 주야장천 봉래산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얼마나 아름다운 산이면 신선이 사는 경치일까요?? 실제로 영도 봉래산 자락에는 신선과 관련된 지명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신선동이 그러하고, 청학동도 그러하고 영선동, 봉래동 등 모두 신선과 관계한 신비로운 이름으로 가득 찼습니다.



그중에서도 신선이 타고 다닌다는 푸른 학인 청학이 산다는 청학동 해돋이 마을에 올해 초 새롭게 해돋이 전망대 청학 마루가 조성되었습니다. 봉래산 둘레길을 걷고 할 때 한창 공사를 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정상을 찍고 내려오면서 봉래산 둘레길에서 해돋이 전망대 청학 마루가 완공되어 우연히 보았습니다.



청학마루는 봉래산 둘레길에서 전망대 구실을 톡톡히 하였습니다. 해돋이 마을은 새뜰마을이라 부릅니다. 지난 2015년에도 해돋이 벽화 마을 포스팅을 한 적이 있습니다. 그때는 해돋이 마을 담벼락에 그려진 벽화였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해돋이마을의 해돋이 전망대인 청학마루 포스팅 입니다. 해돋이 마을의 처음 시초는 한국전쟁으로 피난 온 분들이 이곳에 하나둘 모여들면서 지금의 마을을 이루어 다른 지역보다도 많이 낙후되었습니다.





또한, 이곳은 영도에서 가장 높은 위치의 마을로 그만큼 조망이 끝내주는 곳입니다. 그러다 보니 이른 아침 떠오르는 해를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곳이라는 해돋이 마을의 애칭을 얻었습니다. 해돋이 벽화 마을 포스팅을 따로 올려 섰지만 벽화가 하나같이 어릴 적 동심을 끄집어 내기에 충분했습니다.

 


딱지치기, 비석 치기, 동꼬찌르기, 말뚝박기 등 개구쟁이 아이들은 모두 한 번쯤 해보며 뛰고 놀았을 추억을 그림으로 만나는 곳입니다. 그리고 2016년 2월 23일에 또 하나의 볼거리가 완공되었습니다. 안 그래도 전망 좋은 곳에 청학 마루 전망대까지 떡하니 만들어져 이제는 영도 최고의 조망처가 되었습니다.



영도에서 해가 가장 먼저 뜬다는 청학동 해돋이 마을 전망대 청학 마루는 산복도로 르네상스 주민지원공모사업의 일환인 봉래산 둘레길 휴게소 조성사업으로 추진되었습니다. 예산 3억 원으로 전체면적 58.35㎡에 번듯한 지상 3층 규모의 전망대입니다.

 




마침 비가 추적추적 내렸으며 2층의 청학 마루 카페도 연휴라 그런지 문이 꼭꼭 잠겨져 3층 전망대에서 부산항대교와 신선대 부두 등 주변 경치만 보고 내려왔습니다. 따뜻한 커피를 음미하면서 밖의 경치를 보고 싶었는데 참 많이 아쉬웠습니다. 또다시 봉래산 둘레길을 걸을 때는 삼각대를 들고 올라가 부산항 대교 야경도 담아야겠습니다.


청학동 해돋이 벽화 마을 해돋이 전망대 청학마루



해돋이 벽화마을에서 본 부산항 대교 



◆청학동 해돋이벽화마을이 궁금하다면 

2015/09/09 - (부산여행/영도여행)그림으로 다시 태어난 피난민촌 마을 청학동 해돋이 마을 벽화 여행을 하다. 청학동 해돋이마을.








해돋이마을 청학배수지 야경





728x90

728x90



☞(양산여행/양산가볼만한곳)양산 천성산 원효암. 천성산 원효암 마애아미타삼존불입상, 천성산 원효암 석조약사여래좌상을  만나다.



경남 양산의 천성산 산정상인 원효봉 아래 해발 750여m에 선덕여왕 15년인 646년에 원효대사께서 창건한 암자가 있습니다. 암자 이름은 물론 원효대사의 이름을 따와 원효암으로 불리며 920.7m 정상 또한 원효산으로 불리다가 현재는 천성산 원효봉으로 제 이름을 정리한 상태입니다.



2016/09/13 - (양산산행/양산가볼만한곳)천성산 화엄벌. 가을 손님 맞이 천성산 화엄벌 억새 산행, 천성산 화엄벌 산행

2012/09/21 - (경남양산여행)천성산원효암. 원효의 전설이 가득한 천성산 원효암이 암자중 으뜸


 



원효암은 1905년 효은 스님에 의해 중창되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내원사 말사입니다. 원효암의 현재 당우는 모두 근래에 불사 되어 새로운 모습이지만 원효암의 대웅전 옆 절벽에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31호인 양산 원효암 마애아미타삼존불입상이 섬세한 조각 솜씨를 뽐내며 새겨져 있습니다. 또한, 법당 내부에는 1648년 인조 26년에 조성되었다는 양산 원효암 석조약사여래좌상과 복장유물이 봉안되어 있습니다.





먼저 양산 원효암 마애아미타삼존불입상을 알아보겠습니다. 삼존불 입상은 가운데 아미타여래를 그리고 왼쪽에는 관음보살상과 오른쪽에는 대세지보살상을 모셨습니다. 양산 원효암 마애아미타삼존불입상은 전체적으로 얕게 조각하여 평면에 가까우며 화화적인 느낌이 강합니다.





아미타여래불은 입상으로 밑에서 쳐다보면 상반신보다 하반신이 훨씬 길게 보여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느낌입니다. 좌우 두 보살 상은 본존불을 향해 합장하는 모습을 하고 있으며 원형의 두광을 갖춘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로 화려한 보관인 긴머리가 어깨를 지나 허리까지 흘러내린 게 아주 유려한 모습입니다.





그리고 바위 상단에는 나무아미타불 명문과 대세지보살 오른쪽에 세존응화2933년의 명문으로 주불이 아미타불이며 1906년인 근대 시기에 제작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양산 원효암 마애아미타삼존불입상의 전체적인 느낌은 한 폭의 불화를 그린 듯 정교하고 섬세하며 안정감이 뛰어난 문화재로 길지 않은 역사에 비해 조각수법이 매우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법당에 봉안된 원효암 석조약사여래좌상과 복장유물입니다. 사찰에서 촬영하기가 가장 껄꺼로운 게 법당 안에 모셔진 불상 촬영입니다. 그것도 종무소나 스님, 불자님이 법당 내부에 안 계시거나 멀리 떨어져 있으면 사진 촬영에 덜 거슬리는 데 가까이 있다면 촬영이 된다고 해도 불상을 담기에는 항상 마음이 무거워 원효암 법당의 석조약사여래좌상 사진도 딱 석 장 찍었는데 석 장 모두 흔들려서 아쉬웠습니다.


 



천성산 원효암 마애아미타삼존불입상






아미타여래불


그래도 아쉽지만, 포스팅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한 장이라도 올립니다. 원효암의 약사여래좌상은 높이는 77cm이며 하나의 돌을 조각한 석조불상입니다. 불상 조상기에는 통도사 약사전에 모셔진 것을 통도사 말사였던 원효암에 봉안하였다 합니다.



대세지보살


관음보살


 불상의 머리는 앞으로 약간 숙이며 등은 구부린 상태로 오른손은 아래로 내린 항마촉지인입니다. 왼손은 약사불상의 트레이드마크인 약함을 생략한 게 특이합니다. 그리고 결가보좌한 양다리 사이의 법의 자락은 단면이 두꺼워서 조선 후기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양산 원효암 석조약사여래좌상과 복장유물


복장유물로는 불상조성 발원문과 인쇄본인 다라니경, 오곡, 오향, 오색사를 포함한 후령통 등이 나왔습니다. 조선 후기의 다른 불상과는 다르게 석조불상으로 제작시기가 정확하게 밝혀져 조선 후기의 석불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입니다.

 




 


양산 천성산 원효암 주소:경남 양산시 상북면 대석리 1-1

★양산 천성산 원효암 전화 055-375-4111




728x90

728x90




수인산 병풍바위 



(강진여행/강진가볼만한곳)강진 수인산 수인산성 산행. 여기에도 산길이 있을까? 멋진 가을 산행이 기다리는 철옹성 같은 산성이 있는 강진 수인산.



전라남도 강진은 이름만 대면 모두 알 수 있는 산이 많습니다. 국립공원 월출산이 그러하며 호남의 공룡능선이라는 주작산과 덕룡산, 다산 정약용의 만덕산 등 산행과 역사성까지 모두 갖추어 요즘 대세인 스토리 텔링의 산이라 인기가 높습니다. 그 가운데에도 강진 하면 수인산도 그에 못지않은 찰진 산입니다.







2016/09/12 - (강진여행/강진가볼만한곳)전라병영성. 지금 한창 발굴조사가 진행중인 제주도와 전라도 육군 총지휘부였던 전라병영성 여행, 그 규모에 입이 쩍~~강진 병영성





홈골저수지 


수인산은 병영성과 네덜란드인으로 조선에서 억류되었다 탈출하여  조선 보고서인 하멜 표류기를 쓴 하멜 이야기, 수인 산성 등 역사성을 두루 갖춘 작지만 큰산입니다. 수인산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다음과 같이 나와 있습니다.

 

 

 홈골저수지 둑 오른쪽 끝 산행 출발지 


수인산성 동문 앞 암벽에 ‘수덕인산세(修德因山勢:산의 기세를 보고 덕을 닦는다)’라는 각자가 있는데 여기에서 수인산(修仁山)이 나왔다 합니다. 또한, 수인사에서 그 유래가 나왔다는데 “수인사의 스님들이 마음을 어질게 다스리고 수도에 정진하여 모두 성불한다”는 뜻으로 수인산으로 불렸다 합니다.


 

 


수인산에는 길이 6km, 높이 5m, 너비 4m의 산성이 있으며 동서남북 네 곳에 성문이 있습니다. 성벽의 일부 축성법을 보고 백제 때의 산성이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고려말에서 조선말 까지 전라병영성의 전략적 요충지로 왜구의 침입이 있을 때는 인근의 도강·탐진·보성·장흥·영암 등의 백성이 이곳에서 피란을 했던 곳입니다.


 

 


병영면은 조선 시대 태종 때 왜구를 막고자 병영을 설치한 데서 유래하며 정상인 노적봉에는 장흥의 억불산에서 봉화를 받아 위급함을 알렸던 봉수대도 있었지만 지금은 그 흔적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수인산 산행은 산행 그 자체도 아주 좋으며 전라병영성과 하멜, 수인산성의 이야기도 산행의 재미를 배가시켜 재미있는 가을 산행을 만들어줍니다.


 

병풍바위 위용 


강진 수인산 산행 경로는 홈골저수지~270m봉~480m 성불리·탕근바위 갈림길~남문~느티나무 숲 삼거리~서문(공적비바위)~북문(홈골재)~수인산 노적봉~정상갈림길(수인 산성 동문 1.3km·주차장 1.9km)~도둑골·한바위재 갈림길~북문(홈골재)~홈골~홈골저수지로 돌아오는 원점회귀 산행으로 산행 거리는 8.5km, 이며 산행시간은 3시간 30분~4시간쯤 걸립니다.


 

 도룡저수지

 

 국립공원 월출산


강진의 수인산은 병영면 지로리 홈골저수지에서 모두 시작합니다. 주로 홈골저수지에서 왼쪽 홈골을 올라 수인산 정상을 거쳐 하산은 병풍바위에서 수인사로 하산하는데 필자는 조금 더 길게 산행 계획을 세워 역으로 홈골저수지에서 오른쪽 481m 봉을 올라 수인산 남문을 거쳐 정상을 찍고 홈골로 내려오는 코스입니다. 수인산 산행을 출발합니다.


 

 

 

 


홈골 저수지에서 오른쪽 끝에 ‘수인사(0.66km)·수인산성남문(2.8km)’ 이정표를 보고 얕은 능선을 올라 수인 산성 남문 방향으로 오릅니다. 포근한 솔숲이 좋은 오솔길을 한참동안 오릅니다. 머리를 들면 왼쪽으로 병풍 같다는 웅장한 암벽인 병풍바위는 볼 수 없었고 수인산의 모습은 그저 평범한 수준의 수더분한 모습입니다.


 

 

 

 


전망이 드러나는 270m 봉에 도착하면 시야가 환하게 열리면서 누른 강진의 황금 들판이 뾰쪽뾰쪽한 산세인 월출산까지 이어져 보기가 정말 좋습니다. 왼쪽 발아래에는 도룡리 저수지도 보이고 도룡마을 하산길이 희미하게 능선으로 연결됩니다.


 

수인산 병풍바위 

 

 

 

 


남문으로 가는 뚜렷한 능선 길을 따라가면 뜬금없는 도룡리 이정표가 서 있는데 주위로 하산 루터를 아무리 찾아도 찾지 못했습니다. 수인 산성 남문까지는 1.88km, 홈골저수지에서 약 900m쯤 왔습니다. 무시하고 계속 능선을 오릅니다. 지금까지 드러나지 않던 바위전망대가 수시로 나타나 수인산 산행을 더욱 기대를 하게 합니다.


 

 

 

 


수인산 병풍바위도 방향을 달리하면서 평범하던 육산에서 서서히 바위산으로 바뀌었습니다. 가장 왼쪽에 송이버섯을 닮은 남근석과 미끈한 바위가 우뚝 솟았는 게 탕근바위 같고 바위 전체는 넓게 펼쳐진 게 병풍을 펼쳐 놓았습니다. 과연 수인산은 그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산성이라 해도 괜찮을 듯 한 험준한 산세입니다.


 

481봉 삼거리 이정표 

 

 

 

 


40분이면 삼거리 이정표가 있는 481m 봉에 오릅니다. 오른쪽은 성불리(2.15km)로 내려가며 왼쪽은 탕근바위(0.82kn) 방향입니다. 정면에서 보는 수인산은 병풍암과 탕근바위로 산세는 전형적인 골산이며 그 위에 연꽃 봉우리처럼 뽕긋 솟은 봉우리가 수인산 정상인 노적봉입니다.


 

 

 

 병풍바위

 

 


꼭 외계인이 타고 온 듯한 비행접시를 닮았습니다. 노적봉 봉우리의 뚜껑이 갈라지면서 비행접시가 마구마구 쏟아져 나오는게 ㅋ ㅋ 혹시 수인산이 외계인의 전진기지가 아닌지 생각해 봤습니다. ㅎ ㅎ 너무 나갔나요? 병풍바위에서 오른쪽으로 길게 뻗어 내려가는 능선이 장흥의 수리봉 능선입니다.


 

 

 

 


언제가 장흥 쪽에서 수리봉을 올라 동문으로 산행 계획을 한번 세워야겠습니다. 전망대에서 장흥 쪽을 보면 제암산과 사자두봉, 억불봉, 천관산 등 보성과 장흥·강진의 명산이 병풍을 펼친 듯 쭉 연결되는 게 참 호남은 명산의 보고입니다.


 

수리봉 능선 


수인산성의 병풍바위를 보면서 탕근바위 방향으로 능선을 내려갑니다. 더욱 크고 웅장한 수인산 병풍바위는 나의 머리 위에서 짓누를 때쯤 안부에 닿고 다시 병풍바위 방향으로 능선을 오릅니다. 꼭 공룡의 등줄기 같이 내려온 바위를 비집고 난 산길은 교묘하게 수인산성 안으로 들어가게끔 산길이 만들어졌습니다.


 

수인산성 남문 


임진왜란 등 여러 전란 때에도 이 길을 통해 산성 안으로 의병과 군인이 다녔을 것으로 보입니다. 오른쪽에 끊어진 성벽이 남문입니다. 여느 산성의 풍채 좋은 문루 등은 갖출 수 없었지만 수인산성에서는 요긴했을 듯한 낮은 성벽이 꼭 암문같이 느낌입니다.


 

 

 



성안은 곳곳에 건물의 흔적인 듯 평평하며 무심한 세월 앞에 지금은 조릿대만 무성하여 당시의 흔적을 찾을 수 없는 게 많이 안타까웠습니다. 5분이면 노적봉과 성불리(3.3km)임도 갈림길입니다. 왼쪽 노적봉 방향이며 곧 우물터와 기왓 조각 등 당시 건물 흔적의 너른 터에 큰 느티나무와 이정표가 있습니다.

 

 

느티나무 숲 삼거리(별장터) 


아마 별장터로 추정되는 곳이며 노적봉 가는 길은 두 갈래로 모두 정상아래 북문에서 만납니다. 오른쪽의 ‘노적봉 봉수지(1.0km)·주차장(2.5km)’방향은 무시하고 왼쪽의 노적봉 봉수지(1.0km)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30m쯤 가면 이정표가 없는 갈림길 오른쪽에 산행리본이 많이 붙어 있습니다. 노적봉봉수지로 가는 길이지만 조금 직진하여 서문까지 갑니다. 수인사(1.34km)로 하산하는 서문에도 너른 공터와 많은 유구가 굴러다니며 창같이 뾰쪽한 바위에 강진과 장흥 멀리는 광양 관리의 치적을 바위에다 새겨 놓았습니다.

 

 

 비석바위


 

수인산 정상 노적봉



느티나무 숲 삼거리로 되돌아가다 왼쪽 능선의 산성 길을 따라 북문을 거쳐 노적봉 봉수지로 향합니다. 작은 봉우리를 넘으면 수인산 정상인 노적봉이 원추 모양으로 우뚝하고 느티나무 숲 삼거리에서 20분이면 홈골재(북문)에 도착합니다. 여름이 끝나간 무렵이라 홈골재 삼거리 길섶에는 잡초가 무성하며 산행안내도와 이정표는 빛이 바래져 있으나 마나 합니다.

 

 

 

 

홈골재(북문) 


정상을 올랐다 다시 이곳에서 왼쪽 홈골절터(1.0km) 방향으로 하산하니 참고하세요. 오른쪽 노적봉(0.33km)으로 오르는 길은 한마디로 코가 땅에 붙을 만큼 된비알입니다. 그래도 300m 거리니까 여유를 가지고 오르면 옛날 봉수지였다는 노적봉 정상에서 거침없는 조망의 즐거움을 맛보게 됩니다.


 

 수인산 정상에서 본 병풍바위

 

수인산 노적봉


 올라왔던 남면에 비해 정상석 오른쪽의 동면과 북면은 내려다보면 천길 단애로 머리가 어지러울 지경이었습니다. 이곳까지 오면서 보았던 주위 조망을 정상에서 한 번 더 둘러봅니다, 이제 본격적인 하산입니다.


 

수리봉 능선 

 

수인산 정상 이정표


 하산은 정상석 왼쪽인 ‘수인산성 동문(1.5km) 주차장(2.1km)’ 방향입니다. 이곳도 역시 성곽길로 200m 내려가면 다시 수인산성 동문(1.3km) 갈림길에서 왼쪽 병풍바위(1.4km) 방향입니다. 5분쯤이면 이정표가 없는 갈림길에서 직진은 도둑골과 한바위재 방향. 북문인 홈골재는 왼쪽입니다.


 

정상 갈림길 이정표 

 

 수인산성 성곽길

 

 

 

 


7분이면 다시 정상을 오를 때 지났던 홈골재(북문)며 하산은 오른쪽 홈골절터입니다. 홈골은 이름 그대로 편편한 곳을 삼각형의 조각끌로 끍어 낸 듯 패인 협곡입니다. 또한, 너덜겅이 연속으로 이어져 주의해서 하산합니다.


 

홈골 

 

 

 

 

 

 


계곡을 빠져나오면 홈골 저수지를 돌아 다시 산행 출발지입니다. 산행을 출발하면서 볼 수 없었던 수인산의 남근석과 탕근바위인 병풍바위 능선이 괴물의 성(城)처럼 다가왔습니다.


 

 

 

 

 

홈골저수지에서 본 수인산 


(강진여행/강진가볼만한곳)강진 수인산 수인산성 산행 대중교통편. 


강진터미널에서 병영면 농어촌버스를 타고 모개나무거리 정류장에서 내려 산행 출발지인 홈골저수지까지 1㎞가량 걷는다. 강진터미널에서 병영면으로 가는 농어촌 버스 시간표 참고하세요. 강진교통 061-432-9666


 

(2016년 2월 현재 버스 시간표)





 








728x90

728x90





 ☞(양산산행/양산가볼만한곳)천성산 화엄벌. 가을 손님 맞이 천성산 화엄벌 억새 산행,  천성산 산행



와!! 가을이다. 아직은 더위가 가시지 않은 듯 한낮에는 30도에 육박하는 무더위지만 그래도 달력이 9월로 넘어가니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게 계절은 어김없이 가을이 가까이 오는가 봅니다. 가을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게 바람에 몸을 맡기며 주책없이 흔들리는 코스모스와 여린 몸에 힘찬 날갯짓에 여념 없는 빨간 고추잠자리입니다. 길가 언덕에도 장독대에도 어김없이 가을을 상장하는 코스모스와 고추잠자리가 반기는 이맘때면 필자는 항상 배낭을 꾸려 산에 오릅니다. 






내연경로당 


산에는 어김없이 가을이 성큼 다가와 있기 때문입니다. 산에는 여름 손님은 가고 또 다른 가을 손님인 억새가 주인인 양 손님을 맞습니다. 올라온다고 고생했다며 말입니다. 이때까지는 내가 이산의 주인이었다면 지금부터는 지가 주인이라며 꼭 주인 행세를 하는 듯 살짝 와서 내 어깨를 툭툭 칩니다.







 


병아리의 부드러운 깃털 마냥 뽀송뽀송한 하얀 솜털은 파란 하늘에 낀 먼지라도 쓸어낼 욕심에 자꾸만 제 몸을 움직이는 억새, 어떤 때는 몸이 부러질 듯 빠르게 흔들고 어떤 때는 굼벵이 기어가듯 아주 느리게 흔들며 한결같이 “사각사각” “스르륵~” 소리를 내며 야단법석입니다. 야단법석을 떨고 있는 억새를 만나기 위해 부산과 가까운 양산의 천성산을 찾았습니다.


 

 


철쭉과 억새로 봄과 가을에 다시 한 번 더 산으로 태어난다는 천성산은 화려하게 치장한 가을옷 단풍은 마음 좋게 덤으로 내어줍니다. 천성산의 가을 하면 당연히 화엄벌입니다. 이번에 가을 잔치인 화엄벌의 억새를 먼저 만나고 왔습니다. 반갑다고 몸을 흔들며 반기는 억새를 보면서 가을 속에는 꼭 ‘쓸쓸함’과 ‘낭만’만 있는 게 아니었으며 ‘반가움’도 있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천성산 억새 산행의 산행 경로를 보면 양산시 웅상읍 평산리 내연경로당에서 출발합니다. 체육공원~파란 물탱크 사거리~등잔산~임도 갈림길~큰바위 석굴 밑 임도~큰바위석굴~평산 임도 천성산 철쭉제 표지석~천성산 2-10 표지목 삼거리~은수고개~원효암 갈림길~천성산 정상~화엄벌·원효암 갈림길~홍룡사 갈림길~원효암~원효암 주차장~죽림 정사 입구~죽림 정사~무지개 폭포~장흥 저수지 16번 마을버스 종점~내연 경로당으로 돌아오는 원점회귀 산행으로 거리는 대략 18km에 6시간~6시간 30분이며 인내심을 요구하는 산행입니다. 그러나 천성산 정상과 화엄벌의 억새가 힘들었던 산행을 충분히 보상하고도 남습니다.


 

 


천성산과 무지개 폭포를 잇는 원점회귀 산행 출발은 양산시 웅상읍 평산리 내연 마을 경로당 맞은편입니다. 장수 산악회에서 세운 천성산 등산로 출발점 때문에 산행 입구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이곳 평산리 마을 주민의 아침 등산로로 통행이 잦은지 길이 넓고 산길 정리가 아주 잘 되어 있습니다. 키 큰 소나무 숲에 난 계단에 올라서면 신발과 바짓가랑이에 묻은 먼지 털이 기기를 지나서 본격적인 산행을 시작합니다.


 

 체육공원

 

 

 

파란 물탱크 사거리 


10분이면 정자를 만나고 바로 갈림길입니다. 나무 덱이 깔린 길이 아닌 왼쪽 흙길이 천성산으로 향합니다. 324봉의 산허리를 돌면 체육공원이 있는 능선입니다. 이곳까지 계곡 물을 끌어들여 수도꼭지를 달아 놓았습니다. 편편하고 넓은 임도를 5분쯤 걸으면 정면에 파란 물탱크가 놓인 사거리입니다. 천성산, 은수고개는 왼쪽 넓은 임도를 따라 어영골로 가는 게 가깝고 편하지만 이번 산행은 능선을 따라 천성산 철쭉제 표지석이 있는 평산 임도로 향하는 계획이라 직진하여 물탱크 오른쪽으로 오릅니다.


 

등잔산 정상 


다시 만나는 사거리 길에서 직진하면 산길은 좁아지면서 오른쪽으로 살짝 틀어 다시 지능선의 사거리와 만납니다. 이번 사거리에서는 왼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가파르게 이어집니다. 15분이면 451m인 등잔산에 오릅니다. 돌탑이 세워진 정상에서 심호흡을 크게 합니다. 산이 높지 않아 힘들지는 않았는데 이제부터 산행이 시작된다 생각하고 출발합니다.


 

 

 

 

 

 

 

 

 

 


양산 웅상읍의 전경이 시원하게 펼쳐지고 건너편 대운산의 마루금이 길게 이어집니다. 등잔산에서 직진하면 다시 내리막 산길이고 사각 쉼터가 있는 안부까지 300m, 임도에 내려섭니다. 왼쪽은 임도를 거치는 은수고개(3.4km) 방향, 오른쪽은 유엔 아이 아파트(1.1km) 하산길, 천성산 산행은 은수고개(3.3km), 천성 2봉(5.1km) 이정표 방향인 직진하여 능선을 탑니다.


 

임도 갈림길 

 

천성산 정상 

 

큰바위석굴 능선의 바윗길 

 

큰바위 

 



조금씩 고도를 높이지만 능선길만 따르면 바위 능선이 나타나며 시원하게 전망이 열립니다. 가야 할 천성산 정상과 은수고개, 정면에 툭 불거진 큰 바위와 원적봉이 파란 하늘과 대비되는 듯 더욱 선명합니다. 임도 쉼터에서 50분이면 다시 한 번 임도와 만나고 직진하여 큰바위석굴 200m, 천성산 제2봉 방향 능선을 탑니다.

 

 



 200m쯤 오르면 태산 같은 바위봉우리가 우뚝 솟았습니다. 큰 바위며 석굴을 보기 위해서는 바위 왼쪽으로 돌아 오릅니다. 큰 바위 밑에 길이 10m 높이 1.5m인 꽤 큰 석굴이 있다는 게 신기할 정도입니다. 신라 시대 원효는 천성산과 대운산 일원에서가 수행에 전념했는데 미타암 굴과 적멸굴, 반고굴, 금수 굴과 함께 면벽 수행하던 원효의 석굴로 알려져 있습니다.


 

큰바위석굴 

 

 큰바위

 

 

 

 

 

 

 

 


이곳을 지나면 산길은 조금 험해지고 만나는 갈림길에서 왼쪽으로 내려갑니다. 봄이면 철쭉이 만발한 산 사면에 지금은 억새가 지천으로 올라와 부는 바람에 “꼭 흔들리는 게 여자만이 아니라는 듯 이리저리 제 몸을 맡기고 있습니다. 큰 바위 석굴 밑 임도에서 30분이면 평산 임도의 천성산 철쭉제 표지석에 닿습니다. 천성산 철쭉제 행사가 매년 이곳에서 열립니다.


 

 

 

 평산임도 천성산 철쭉제 표지석

 

 


이정표를 보고 은수고개(1.3km) 방향은 직진하여 능선을 탑니다. 5분이면 벤치 쉼터가 있고 천성산 2-10 표지목이 있는 갈림길입니다. 오른쪽은 천성산 2봉 방향이며 은수고개는 왼쪽입니다.


 

은수고개 


산자락을 에돌아 10여 분이면 은수고개에 닿고 사통팔달로 길이 열려 있습니다. 왼쪽은 어영골을 거쳐 등잔산 방향, 장흥저수로로 하산하고 오른쪽은 천성산 2봉과 또 한 갈래는 내원사로 향합니다. 이곳에서 천성산 원효봉은 직진 길입니다.


 

 

 

 


300m쯤 가파른 오르막이며 갑자기 하늘이 뻥 뚫리는 게 천성산의 트레이드마크인 억새가 산 사면에 넓게 펼쳐져 그야말로 장관입니다. 지금부터 놀라기에는 너무 이른 감이 있습니다. 900m 능선에 펼쳐진 억새는 천성산 억새 산행의 예고편에 불과합니다. 그 무덥든 더위도 한풀 꺾이고 언제부턴가 가을이 왔음을 알리는 선선한 바람이 산정을 휘감으며 등줄기로 타고 흐르는 땀을 식혀줍니다.


 

 

 

 

 

 

 

 

 



그리고 보면 계절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군부대가 있어 정상에 오를 수 없었지만 몇 해 전에 정상을 개방하여 지금은 누구나 정해진 산길로 정상 등정을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화엄벌로 바로 내려가는 길은 폐쇄되었고 원효암과 천성산 정상가는 길만 열린 삼거리를 지나면 안전 펜스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는 천성산 자연 생태계보호와 습지 보호, 그리고 매설된 지뢰를 제거했다지만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하려는 조치입니다. 800m를 은빛 물결과 함께 호흡하며 오르다 보면 천성산 최고봉인 원효봉(920.7m) 정상입니다. 큰 정상석과 빼어난 조망에 천성산은 주위 산에 비해 거칠 것 없는 독보적인 모습입니다. 눈을 들면 이웃한 영남알프스의 준봉들이 만리장성인양 긴장 벽을 두른 게 그곳에도 가을 손님이 지금쯤이면 도착했을 것 같습니다.


 

 

 

 

 

 

 

 

 

 

 

천성산 원효봉 

 

 

 

 


발아래 넓은 들판이 화엄벌입니다. 고산 습지로 인해 화엄늪으로 더 알려져 있습니다. 꼭 정상에서 보면 황금 들판 같습니다. 농부들이 보면 올해 농사가 풍년이라며 아주 흡족해할 것 같은 화엄벌을 향해 내려갑니다. 역시 하산길에도 울타리가 둘리어 있습니다.


 

 

 

 


곧 천성산 정상 우회 길로 연결되며 역시나 오른쪽은 출입을 금지한다며 막아 놓았습니다. 왼쪽으로 향합니다. 지금부터 억새군락지 화엄벌의 시작입니다. 화엄벌의 습지를 화엄늪이라 부릅니다. 신라 시대 원효가 천여 명의 승려들을 모아놓고 화엄경을 강설했던 곳입니다.


 

 

 

 

 

 


화엄벌은 축구장 17배인 약 2만8천 평 크기인 산상 습지로 이탄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앵초, 물매화, 잠자리난, 흰제비난, 끈끈이주걱, 이삭귀개 등 다양한 습지식물이 살고 있습니다. 화엄벌의 억새를 보는 순간 지금껏 고생하며 올라왔던 그 힘든 순간이 모두 눈 녹듯 사라지며 아름다운 억새가 탄성을 자아내게 합니다.


 

 

 

 화엄벌

 

 

 

 

 

화엄벌 원효암 갈림길  


다시 원효암 이정표가 있는 갈림길입니다. 직진하면 너른 화금 들판인 화엄벌을 지나 홍룡사, 용주사, 내원사 등 다양하게 연결됩니다. 이정표를 보면 왼쪽이 원효암(1.3km) 방향인데 이곳에서 주의를 해야 합니다. 왼쪽으로 바로 내려가면 엉뚱한 곳으로 내려가 버립니다. 다시 왔던 방향으로 30m 정도 꺾어 올라갑니다. 그 뒤 오른쪽 억새 사이로 난 길을 따라가면 다시 뚜렷한 숲 속의 원효암 산길과 연결됩니다.


 

 

 

 

 

 

 

홍룡사 갈림길 


지금은 억새가 산길을 덮고 있어 유심히 살펴야 합니다. 원효암 등산로는 천성산 허리를 돌아갑니다. 바윗길도 만나고 흙길도 만나는 길입니다. 이 길 끄트머리에 홍룡사 갈림길 이정표가 있습니다. 길을 잘 못 들어 오른쪽으로 계속 하산한다면 홍룡사(1.4km)로 내려가니 주의해야 합니다. 반드시 이정표를 찾으세요.


 

양산 원효암 마애 아미타삼존불입상


이곳에서 원효암은 왼쪽으로 돌아 산허리 길을 따라갑니다. 약 400m 쫌이면 숨은 듯이 바위틈에 자리 잡은 암자 원효암입니다. 원효암은 신라 선덕여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했다는 암자지만 지금의 당우는 모두 최근에 불사 되었습니다. 그러나 원효암 대웅전 옆 깎아지른 암벽 아래에 ‘양산 원효암 마애 아미타삼존불입상’이 조각되어 있습니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31호로 지정되었으며 조성연대는 1906년이지만 예술성과 정교하고 섬세한 조각 솜씨가 돋보입니다.


 

원효암


원효암 법당에는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430호인 ‘양산 원효암 석조약사여래좌상과 복장유물’이 봉안되어 있습니다. 처음에는 통도사 약사전에 있던 것을 말사인 원효암으로 옮겨왔다는데 조성연대는 1648년인 인조 26년입니다. 특이한 점은 조선 후기에서는 좀체 볼 수 없는 석불 상입니다.



죽림정사 입구


원효암에서 큰길을 따르면 옛날 원효암 정상부의 군부대로 오르던 작전도로 옆의 대형 주차장에서 낙동정맥 길을 따릅니다. 주차장 끝에는 많은 산악회 리본이 걸려 있습니다. 등산로를 내려서면 다시 원효암 도로에 닿고 오른쪽으로 100m쯤 가면 죽림 정사 입구, 왼쪽으로 급한 내리막 임도를 1km쯤 따르면 한적한 암자인 죽림 정사입니다.


 

죽림정사


무지개폭포




암자 입구에서 오른쪽 대숲길 방향, 만나는 이정표는 모두 무지개 폭포, 장흥 저수지 방향입니다. 곧 무지개 폭포 갈림길, 무지개 폭포를 보고 돌아 나와 장흥 저수지까지는 1.4km입니다. 은수고개 갈림길을 지나 계곡을 건너고 다시 한 번 계곡을 건너면 무지개산장를 지나고 장흥 저수지를 끼면 16번 마을버스 종점입니다.







무지개산장


 16번 마을버스 종점


이곳에서 스틱을 접어도 되고 산행 출발지인 내연경로당을 가기 위해서는 도로를 따라 장흥마을과 웅상정수장을 지나 24시 찜질방 건물을 지나자마자 왼쪽 경보 4차 아파트를 보고 꺾습니다. 작은 다리를 건너고 도로를 따라가면 출발지 내연경로당에서 산행을 마무리합니다.


천성산 화엄벌지도







728x90

728x90



 ☞(강진여행/강진가볼만한곳)전라병영성. 지금 한창 발굴조사가 진행중인 제주도와 전라도 육군 총지휘부였던 전라병영성 여행, 그 규모에 입이 쩍~~


전라남도 강진에는 이름만 들어도 많은 군 병력이 주둔했음을 알 수 있는 지역이 있습니다. 강진군 병영면이며 이곳은 지리적 역사적으로도 알 수 있는 게 1895년 고종 32년의 갑오개혁 때까지 조선 시대를 통틀어 500여 년 동안 전라도와 제주도를 포함하는 53주 6진을 총괄했던 전라도 육군의 총 지휘부가 있었습니다.









병영면에 전라 병영성이 설치되기 이전에는 오늘날의 광주시 광산구에 병마절도사 영이 있었지만 1417년인 태종 17년에 이곳으로 옮겨왔습니다. 전라 병영성의 초대 병마절도사는 마천목 장군이었으며 병영성을 처음 축조하신 분입니다.





전라병영성 치성


전라 병영성을 세류성(細柳城) 또는, 설성(雪城)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마천목 장군이 꿈속의 계시를 받아 눈이 내린 자국을 보고 성을 쌓았기 때문입니다. 험준한 산세인 수인산을 등지고 평지에다 세운 성으로 남·북으로 긴 장방형에 전체 길이는 1.06km이며 높이는 3.5m, 면적은 93,139㎡입니다.





전라병영성 옹성


병영성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7년 전쟁이 끝난 뒤인 1599년 선조 32년 도원수였던 권율 장군의 상소로 장흥으로 잠시 이전하지만 두 전란으로 파괴된 성곽을 보수하고 5년만인 1604년에 다시 지금의 병영성으로 옮겨왔습니다.







병영성은 조선 후기까지 이어오면서 숱한 왜구와의 침략에 맞서다 1894년 12월 10일 동학농민전쟁으로 병영성이 동학군에 함락되어 폐허가 되자 1895년 고종은 갑오경장으로 병영성을 폐지하는 조처를 합니다.







강진 병영성은 또한 네덜란드인 하멜 일행이 1653년 일본 나가사키로 향하다 태풍에 좌초하여 표류하면서 제주도의 모슬포로 상륙하였습니다. 뒤에 하멜 일행은 전라남도 강진의 전라 병영성에서 7년간의 유배 생활을 하다 1666년 현종 7년 9월 4일 원래의 목적지였던 일본 나가사키로 탈출하는 데 성공하는데 조선에서 13년간 억류 생활이었습니다.







하멜은 고향 네덜란드로 돌아가 1668년 ‘하멜 표류기’란 이름으로 서양에다 조선을 최초로 알리는 책을 출간합니다. 병영성은 이방인 하멜의 7년간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곳입니다.





전라 병영성은 2012년도의 1·2·3차 발굴조사에서 전라 병영성의 북서쪽 일원을 조사하여 건물지 15곳과 연지 4곳, 담장과 배수로, 우물 등의 유구 등이 원형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하여 당시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습니다.







발굴조사에서 15곳의 건물지를 확인했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큰 이슈는 객사 터의 발굴입니다. 정면 11칸에 측면 4칸으로 그 규모가 54m*18m 크기로 상당히 큰 규모를 가졌습니다. 앞면 15칸, 옆면 5칸인 우리나라에서 목재 건축물로 두 번째로 크다는 여수 진남관의 규모가 54.5m*14m 입니다. 따지고 보면 규모 면에서는 진남관보다도 더욱 크고 웅장했다고 추론할 수 있습니다.





객사 건물은 당시 발굴조사에서 3차례 축조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1차 때는 발굴 유물인 기단의 배열과 초석, 온돌 등에 근거하여 조선 초기로 보이고 2차와 3차도 기단의 축조와 발굴된 유구 등에서 추정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객사가 있는 서쪽에는 4개의 연못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병영성의 식수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연못 터 사이에서 건물터 3곳이 있다는 것도 알아냈습니다. 연못의 크기는 큰 게 27m*20m*1.8m였고 당시 문헌의 기록을 보면 연못 터 사이의 건물이 연희당 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연희당은 병영성의 최고 책임자인 병마절도사의 휴식 공간으로 사용하거나 부하장수들과 연회와 회의장소로 사용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건물 외곽을 둘러쌓은 성은 동서남북에 성문 앞을 반월형으로 가려 성문을 보호하는 작은 성인 옹성을 두른 성문에다 네귀퉁이와 동·서쪽벽은 성벽에서 돌출하여 쌓은 성인 치성을 각각 2개씩 복원하였습니다. 발굴에서 남서쪽에는 두 곳의 배수구 시설도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필자가 이번에 강진을 여행하면서 전라 병영성의 규모가 대단하다하여 병영성을 찾았습니다. 현재 강진 전라 병영성은 2016년 4월 5일~2016년 11월 14일까지 160일간 5·6차 정밀 발굴조사가 진행 중입니다. 병영성은 지금 먼지가 펄펄 날리며 한창 발굴에 여념이 없었습니다.







지난번 남측의 4차 발굴조사와 연계하여 남측의 5차와 남동측의 6차 발굴이 무더위 속에서도 건물의 부재인 작은 파편이라도 찾는다는 일념으로 땀방울을 쏟아내었습니다.





 


현재 사적 제397호로 지정된 전라 병영성은 외곽인 성벽과 동서남북의 성문, 문루 등을 복원했다면 이번 발굴조사는 전라 병영성 관련 유구의 잔존 규모 등을 정밀히 조사하여 병영성의 내부인 여장 복원공사와 성 내부의 건물 및 주요시설 복원을 위한 추가 발굴조사로입니다. 모든 발굴조사가 완료되면 복원할 전라 병영성의 웅장한 건물 모습이 정말 기대됩니다.


전라 병영성 주소:전남 강진군 병영면 성동리




728x90

728x90





와현고개 버스 정류장 

 

☞(거제도여행/거제도가볼만한곳)거제도 망산 와현 봉수대~서이말 등대~공곶이 둘레길. 환상의 섬 거제도 둘레길 망산 와현 봉수대~서이말 등대~공곶이를 걷다



거제도는 우리나라에서 제주도 다음으로 큰 섬이라 자주 산행이면 산행, 둘레길이면 둘레길, 여행이면 여행하며 찾는 곳입니다. 특히 거제시에서 거제도의 명산을 지정했는데 그 수가 무려 11곳이 됩니다. 거제 명산을 나열해 보면 노자산·가라산·계룡산·선자산·산방산·옥녀봉·금성산·대금산·북병산·망산·앵산으로 거제시에서는 11 명산이라 부릅니다. 저 또한 산을 좋아하여 거제 11명산 모두 산행하였고 취재하여 국제신문의 최고 인기연재인 ‘근교산’에 모두 소개하였습니다.








 


취재 말고도 개인적으로 산행 한 곳도 부지기수 였습니다. 그 이유는 거제도는 거가대교 덕분에 내 고장의 금정산과 같이 찾아가기 쉬운 산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바다와 산을 동시에 경험하는 부산과 똑같은 산의 느낌이라 더욱 애착이 가면서 자주 찾게 됩니다. 이번에도 거제도를 찾았습니다. 산행보다는 둘레길을 걷기 위함인데 제가 몸담은 국제신문 근교산 취재를 위한 산행이기도 합니다.


 

 


거제시 일운면의 망산인데 거제 11 명산의 남부면 망산과는 같은 이름의 산입니다. 일운면 망산은 거제도에서 동남쪽으로 치우쳐져 있습니다. 주위에 너무나 유명한 구조라 해수욕장과 지세포가 있으며 그 중간에다 반도인 망산을 솟구쳤습니다. 산 정상에는 와현 봉수대가 자리하고 서이말 등대와 공곶이·예구마을·와현 해수욕장 등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많아 걷는 내내 발걸음을 가볍게 해줍니다.


 

 서불장수샘 



산행 경로를 보면 와현 고개~서불장수샘~전망데크~초소 삼거리~와현 봉수대 삼거리~와현 봉수대~봉수대 삼거리~서이말 삼거리~서이말 등대~서이말삼거리~돌고래전망대 갈림길~돌고래 전망대~공곶이·예구마을 갈림길~공곶이~예구마을~와현 해수욕장~와현 고개 순으로 돌아오는 원점산행과 둘레길로 15km 거리에 천천히 둘러보면 5시간~5시간 30분쯤 소요됩니다.



 


거제도 망산 와현 봉수대~서이말 등대~공곶이를 가기 위해서는 와현 고개 버스 정류장에서 출발합니다. 버스정류장을 가운데 두고 오른쪽은 둥근 아치 조형물이 있는 와현 해수욕장 방면인데 둘레길을 모두 걷고 이곳으로 올라와서 산행을 마칩니다. 그럼 망산 출발은 버스정류장에서 왼쪽 포장도로를 따라갑니다. 출발 전에 안내도를 미리 일별합니다.


 

 

 

 


안내도에는 등대 가는 길에서 천주교 순례길을 이어 타고 공곶이를 거쳐 예구마을은 해안탐방 길로 걷게 꾸며 단조로움을 없앴습니다. 입구 이정표의 ‘초소 960m' 방향입니다. 곧 서불장수(徐市長壽) 약수터입니다. 진시황의 명을 받아 불로초를 구하기 위해 서불이 이곳 거제도에 도착하여 해금강을 마주 보는 바위봉인 우제봉에 “서불이 이곳을 다녀가다”라는 서불과차(徐市過此) 각자를 남겼는데 서불장수 약수터가 그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가던 걸음을 멈추고 먼저 약수 한 사발을 들이켜 봅니다. 크크~ 물맛을 보니 만약 서불도 이 물을 먹었다면 “물맛이 꽤 좋은데” 하며 엄지를 치켜세웠을 것 같습니다.


 

전망덱 


400m쯤 도로를 따르면 오른쪽에 와현 해수욕장과 구조라 해수욕장·수정봉·내도와 외도 멀리 점점이 떠 있는 해금강과 우제봉 등 다도해의 조망이 시원하게 펼쳐지는 최고의 전망 덱에 닿습니다. 이곳에서 보는 전망이 최고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전망대에서 보는 내도는 손을 뻗으면 잡힐 만큼 가까이 있는데 꼭 호수에 떠 있는 돛단배같이 아름답습니다. 안쪽의 섬이라 내도라 하며 서이말 등대에서 보면 거북이가 외도를 향해 가는 모습을 하고 있어 거북섬이라 부릅니다. 필자가 봐도 흡사 목을 길게 내민 거북이의 모습과 닮았습니다.


 

 


다시 포장도로를 따라 500m쯤 가면 초소가 있는 삼거리입니다. 오른쪽 “서이말 등대 3.8km·봉수대 2.1km·공곶이 4.6km” 이정표를 보고 갑니다. 이제부터 콘크리트 포장길이지만 그대신 산행 내내 하늘을 가리는 숲 터널입니다. 1.6km쯤이면 오른쪽에 망산으로 오르는 와현 봉수대 갈림길입니다.


 

 초소 삼거리

 

 

 

 

 

 망산 와현 봉수대 삼거리



임진왜란 때 이 산에 올라가서 망을 보았으며 정상을 연지봉이라 합니다. 500여 m 오솔길은 초록색 융단이 깔려 더욱 싱그러운 모습입니다. 봉수대는 최근에 복원을 마친 듯 새 옷으로 갈아입은 깔끔한 모습입니다. 봉수대에 올라서면 360도 조망이 시원하게 열립니다. 동쪽으로는 발아래 지심도가 보입니다.


 

 

 

 

 

 

 와현 봉수대가 궁금하다면 


2016/09/03 - (거제도여행/거제도가볼만한곳)거제와현봉수대. 거제 동쪽 끝 최고의 조망대, 거제 해금강. 보타니아 외도, 내도, 지심도, 가덕도, 대마도 전망대 와현 봉수대.



망산 와현 봉수대 

 

 

 

 


지심도는 섬 전체의 약 60~70%가 동백나무로 빽빽하게 숲을 이루어 동백섬이라고도 부르며 유인도중 자연 생태계가 가장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역시 뭐니뭐니해도 지심도는 12월 초부터 4월말까지가 동백꽃의 개화기로 최고의 절정은 3월경이며 이때쯤이면 추위를 뚫고 붉은 꽃을 피운 동백꽃이 처절할 정도로 아름답습니다.


 

 


지심도에서 머리를 들면 멀리 부산의 가덕도, 승학산 등 서부산권이 손에 잡힐 듯합니다. 서쪽으로는 외도와 해금강 그리고 학동과 망치·몽돌 해변 등 거제도의 명산이 하늘 금을 긋고 있습니다. 외도는 4만4천여평에 천연 동백숲 외에도 아열대 식물인 선인장·코코스 야자수·가자니아·선쌰인·유칼리·잎새란·용설란 등 3,000여 종의 수목으로 장관이며 한국의 파라다이스라 할 만큼 아름답습니다. 이창호 최호숙 부부의 집념이 오늘날의 ’환상의 섬 ‘외도를 만들었습니다.


 

 

 

 

 

 

 

서이말 삼거리 


다시 삼거리로 돌아 내려와 2.2km 거리에 있는 서이말 등대로 향합니다. 공곶이 갈림길인 서이말 삼거리에서 직진하여 1.2km를 더 가서 서이말 등대를 보고 이곳까지 되돌아 나와야 합니다. 서이말((鼠耳末)은 쥐의 귀를 닮은 해안 끝을 뜻하는데 ’쥐 귀 끝‘인 서이말 등대라 부릅니다.


 

 


그러나 거제시 지명유래를 보면 “누우래재(와현고개)에서 동남으로 2km 반도의 땅끝이 쥐의 주둥이 형국으로 쥐 부리 끝 또는 서이말이라 하였다”로 되어 있어 쥐 귀든 주둥이든 쥐는 틀림없는가 봅니다.


 

 

 

 

 

 

 

 

 

 


서이말 등대는 1944년 1월 5일에 처음 등탑에 불을 밝혀 선박의 안전 운항을 지키다 1945년 8월 15일 때 폭격으로 그만 파괴되는 수난을 당했습니다. 그 뒤 1958년에 2년간의 복구공사로 오늘날의 원형 콘크리 등대가 완공되었습니다. 거제도 유일의 인공 등대로 3명의 등대지기가 있으며 37km 거리에서도 서이말 등대의 불빛이 보인다 하니 거제도 해안을 지키는 파수꾼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


 

서이말 등대 


서이말 등대가 긍금하다면


2016/09/08 - (거제도여행)거제 서이말등대. 거제도 동쪽 끝에 쥐의 귀 끝인 서이말에 있는 등대를 아세요? 서이말 등대를 찾아가다.


 

 


서이말 등대에서 일본의 대마도까지 거리가 54km로 맑은 날에는 손에 잡힐 듯 가까이 있는 게 일본하고는 가깝고도 먼 이웃인 게 틀림없습니다. 다시 서이말 삼거리로 되돌아갑니다. 삼거리에서 왼쪽 공곶이(1. 8km) 쪽으로 꺾습니다. ’천주교 순례길‘로 명명된 푹신푹신한 흙길인 임도로 울울창창한 숲이 하늘을 완전히 가려 터널을 이룹니다.


 

 


이 길을 800m 정도 가면 갈림길입니다. 직진하면 바로 공곶이로 가는 길이며 왼쪽으로 내려서는 길은 돌고래 전망대로 향합니다. 급하게 500m쯤 내려서면 해안가에 우뚝 솟은 바위 전망대입니다.


 

 

 

돌고래전망대 

 

 

 

 


왼쪽 서이말 전망대와 망망대해, 내도가 손에 잡히는 거리에 있습니다. 4~5월에 멸치떼를 따라서 온 고래들이 가끔 나타나 이 바위에서 볼 수 있었다 하며 지금도 고래들이 나타나 관광객의 눈을 즐겁게 해준다 합니다. 지금부터 여러 번의 갈림길과 만나지만, 이정표는 모두 공곶이(1.2km)를 보고 갑니다.





 

 

 

 

 

 


숲 터널이라 대낮인데도 어둑어둑할 정도이며 오솔길로 이어져 걷는 재미가 가장 쏠쏠한 구간입니다. 다시 천주교 순례길의 임도와 합해지면서 공곶이 삼거리에 도착합니다. 직진하면 예구마을로 바로 내려가고 공곶이 농원은 왼쪽으로 꺾어 200m 거리에 있습니다.


 

 

 

 

 

공곶이 삼거리 

 



지형이 궁둥이처럼 툭 튀어나왔다는 공곶이는 내려서는 길도 급한 돌계단입니다. 공곶이는 낙향한 노부부가 평생을 피와 땀으로 일군 곳입니다. 오직 곡괭이·호미·삽으로만 일구었다는 공곶이 농원에는 동백나무, 종려나무, 수선화, 조팝나무, 팔손이 등 나무와 수선화 등 50여 종의 식물로 4만여 평을 가꾸었는데 워낙에 경사가 급해 돌을 쌓은 계단식의 다랑이로 만들어졌습니다.


 

 

 

공곶이 농원 삼거리 

 

 

 



공곶이 농원 삼거리에서 오른쪽은 바로 예구마을(1.17km) 가는 길이고 지척에 공곶이 쉼터가 있지만, 오롯이 공곶이를 보기 위해서는 농장 주택이 있는 왼쪽으로 향합니다. 봄에는 수선화를 재배하는 곳으로 연둣빛의 수선화가 장관입니다. 지금은 코스코스가 한들거리는 아름다운 돌담길을 걸으며 공곶이 해안에 닿았습니다.

 

 

 

 

 


공곶이 해변에는 아이 머리만 한 몽돌이 500여m의 해안에 지천으로 깔렸습니다. 바닥이 훤하게 드러난 에메랄드빛 해변은 특이하며 아주 이국적인 풍경입니다. 몽돌해변을 따라 공곶이 쉼터를 지나고 예구마을은 1.02km 거리입니다. 왼쪽 절벽으로 난 덱 계단을 오릅니다.


 

 

 공곶이가 궁금하다면 


2016/09/09 - (거제도여행)수선화 화원 공곶이. 거제도 새로운 관광 1번지 공곶이, 봄의 수선화는 천상의 화원이라면 몽돌과 파란바다도 최고.

 


 

 

 

 

 공곶이 쉼터

 

 

 

 


다시 숲 터널 사이로 난 자드락길을 걸으면 왼쪽 50m 앞에 전망 덱이 있습니다. 예구마을과 와현 해수욕장, 구조라의 수정봉 등 천애의 절경이 펼쳐집니다. 다시 삼거리로 나와 430m 거리인 예구마을로 향합니다.


 

 

 

해안 쉼터 

 

 

 

 

 

예구마을 선착장 


작은 어촌마을인 예구마을도 이제 펜션 등으로 마을 분위기가 많이 바뀌었습니다. 예구마을은 왜구미방(倭仇味坊)으로 왜구, 왜구미, 외기미라 불렀는데 대마도와 가장 가까운 포구다 보니 왜인의 잦은 노략질과 어선이 자주 출몰하여 '왜구미'라 하였습니다.


 

 

 



조선 말기인 1889년 고종 26년에는 조일통어장정(日通漁章程)을 체결하여 일인의 어선이 조선 연해에서 행해지는 조업의 합법적인 근거가 되어었는데 왜의 예인망이 포구에 들어와 예구(曳龜)라 하였습니다. 그 때문인지 작은 어촌마을의 포구는 선착장이 아주 넓었습니다.

 

 

 

 

예구마을 전경

 

 

 

와현해수욕장 

 


예구 선착장을 지나 도로를 따라가면 은빛 모래가 반짝이는 백사장인 와현 해수욕장입니다. 와현(臥峴)마을은 누우래·눌일·누우뢰·눌일티로 불렸는데 지세포에서 구조라로 넘는 고갯길이 워낙 낮아 고개 정상에 올라서 보면 남쪽은 구조라만과 북쪽에는 지세포만에 드나드는 고깃배를 누워서 그 광경을 보다 깜박 잠이 들었다 하여 ‘누우래’라 하였고 한자로 바꾸면서 와현마을이 되었습니다. 마을에서 출발지 와현 고개까지는 쭉 뻗은 오르막길을 따라가면 됩니다.



 




 

 와현고개


☞(거제도여행/거제도가볼만한곳)거제도 망산 와현 봉수대~서이말 등대~공곶이 둘레길 교통편


경남 거제시 일운면 망산 와현봉수대~서이말 등대~공곶이 둘레길은 와현고개 버스정류소까지 가야 한다. 부산에서 와현고개까지 대중교통편이 그다지 어렵지 않다. 부산에서 도시철도 하단역 3번 출구로 나와 하단역버스정류소에서 출발하는 2000번 거제 연초 방향 삼화여객버스를 이용해 거제소방서정류소에서 내린다. 오전 6시부터 약 하루 40차례 운행. 거제소방서정류소에서 내린 후 반대편 버스정류소에서 구조라 행 22번, 23번 버스를 이용해 와현고개 버스정류소에서 내린다. 산행 후 구조라해수욕장에서 출발하는 고현행 버스로 바꿔 타고 거제소방서정류소에서 내려 건너편에서 2000번 버스를 이용한다. 하단행 막차는 밤10시30분. 부산서부터미널에서 오전 6시부터 밤 10시까지 10~2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직행버스를 이용해 거제 고현터미널로 이동한 다음, 여기서 22번, 23번 버스를 이용해도 된다. 이후 교통편은 같다.

 

원점회귀 산행이라 자가운전도 편리하다. 가덕도 녹산대교를 이용해 거가대교를 탄다. 거제대로 장승포(남부) 방면으로 좌회전 한 후 두모 로터리에서 지세포(남부-해금강) 방면으로 우회전하여 14번 국도를 타고 지세포를 지나 해금강 방면으로 직행하면 곧 와현고개입니다. 내비게이션에는 와현해수욕장.  









728x90

728x90



☞(거제도여행/거제도가볼만한곳)수선화 화원 공곶이. 거제도 새로운 관광 1번지 공곶이, 봄의 수선화는 천상의 화원이라면  몽돌과 파란바다도 최고.  



환상의 섬 거제도에는 볼거리가 정말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거제 외도의 보타니아는 정말전국적인 관광지가 되어 많은 관광객으로 발 디딜 틈이 없을 정도로 유명합니다. 그러나 거제도의 동남쪽 끝이자 외도와 가까운 거리에 또 한곳의 유토피아가 있습니다. 와현리 공곶이입니다.







◆거제도 공곶이와 함께하면 좋은 여행지◆


2016/09/08 - (거제도여행)거제 서이말등대. 거제도 동쪽 끝에 쥐의 귀 끝인 서이말에 있는 등대를 아세요? 서이말 등대를 찾아가다.

2016/09/03 - (거제도여행/거제도가볼만한곳)거제와현봉수대. 거제 동쪽 끝 최고의 조망대, 거제 해금강. 보타니아 외도, 내도, 지심도, 가덕도, 대마도 전망대 와현 봉수대.





봄이면 공곶이에는 자신을 사랑하다 죽은 나르시소스의 넋인 수선화가 연둣빛 수채 물감을 뿌린 듯 수를 놓아 남해의 에메랄드 바다와 함께 몽환적인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최근까지 알음알음 찾는 관광객이 전부였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알려져 공곶이는 새롭게 떠오른 거제도 관광 1번지가 되었습니다.







봄에 찾는 공곶이가 최고라지만 여름철 찾았던 공곶이도 그에 못지않은 모습이었습니다. 파란 바다에 점점이 떠 있는 내도와 외도 그리고 해금강 등 주위의 경치와 지천으로 깔린 몽돌은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없는 모습이었습니다.







지형이 궁둥이처럼 툭 튀어나와 불리게 되었다는 공곶이는 이곳으로 귀향한 노부부의 피와 땀으로 이루어져 오늘날의 천상의 공곶이 화원이 되었습니다. 궁둥이처럼 튀어나온 지형이라 급경사로 이루어졌는데 이를 모두 계단식으로 만들었습니다.







그곳에는 종려나무와 설유화, 동백나무, 수선화, 군자란, 조팝나무, 팔손이 등 50여 종의 많은 식물과 나무를 4만 평의 농원에 심어 사시사철 꽃이 피며 새들이 찾는 관광지로 만들었습니다. 영화 ‘종려나무 숲’의 촬영장소로 호미와 삽과 곡괭이로만 땅을 일구었으며 부부의 손길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습니다.


 





농원을 따라 손수 쌓았다는 돌담길과 계단길, 그사이에 피어난 꽃은 공곶이를 생명의 숲이자 살아있는 자연환경을 그대로 보여줍니다. 공곶이를 찾아가는 길은 여러 길이 있습니다. 가장 편한 방법은 와현 고개에서 와현 해수욕장을 지나 예구마을에서 가는 방법입니다.







예구마을에서는 산비탈의 임도로 가는 방법과 오리 궁둥이처럼 툭 불거진 산허리의 고샅길을 돌아가는 둘레길을 걷는 방법입니다. 모두 20분쯤 걸립니다. 필자는 예구마을 공곶이 슈퍼에서 시작하여 마을 뒷길의 고샅길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와현 고개에서 와현 봉수대와 서이말 등대를 보고 천주교 순례길을 따라가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코스는 걷기와 눈요기로서 가장 멋진 여행 코스입니다. 수선화가 만발한 봄의 공곶이가 최고의 절경이라면 여름철 몽돌과 파란 바다와 잘 어울리는 공곶이도 그에 못지않아 가슴이 뻥 뚫리는 시원함을 담고 왔습니다. 내년 봄에는 연둣빛 수선화를 보러 꼭 환상의 화원 공곶이를 다시 한 번 찾아야겠습니다.








 공곶이 주소:경상남도 거제시 일운면 와현리




728x90

728x90



☞(거제도여행/거제도가볼만한곳)거제 서이말등대. 거제도 동쪽 끝에 쥐의 귀 끝인 서이말에 있는 등대를 아세요? 서이말 등대를 찾아가다.



무엇인가 아련한 옛 추억이 뭉글뭉글 가슴에서 피어나게 하는 곳이 있다면 무인도에 외롭게 떠 있는 등대 한 조각이 아닐까 싶습니다. 눈을 감고 등대를 생각하면 항상 우리에게 정신적으로 그 무엇을 꼭 채워 줄 것 같은 느낌은 나만의 생각일까요.






2016/09/03 - (거제도여행/거제도가볼만한곳)거제와현봉수대. 거제 동쪽 끝 최고의 조망대, 거제 해금강. 보타니아 외도, 내도, 지심도, 가덕도, 대마도 전망대 와현 봉수대.



 


해안가에는 망망대해를 하염없이 바라보는 많은 등대가 있습니다. 특히 거제도는 우리나라에서 제주도 다음으로 큰 섬이라 수많은 등대가 선박의 안전 길잡이를 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거제도 내에서 유일하게 등대지기 3명이 상주하는 유인 등대가 있다 하여 찾았습니다.


 

 


거제도 동쪽 끝의 지세포와 구조라 사이에 있는 와현리 망산은 지도를 보면 꼭 해마를 닮은 듯 툭 튀어나와 있습니다. 그러나 옛사람에게는 쥐의 귀로 보였는지 끄트머리에 쥐의 귀를 닮았다하여 ‘쥐 귀 끝’이라는 뜻인 서이말로 불리고 있습니다.

>

 

 


이곳 쥐의 귀 끝에 세워진 등대가 이번 등대 여행에 찾았던 서이말 등대입니다. 서이말등대는 광복 한 해 전인 1944년 1월 5일 등탑에 처음 불을 밝혔다가 1그 다음해인 1945년 8월 15일 광복 때 난데없는 폭격을 맞아 처참하게 파괴되었습니다.

>

 

 


그리고 1958년 2년여 공사 끝에 지금의 백색 원형 모양인 철근 콘크리트 등탑이 완공하였습니다. 등대의 높이는 대략 15m이며 20초 간격으로 한 번씩 불빛을 37km 바깥에서 볼 수 있게끔 비추고 있습니다.


 

 


서이말 등대는 거제도와 남해안을 운행하는 국내 선박과 멀리 일본과 태평양을 항해하는 선박의 안전 항로를 책임지고 있습니다. 또한, 서이말 등대에서는 일본의 대마도도 지척입니다. 불과 54km 거리로 아주 가까워 날씨가 조금만 맑아도 손에 잡힐 듯 가까이에서 보입니다.


 

 


서이말은 일출과 일몰도 동시에 볼 수 있습니다. 동쪽에서 솟아오르는 아침 해와 오후의 낙조인 일몰을 한자리에서 바라보는 곳으로 아침과 저녁이 풍요로운 곳입니다.


 

 


인근에 동백꽃으로 유명한 지심도와 사시사철 철 따라 꽃이 피는 남해의 유토피아 외도는 이미 전국적인 관광지이며 육지의 금강산에 견주어도 전혀 손색없다는 바다의 금강산 해금강도 같은 선상에서 보여 서이말 등대 여행은 충분한 값어치를 합니다.


 

 


서이말 등대 가는 길은 와현 고개에서 서이말 등대까지 약 5km 거리이며 초소부터는 하늘을 가리는 짙은 떡갈나무 숲이라 두 발로 걸어도 전혀 힘든 줄을 모릅니다.


 

 

 

67년 동안 묵묵히 바다를 지켜온 서어말 등대를 여행한다는 것은 등대 자체만으로도 충분한 하나의 거제도 여행이 됩니다. 인근에 와현 봉수대와 이른 봄 온 세상을 연둣빛으로 물들이는 수선화가 꽃동산을 이룬다는 공곶이도 있습니다. 


◆서이말 등대 정보 안내 ◆

 

★서이말등대 주소:경상남도 거제시 일운면 지세포리 산 48-2

★서이말등대 연락처:055-681-1607




 

728x90

728x90



☞(문경여행/문경가볼만한곳)문경 공덕산 윤필암과 묘적암 암자 여행. 경허, 성철, 청담 등 근대 선승의 수도처 문경의 사불산 윤필암과 묘적암 암자 여행


문경 공덕산에는 천년고찰 대승사와 부속암자인 윤필암, 그리고 묘적암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윤필암과 묘적암입니다. 공덕산은 사불산으로 더 알려져서 그런지 우리나라 고승들의 수도처로 나옹선사, 근대의 선승인 경허, 성철, 청담스님 등이 머물렀습니다. 윤필암은 1380년인 고려 우왕 6년에 각관스님에 의해 창건하였습니다.






윤필암 주소:경북 문경시 산북면 전두리 17

윤필암 연락처:054-552-7110

 

2016/07/08 - (문경여행/문경 가볼만한곳)문경 대승사 마애여래좌상. 머리에 뿔처럼 꽃무늬를 돋을 새김한 이색적인 불상을 만나다. 대승사 마애여래좌상


2016/07/07 - (문경여행/문경 가볼만한 곳)공덕산·사불산 사불암. 그럴싸한 전설이 정말 잘 어울리는 신비의 세계 사불암 사면석불, 공덕산·사불산 사면석불 사불암을 만나다.


  

 


그러나 윤필암의 암자 이름은 그보다 훨씬 오래전인 신라 시대 원효와 의상이 각각 사불산 자락의 화장사와 미연사에서 수행할 때 의상의 이복동생인 윤필거사가 머물렀던 인연 때문이라 합니다.


 

 윤필암

 

 


대승사 사적에는 1645년(조선 인조 23년)에 서조, 탁장, 양사에 의해 중건했으며 1765년(영조 41년)과 1806년에도 창영 장로와 취운 종백이 각각 중건하였다 합니다 1885년에는 고종의 명으로 창명 스님이 다시 중건했지만, 현재 윤필암 건물 대부분은 1980년대 초에 지어졌으며 비구니스님의 수도 도량입니다.


 

 

 

 


윤필암은 특이하게도 사불전이 있습니다. 사불전은 양산 통도사 등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처럼 부처님을 따로 모시지 않고 사불전의 큰 창문을 통해 내다보면 정면의 바위인 사불암의 네 불상을 주불로 모셨습니다.


 

 


 

사불암 

 



윤필암은 수덕사의 견성암과 오대산의 자장암과 함께 3대 비구니 승방으로 사불전과 관음전 외에는 참관할 수 없으며 사불전 뒤 바위 위에는 통일신라 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삼층석탑이 있습니다.


 

 

 

 

 

 

 

 

 

 

 

묘적암 


묘적암은 윤필암에서 대략 400m 떨어져 있으며 8부 능선에 위치한 빼어난 조망처로 오래전부터 이곳은 고승들의 수도처로 알려졌습니다. 646년인 신라 선덕여왕 15년에 부설 거사께서 처음 암자 터를 잡았으며 1339년에는 나옹화상 혜근이 출가했던 곳입니다. 나옹이 처음 이곳을 찾아 요연선사께 출가를 청하자 “여기 온 것이 무슨 물건이냐?” 하며 물었습니다. 나옹이 말하기를 “말하고 듣고 하는 것이 왔습니다만 보려 하여도 볼 수가 없고, 찾으려 하여도 찾을 수가 없습니다” 라고 말하고 가르침을 청했더니 요연은 자신도 아직 찾지 못했다며 ‘눈 밝은 스님’을 찾아가라 하였습니다.





 문경 묘적암 주소:경북 문경시 산북면 전두리 산 8

 문경 묘적암 연락처:054-552-7096



 

 

훗날 나옹은 깨달음을 얻어 이곳을 다시 찾아 화목 4그루를 심었다 합니다. 그리고 나옹의 신통력을 볼 수 있는 전설이 내려와서 옮겨 봅니다. 꼭 울산시 대운산 기슭의 큰바위 얼굴에서 불국사에 난 불을 껐다는 원효대사와 동자의 전설이 엇비슷하여 신기하기만 합니다.


하루는 나옹이 공양 준비로 상추를 한창 씻고 있는데 가야산 해인사에 불이 난 것을 보고 상추를 씻다 말고 물을 해인사 쪽으로 던져 불을 껐습니다. 공양을 기다리던 도반은 나옹이 헐레벌떡 뛰어오자 왜 늦었느냐고 나무라니 해인사에 난 불을 끄고 온다고 대답하자 장난친다며 나옹을 꾸짖었습니다. 이에 나옹은 실수하듯 물그릇을 방바닥에 엎어버리자 스님은 어서 물을 치우라고 나옹을 나무랐습니다. 나옹은 엎질러진 물을 모아 공중에 날리며 빙빙 돌게 한 다음 주걱으로 물을 내려쳤습니다. 물은 마당의 작은 바위에 부딪히며 마음 심(心)자를 새겼다 합니다. 나옹선사의 경지가 대단했던 것 같습니다.


 

 

묘적암입구의 지혜수 


묘적암은 꼭 한옥의 가정집 같은 분위기입니다. 법당은 앞면 6칸에 옆면 3칸이며 가운데 3칸은 통칸으로 그 중앙에 문수보살을 봉안하였습니다. 그리고 앞쪽에는 툇마루를 달았으며 좌측에는 종무소와 부엌을 내었고 건물 왼쪽 처마 끝에 증축하면서 1칸*2칸의 작은 건물을 달아내었습니다. 이는 스님의 거처로 사용하며 일반신도의 접객 공간으로도 활용하고 있습니다.


 

왼쪽은 동봉당스님 부도이며 오른쪽은  동산당 일초선사 부도

 

묘적암은 1668년 성일 스님이 중건했으며 현재의 건물은 1900년 취원스님이 다시 중수하였다 합니다. 묘적암에는 1803년(순조 3년)에 조성한 공민왕사 나옹선사 진영과 조성연대가 알려지지 않은 동봉대화상진영이 있습니다. 그리고 묘적암 옆에는 나옹화상과 동봉화상의 부도가 있는데 안내판이 없어 정확하게 어떤 부도가 나옹화상의 부도인지 알 수 없었습니다. 나옹화상의 부도는 다시 확인한 결과 윗쪽에 홀로 고졸한 분위기를 한 부도라 합니다.



 

 

묘적암 나옹화상의 부도 

 


나옹선사 부도와 탑비는 여러 곳에 있는데 이는 아주 특이한 사례입니다. 여주 신륵사와 양주 회암사 터에 남아 있고  그리고 원주 영전사 터에 있던 부도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왔으며 또 한곳이 이곳 묘적암입니다. 묘적암의 나옹선사 부도에는 “화상일완 장우도중 하유양공 접지유성(和尙一椀 藏于屠中 下有兩孔 接之有聲)”이란 명문이 새겨져 있다는데 뜻을 풀이하면” 화상의 발우가 부도 속에 간직돼 있으며 밑면에는 두 개의 구멍이 닿으면 소리가 난다”라는 뜻입니다.



사불암에서 바라본 윤필암 전경

 

사불암에서 바라본 묘적암 전경 

 


나옹화상의 부도는 생각도 하지않고 건성건성 봐서 그런지 명문을 확인 할 수 없었습니다. 묘적암 주위에는 이외에도 심지바위, 안바위, 좌선바위와 1862년 조성한 나옹화상의 행적을 기록한 목각판 등이 남아 있는데 스님의 수행처라 볼 수 없는 게 정말 아쉬웠습니다. 묘적암은 스님의 수행처로 출입을 삼가달라는 안내문이 붙어 있어 발소리를 죽이며 조용하게 문밖에서 사진만 몇 장 담고 돌아 나왔습니다.



 사불암에서 본 윤필암과 묘적암 




 

728x90

728x90


임고서원 은행나무

☞(영천여행/영천가볼만한곳)임고서원. 절개와 의리의 상징인 고려말 충신 포은정몽주의 영천 임고서원, 포은 유물관 여행. 영천 임고서원


우리나라에 삼국시대 고려 시대 조선 시대에서 충과 절의를 가진 인물을 논할 때 반드시 빠지지 않는 분이 고려말 충신 포은 정몽주 선생입니다. 또한, 포은 선생을 우리는 무너져가는 고려에 끝까지 신의와 절개의 지킨 충신이자 “신하는 두임금을 섬기지 않는다”는 충신불사이군(忠臣不事二君)의 상징으로 오늘날까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습니다.




임고서원

임고서원주소: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양항리 462

임고서원안내전화:054-334-8982




 포은 정몽주 선생하면 생각나는 게 개성 선죽교에서 이방원의 문객에게 철퇴로 죽임을 당하는 사건입니다. 그 원인을 보면 1388년 우왕 14년 2월에 명나라는 고려에다 철령 이북. 이동, 이서의 땅이 원래 원나라 땅이니 요동의 관할에 두겠다는 통보를 하자 최영은 격분하여 요동 정벌 계획을 세웁니다.


선죽교

이에 이성계는 4가지 이유를 들어 출정을 반대하지만, 우왕은 최영을 팔도 도통사에, 좌군에는 조민수를, 우군에는 이성계를 임명하고 정벌군을 출병시켰습니다. 이성계와 조민수는 의주의 위화도에서 장마에 발이 묶여 진퇴양난이 됩니다. 이런 심리를 이용하여 이성계 장군은 조민수와 심덕부, 이무, 왕인덕 등 지휘부를 설득하여 명을 치기 위해 요동을 정벌하러 출병했지만 하늘이 우리를 도와주지 않는다며 회유하여 마침내 위화도에서 회군을 결정합니다. 이름하여 이를 ‘이성계의 난’이라 합니다.



고려의 국운은 이제 불을 보듯 뻔한 상황이 되었습니다. 최영은 유배로 뒤에 개경에서 참형을 당하고 우왕은 폐하고 창왕을, 그 이듬해 공양왕을 다시 옹립합니다. 그러나 공양왕마저 쫓아내고 이성계는 1392년 7월 17일 국호를 조선이라 하고 새로운 왕조인 태조로 왕위에 올랐습니다.



이런 일련의 과정에서 이성계와 정도전, 포은 정몽주, 이방원이 중심에 서게 되는데 위화도 회군 후에 이성계는 정몽주와 함께 왕씨가 아닌 신씨라는 의혹이 파다했던 우왕을 몰아내고 우왕의 아들 창왕을 옹립하였다가 신씨 논란으로 다시 공양왕을 옹립하는 일련의 과정에 정몽주는 모두 참여합니다.


임고서원

그러나 1392년 정몽주는 이성계가 고려가 아닌 신왕조 창업의 야심을 알게 되면서 서로 반목하며 권력투쟁을 벌이게 됩니다. 어제의 동지가 오늘의 적이 된 상황인데 그런 와중에 명나라에서 돌아오는 세자 석을 마중 나갔던 이성계가 황주에서 사냥하다 낙마하여 벽란도에서 치료 중이라는 정보를 들은 정몽주는 이참에 조준 등 이성계의 세력을 제거하려 하였습니다.


단심가와 백로가 비

이를 이방원이 눈치 채고 벽란도로 달려가 아버지 이성계를 급하게 개성으로 돌아오게 하고 정몽주 제거 계획을 세웠습니다. 정몽주 또한 그 사실을 알고 이성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병문안을 핑계로 문병하면서 이방원은 정몽주의 마음을 떠보기 위해 서로 대화를 나누는데 그 유명한 정몽주의 ‘단심가’로

“此身死了死了 一百番更死了(차신사료사료 일백번갱사료)

白骨爲塵土 魂魄有也無(백골위진토 혼백유야무)

向主一片丹心 寧有改理與之(향주일편단심 영유개리여지)"

"이 몸이 죽고 죽어 일 백 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임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이방원의 ‘하여가’는

“此亦何如 彼亦何如(차역하여 피역하여)

城隍堂後垣 頹落亦何如?(성황당후원 퇴락역하여)

我輩若此爲 不死亦何如(아배약차위 불사역하여)"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백년까지 누리리라"며

선문선답을 나누었습니다.



이방원은 정몽주가 자신들과 뜻을 같이할 수 없다는 것을 단심가로 다시 한 번 확인하였습니다. 정몽주는 이방원과 헤어져 돌아오던 길에 선죽교에서 이방원의 문객 조영규에게 철퇴를 맞아 죽임을 당했습니다. 이후에 정몽주가 죽었던 자리에 충의와 절의의 상징인 대나무가 자라 선죽교라 부르게 되었다 합니다.


최선매의 공적비




포은선생의 ‘단심가’와 함께 항상 쌍으로 나오는 ‘하여가’ 말고도 포은의 모친인 이씨 부인이 쓴 ‘백로가’입니다. 아들을 걱정하는 어머니의 마음이 오롯이 드러난 시로 포은은 어머니의 백로가가 정신적 지주가 되어 끝까지 고려에 대한 절개와 의리를 저버리지 않았나 봅니다. 그럼 백로가를 풀이하여 옮겨 보겠습니다.

“까마귀 싸우는 골에 백로야 가지마라

성낸 까마귀 흰빛을 새올세라

청강에 좋이 씻은 몸을 더러일까 하노라“

그 어머니에 그 아들이라 해야 하나요.




경북 영천에는 고려의 삼은 중 한분인 포은 정몽주를 모신 임고서원이 있습니다. 개성에서 돌아가신 분이 어찌하여 영천에 그를 모신 서원이 있는지 그것이 궁금하다 생각할 것 같습니다. 정몽주는 포항 오천의 오천 정 씨로 그의 고향은 영천시 임고면입니다.


정몽주 신도비


임고서원은 1553년(명종8년)에 노수, 김응생, 정윤량, 정거 등 유림에 의해 임고면 고천리 부래산 아래 처음 세워졌습니다. 그 이듬해 임고서원에 명종은 많은 위전과 사서오경을 하사하고 백운동 서원에 이어 두 번째로 임고서원에다 사액서원을 내렸습니다.





그러나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고 1603년(선조 36년)에 다시 지금의 자리로 옮겨 중건하여 재 사액을 받았으며 1643년에 장현광을 1727년 왕보인을 추가로 배향하였습니다. 그러나 1871년 흥선대원군은 개경의 숭양서원에서 포은 선생을 배향한다는 이유로 서원철폐령에 의해 임고서원은 훼철됩니다.




1879년에 존영각을 세워 포은 선생의 영정을 봉안하였으며 1965년 임고서원을 복원하였습니다. 오늘날의 임고서원은 1980년에 시작된 성역화 사업을 1999년에 끝내고 세운 건물로 묘우는 문충사, 내삼문은 유정문, 강당은 흥문당, 동협는 경의협, 서협은 명성협, 동재는 수성재, 서재는 함육재, 문루는 영광루, 경내에는 심진각과 전사청, 포은 선생 신도비와 단심가 비, 백로가 비 등으로 이루어졌습니다. 2001년에 다시 지봉 황보인을 함께 배향하였습니다.






임고서원을 방문하면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게 경상북도 기념물 제63호인 임고서원 은행나무입니다. 이 은행나무는 높이가 약 20m이며 둘레가 5.95m로 500년 된 은행나무로 추정합니다. 원래 임고서원이 부래산에 창건될 때 함께 심어진 나무로 임진왜란으로 서원이 소실되면서 1603년 지금의 자리로 서원을 옮겨 세울 때 함께 옮겨 심은 것이라 합니다. 그러니까 임고서원의 역사를 고스란히 알고 있는 나무라 하겠습니다. 지금도 생육상태가 아주 좋아 늦가을 노란 단풍으로 물들면 임고서원도 최고의 절정을 이룬다 합니다.






임고서원에는 은행나무와 함께 성역화 사업의 일환으로 개성의 선죽교도 만들어 놓았습니다. 선죽교는 북한의 국보 문화유물 제159호입니다. 처음에는 선지고라 불렀는데 이방원의 문객인 조영규에게 피살되던 날밤 다리 옆에서 참대나무가 솟았다 하여 선죽교라 고쳐 부르게 되었다 합니다.




선죽교는 개성 남대문에서 동쪽으로 약 1km 거리인 자남산 남쪽 개울에 있는 다리입니다. 고려 태조 왕건이 919년 개성 (옛 송도) 시가지를 정비하면서 세운 다리로 추정하는데 길이 8.35m에 너비 3.36m의 화강석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만들어질 당시인 고려 시대에는 돌난간이 없었는데 1780년(정조 4년) 정몽주의 후손인 개성 유수 정호인이 선조인 정몽주가 피살된 장소에 우마차가 다니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난간을 설치하고 통행을 막고 그 옆에다 다른 돌다리를 만들어 선죽교 대신 통행을 하게 했습니다.






그리고 임고서원 문루인 영광루 왼쪽 끝에는 통정대부 공조참의로 추증된 최선매의 공적비가 있습니다. 임진왜란 때 서원이 소실될 위기에 처했을 때 임고서원의 유생으로 있으면서 포은의 영정과 위판을 기룡산 석굴에 안전하게 숨겨 난리가 끝나고 서원을 중건하면서 다시 모시게 됩니다. 그 후 그 공을 인정해 지역유림의 상소로 1891년 고종은 공조참의에 추증하였습니다.










포은 유물관

임고서원과 함께 포은 유물관, 충효관이 있습니다. 포은 유물관은 포은관과 임고관으로 나누어 전시했는데 포은선생의 출생과 효행, 충의, 동방이학의 조종으로 평가받는 그의 학문 등 포은 정몽주의 일대기를 고문서와 영상으로 만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임고관은 임고서원의 내력과 영남 사림의 중심지 역할을 했던 영천지방의 성리학과 성리학자들을 옛 문서로 만나고 임고서원 축소모형이 전시 중입니다.































포은집




포은정몽주 영정

그러나 아이러니하게 고려를 멸망케 하고 신왕조를 세운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인 이방원에게 목숨까지 빼앗겼던 포은 정몽주입니다.  “포은선생이 조선의 건국에 반대한 것은 천명과 인심의 향배를 몰랐던 것이 아니라 고려에 대한 절의를 지키기 위해 목숨까지도 바쳤으니 그 큰 절개를 포상해야 한다”는 권근의 상소로 당시 태종에 오른 이방원에 의해 신원이 회복되어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부사 수문전대제학감 예문춘추관사 익양부원군에 추증 되고 시호를 문충으로 재수하였습니다. 이를 보면 어제의 역적이 오늘의 충신이 되는 게 그래서 역사는 돌고 도는 것 같습니다.






개경의 선죽교에서 돌아가신 포은선생의 묘는 현재 경기도 용인시에 있습니다. 

그 내용이 궁금하다면......

포은 정몽주 묘소 포스팅은

☞2015/06/19 - (경기도여행/용인여행)포은 정몽주의 묘. 개성 선죽교에서 이방원에게 참살당한 포은 정몽주와 저헌 이석형의 묘소를 참배하다.







선죽판 

 


포은 정몽주 포은 유물관 정보 안내◆

★개관일:매주 화요일~일요일(공휴일 포함)

★휴관일:매주 월요일(공휴일시 다음날), 1월1일, 설날, 추석당일

★관람시간:10:00~17:00

★주소: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포은로 447(양항리 501)

★문의 전화:054-334-8981~2





728x90

728x90

 


☞(거제도여행/거제도가볼만한곳)거제와현봉수대. 거제 동쪽 끝 최고의 조망대, 거제 해금강. 보타니아 외도, 내도, 지심도, 가덕도, 대마도 전망대 와현 봉수대.



 우리나라에서 제주도 다음으로 가장 큰 섬이 거제도입니다. 지금이야 거가대교와 거제대교가 사통팔달로 육지와 연결되어 섬이 아닌 육지로 대접할 정도로 교통이 정말 편리해졌습니다. 내가 사는 부산에서 거제도는 이제 부산 시내 외곽보다도 더 일찍 도착하는 곳이 되었습니다.







 


그와 함께 거제도는 부산에서 좌석 시내버스가 운행할 만큼 가까운 곳입니다. 그런 거제도가 일본의 대마도와는 더욱 가깝습니다. 고려 시대 때부터 조선 중기까지 왜구의 침탈이 잦아 우리나라 남해안은 왜군으로부터 큰 피해를 입었으며 특히 거제도는 더욱 많은 피해를 당했습니다.


 

 

 

 


거제도의 해안가 봉우리에는 왜군의 동태를 감시하는 봉수대가 여러 곳에 생겼으며 왜구가 출몰하면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횃불을 피워 위험에 대비했습니다. 대마도와 약 50km 떨어진 와현 봉수대는 거제시 일운면 와현리 303m의 망상 정상에 있으며 조선 후기까지 군사적으로도 아주 중요한 위치였습니다.


 

 


여기서 올린 봉화는 지세포 봉수대와 연결되어 옥녀봉봉수대 그리고 강망산 봉수대로 연결하여 서울로 보내졌습니다. 거제도의 여러 봉수대 중 이번에 찾았던 곳은 와현 봉수대입니다. 와현 봉수대는 조선 시대 수군이 주둔했던 지세포리 지세포진성에 속한 봉수대로 아주 전략적인 요충지였습니다.


 

 


현재 와현 봉수대는 말끔하게 복원하였습니다. 와현 봉수대의 구조를 보면 2단으로 연대를 쌓고 윗면은 평면으로 된 원통형 구조입니다. 아랫단의 석축은 방호벽으로 쌓았으며 상단의 석축에 봉수를 피워 올렸던 단봉의 봉수구조입니다.


 

 


처음에는 붕괴하여 형체도 잘 알 수 없었으나 현재에는 복원되어 와현 봉수대의 규모를 대략 짐작할 수 있습니다. 와현 봉수대는 다른 거제도의 봉수대에 비해 구모도 매우 크고 계단 시설, 석축의 보존 상태, 봉수군들이 머물렀던 건물터의 흔적도 그대로 남아 있었습니다.


 

 


또한, 와현 봉수대는 남쪽 바다를 직접 조망하며 내도와 외도 지심도, 해금강, 부산의 가덕도, 맑은 날에는 대마도를 눈으로 확인하는 일급 조망권을 가져 거제도에서 동쪽 끝이라는 와현리는 쥐의 귀를 닮은 형국인 서이말 등대와 함께 여행하면 좋습니다.


 

 

 

 

 

 

 

 

 

 

 

 

 


1944년 1월 5일 처음 등탑에 불을 밝혔다는 서이말 등대. 거제도 와현 봉수대와 서이말 등대를 함께 여행하면서 에메랄드 빛 바다를 보는 눈 호강의 호사를 누려보세요.


 

 


1944년 처음 불을 밝힌 서이말 등대



◆거제시 와현봉수대 정보 안내

경상남도 기념물 제243호

★거제 와현봉수대 주소:경상남도 거제시 일운면 와현리 산 98-8





728x90

728x90


 


☞(함양여행/함양가볼만한곳)함양 화림동계곡 선비길 농월정. 달을 희롱할 만큼 아름답다는 함양 화림동계곡 선비길 농월정을 품다. 함양 농월정



경치가 얼마나 아름다운 곳이면 “달을 희롱 한다”는 농월정(弄月亭)의 현판을 달았을까요? 농월정 어디서 많이 들어보셨다고요. 예 함양에 있는 화림동계곡의 농월정입니다. 함양에서 최고 경치라 하는 함양 8경에 이름을 올렸으며 여행을 자주 떠나는 분에게는 너무나 유명한 곳으로 국민 관광지로 잘 알려진 곳입니다.







◆함양 화림동계곡 선비길 거연정, 군자정 보기


2016/08/29 - 함양여행/함양가볼만한곳)함양 선비길 화림동계곡 거연정. 선비의 고고한 기풍이 느껴지는 함양 화림동 계곡 거연정에서 가을 하늘을 만나다. 함양 거연정

2016/08/26 - (함양여행/함양가볼만한곳)화림동계곡 군자정. 일두 정여창이 유영하였다는 영귀대 암반에 새운 군자정의 아름다운 모습에 가는 여름을 잡아보다. 함양 군자정



 


월연암이라 불리는 너럭바위와 옥구슬 구르듯이 암반을 타고 흐르는 계곡의 물소리, 구불구불 꼬여 한 폭의 수묵화에 자리 잡을 듯한 소나무를 보면서 달도 반할 만큼 아름다운 모습을 한 농월정입니다.


 

 


팬 암반에 고인 물을 보면 달이 은은하게 떠 있고 기울이던 선비의 술잔에도 뜬 달을 보면서 음풍농월하며 시문을 나누었을 농월정, 술잔을 기울이던 지족당의 모습은 찾을 순 없지만, 달이 희롱을 당할 만큼 아니 달도 가기 싫어 가지 말라고 희롱이라도 해주길 바랄 것 같은 농월정의 모습입니다.


 

 


달도 혼을 빼앗기며 머물렀다는 월연암의 농월정에 조선 시대 중기의 학자였던 지족당 박명부(1571~1639)가 1637년 월연암의 너럭바위에다 농월정을 짓고 후학을 가르치며 유유자적한 선비의 짧은 삶을 살았습니다. 지족당은 함양 안의면 성북마을 출생으로 어릴 적부터 유난히 총명하다는 소리를 듣고 자랐습니다.


 

 


16세 때 동계 정온선생의 부친인 정유명의 제자가 되어 글을 익혔으며 20세에 급제하여 조정에 나아갔지만,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이 일어나 파란만장한 젊은 청춘을 보냈습니다. 그의 행적을 보면 의병을 모으기도 하고 곽재우 장군의 진영에 들어가 전투에 참여하여 선무원종공신 2등에 책봉되기도 합니다.


 

 


선생은 광해군 때 조정의 어지러움을 바로잡고자 노력했으며 그와 동문수학한 동계 정온이 영창대군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 갈 때도 이는 부당하다 거침없이 주장하였습니다. 대북파가 인목대비의 폐모론을 들고나오자 지족당은 인목대비의 유폐가 사리에 맞지 않는다며 광해군에 간언했다가 파직당하자 미련 없이 고향에 돌아와 은거하면서 서당을 짓고 후학을 가르치며 이곳 화림동 월연암에 나와 마음을 닦았습니다.


 

 

 

 


그러나 민심은 천심이라고 민심이 광해군을 떠나자 서인들의 반정으로 선조의 후궁이었던 인빈 김씨의 3남인 정원군의 큰아들 능양군이 보위에 오르니 이게 1623년에 일어난 인조반정입니다. 인조반정과 함께 지족당은 다시 벼슬길에 나아가 66세에는 예조참판에 올랐습니다.


 

 

 

 


인조가 정묘호란으로 삼전도의 치욕을 당하자 모든 것을 물리치고 화림동 계곡이 있는 고향으로 돌아와 남은 삶을 마무리하려고 1637년 67세에 농월정을 건립하였습니다. 왕이 불러도 벼슬길에 나가지 않다가 간곡한 요청에 어쩔 수 없이 강릉도호부사에 부임하여 백성을 위한 청치를 펴다 그다음 해인 1639년 그의 나이 69세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1651년 조정에선 이조판서에 추증하고 화천사에 배향하였습니다. 1637년 월연암 너럭바위에 농월정을 짓고 후학을 가르치려 했던 그의 몸과 마음은 크게 뜻을 이루지 못하였고 1년 남짓 농월정에서 유영했습니다.


 



농월정은 400여년의 풍상을 견디며 몇 차례 중수하여 이어져 왔고 1899년 다시 중수하였습니다. 그러나 2003년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2015년 새롭게 옛 자리에 복원하여 안타깝지만, 농월정의 역사를 새로 이어가고 있습니다. 





정자 앞 오른쪽 바위에는 생전에 선생이 지팡이를 짓고 노닐던 곳이란 뜻의 “지족당장구지소(知足堂杖之所)”란 글자를 후손들이 새겨 놓았습니다. 은은한 달빛이 농월정을 비출 때면 지팡이를 옆에 두고 달과 술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실 지족당 박명부의 모습이 그려집니다.



◆함양 농월정 정보 안내◆

★함양 농월정 내비 주소:경남함양군 안의면 월림리 산 92

★함양 농월정 연락처:055-963-8141

 

 

 



728x90

+ Recent posts